엄준현
(Jun-Hyun Eom)
1iD
정영국
(Young-Gook Jung)
†iD
-
(Senior Research Engineer, Research Institute, G.F TEK Co.,LtD, Gwang-Ju)
Copyright ©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Engineers(KIIEE)
Key words
Compensation voltage, Four quadrant voltage control, In phase buck mode, Quasi Z-Source dynamic voltage restorer(DVR), Simple duty cycle control, Voltage sag swell
1. 서 론
스마트 정보기기, 디지털 의료기기, 반도체 제조 공장 자동화 설비 등은 전압 Sag와 Swell(순간적인 부족전압 및 과전압 발생 현상)(1)과 같은 전압 변동에 민감하다. 이들 부하장비에 공급되는 전압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전력전자변환장치로는 동적전압보상기(DVR : Dynamic
Voltage Restorer)(2,3)가 대표적이며, 다양한 토폴로지의 교류 컨버터가 동적전압보상기에 적용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종전의 quasi Z-소스 동적전압보상기(4,5)는 입력 전원에 Swell이 발생하는 경우, 역상(Out of phase)의 승압-강압 보상 전압으로 모든 범위의 Swell 보상 가능하다. 그러나
낮은 듀티비에서는 전압이득이 항상 1보다 크므로 동상(In phase)의 승압 보상 모드로만 동작 가능하며, 따라서 50%이상의 Sag만 보상 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산업 현장에서는 50%이상의 Sag보다는 1-50%범위의 Sag가 자주 발생되므로, 낮은 듀티비 영역에서 전압이득이 1보다 큰 종전의
방법은 적용하기 곤란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2대의 quasi Z-소스 교류 컨버터(6,7)를 캐스케이드로 연결하여 4상한 Sag-Swell 전압보상 특성을 갖는 동적전압보상기가 제시되었다. 그러나 이 방법은 2대를 사용하므로 하드웨어 부피가
커지고, 공진과 순환전류의 문제가 발생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4상한 Sag-Swell 보상이 가능한 간단한 듀티비 제어 quasi Z-소스 동적전압보상기를 제안한다. 종전의 방법으로 보상 불가능한
1-50%범위의 전압Sag는 간단한 듀티비 제어로 동상의 강압 보상전압을 발생하여 보상한다. 그 외의 모든 범위의 Swell과 50%이상의 Sag는
종전의 방법과 동일하게 역상의 승압-강압 모드와 동상의 승압 모드를 적용한다. 제안된 간단한 듀티비 제어법은 한 개의 캐리어 신호에 두 개의 기준전압을
비교하여 두 개의 듀티비를 갖는 PWM신호를 발생시킨다. 이 신호로 동적전압보상기의 입력단 및 부하단 스위치를 동시에 도통하는 Shoot–through모드(8,9)에 의해 동적전압보상기가 동상의 강압 보상 전압을 발생하게 한다.
PSIM시뮬레이션과 DSP28335제어실험을 수행하여, 전원전압에 25%, 55%의 Sag-Swell이 각각 발생한 경우의 정상상태 및 과도상태에서의
보상 특성이 양호함을 입증한다. 추가적으로 50$\Omega$, 100$\Omega$ 부하조건에서 10-50%범위의 Sag와 Swell에 대한 제안된
방법의 전압 보상율과 THD%(Total Harmonic Distortion)를 파악하고자 한다.
2. 제안된 시스템
그림 1은 전형적인 quasi-Z-소스 동적전압보상기(4,5)를 나타내고 있다. 시스템의 Quasi Z-소스 컨버터는 전원 계통에서 발생하는 입력 전압 $v_{i}$의 변동분 만큼 보상전압$v_{com}$을
발생하여 부하전압$v_{o}$를 전압 변동 전의 전압으로 회복시키는 역할을 한다.
Fig. 1. Typical quasi-Z-source dynamic voltage restorer
동적전압보상기는 전원 전압 $v_{i}$, 전력용 스위칭 디바이스(Sw1,Sw2)의 온 오프에 따라 교류 보상 에너지의 저장과 방출이 이루어지는 quasi
Z-소스 네트워크(C1-L1와 C2-L2), Lf-Cf 필터회로와 배전 계통에 보상 전압을 주입하기 위한 결합 변압기(1:1)로 구성되며, 변압기의
전압 주입방향은 전력계통에서 공급하는 극성과 일치하게 한다. 전압 변동은 입력 전압$v_{i}$의 피크치 검출기법
(10)으로 검출하고, 이를 전압 기준치와 비교하여 전압 이득 K와 듀티 비 D를 연산하며 D에 따라 스위치(Sw1,Sw2)를 온-오프하여 보상 전압 $v_{com}$을
발생한다.
2.1 종전의 제어기법(4,5)
그림 2는 동적전압보상기의 종전의 PWM 듀티비 제어 기법을 나타낸다. 여기서 T는 스위칭의 한 주기를 나타내며, T 동안 Sw1과 Sw2는 상보적 온,
오프를 반복하여 동적전압보상기로 작동하는 quasi Z-소스 컨버터의 출력 전압을 제어한다.
Fig. 2. Conventional PWM duty ratio control
그림 3은 이 경우에 대한 동적전압보상기의 동작 상태이다.
그림 3(a)는 Sw1이 (1-D)T만큼 온이 되고, Sw2는 오프가 되는 Active state
(8,9)를 나타낸다. 이때의 회로 방정식은
식(1)-(3)과 같다.
그림 3(b)는 Sw2가 DT만큼 온되고, Sw1이 오프가 되는 Shoot-through state인데, 이 기간 동안 컨버터의 $C_{1}-L_{2}$에는
에너지가 저장되고, Active state가 되면 저장된 에너지가 부하로 전달된다. 이때의 회로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1-D)T동안의
식(1)-(3)과 DT동안의
식(4)-(6)을 이용한 회로의 평균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Fig. 3. Operation states of conventional scheme
이로부터 T동안의 커패시터 C1, C2 및 출력 필터 Cf의 전압 $v_{c1}$, $v_{c2}$,$v_{cf}$는 각각 D와 $v_{i}$에 관한
식으로 나타내진다. 이를 이용하여 동적전압보상기의 전압 이득 K를 D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결합 변압기에 의하여 출력 필터 Cf의 전압 $v_{cf}$의 PWM 스위칭 성분이 제거된 전압은 보상전압 $v_{com}$과 같다. (단,
$v_{cf}=v_{com}$, 변압비 1:1인 경우)
그림 4는 동적전압보상기로 동작하는 quasi Z-소스 교류 컨버터의 D 변화에 따른 K의 그래프를 나타낸다. 그림 4의 K의 변화를 보면, 0.68≤D<1 영역에서는 역상의 강압 모드, 0.59<D<0.68 영역에서는 역상의 승압 모드로 동작되며, 0≤D<0.45에서는
동상의 승압 모드로 동작되고 있다.
Fig. 4. Output voltage gain(K) of the conventional scheme according to duty ratio(D)
그림 4에서와 같이, 동적전압보상기는 낮은 D영역에서는 항상 K ≥ 1이므로 입력 전압 $v_{i}$의 50%이상의 전압Sag가 발생한 경우만 보상전압$v_{com}$을
발생할 수 있다.
그림 5는 이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v_{i}$에 60% Sag가 발생한 경우의 보상과정을 나타낸다. 60% Sag가 발생된 전압을 $v_{isag}$라
하면, 동적전압보상기는 이 $v_{isag}$에 K=1.5 (D=0.2)만큼 승압된 $v_{com}$을 발생시켜줌으로서 $v_{o}$의 전압을 Sag가
발생되기 전의 전압 $v_{isag}+ v_{com}$으로 회복시켜준다. 그러나 종전의 방법은 동상 모드로 동작되는 경우, 항상 K ≥ 1이므로 산업
현장에서 주로 발생되는 $v_{i}$의 1∼50%내의 전압Sag는 보상할 수 없다.
그림 6은 전압Sag가 발생하는 경우, 종전의 방법으로 보상 가능한 Sag영역과 불가능한 Sag영역을 나타낸다.
Fig. 5. In phase boost mode operation for 60% sag compensation (Over 50%) by the conventional scheme
Fig. 6. Available and unavailable voltage sag compensation region by the conventional scheme
2.2 제안된 제어기법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종전의 방법은 산업 현장의 전원에서 빈번하게 발생되는 $v_{i}$의 1∼50% 범위 내의 전압Sag를 보상할 수 없다.
Fig. 7. The proposed PWM duty ratio control of the in-phase buck mode(Less than 50% sag)
이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듀티비 제어 기법을
그림 7에 나타내었다.
Fig. 8. Operation states in case of the in-phase buck mode(Less than 50% sag) of the proposed scheme
제안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동적전압보상기의 등가회로를
그림 8과 같이 Active state-1과 Active state-2 그리고 Shoot-through state로 구분하였다. 우선
그림 8(a)는 Active state-1으로 동작하는 회로이며 한주기를 T라 할 때 Sw1이 (Ds1-D)T구간에서 온 되는 동안에 Sw2는 오프 상태이다.
그림 8(b)는 Sw1과 Sw2가 모두 (1-Ds1)T 동안 오프인 Active state-2 동작을 통해 에너지가 부하로 전달되는 상태이다.
그림 8(c)는 Sw1과 Sw2가 DT만큼 온 되는 Shoot-through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에서 Sw1과 Sw2가 동시에 온 되기 때문에 Sw2만
온 되어 에너지가 충전되는 일반적인 Shoot-through와는 다르며, 이 기간 동안 부하 단에는 전압이 발생되지 않는다.
이상의 Active state-1, Active state-2와 Shoot-through state가 주기적으로 반복되면서 $v_{i}$를 동상으로
강압한 $v_{com}$이 출력되며, 따라서 1∼50% 범위 내의 전압 Sag가 보상 가능하다. 표 1에는 그림 8의 각 회로에 대한 스위치 상태를 나타내었다.
Table 1. Switch states for each modes
Mode
|
Active-1
|
Active-2
|
Shoot-through
|
Sw1
|
(Ds1-D)T
|
ON
|
(1-Ds1)T
|
OFF
|
DT
|
ON
|
Sw2
|
OFF
|
OFF
|
ON
|
Table 2. Relationship between D and Ds1
D
|
0
|
0.1
|
0.2
|
0.3
|
0.4
|
0.5
|
0.6
|
0.7
|
0.8
|
0.9
|
1
|
Ds1
|
1.0
|
0.9
|
0.8
|
0.7
|
0.6
|
0.5
|
0.4
|
0.3
|
0.2
|
0.1
|
0.0
|
본 연구에서 다루는 동적전압보상기의 동상의 승압모드 및 역상의 승강압 모드에 관한 K는
식(10)-(12)와 동일하다. 동상의 강압 모드는
그림 7과 같이 Ds1과 D가 한주기 내에서 이루어지므로 두 Ds1과 D의 합은 1을 만족하여야 한다. 이 관계를
표 2로 정리하였으며, 이는 1차 함수로 근사화된다. 1차 함수로 근사화된 동상의 강압모드와 포물선 함수로 근사화된 동상의 승압 모드와 역상의 승강압 모드에
대한 K의 곡선을
그림 9로 나타내었다.
종전의 기법에서는 K가 D에 의해서만 결정되지만, 본 연구에서 제안된 동상 모드 강압제어는, 표 1의 스위치 상태와 표 2의 듀티비 규칙에 의하여 D와 Ds1을 동시에 제어하여 K를 결정한다. D가 작을수록 Sw2의 스위칭 기간이 짧아지므로, $v_{com}$은 $v_{i}$와
거의 동일하다. D가 증가되면 Shoot-through기간이 커지므로 보상기 출력단으로 에너지 전달을 차단하는 효과가 크게 나타난다.
Fig. 9. Output voltage gain(K) of the proposed scheme according to duty ratio(D)
그림 10은 제안된 기법으로 $v_{i}$의 1-50%내에서 발생한 전압Sag를 동적전압보상기로 보상 가능함을 나타내고 있다. $v_{i}$에 25%의 Sag가
발생한 전압 $v_{isag}$를 듀티비(D=0.1, Ds1=0.9) 제어하여 동상모드로 강압한 $v_{com}$을 발생시킴으로서 $v_{o}$의
전압을 Sag가 발생되기 전의 전압$v_{isag}+ v_{com}$으로 회복시켜준다.
동적전압보상기의 동 특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는 빠르고 정확한 전압 변동 검출기법이며, 전압 변동의 발생은 D와 보상의 시점을 결정한다. 따라서
빠르고 정확한 전압 검출을 위한 다양한 전압 검출법들이 적용되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간단한 전압 피크치 검출법에 의한 $v_{i}$의 피크치를
검출한다. 검출된 $v_{i}$의 사인파는 90° Phase shifter 회로와 제곱근 연산을 거쳐 식(13)에 의하여 전압의 피크 값$V_{i(peak)}$가 계산된다(10).
보상전압 제어를 위해서는 PI제어기가 사용된다. 전압 피크치의 기준치$V*_{peak}$와 $V_{i(peak)}$와의 차이는 PI제어기에 입력되고
D가 계산되면 이를 이용하여 $v_{com}$이 발생된다
(3,4).
Fig. 10. Compensation of 25% voltage sag(Less than 50% sag) by the proposed scheme
Fig. 11. Compensation dynamic characteristics of the in phase buck mode (Ds1=0.11, D=0.89) for voltage sag 25% compensation
Fig. 12. Compensation dynamic characteristics of the out of phase buck mode (D=0.86) for voltage swell 25% compensation
그림 11과
그림 12는 동적전압보상기의 보상특성을 알기 위한 PSIM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그림 11은 $v_{i}$에 Sag가 25% 발생할 때, 동적전압보상기가 $v_{i}$의 피크 전압$V_{peak}$를 실시간으로 검출하고 동상의 강압보상전압$v_{com}$(Ds1=0.11,
D=0.89)을 발생하여 $v_{o}$를 일정하게 제어함을 보여준다.
그림 12는 25%의 Swell에 대한 결과로서, 실시간으로 $v_{i}$의 피크치를 검출하고 $v_{com}$을 발생함으로서 $v_{o}$을 Swell이
발생되기 전의 전압으로 복귀하고 있다. 여기서 결합변압기의 극성으로 인해서 Sag 발생 시는 $v_{i}$와 동상으로 $v_{com}$이 발생되고,
Swell의 경우에는 $v_{com}$이 역상으로 발생되고 있다.
3. 실험 고찰
본 연구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v_{i}$에 25%, 55%의 전압Sag와 Swell이 발생하는 경우에 대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Table 3. Experiment parameters
Input voltage
|
110Vpeak/60Hz
|
Quasi Z-source network
|
L1=L2
|
1mH
|
C1=C2
|
6.8uF
|
Switching Device
|
IGBT(FGA30N120)
|
Switching frequency fsw
|
20kHz
|
R-C Snubber
|
Rs
|
0.1$\Omega$
|
Cs
|
0.01uF
|
Transformer turn ratio
|
1:1
|
Relay Device
|
SSR(SDA1-240RVR)
|
L-C filter
|
Lf1=Lf2
|
3mH
|
Cf1=Cf2
|
10uF
|
Load
|
R-L
|
100$\Omega$, 3mH
|
동적전압보상기의 $v_{i}$는 110Vpeak /60Hz이며, Z-네트워크의 인덕터는 L1 = L2 = 1mH, 커패시터는 C1 = C2 = 6.8uF이다.
전력용 스위칭 소자(Sw1,Sw2)는 IGBT (FGA30N120)가 사용되며, 스위칭 주파수는 20kHz이고, 각 전력용 스위칭 소자의 R-C스너버
회로는 Rs=0.1$\Omega$, Cs=0.01uF이며, 다이오드는 D1∼D4는 DSEI60-12A이 사용되었다. 동적전압보상기의 출력 필터는 Lf
= 3mH, Cf = 10uF이며, 출력단의 결합 변압기의 변압비는 1:1이고, 결합 변압기 양단에 병렬로 연결된 릴레이는 램던형 SSR (SDA1-240RVR)이며,
부하는 R=3mH,100$\Omega$이 시용되었다.
또한 결합 변압기와 병렬 연결된 릴레이 랜덤형 SSR의 제어와 PWM 듀티비 제어하기 위하여 DSP28335가 사용되었다. 실험에 사용된 파라미터는
표 3에 나타내었다.
Fig. 13. Experiment result for the 25% voltage sag (vi:100V/div.,vo:100V/div.)
그림 13은 산업현장에서 가장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는 1-50%범위에 속하는 25% Sag에 대한 보상 결과이다.
그림 13(a)와 같이, 동적전압보상기에서 발생한 $v_{com}$이 $v_{o}$의 강하분을 곧바로 보상하고 있다. 종전의 보상기법으로는 보상이 불가능한 영역인
50%이하의 전압 Sag가 제안된 방법으로는 보상 가능함을 알 수 있다.
그림 13(a)의 (1)로 표시한 과도상태 영역을 20msec로 확대한 것을 그림 13(b)에 나타내었다. 그림 9와 그림 10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v_{i}$에 25%의 Sag가 발생한 전압을 활용하여 동상모드 강압 제어된 $v_{com}$을 발생시켜줌으로서 $v_{o}$의
전압을 Sag가 발생되기 전의 전압으로 회복시킨다.
Fig. 14. Experiment result for the 55% voltage sag (vi:100V/div.,vo:100V/div.)
Fig. 15. Experiment result for the 25% voltage swell (vi:100V/div.,vo:100V/div.)
그림 14는 55%의 매우 심각한 전압Sag가 발생한 경우에 대한 보상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그림 14(a)의 (1)로 나타낸 과도 영역을 확대한 파형을
그림 14(b)에 나타내었다. 전압 변동이 발생한 $v_{i}$에 대해 55% Sag만큼의 전압을
그림 5에서와 같이 동상모드로 부스트된 $v_{com}$을 $v_{o}$에 신속하게 보상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그림 15는 25%의 Swell에 대한 실험 결과이며, 제안된 시스템은 Sag 보상과 동일하게 Swell 역시 양호하게 보상하고 있다. 그림 15(b)는 과도 영역 (1)을 확대한 것이다. 전압 변동이 발생한 $v_{o}$에 제안된 시스템은 25%의 역상의 $v_{com}$을 발생시켜 $v_{o}$를
Swell이 발생하기 전의 $v_{i}$의 피크치로 회복시키고 있다. $v_{com}$은 Sag-Swell의 발생%와 부하조건 그리고 필터 L-C값에
따라 약간 왜형되거나 정현파형로 될 수 있다.
그림 16은 55%의 심각한 Swell이 발생하였을 때의 보상 결과이다. 그림 16(a)에서 (1)로 나타낸 과도 영역을 20msec으로 확대한 것이 그림 16(b)이며, 전압변동이 발생한 $v_{o}$에 55%만큼의 역상의 $v_{com}$을 실시간적으로 보상해주고 있다.
Fig. 16. Experiment result for the 55% voltage swell (vi:100V/div.,vo:100V/div.)
Fig. 17. Voltage compensation factor for different load variation
그림 17은 50$\Omega$, 100$\Omega$ 각 부하에 대한 Sag와 Swell의 전압 보상율을 나타내고 있다. 전압 보상율 1은 Sag와 Swell이
발생되더라도 전압 변동 전의 정상 상태 전압으로 100% 회복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각각의 부하에 대하여 Sag나 Swell이 10%씩 단계적으로
증가하여도 1에 근접하여 보상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18은 각 부하 변화에 대해 Sag와 Swell이 보상 된 후의 전압의 %THD를 나타내고 있다. %THD가 0%인 경우는 이상적인 정현파를 의미하며,
%THD가 클수록 왜형이 심한 파형이 된다. IEEE Std. 159-1992에서는 THD의 기준 규제치 범위를 5%미만으로 규정하고 있다. 그래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대부분 경우 5%범위 안에 있어서 보상 후의 전압 파형이 정현파에 가까움을 알 수 있다.
Fig. 18. Voltage THD for different load variation
4. 결 론
종전의 quasi Z-소스 동적전압보상기는 PWM듀티비 제어특성으로 인하여 산업 현장에서 자주 발생되는 1-50%범위의 전압Sag에 대한 보상이 불가능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quasi Z-source AC-AC 컨버터 2대를 캐스케이드로 활용한 동적전압보상기가 제안되었으나, 하드웨어 부피가 커지고
제어가 복잡하였다. 이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간단한 듀티비로 제어되는 quasi Z-소스 동적전압보상기를 제안하였다. 제안된
듀티비 제어법은 Swell과 50%이상의 Sag에 대해서는 종전의 방법으로 동작하고, 1-50%의 Sag 발생에는 제안된 Shoot-through를
활용한 동상의 강압모드로 동작한다.
제안된 시스템의 타당성의 검증을 위하여, 간단한 PSIM시뮬레이션과 DSP기반의 실험 장치를 제작하였다. 그 결과, 전원전압에서 25%, 55%의
전압 Sag와 전압 Swell이 발생하는 경우, 제안된 방법으로 모두 보상 가능하였다. 또한 100$\Omega$, 50$\Omega$ 각 부하에
대하여 Sag와 Swell이 10%씩 단계적으로 발생하여도 전압 보상율은 거의 1로 유지하였으며, 이때 전압의 THD는 모두 5% 이하로 양호함을
알 수 있었다.
Acknowledgements
이 논문은 2021년도 세한대학교 교내연구비 지원에 의하여 씌어진 것임.
References
Heng D., Wei Z., Li Yujia , Meng C., Wenzhuo M., Zhu. C., Fangmei B., 6-7 July 2020,
Economic Evaluation Method for the Voltage Dip Problem, in IEEE 19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Harmonics and Quality of Power (ICHQP)
Li Y.W., Loh P.C., Blaabjerg. F., Vilathgamuwa D. M., 2007, Investigation and Improvement
of Transient Response of DVR at Medium Voltage Level, IEEE Trans. Ind. Applicat.,
Vol. 43, No. 5, pp. 1309-1319
Sha C., Wang J., Chen B., Xing Y., Wu. H., Hu H., 15-19 March 2020, Comparative Research
on Compensation Controls for a Novel Three-Port Dynamic Voltage Restorer, in Proc.
IEEE Applied Power Electronics Conference and Exposition (APEC)
Lee K. T., Jung Y. G., Lim Y. C., 2010, A Single-Phase Quasi Z-Source Dynamic Voltage
Restorer(DVR), Journal of KIPE, Vol. 15, No. 4, pp. 327-334
Jung Y. G., Lim Y. C., 2010, Dynamic Voltage Restorer(DVR) with a Z-Source AC Converter
Topology, Journal of KIIEE, Vol. 24, No. 9, pp. 36-43
Oum J. H., Jung Y. G., Lim Y. C., 2013, Single-Phase Series Type Quasi Z-Source Voltage
Sag-Swell Compensator for Voltage Compensation of Entire Region, Journal of KIPE,
Vol. 18, No. 4, pp. 322-332
Oum J. H., Jung Y. G., Lim Y. C., Wu Y.J., 2012, Single-Phase Quasi Z-Source AC-AC
Converter with a Series Connection of the Output Terminals, in Proc. IEEE ISIE’12,
pp. 28-31
Nguyen M.K., Jung Y.G., Lim Y.C., 2010, Single-Phase AC-AC Converter Based on Quasi-Z-Source
Topology, IEEE Trans. on. Power Electron., Vol. 25, No. 8, pp. 2200-2210
Xu G., Chen D., 18-21 Oct 2020, Simple Boost Modified Space Vector Modulation Strategy
for Three-Phase Quasi-Z-Source Inverter, in Conf. Rec. IEEE IECON 2020
Chu H. Y., Jou. H. L., Huang C. L., 1992, Transient Response of a Peak Voltage Detector
for Sinusoidal Signals, IEEE Trans. Ind. Electron, Vol. 39, No. 1, pp. 74-79
Biography
Jun-Hyun Eom was born in Sunchon, Chonnam, Korea.
He received the B.S degree in control and measurement engineering from Chosun University,
Gwang-ju, Korea in 2006.
He received the M.S and Ph.D.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Korea in 2008 and 2013, respectively.
He is currently an Senior Research Engineer, Research Institute, G.F TEK Co., LtD,
Gwang-Ju, Korea.
His current research interests include fuel cell power conversion, system design of
dynamic voltage restorer, Z-source converters and their applications
Young-Gook Jung was born in Gwang-ju, Korea.
He received the B.S., the M.S. and Ph.D.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Korea, in 1986, 1988 and 1996, respectively.
He is currently an Associate Professor, Division of Liberal Arts(Engineering), Sehan
University,Youngam-Geun, Chonnam, Korea.
His current research interests include system design of Z-source inverter and converters,
random PWM scheme based electric drives, control theory of active power filters and
dynamic voltage restorers, power quality problems and solutions. Dr. Jung received
several Prize Paper Awards from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the
Korean Institute of Power Electronics, and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of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