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광훈
(Kwang-Hoon Yoon)
1iD
신중우
(Joong-Woo Shin)
1iD
김재철
(Jae-Chul Kim)
2iD
문원식
(Won-Sik Moon)
†iD
-
(Ph.D. student, Department of Electrical Engineering, Soongsil University )
-
(Professor, Department of Electrical Engineering, Soongsil University)
Copyright ©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Engineers(KIIEE)
Key words
Distribution power system, Hosting capacity, Photovoltaic penetration, Thermal capacity
1. 서 론
재생에너지 3020 이행계획에 따라 전력계통에 신재생발전원이 증가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 배전계통에서도 태양광발전을 중심으로 연계되는 발전 용량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1-4). 발전사업자의 계통연계 신청이 증가하고 있지만 배전계통의 제약으로 인해 신청 용량을 수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5-6). 배전계통에서 태양광발전을 수용할 수 있는 용량을 Hosting Capacity로 칭하고 있으며 이를 제한하는 가장 큰 제약 조건은 과전압과 열적용량
초과이다(2).
국내 배전계통에서는 전압유지 범위를 통한 전압 제약과 상시최대운전용량을 통한 열적 제약을 각각 적용하고 있다(2-3). 그러나 배전계통에서 태양광발전의 연계 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경부하가 나타나는 낮 시간대에 태양광발전의 최대 출력으로 인한 두 가지 제약조건이 초과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우리나라보다 앞서서 태양광발전의 배전계통 연계가 활발히 진행된 국외의 경우에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하는 Grid code를 통한
출력조정 방안을 명시하고 있다. 그중 가장 대표적인 방안이 스마트 인버터를 통한 출력조정 방안이다(5-7).
스마트인버터는 연계점 전압에 따라 유효전력을 조정하는 Volt-Watt Curve(VWC)를 이용한 무효전력 제어기능과 Volt-Var Curve(VVC)를
이용한 유효전력 제어기능을 탑재하여 이에 따라 계통의 과전압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5-6). 하지만 유효전력의 출력조정은 발전사업자의 수익을 감소시키는 영향을 주기 때문에 유효전력 출력 조정을 하지 않는 범위에서는 무효전력 조정을 통해
과전압문제를 해결한다. 그러나 열적용량에 해당되는 상시최대운전용량을 초과하는 문제는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열적용량을 해소하는 방법으로 정적용량 대신 동적용량을 적용하는 방안이 있다(8-10). 동적용량의 경우 실시간 기상조건을 반영하여 선로가 허용할 수 있는 용량을 산출하며 항시 정적용량보다 크거나 같은 수치로 평가되기 때문에 수용성
증대방안으로 활용할 수 있다(10). 하지만 동적용량을 평가하려면 실시간 기상조건을 측정할 수 있는 통신 및 계측설비가 필요하여 경제적이지 못하다는 단점으로 인해 동적용량은 일부 송전계통에만
적용되고 배전계통에는 적용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배전계통의 수용성 증대를 위해서는 정적용량에 따른 규정완화를 통한 수용성 증대방안이 필요하다.
국내는 정적용량에 계통의 연계율, 최악의 기상조건, 열화를 고려한 마진과 같은 조건을 적용한 상시최대운전용량을 통해 수용률을 평가하고 있다(3),(11). 이는 부하 관점에서만 해석된 방법으로써 선로가 어떤 상황에서도 연속적으로 허용할 수 있는 용량을 의미하며 태양광발전의 특성이 고려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태양광발전의 출력은 기온의 영향에 따라 계절별로 차이가 발생하지만 모든 계절에서 낮 시간의 단시간 동안 최대출력이 발생하는 특징이 있다(12-13). 이에 따라 정적용량 중 선로가 일시적으로 허용할 수 있는 비상시 최대 운전용량을 적용할 경우 열적용량 초과문제를 완화할 수 있어 수용성 증대방안으로
활용 가능하다.
따라서 본 논문은 배전계통의 수용성 증대를 위한 과전압과 열적용량 초과문제를 분석하고 해결 방안을 제시한다. 선로의 과전압 문제를 해결하고자 태양광발전에
스마트 인버터를 적용한 OpenDSS의 모의 연구를 통해 스마트 인버터의 적용 효과를 검증하였다. 또한 선로의 열적용량초과문제를 해결하고자 비상시최대운전용량
적용방안을 분석하였다. 비상시 최대 운전용량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태양광발전의 연간 출력 데이터를 통해 태양광발전의 출력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한 배전계통에서 태양광발전의 수용성 증대 방안을 제시하였다.
2. 분산전원 수용성 증대 방안
2.1 국가별 Grid Code
전 세계적으로 탄소중립을 위해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한 발전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신재생발전의 경우 변동성 자원으로 출력이 일정하지 않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며 지속적으로 계통연계 용량이 증가할수록 계통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12-14). 신재생 발전이 활성화된 국외의 경우 국가별 Grid Code 제정을 통해 신재생에너지 발전 출력을 조정하는 기능을 명시하고 있다. 표 1은 국가별 Grid Code에서 출력조정 기능에 대한 명시 상태를 표기한 것이다. Grid Code의 요구사항은 출력제어 기능을 갖춘 스마트 인버터를
통해 대응이 가능하며, 국가별 기준치를 산정하여 운영되고 있다(7). 국내도 이러한 상황에 맞춰 출력조정을 위한 다양한 연구를 진행 중이며 이에 따라 일부 연계기준이 개정되고 있다(3).
Table 1. Output control functions for Grid Code of several countries
국가
|
영국
|
핀란드
|
이탈리아
|
스페인
|
대한민국
|
저/과주파수
연계유지시간
|
O
|
O
|
O
|
O
|
O
|
주파수에 따른
유효전력제어
|
O
|
-
|
O
|
O
|
개정중
|
역률에 따른
무효전력제어
|
O
|
O
|
O
|
O
|
O
|
전압에 따른 유/무효전력제어
|
O
|
-
|
O
|
-
|
개정중
|
2.2 과전압 발생 저감을 위한 스마트 인버터의 출력제어 방안
스마트 인버터는 연계점 전압의 크기에 따라 무효전력 출력과 유효전력 출력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을 갖고 있다. 이 기능은 그림 1과 같이 VVC를 통한 무효전력 제어와 VWC를 통한 유효전력 제어 기능으로 구분된다(5-6). 하지만 유효전력 출력제어는 발전사업자의 수익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기 때문에 무효전력 출력제어가 우선적으로 동작되도록 설정되어 있다(16).
식 (1)과 같이 무효전력 출력제어는 V2 이하의 저전압시 무효전력을 출력하여 전압을 상승시키고, V3 이상의 과전압시 무효전력을 흡수하여 전압을 감소시키는
기능이다(16). 무효전력의 제어범위는 유효전력 출력을 감소키시지 않는 범위로 제한되며, 이를 통해 발전사업자의 수익을 보장하는 방안으로 사용된다. 유효전력 출력
제어는 식 (2)와 같이 무효전력 제어로도 과전압이 해소되지 않을 경우 동작하도록 설정되어 있다(15). 과전압이 해소되지 않아 연계점 전압이 V5 이상으로 상승된 경우 유효전력 출력을 감소시키고 이를 통해 과전압을 해결한다(5,6,16).
Fig. 1. Volt-Var (a) and Volt-Watt (b) control function of smart inverter with PCC Voltage
$V(t)$ : 계통 연계점 전압
$P(t)$ : 계통 연계점 전압에 따른 유효전력 출력 조정량
$Q(t)$ : 계통 연계점 전압에 따른 무효전력 출력 조정량
$V_{1},\: V_{2},\: V_{3},\: V_{4},\: V_{5},\: V_{6}$ : 출력조정을 위한 전압 설정치
2.3 배전선로의 열적용량 기준 변경 방안
배전계통에서 열적용량은 계측 및 제어설비 설치로 인한 경제성을 고려하여 정적용량을 기준으로 평가한다. 국내의 정적용량은 비상시 최대 운전용량과 상시
최대 운전용량으로 구분되며 이중 상시 최대 운전용량을 통해 수용률의 제약조건으로 사용하고 있다(3),(11).
표 2는 국내 22.9[kV] 배전선로의 적정 운전용량을 나타낸 것이다(11). 비상시 최대 운전용량은 여름철 최악의 기상조건과 열화에 따른 용량 마진을 고려하여 14[MVA]로 산정되어 있다. 상시 최대 운전용량은 비상시
최대 운전용량에 계통 연계율을 고려하여 산정되었다. 상시 최대 운전용량에 적용되는 연계율은 타 선로의 일부용량을 부담할 수 있도록 선로의 용량을 평가하고
있고 수용률의 제약조건으로는 3분할 3연계를 적용한다. 따라서 타 선로의 1/3용량을 추가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용량인 10[MVA]로 산정되어 계통
제약조건으로 활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수용률 증대를 위해 분산전원 연계용량을 기존 10[MW]에서 12[MW]로 증가시키는 노력이 활발하게 진행 중이며
향후 14[MW]까지 연계용량을 증대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15).
Table 2. Operating capacity for KEPCO 22.9kV distribution power line
사용전선
|
적용조건
|
상시최대
운전용량
|
비상시
최대 운전용량
|
ACSR-OC
160[㎟]
CN/CV
325[㎟]
|
3분할
3연계
|
252[A]
10[MVA]
(63.8[%])
|
352[A]
14[MVA]
(89[%])
|
태양광발전의 출력특성을 고려한 제약조건을 적용하게 된다면 열적용량 초과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기존의 제약은 부하관점에서의 제약조건이므로 단시간이
아닌 연속적으로 선로가 허용할 수 있는 용량으로 평가되었다. 태양광발전의 경우 낮 시간에 단기간 동안 최대출력을 내는 특징이 있기 때문에 이를 근거로
비상시 최대 운전용량으로 수용률 평가를 진행할 경우 분산전원의 수용률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15)에서 목표로 하는 14[MWp] 태양광발전을 배전계통에 연계하여 비상시 최대 운전용량을 적용한 수용률 평가를 진행하였다.
3. 사례 연구
3.1 모의 계통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인버터 적용을 통한 과전압 문제 해소 방안과, 비상시 최대 운전용량 적용을 통한 열적용량 해소 방안을 제시한다. 따라서 테스트
모델을 통해 태양광발전의 수용률을 증가시키고 적합성을 검증하였다. 그림 2는 적합성 검증을 위한 한전 KADTS (KEPCO Active Distribution Test System) 계통도를 나타낸다. 배전계통의 선로
부하는 3[MVA], 선로 길이 28[㎞], 선로 임피던스 0.182+j0.391[Ω/㎞]이며 1회선에 연계되는 태양광발전 용량과 스마트 인버터 적용
여부는 표 3과 같이 3가지 경우로 구분하였다(16).
Fig. 2. Configuration of distribution system with PV
Table 3. Case condition for analysis of thermal capacity
구분
|
태양광발전
연계용량
|
스마트인버터
적용 여부
|
Case 1
|
10 [MWp]
|
X
|
Case 2
|
14 [MWp]
|
X
|
Case 3
|
14 [MWp]
|
O
|
3.2 스마트 인버터 적용을 통한 과전압 저감
경부하와 특수일을 고려하기 위해 연간 부하 데이터 및 태양광발전 출력데이터를 활용하여 계통에서 발생하는 최대 전압을 분석하였다. 표 4는 스마트 인버터의 매개변수 설정치를 나타낸다. 각 설정치는 국내 연계규정 개정에 따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로서 스마트 인버터의 설정치로 활용하였다(17).
Table 4. Parameter values of smart inverter
매개변수
|
설정치
|
$P_{1}$
|
100 [%]
|
$Q_{1},\: Q_{2}$
|
48.4, - 48.4 [%]
|
$V_{1},\: V_{2},\: V_{3},\: V_{4},\: V_{5},\: V_{6}$
|
0.92, 0.98, 1.02, 1.08, 1.06, 1.12 [p.u]
|
그림 3은 (18)에서 제공하는 기상데이터를 모의 계통의 태양광발전 출력에 적용할 경우 모의 계통의 1년간 최대전압을 나타낸다. Case 별 태양광 발전의 용량은 연계된
모든 태양광 발전의 합을 의미한다.
Fig. 3. Annual voltage profile applied to smart inverter
Case 1은 현재 연계기준으로 출력제어 기능이 없이도 연계할 수 있는 용량인 10[MWp]를 적용하였으며 출력제어 기능이 없어도 연간 최대전압은
1.04로 과전압이 발생하지 않았다. Case 2는 기준보다 4[MWp]를 추가 연계하였으며 출력제어기능이 없기 때문에 과전압이 발생하였다. 과전압은
8,760시간 중 475시간 동안 발생하였으며 주로 태양광발전 출력이 높은 봄철과 가을철에 집중적으로 나타났다. 또한 과전압 지속시간은 24시간 중
1-3시간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스마트인버터를 적용한 Case 3에서는 무효전력 출력제어를 통해 과전압 문제가 해소되는 것을 확인하였고, 최대 전압도
스마트 인버터 적용에 의해 1.06p.u에서 1.029p.u로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3.3 열적용량 기준 변경에 따른 수용성 증대
비상시 최대 운전용량 적용의 적합성 검증을 위해 실제 태양광발전 출력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태양광발전의 출력데이터는 (18)에서 제공되는 한국서부발전의 태양광발전 데이터로써 태양광 출력이 높은 전남지역 3곳에서 취득하였다. 취득한 데이터를 통해 태양광발전의 계절별 출력을
그림 4에 나타내었다. 태양광발전은 높은 온도와 낮은 온도에서 출력이 감소하는 온도 특성과 일사량에 따른 출력증가 특성을 갖는다. 그로인해 여름철과 겨울철에
태양광발전의 출력이 감소하며 봄철과 가을철에 높은 출력이 나타난다. 태양광발전의 최대 출력량은 여름철 0.85[p.u], 봄철 1.01[p.u]로
나타났기 때문에 수용성 증대로 인한 열적용량 초과문제는 대부분 봄철에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Fig. 4. Seasonal profiles of PV output
따라서 봄과 가을철의 실제 운전용량은 상시 최대 운전용량보다 높다는 점을 고려하면 수용률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여름철 기상조건으로 평가된 상시 최대
운전용량을 고려하더라도 여름철의 태양광발전의 출력이 낮기 때문에 수용률을 증가시킬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태양광발전 출력은 봄철과 가을철에 가장 높기 때문에 태양광발전에 의한 열적용량 초과문제도 봄철과 가을철에 발생한다. 그림 5는 Case별 선로의 열적용량을 분석한 그래프이다. 10[MWp] 태양광발전이 연계된 Case 1을 제외하고, 14[MWp] 태양광발전이 연계된 Case
2와 Case 3에서 선로 열적용량을 초과한 경우가 발생했다. Case 1의 선로 최대 열적용량은 7.93 [MVA]로서 열적용량 제한을 넘지 않았고,
Case 2와 Case 3에서는 태양광발전에 따른 최대 열적용량이 각각 11.54[MVA]와 11.88[MVA]로서 일부 구간에서 상시 최대 운전용량을
초과하였으나, 비상시 최대 운전용량은 초과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Fig. 5. Evaluation of thermal rating by cases
태양광발전 출력에 의한 열적용량 기준을 비상시 최대 운전용량으로 변경하더라도 배전선로 운영에 이상이 없다면 분산전원 수용성을 확대할 수 있다는 장점을
얻는다. 그림 6을 통해 태양광발전 출력과 비상시 최대 운전용량의 관계와 열적용량 기준 변경이 배전계통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선로의 열적용량 제한 기준을 비상시 최대 운전용량으로 변경했을 때 태양광발전이 선로 용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림 6은 내림차순 정리를 통한 태양광발전 출력의 패턴을 나타낸다. 출력패턴모델을 통해 태양광발전의 연간 최대 출력 시간을 분석하였다. 태양광발전이 최대
출력을 내는 시간은 연간 8.5시간으로 매우 짧으며, 하루 중 최대 출력 발생하는 시간이 1시간 미만이기 때문에 단시간 동안만 지속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태양광발전의 단시간적 출력 특성을 고려하면 열적용량 제한 기준을 비상시 최대 운전용량으로 적용하여도 문제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다.
Fig. 6. Patterns of annual PV output
3.4 분산전원 수용성 증대 방안 제안
본 연구에서는 출력 변동성이 높은 태양광발전이 연계된 모의 계통을 통한 사례 연구를 통해 분산전원 수용성 증대 방안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기반으로
표 5와 같이 분산전원 수용성 증대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유/무효전력 제어가 가능한 스마트 인버터를 설치하고, 열적용량 기준을 비상시 최대 운전용량으로
변경한다면 배전계통의 분산전원 연계용량을 10[MVA]에서 14[MVA]로 증대할 수 있다.
Table 5. Proposed method for increasement of hosting capacity
구분
|
현재
|
제안
|
태양광발전
연계 용량
|
10[MVA]
|
14[MVA]
|
과전압
제어 방식
|
유효전력
출력 제한
|
스마트 인버터를 통한 유/무효전력 출력 제어
|
열적용량
기준
|
상시 최대 운전용량
|
비상시 최대 운전용량
|
4. 결 론
신재생에너지 활성화 정책에 따라 배전계통에서는 태양광발전이 급증하고 있다. 본 연구는 배전계통에서 증가되는 태양광발전의 수용성 증대를 위해 과전압과
열적용량 초과 문제에 대한 해결 방안을 제시했다. 과전압 문제는 스마트인버터를 적용함으로써 유/무효전력 출력 제어 기능 통해 해결하였다. 열적용량은
태양광발전의 출력 특성을 분석하여 비상시 최대 운전용량 적용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국내 배전계통의 수용성 한계로 인해 접속대기 중인 태양광발전이 증가하고 있는 현실에서 본 연구는 배전계통 내 태양광발전의 보급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Acknowledgements
본 연구는 2019 년도 지식경제부의 재원으로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KETEP)의 지원을 받아 수행한 연구 과제입니다. (No. 20193710100061)
References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MOTIE) , 2017. 12, The 8th Electricity Demand
and Supply Basic Plan (2017-2031)
Kim H. J., 2020, Analysis of Energy Curtailment Considering PV and Load Characteristics
for Increasing Hosting Capacity in Distribution System, Ph.D. Thesis, School of Electrical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Electric Power Corporation(KEPCO) , 2018. 04, Regulation on the Use of Electrical
Equipment for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Appendix 4; Performance Standard for
Distribution Electrical Equipment
Renewable Energy 3020 Implement Plan , 2017. 12, Renewable Energy 3020 Implement Plan
ABB , 2018. 05, Grid Support Function Application Guideline for UNO-DM and TRIO-TM
Inverters
EPRI , 2016. 12, Common Functions for Smart Inverters: 4th Edition
Working Group B4.56 , 2016. 05, Guidelines for the Preparation of Connection Agreements
or Grid Codes for Multi-Terminal DC Schemes and DC Grids, Cigre, 657
Talpur Saifal, 2013, Dynamic Line Rating Implementation as an Approach to Handle Wind
Power Integration, The Royal Institute of Technology (KTH)
Karimia. Soheila, Musilekb. Petr, Knighta. Andrew M., 2018. 08, Dynamic Thermal Rating
of Transmission Lines: A Review,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Vol. 91,
pp. 600-612
Choi J. M., 2006, Study on the Dynamic Line Rating and the Operation of Transmission
Lines, Ph.D. Thesis, School of Electrical Engineering, Hanyang University
Korea Electric Power Corporation(KEPCO) , 1994. 10, A Study on the Standard Calculation
of Optimal Capacity for 22.9kV-Y Distribution Line
IEA , 2017, Getting Wind and Sun Onto the Grid
Working Group A1.29 , 2018. 09, Guide on New Generator-Grid Interaction Requirements,
Cigre, 743
Seuss John, 2016 06, Advanced Inverter Controls to Dispatch Distributed PV Syystems,
IEEE Photovoltaic Specialists Conference (PVSC)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MOTIE) , 2020, 5rd Energy Basic Plan,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MOTIE)
Lee H. J., 2021, A Study on Optimal Setting of Smart Inverter Function to Improve
Hosting Capacity, Ph.D. Thesis, School of Electrical Engineering, Soongsil University
Sim J. B., Kim H. J., Lim H. O., Ban M. H., Myoung N. G., Cho S. S., 2020. 07, Analysis
of Interference Effect Between Smart Inverter Volt-VAR and Volt-Watt Control in SIMULINK-MATLAB-OpenDSS
Co-simulation, The 51th KIEE Summer Conference 2020, pp. 340-341
Data. GO , Information, https://www.data.go.kr/
Biography
He received his B.S. degree from Anyang University, Anyang, Korea, in 2017.
Currently, he is a student of Soongsil University graduate school masters and doctoral
course.
E-mail : rhkdgns0405@gmail.com
He received his B.S. degree from Hongik University, Sejong, Korea, in 2015.
Currently, he is a student of Soongsil University graduate school masters and doctoral
course.
E-mail : jwshin@soongsil.ac.kr
He received his B.S. degree from Electrical Engineering at Soongsil University in
1979 and his M.S. and Ph.D. degrees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in 1983 and 1987,
respectively.
Currently, he is a professor in the Dept. of Electrical Engineering at Soongsil University.
E-mail : jckim@ssu.ac.kr
He received his B.S. degree from Electrical Engineering at Soongsil University in
2009 and his M.S. and Ph.D. degrees at Soongsil University in 2011 and 2016, respectively.
Currently, he is a professor in the Dept. of Electrical Engineering at Soongsil University.
E-mail : chriswsmoon@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