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진욱
(Jin-Wook Kim)
1iD
추경민
(Kyoung-Min Choo)
2iD
정원상
(Won-Sang Jeong)
2iD
이윤성
(Yoon-Seong Lee)
2iD
이준신
(Junsin Yi)
3iD
원충연
(Chung-Yuen Won)
†iD
-
(Master course, Dept. of Electrical and Computer Engineering, Sungkyunkwan University,
Korea)
-
(Ph.D. course, Dept. of Electrical and Computer Engineering, Sungkyunkwan University,
Korea)
-
(Professor, Dept. of Electrical and Computer Engineering Sungkyunkwan University, Korea)
Copyright ©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Engineers(KIIEE)
Key words
DC microgrid, Droop control, ESS, Offset voltage, SoC balaning
1. 서 론
태양광 발전 및 풍력 발전과 같은 신재생에너지 발전에 대한 관심이 급증함에 따라 신재생 에너지원과 연계가 용이한 DC 마이크로그리드의 연구·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1). DC 마이크로그리드에 연계되어 운영되는 ESS(Energy Storage System)는 배전망의 효율적인 에너지 관리를 위한 필수적 구성 요소
중 하나이며 에너지 발전량 및 부하량이 증가하는 경우 ESS의 용량 확장이 필요하다. 하지만 기존에 설치된 ESS를 더 큰 용량의 ESS로 대체하는
것은 비경제적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배전망에 추가 ESS를 설치하여 운영하게 된다(2).
이와 같이 다수의 ESS가 DC 마이크로그리드에 연계되어 운영되는 경우 각각의 ESS들은 서로 다른 SoC(State of Charge)를 가지게
되며, 마이크로그리드의 운영 시 이를 고려한 제어 기법을 적용하지 않는다면 초기 SoC 불균형으로 인한 과충전 또는 과방전의 문제가 나타나 ESS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3). 또한 과도하게 높거나 낮은 SoC는 ESS의 충·방전 성능을 저하시키므로 각각의 ESS는 SoC 사용범위 내에서 동일한 SoC를 갖도록 하는 밸런싱
제어가 필요하다(4).
DC 마이크로그리드에 연계된 각 시스템에는 통신이 필요하지 않은 드룹 제어가 적용되어 전력 분배 제어를 한다(5). 하지만 해당 기법은 다수의 ESS에 적용시킬 경우 SoC를 고려하지 않게 되어 앞서 언급한 문제를 해결 할 수 없다.
드룹 제어되는 DC 마이크로그리드에서 SoC 밸런싱을 위한 가장 직관적인 제어 기법으로는 각각의 SoC에 따라 드룹 계수를 조정하여 충·방전 전류를
제어하는 기법이 있다(6). 해당 기법을 기반으로 SoC 운영 범위가 고려된 드룹 계수 조정 방식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다(7). 하지만 두 기법은 드룹 계수의 차이를 이용하여 ESS의 충·방전량을 제어할 수는 있으나 SoC 변화에 따라 드룹 계수가 급격하게 증가하는 경우
시스템 안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가 발생한다(8).
또 다른 제어 기법으로는 통신을 이용하여 다수의 ESS 사이의 SoC 오차를 줄이기 위해 지령 전압에 옵셋을 주입하는 방법이다(9). 해당 기법은 드룹 계수에 변화가 없어 시스템 안정도에 영향을 주지 않지만 외부적 요인으로 인해 통신이 끊어진 경우에는 SoC 밸런싱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통신 의존성이 높은 문제가 있다.
정확한 전력 분배와 SoC 밸런싱을 위해 드룹 계수 변화와 동시에 통신을 이용한 옵셋을 주입하는 두 방식 모두 사용한 기법 또한 연구되었다(10). 해당 기법에서는 SoC 사용범위를 고려하지 않고 안정도 판별 기준으로 드룹 계수를 제한하였으며 제한된 드룹 계수에서 충·방전 동작은 지속되어 과방전
및 과충전의 문제가 나타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상기 언급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드룹 제어 되는 DC 마이크로그리드 ESS 컨버터에서 옵셋 전압을 이용한 새로운 SoC 밸런싱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비통신 방식으로 드룹 계수가 일정한 드룹 제어의 지령 전압에 SoC 기반으로 SoC 사용범위가 고려된 옵셋 전압을
주입하여 ESS가 SoC 밸런싱 동작을 수행한다. 이 옵셋 전압 값은 SoC 밸런싱 뿐만 아니라 ESS의 과충전 및 과방전을 방지하기 위해서도 사용되며,
그 값은 ESS의 동작 모드에 따라 다르게 계산된다. 제안하는 SoC 기반 옵셋 전압을 이용한 SoC 밸런싱 기법의 안정성과 동작 특성은 시뮬레이션
및 실험을 통해서 증명하였다.
Fig. 1. General configuration of DC microgrid
2. DC 마이크로그리드 운영 기법
2.1 DC 마이크로그리드의 구성 및 제어
그림 1은 다수의 ESS가 연계된 계통 연계형 DC 마이크로그리드를 나타낸다. DC 마이크로그리드의 구성요소로는 AC 계통, 태양광 발전과 같은 신재생 에너지원,
다수의 ESS 및 일정 전력 부하가 있다. 이러한 요소들은 전력변환 장치를 통해 하나의 DC 배전망에 연계된다. 구성 요소 중 DC 배전망의 전압을
제어할 수 있는 AC 계통과 연계된 AC/DC 컨버터와 ESS에 연계된 양방향 DC/DC 컨버터는 일반적으로 드룹 제어가 적용되어 DC 마이크로그리드가
운영된다. 드룹 제어가 적용된 컨버터의 출력 전압 지령($V_{out}^{*}$)은 공칭 전압($V_{nom}$), 드룹 계수($R_{d}$) 및
출력 전류($I_{out}$)를 이용하여 식 (1)과 같이 나타낸다.
2.2 SoC기반 드룹 제어 기법
기존 DC 마이크로그리드에 연계된 다수의 ESS의 SoC 밸런싱을 위해 SoC에 따라 드룹 계수를 변화하여 충·방전 전류를 제어하였다. 해당 제어
기법의 드룹 계수는 초기 드룹 계수($R_{o}$)와 SoC를 이용하여 식 (2)와 같이 표현된다.
방전 모드의 경우 동작이 진행됨에 따라 SoC가 감소하여 드룹 계수가 증가하여 방전 전류가 감소하게 된다. 다수의 ESS의 드룹 계수는 SoC에 따라
드룹 계수가 다르게 형성되며 SoC가 높은 장치는 많은 방전 전류가, SoC가 낮은 장치는 적은 방전 전류가 흐르게 되어 SoC 밸런싱을 이루게 된다.
충전 모드의 경우도 동일한 원리에 의해 SoC 밸런싱을 이룬다. 하지만 해당 제어 기법은 각 모드에서 SoC가 증가하거나 감소함에 따라 드룹 계수가
급격하게 변화하기 때문에 시스템 안정도에 영향을 끼치는 문제가 있다.
3. 제안하는 제어 기법
제안하는 SoC 기반으로 SoC 사용범위가 고려된 옵셋 전압을 주입하는 드룹 제어 기법은 드룹 계수의 변화를 주지 않고 각 ESS의 SoC에 따라
다르게 형성되는 옵셋 전압을 주입하여 ESS의 충·방전 전류를 제어한다.
제안하는 기법이 적용된 n 번째 ESS의 제어 블록 도는 그림 2와 같으며 I-V 드룹 제어에 옵셋을 적용하였다. 옵셋이 포함된 드룹 제어는 ESS의 출력 전압($V_{ESS.n}$), 출력 전류($I_{ESS.n}$)
및 SoC에 따른 옵셋($\Delta V_{offset.mode}$)이 포함되어 식 (3)과 같이 나타나며 이를 식 (4)와 같이 변형하여 V-I 드룹 곡선에서 분석이 가능하다.
제안하는 기법은 그림 1과 동일한 구성의 계통 연계형 DC 마이크로그리드에 적용한다. 드룹 제어가 적용된 모듈의 출력 전압으로 배전망 전력 상황을 알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동작하는 ESS의 충·방전 모드에 따라 2개의 옵셋 전압 수식이 구성 된다.
Fig. 2. Configuration of n-th ESS in DC microgrid with the proposed control method
3.1 모드별 동작 원리
3.1.1 Discharge Mode
발전량이 부하량보다 적은 경우 배전망은 부족 전력 상태이기 때문에 ESS의 출력 전압은 선정된 공칭 전압보다 아래에 존재하게 되며 그로 인해 방전
동작이 수행된다. 해당 모드에서 다수의 ESS의 SoC 밸런싱을 위해 제안하는 SoC 기반 옵셋 전압 주입 드룹 제어가 적용되며 출력 전압, 공칭
전압, SoC의 상·하한치($So C_{max}$,$So C_{min}$) 및 SoC가 고려된 옵셋 전압 수식은 식 (5)와 같이 표현된다.
방전 동작이 진행됨에 따라 ESS의 SoC가 SoC 상한치에서 SoC 하한치로 감소하는 경우 식 (5)에 의해 옵셋 전압의 크기는 증가하며 드룹 제어에 음의 옵셋으로 주입된다. 증가하는 옵셋 전압 값에 의해 각 ESS의 드룹 곡선의 y 절편은 출력
전압에 가까워지며 그로 인해 방전 전류는 감소하게 된다. 해당 동작이 진행됨에 따라 변화하는 드룹 곡선은 그림 3과 같다. 제안된 기법이 적용된 각각의 ESS에서 SoC가 높은 장치는 많은 전류를 SoC가 낮은 장치는 적은 전류를 방전하여 시간이 지남에 따라
SoC 밸런싱이 이뤄진다. 또한 SoC가 하한치에도달한 경우 드룹 곡선의 y 절편은 출력 전압과 동일한 값이 되도록 옵셋 전압이 형성되고 추가적인
회로 차단 알고리즘 없이 방전 전류는 0으로 제한되어 과방전을 방지할 수 있다.
Fig. 3. Droop curve shifting in discharge mode
3.1.2 Charge Mode
발전량이 부하량보다 많은 경우 배전망은 잉여 전력 상태이기 때문에 ESS의 출력 전압은 선정된 공칭전압보다 높게 존재하게 되며 그로 인해 충전 동작이
수행된다. 충전 모드에서 SoC 밸런싱을 위해 적용되는 옵셋 전압 수식은 식 (6)과 같이 표현된다.
충전 동작이 진행됨에 따라 ESS의 SoC가 SoC 하한치에서 SoC 상한치로 증가하는 경우 식 (6)에 의해 옵셋 전압의 크기 또한 증가하게 되며 드룹 제어에 양의 옵셋으로 주입된다. 증가하는 옵셋 전압 값에 의해 ESS의 드룹 곡선의 y 절편은
공칭 전압보다 높게 위치한 출력 전압에 가까워지며 그로 인해 충전 전류는 감소하게 된다. 그림 4는 해당 동작이 진행됨에 따라 변화하는 드룹 곡선을 나타낸다. 각각의 ESS는 SoC 상태에 따라 다르게 형성되는 옵셋 전압에 의해 충전 전류가 제어되어
SoC가 낮으면 많은 전류를 SoC가 높으면 적은 전류를 충전하여 SoC 밸런싱 동작이 수행된다. 또한 충전 동작이 지속되어 SoC가 증가함에 따라
SoC 상한치에 도달 한 경우 충전 전류는 0으로 제한되어 과충전을 방지 할 수 있다.
Fig. 4. Droop curve shifting in charge mode
3.2 시스템 안정도 판별
기존 제안된 기법과 제안하는 기법의 비교를 위해 시스템 안정도 분석을 진행하였다. 제안하는 기법이 적용된 ESS는 전력변환 장치로 양방향DC/DC
컨버터가 사용된다. 해당 컨버터 전류 제어 시스템의 폐루프 전달함수($T_{cc}(s)$)는 모델 기반 보상 및 설계를 통해 식 (7)과 같이 1차 저역 통과 필터로 단순화하여 표현할 수 있으며 제어기의 이득 값 선정을 통해 대역폭($\omega_{cc}$)을 설정할 수 있다(11).
그림 2를 기반하며 1차 저역 통과 필터 형태로 단순화된 전류 제어 폐루프 전달함수와 제안하는 기법 및 일정 전력 부하($R_{cpl}$)를 추가한 시스템
제어 블록 도는 그림 5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해당 시스템의 제어 블록 도에서 출력 전류($I_{ESS}$), 출력 전압($V_{ESS}$) 및 저역 통과 필터에서 출력되는 옵셋 전압($\Delta
V_{offset}$)을 상태로 갖는 상태 공간 모델을 추출할 수 있다. 상태 공간에서 표현된 시스템의 경우 시스템의 극점과 동일한 시스템 행렬 A의
고유치를 구하여 s-평면에서 위치를 확인함으로써 안정도를 판별할 수 있다(12). 제안하는 기법이 적용된 시스템은 SoC의 변화에 의해 움직이는 극점의 위치 확인을 통해 안정도 분석을 진행하였다. 기존 기법과 비교를 위해 SoC에
따라 드룹 계수가 변화하는 제어 기법 또한 안정도 분석을 진행하였다.
표 1의 파라미터에 따른 시스템 모델을 이용하였으며 제안하는 기법과 기존 기법의 방전 모드 대한 안정도 분석을 진행하였다. 그림 6(a)는 (7)에서 제안된 기존 SoC 운영범위를 고려한 SoC 밸런싱 기법에서 변화하는 드룹 계수에 의한 시스템 극점 변화를 나타내며 그림 6(b)는 제안하는 기법을 적용한 경우 SoC에 따라 변화하는 옵셋에 의한 극점 변화를 나타낸다. 기존 기법의 경우 분수 함수로 나타내지는 드룹 계수가 SoC
감소로 인해 급격히 증가하는 구간에서 시스템 극점이 좌반면에서 우반면으로 이동하여 시스템이 불안정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제안하는 기법이
적용된 경우에는 SoC 변동에 따른 극점의 변화가 매우 작기 때문에 시스템 극점은 초기 설계치인 좌반면에 위치하게 되며 모든 구간에서 시스템이 안정한
것을 알 수 있다. 과도응답 특성의 경우 시스템 지배극점이 동작이 진행됨에 따라 원점에 가까워지는 형태를 갖는 것을 바탕으로 시스템 과도응답 특성은
느려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실제 ESS의 SoC는 일반적으로 매우 느린 동특성을 갖기 때문에 느려지는 과도응답 특성에 많은 영향을 받지
않는다.
Fig. 5. Control block diagram of proposed method
Table 1. System parameters
Parameter
|
Symbol
|
Value
|
Nominal Voltage
|
Vnom
|
380 V
|
Contant Power Load
|
Pcpl
|
3800 W
|
Rcpl
|
-38 Ω
|
Inductance
|
Lc
|
1.17 mH
|
Capacitance
|
Co
|
500 μF
|
Cut-off frequency of Tcc
|
fcc
|
200 Hz
|
Cut-off frequecy of LPF
|
fo
|
20 Hz
|
Droop Resistance
|
Rd
|
3 Ω
|
SoC Range
|
SoC$_{max}$, So$_{Cmin}$
|
80%, 20%
|
Fig. 6. Stability analysis comparison between conventional and proposed methods
4. 시뮬레이션 및 실험
4.1 시뮬레이션
제안하는 기법은 PSIM Software를 통해 증명하였다. DC 마이크로그리드의 구성은 그림 1과 같다. 또한 제안된 기법은 표 1의 파라미터로 설계된 ESS 2대에 적용하였다. 각 구성 요소들의 정격 용량은 표 2와 같다.
Table 2. Simulation/Experimental parameters
Parameter
|
Value
|
AC/DC Converter
|
10000 W
|
PV Converter
|
4000 W
|
ESS Converter 1,2
|
4000 W
|
Constant Power Load Converter
|
2000 W
|
그림 7(a)는 ESS 방전 모드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낸다. 해당 모드에서는 발전량이 부하량보다 낮아 배전망의 전력 상황은 부족 전력 상태로 배전망 전압이
선정된 공칭전압(380V)보다 낮게 형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두 개의 ESS는 모두 방전동작을 수행하며 서로 다른 초기 SoC(80%,
60%)로 인해 옵셋 전압이 다르게 형성되어 다른 방전 전류의 크기를 갖게 된다. SoC가 높은 모듈은 많은 전류를, SoC가 낮은 모듈은 적은 전류를
방전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밸런싱 동작이 이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SoC 하한치(20%)에 도달한 경우 방전
전류는 0으로 제한되어 과방전이 방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7(b)는 ESS 충전 모드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낸다. 방전 모드와 다르게 해당 모드는 발전량이 부하량 보다 많기 때문에 배전망 상황은 잉여 전력 상태로
배전망 전압이 공칭전압보다 높게 형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때문에 ESS는 충전 모드로 동작하고 초기 SoC(40%, 20%)를 다르게 설정하였으므로
제안된 기법의 옵셋 전압 또한 각각 다른 값으로 주입된다. 그로 인해 SoC가 높은 모듈은 적은 전류를 SoC가 낮은 모듈은 많은 전류를 충전하여
SoC 밸런싱 동작을 이루게 된다. 또한 SoC 상한치(80%)에도달한 경우 충전 전류는 0으로 제한되어 과충전이 방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Fig. 7. Simulation results of the proposed SoC balancing method
그림 8은 기존 기법과 비교를 위해 진행된 시스템 안정도 분석과 동일한 조건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낸다. 그림 8(a)는 기존 기법을 적용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내며 이 경우 SoC 밸런싱 동작은 제대로 수행되는 것으로 보이나 방전 동작이 진행됨에 따라 SoC가
감소로 인해 드룹 계수가 증가하는 경우 특정 시점 이후에 시스템이 불안정 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림 8(b)의 경우 제안하는 기법이 적용되어 SoC 밸런싱 동작이 수행되고 드룹 계수가 변화 하지 않기 때문에 모든 영역에서 시스템이 안정한 것을 시뮬레이션
결과를 통해 알 수 있다.
Fig. 8. Simulation comparison between conventional and proposed methods
4.2 실 험
실험을 통해 제안하는 기법을 증명하기 위해 그림 9와 같이 실험 세트를 구성하였으며, 실험 파라미터는 표 2와 같이 시뮬레이션 파라미터와 동일하다. ESS의 경우 컨버터에 시뮬레이터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가상 SoC를 기반으로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또한 Visual
C++(MFC) 프레임워크 기반 프로그램을이용하여 SoC 데이터를 모니터링 하였다.
그림 10은 ESS 방전 모드에 대한 실험 결과를 나타낸다. 시뮬레이션과 동일하게 2대의 ESS의 초기 SoC는 80%와 60%로 선정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서로 다른 SoC에 의해 옵셋 전압이 다르게 주입되어 SoC가 높은 모듈은 많은 전류를, SoC가 낮은 모듈은 적은 전류를 방전하는 것을 그림 10(a)를 통해 알 수 있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SoC 밸
Fig. 9. Experiment equipment
Fig. 10. Experiment results of the proposed SoC balancing method in discharge mode
런싱이 이루어지는 것을 그림 10(b)에 나타난 같은 시간단위를 갖는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통해 알 수 있다. 또한 SoC가 하한치(20%)에 도달한 경우 방전 전류는 0으로 제한되어 과방전이
방지는 것 또한 확인할 수 있다.
그림 11은 ESS 충전 모드에 대한 실험 결과를 나타낸다. 각 ESS의 초기 SoC는 20%, 40%로 선정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해당 모드 또한 서로
다르게 형성된옵셋 전압에 의해 SoC가 낮은 모듈은 많은 전류를, SoC가 높은 모듈은 적은 전류를 충전하는 것을 그림 11(a)를 통해 알 수 있다. 해당 모드가 진행됨에 따라 SoC 밸런싱 동작이 이루어지며 SoC 상한치(80%)에서 전류가 0으로 제한되어 과충전을 방지하는
것을 그림 11(b)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안하는 기법을 DC 마이크로그리드에 연계된 다수의 ESS에 적용했을 때 각 ESS의 초기 SoC가 다르게 형성되어 있더라도 각각의 SoC에
따라 다르게 형성되는 옵셋 전압에 의해 SoC 밸런싱 동작이 이뤄지며 과충전 및 과방전을 방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Fig. 11. Experiment results of the proposed SoC balancing method in charge mode
5. 결 론
본 논문은 DC 마이크로그리드에 연계된 ESS의 SoC 밸런싱을 위한 옵셋 전압 기반 드룹 제어 기법을 제안하였다. 제안하는 기법은 드룹 제어되는
ESS의 컨버터에 옵셋 전압을 추가하여 SoC 밸런싱을 수행하였으며 충·방전 모드에 따라 서로 다른 옵셋 전압 수식을 적용하였다. 각 ESS는 옵셋
전압에 의해 충·방전 전류가 제어되므로 SoC 상·하한치에서 충·방전 전류를 안정도의 고려 없이 쉽게 제한할 수 있어 과충전 및 과방전을 방지하기에도
용이하다. 제안하는 기법은 PSIM 기반의 시뮬레이션 및 DC 마이크로그리드 모의장치 기반의 실험을 통해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Acknowledgements
이 논문은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2021년도 춘계학술대회에서 발표하고 우수추천논문으로 선정된 논문임.
이 논문은 2019년도 정부(미래창조과학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No. 2019R1A2C2007216).
References
Gao F., Kang R., Cao J., Yang T., March 2019, Primary and Secondary Control in DC
Microgrids: A Review, in Journal of Modern Power Systems and Clean Energy, Vol. 7,
No. 2, pp. 227-242
Dragičević T., Guerrero J. M., Vasquez J. C., Škrlec D., Feb 2014, Supervisory Control
of an Adaptive-Droop Regulated DC Microgrid With Battery Management Capability, in
IEEE Transactions on Power Electronics, Vol. 29, No. 2, pp. 695-706
Shi G., March 2021, A Decentralized SOC Balancing Method for Cascaded-Type Energy
Storage Systems, in IEEE Transactions on Industrial Electronics, Vol. 68, No. 3, pp.
2321-2333
Ju C., Wang P., Goel L., Xu Y., Nov 2018, A Two-Layer Energy Management System for
Microgrids With Hybrid Energy Storage Considering Degradation Costs, in IEEE Transactions
on Smart Grid, Vol. 9, No. 6, pp. 6047-6057
Karlsson P., Svensson J., Nov 2003, DC Bus Voltage Control for a Distributed Power
System, in IEEE Transactions on Power Electronics, Vol. 18, No. 6, pp. 1405-1412
Shafiee Q., Dragičević T., Vasquez J. C., Guerrero J. M., Dec 2014, Hierarchical Control
for Multiple DC-Microgrids Clusters, in IEEE Transactions on Energy Conversion, Vol.
29, No. 4, pp. 922-933
Kim J. W., Jeong W. S., Lee J. H., Won C. Y., 2020, Droop Control based on SoC of
Battery Energy Storage System in Grid-connected DC Microgrid, KIIEE Annual Conference
2020, pp. 23-23
Inam W., Belk J. A., Turitsyn K., Perreault D. J., 2016, Stability Control and Power
Flow in Ad Hoc DC microgrids, " 2016 IEEE 17th Workshop on Control and Modeling for
Power Electronics (COMPEL), pp. 1-8
Kim. H. J., 2015, Control Strategy of Multiple Energy Storages System for DC Microgrid,
2015 9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Power Electronics and ECCE Asia (ICPE-ECCE Asia),
pp. 1750-1755
Hoang K. D., Lee H., March 2019, Accurate Power Sharing With Balanced Battery State
of Charge in Distributed DC Microgrid, in IEEE Transactions on Industrial Electronics,
Vol. 66, No. 3, pp. 1883-1893
Choo K. M., 2021, Hierarchical Control Technique for Voltage Stabilization and Power
Control of DC Microgrid, Ph.D. Thesis Department of Electrical and Computer Engineering
Sungkyunkwan University
Nise S. N., 2011, Control Systems Engineering, John Wiley & Sons 6th Ed
Biography
He received the B.S. degree in electrical and electronic engineering from Anyang University,
Anyang, Korea, in 2020.
He is currently working toward the M.S. degree in electrical and computer engineering
at Sungkyunkwan University, Suwon, Korea.
His current research interests include DC microgrid, Motor drive system.
He received the B.S. degree in Automation System from Dongyang Mirae University, Seoul,
Korea, in 2014.
He is currently working toward the Ph.D. degree in electrical and computer engineering
at Sungkyunkwan University, Suwon, Korea.
His research interest is control of synchronous machine drives and power conversion
systems.
He received the B.S. degree in electrical and electronic engineering from Anyang University,
Anyang, Korea, in 2017.
He is currently working toward the Ph.D. degree in electrical and computer engineering
at Sungkyunkwan University, Suwon, Korea.
His current research interests include DC microgrid, Motor drive system.
He received the B.S. degree in Automotive Engineering from Daelim University, Anyang,
Korea. in 2019.
He is currently working toward the Combined Master and Ph.D. degree in Electrical
and computer engineering in Sungkyunkwan University, Suwon, Korea.
His current research interests include DC Microgrid, Motor drive system.
He received the B.S. degree in electronic and electrical engineering from Sungkyunkwan
University, South Korea, in 1989, and the M.S. and Ph.D. degrees in electronic and
electrical engineering from Th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University at Buffalo,
USA, in 1991 and 1994, respectively.
He is currently working as a Professor with Sungkyunkwan University, Suwon, South
Korea.
His main research interests include solar cells and thin-film Transistor.
He received the B.S.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Sungkyunkwan University,
Suwon, Korea, in 1978, and the M.S. and Ph.D.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in 1980 and 1987, respectively.
From 1990 to 1991, he was with the Department of Electrical Engineering, University
of Tennessee, Knoxville, TN, USA, as a Visiting Professor. Since 1988, he has been
a Member of the Faculty of Sungkyunkwan University, where he is currently a Professor
in the Colleg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Also, from 2008 to 2013, he was the Director of Samsung Energy Power Research Center.
Since 2016, he has been the Director of the DC Distribution Research Center.
His current research interests include the power electronic of electric machines,
electric/hybrid vehicle drives, and power converters for DC distribution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