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ISO Journal TitleJ Korean Inst. IIIum. Electr. Install. Eng.

  1. (M.S. course, Department of School Engineering, Korea University, Korea)
  2. (M.S and Ph.D. course, School of Electrical Engineering, Korea University, Korea)



Distribution system, Mathematical modeling, Renewable energy

1. 서 론

전 세계적으로 전기에너지에 대한 수요는 나날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배전계통에서의 재생에너지 연계 비율도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재생에너지를 활용한 발전시스템은 화력, 원자력 등의 대형 발전시스템보다 발전 규모가 작아 수용가 측에 가깝게 연계하여 전력손실을 줄일 수 있으며, 발전부지 확보 및 환경 문제에 대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1). 그러나 배전계통에서 재생에너지의 연계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재생에너지의 발전 용량 및 위치 선정 문제, 부하 불평형, 계통 안정도 하락, 역조류 현상 등의 다양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2). 이러한 문제들은 배전계통에서의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운영을 저해할 수 있으며, 재생에너지 연계 확대에 지장을 줄 수 있다. 이에 따라, 재생에너지가 연계됨에 따라 나타나는 문제점을 고려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3-6). 하지만 전력계통 설비를 수학적으로 모델링하여 배전계통 해석에 활용하는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재생에너지의 배전계통 연계로 인한 다양한 문제에 대응하기 위하여 계통 구성 설비에 대한 수학적 모델링을 수행하였다. 배전계통 구성 설비는 크게 선로, 전압원, 부하, 변압기로 구성하여 모델링을 수행하였다.

일반적으로, 배전계통에서의 해석 방법은 송전계통에서의 해석 방법과는 차이가 있다. 송전계통의 경우, 평형 3상의 정상상태를 가정하여 3상을 모두 고려하지 않고 3상 중 한 상에 대해서만 해석을 수행한다. 송전계통에서의 조류계산은 주로 Newton-Raphson, Gauss-Seidel 등의 방법을 활용하여 수행된다(7). 그러나 배전계통은 불평형이며, 변압기 결선 방식이 다양하므로 3상을 모두 고려한 해석 방법이 필요하다(8). 또한, 배전계통은 송전계통보다 선로 전압이 낮고 부하 측에 흐르는 전류가 크기 때문에 조류계산이나 고장 해석 수행 시 부하 특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9-10).

본 연구에서는 배전계통에서 사용되는 시뮬레이션 툴인 OpenDSS와 MATLAB/Simulink를 통해 앞서 수행한 구성 설비 모델링의 정확성을 검증하였다. 시뮬레이션을 위하여 테스트 계통을 활용하였으며, 앞서 언급한 배전계통 해석 방법을 고려하여 나타난 시뮬레이션 결과를 OpenDSS의 시뮬레이션 결과와 비교하여 해석 결과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2. 본 론

2.1 주파수 영역 모델 설계

주파수 영역에서의 배전계통 해석을 위해 주파수 영역 모델을 설계하였다. 주파수 영역 모델은 평균 모델로써 입력과 출력이 페이저로 나타나는 모델이며, 주파수 영역 모델은 키르히호프의 전류 법칙(KCL)과 키르히호프의 전압 법칙(KVL)을 이용하여 등가회로를 분석할 수 있다. Fig. 1은 주파수 영역 해석을 위하여 설계된 모델을 나타낸다.

Fig. 1. Frequency-domain model
../../Resources/kiiee/JIEIE.2021.35.12.019/fig1.png

주파수 영역 해석은 페이저를 이용한 해석이며, 동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정적 해석이다. 주파수 영역 해석 시, KCL과 KVL을 이용하여 특정 모델의 등가회로를 해석하였고, 옴의 법칙 I=YV를 이용하여 모델링을 수행하였다. 여기서 I, Y, V는 각각 단자 전류, 단자 전압, 어드미턴스 행렬을 의미한다. 이후, 모델링을 통합하는 과정을 거쳐 배전계통에서의 해석을 수행하였다.

2.2 시간 영역 모델 설계

시간 영역에서의 배전계통 해석을 위해 시간 영역 모델을 설계하였다. 시간 영역 모델은 주파수 영역과 달리 동특성이 고려되며, 미분방정식이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시간 영역 해석 시, 계통 성분의 미분방정식을 적분하여 변환하는 것이 기본이며, 적분 방법에 따라 정확도가 달라질 수 있다. 이처럼 미분방정식을 적분하는 과정을 수치 적분이라고 하며, 수치 적분 방법은 크게 사다리꼴 적분과 2차 적분 방법으로 나눌 수 있다. 또한, 시간 영역 모델의 설계에서도 주파수 영역과 동일하게 KCL과 KVL을 이용하여 등가회로를 분석하였다. Fig. 2는 시간 영역 해석을 위하여 설계된 모델을 나타낸다.

Fig. 2. Time-domain model
../../Resources/kiiee/JIEIE.2021.35.12.019/fig2.png

동특성을 고려한 시간 영역 해석을 위해 상태 공간 기법 기반의 배전계통 모델링을 수행하였다. 기존의 복잡한 연립 미분 방정식을 수학적 표현이 간결한 벡터 및 행렬이 포함된 식으로 나타내어 수학적 모델링의 효율성을 개선하였다. 시간 영역 모델은 전류 및 전압이 시간에 대한 함수로 주어진다. 따라서 시간 영역 해석 시, 아래 식과 같이 전류와 전압을 각각 좌변과 우변에 정리한 형태로 모델링을 수행할 수 있다.

(1)
$A_{1}\dfrac{di(t)}{dt}+A_{2}i(t)=B_{1}v(t)+B_{2}\dfrac{dv(t)}{dt}$

2.3 배전계통 구성 설비 모델링

2.3.1 선로 모델

국내 전력계통의 배전 방식은 3상 4선식 선로를 채택하여 대형 규모의 수용가에 직접 전력을 공급하거나 변전 과정을 거쳐 소규모 수용가에 공급한다. 3상 4선식 선로는 3개의 전력선과 1개의 중성선으로 구분되어있다. 이에 따라, 3상 4선식 선로는 단상 부하와 3상 부하가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으나, 불평형 전류가 중성선에 흐를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3상 4선식 선로 모델을 주파수 및 시간 영역으로 모델링 하였고, Fig. 3은 주파수 영역에서의 3상 선로 모델을 나타낸다.

Fig. 3. Three-phase four-wire line model in frequency-domain
../../Resources/kiiee/JIEIE.2021.35.12.019/fig3.png

3상 선로 저항 $R_{3ph}$와 선로 리액턴스 $X_{3ph}$는 아래 식과 같이 나타내었으며, $X_{3ph}$는 상호 리액턴스를 포함한다.

(2)
$R_{3ph}=\begin{bmatrix}R_{A}&R_{AB}&R_{AC}&R_{AN}\\R_{BA}&R_{B}&R_{BC}&R_{BN}\\R_{CA}&R_{CB}&R_{C}&R_{CN}\\R_{NA}&R_{NB}&R_{NC}&R_{N}\end{bmatrix}$

(3)
$X_{3ph}=\begin{bmatrix}X_{A}&X_{AB}&X_{AC}&X_{AN}\\X_{BA}&X_{B}&X_{BC}&X_{BN}\\X_{CA}&X_{CB}&X_{C}&X_{CN}\\X_{NA}&X_{NB}&X_{NC}&X_{N}\end{bmatrix}$

다음으로, 3상 선로 임피던스 및 어드미턴스는 선로 임피던스 아래 식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4)
$Z_{3ph}=R_{3ph}+j X_{3ph}$

(5)
$Y_{3ph}=Z_{3ph}^{-1}$

식(3)에서 $Z_{3ph}$는 선로 임피던스이며, 선로 저항과 선로 리액턴스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식(4)의 선로 어드미턴스 $Y_{3ph}$는 선로 임피던스 $Z_{3ph}$의 역행렬로 표현된다. 이에 따라, 3상 선로의 단자 전류를 선로 어드미턴스 행렬과 단자 전압의 곱으로 표현하면 식(6)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6)
$$\left[\begin{array}{c} \tilde{I}_{S} \\ \tilde{I}_{R} \end{array}\right]=\left[\begin{array}{cc} I_{3 p h}-I_{C} & -I_{3 p h} \\ -I_{3 p h} & Y_{3 p h}-I_{C} \end{array}\right]\left[\begin{array}{c} \tilde{V}_{S} \\ \tilde{V}_{R} \end{array}\right]$$

식(6)에서 $\widetilde I_{S}$와 $\widetilde V_{S}$는 각각 송전단 전류와 전압을 나타내며, $\widetilde I_{R}$와 $\widetilde V_{R}$는 각각 수전단 전류와 전압을 나타낸다. 또한, $Y_{C}$는 병렬 커패시턴스에 대한 어드미턴스 행렬을 나타낸다. 따라서, 주파수 영역에서의 단자전류 및 전압은 식(7)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7)
$$\tilde{I}_{S}=\left[\begin{array}{c} \tilde{I}_{a} \\ \tilde{I}_{b} \\ \tilde{I}_{b} \\ \tilde{I}_{n} \end{array}\right], \tilde{I}_{R}=\left[\begin{array}{c} \tilde{I}_{A} \\ \tilde{I}_{B} \\ \tilde{I}_{B} \\ \tilde{I}_{N} \end{array}\right], \tilde{V}_{S}=\left[\begin{array}{c} \tilde{V}_{a} \\ \tilde{V}_{b} \\ \tilde{V}_{c} \\ \tilde{V}_{n} \end{array}\right], \tilde{V}_{R}=\left[\begin{array}{c} \tilde{V}_{A} \\ \widetilde{V}_{B} \\ \widetilde{V}_{C} \\ \widetilde{V}_{N} \end{array}\right]$$

다음으로, Fig. 4는 시간 영역에서의 3상 선로 모델을 나타낸다.

Fig. 4. Three-phase four-wire line model in time-domain
../../Resources/kiiee/JIEIE.2021.35.12.019/fig4.png

시간 영역에서 3상 선로 저항 $R_{3ph}$와 선로 리액턴스 $X_{3ph}$는 앞서 주파수 영역에서 언급한 식과 동일하며, 3상 선로 인덕턴스와 커패시턴스를 표현하면 각각 식(8), 식(9)와 같다.

(8)
$$L_{3 p h}=\frac{X_{3 p h}}{2 \pi f_{0}}$$

(9)
$$C_{3 p h}=\left[\begin{array}{llll} C_{a a} & C_{a b} & C_{a c} & C_{a n} \\ C_{b a} & C_{b b} & C_{b c} & C_{b n} \\ C_{c a} & C_{c b} & C_{c c} & C_{c n} \\ C_{n a} & C_{n b} & C_{n c} & C_{n n} \end{array}\right]$$

따라서, 시간 영역에서 단자 전류와 단자 전압의 관계를 표현하면 식(9)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10)
$$L_{3 p h} \frac{d}{d t}\left[\begin{array}{c} i_{S}(t) \\ i_{R}(t) \end{array}\right]+R_{3 p h}\left[\begin{array}{c} i_{S}(t) \\ i_{R}(t) \end{array}\right]=B_{1} \frac{d}{d t}\left[\begin{array}{c} v_{S}(t) \\ v_{R}(t) \end{array}\right]+B_{2}\left[\begin{array}{c} v_{S}(t) \\ v_{R}(t) \end{array}\right]$$

식(9)에서 $i_{S}(t)$와 $v_{S}(t)$는 각각 송전단 전류와 전압을 나타내며, $i_{R}(t)$와 $v_{R}(t)$는 각각 수전단 전류와 전압을 나타낸다. 따라서, 시간 영역에서 단자 전류 및 전압은 식(10)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11)
$$i_{S}(t)=\left[\begin{array}{l} i_{a}(t) \\ i_{b}(t) \\ i_{c}(t) \\ i_{n}(t) \end{array}\right], i_{R}(t)=\left[\begin{array}{l} i_{A}(t) \\ i_{B}(t) \\ i_{C}(t) \\ i_{N}(t) \end{array}\right], v_{S}(t)=\left[\begin{array}{c} v_{a}(t) \\ v_{b}(t) \\ v_{c}(t) \\ v_{n}(t) \end{array}\right], v_{R}(t)=\left[\begin{array}{l} v_{A}(t) \\ v_{B}(t) \\ v_{d}(t) \\ v_{N}(t) \end{array}\right]$$

다음으로, 식(7)에서 $B_{1}$과 $B_{2}$는 아래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12)
$$B_{1}=\left[\begin{array}{cc} -L_{3 p h} Y_{C} & 0 \\ 0 & -L_{3 p h} Y_{C} \end{array}\right]$$

(13)
$$B_{2}=\left[\begin{array}{cc} E-R_{3 p h} Y_{C} & -E \\ -E & E-R_{3 p h} Y_{C} \end{array}\right]$$

여기서, $Y_{C}$는 병렬 커패시턴스를 나타내는 어드미턴스 행렬이며, $E$는 4$\times$4 단위행렬을 의미한다.

앞서 수행된 모델링에 따라, 주파수 영역 및 시간 영역에서 3상 4선식 선로의 수학적 모델을 확인할 수 있으며, 배전계통 모델링에 활용할 수 있다.

2.3.2 전압원 모델

전압원이란, 내부 임피던스가 없으며 부하의 크기와 상관없이 일정한 전압을 공급하는 전원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전압원 모델을 주파수 및 시간 영역으로 모델링하였고 Fig. 5는 주파수 영역에서의 단상 전압원 모델을 나타낸다.

Fig. 5. Single-phase voltage source model in frequency-domain
../../Resources/kiiee/JIEIE.2021.35.12.019/fig5.png

주파수 영역에서, 전압원의 어드미턴스를 $Y_{S}$라고 할 때, 어드미턴스 행렬 $Y$는 다음과 같다.

(14)
$$Y=\left[\begin{array}{cc} Y_{0} & -Y_{0} \\ -Y_{0} & Y_{0} \end{array}\right]$$

따라서, 주파수 영역에서의 단자 전류 및 전압의 관계는 아래 식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15)
$$\left[\begin{array}{c} \tilde{I}_{a} \\ \tilde{I}_{n} \end{array}\right]=Y\left[\begin{array}{c} \tilde{V}_{a} \\ \tilde{V}_{n} \end{array}\right]+B E$$

여기서, $B$와 $E$는 각각 아래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16)
$$B=\left[\begin{array}{rr} -Y_{0} & 0 \\ Y_{0} & 0 \end{array}\right], E=\left[\begin{array}{c} \tilde{E} \\ 0 \end{array}\right]$$

다음으로, Fig. 6은 시간 영역에서의 단상 전압원 모델을 나타낸다.

Fig. 6. Single-phase voltage source model in time-domain
../../Resources/kiiee/JIEIE.2021.35.12.019/fig6.png

시간 영역에서, 전압원의 전압을 $e(t)$, 저항을 $R$, 인덕턴스를 $L$ 이라고 할 때, 시간 영역에서의 단자 전류 및 전압의 관계는 아래 식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17)
$$L \frac{d}{d t}\left[\begin{array}{l} i_{a}(t) \\ i_{n}(t) \end{array}\right]+R\left[\begin{array}{l} i_{a}(t) \\ i_{n}(t) \end{array}\right]=B_{1}\left[\begin{array}{c} v_{a}(t) \\ v_{n}(t) \end{array}\right]+B_{2}\left[\begin{array}{c} e(t) \\ 0 \end{array}\right]$$

여기서, $B_{1}$, $B_{2}$는 각각 아래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18)
$$B_{1}=\left[\begin{array}{cc} 1 & -1 \\ -1 & 1 \end{array}\right], B_{2}=\left[\begin{array}{cc} -1 & 0 \\ 1 & 0 \end{array}\right]$$

앞서 수행된 모델링에 따라, 주파수 영역 및 시간 영역에서 단상 전압원의 수학적 모델을 확인할 수 있으며, 3상 시스템에서의 전압원도 설계할 수 있다.

2.3.3 부하 모델

일반적으로 전력계통에서 사용되는 부하 모델은 정전력 부하, 정 임피던스 부하, 정전류 부하 등이 있지만, 본 연구에서는 조류계산 시 주로 사용되는 정전력 부하를 모델링하였다. 정전력 부하는 전압의 변동과 무관하게 항상 전력이 일정하며, 입력 전압의 크기와 상관없이 일정한 전력을 나타내는 부하이다. 본 연구에서는 단상 정전력 부하를 주파수 및 시간 영역으로 모델링하였고, Fig. 7은 주파수 영역에서의 단상 정전력 부하 모델이다.

Fig. 7. Single-phase load model in frequency-domain
../../Resources/kiiee/JIEIE.2021.35.12.019/fig7.png

주파수 영역에서, 정전력 부하의 어드미턴스를 $Y_{s}$라고 할 때, 어드미턴스 행렬 $Y$는 아래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19)
$$Y=\left[\begin{array}{ccc} Y_{0} & -Y_{0} & 0 \\ -Y_{0} & Y_{0} & 0 \\ 0 & 0 & 0 \end{array}\right]$$

따라서, 주파수 영역에서 정전력 부하의 단자 전류 및 전압의 관계는 아래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20)
$$\left[\begin{array}{c} \tilde{I}_{1} \\ \tilde{I}_{2} \\ 0 \end{array}\right]=Y X+\left[\begin{array}{c} X^{T} F_{1} X \\ X^{T} F_{2} X \\ 0 \end{array}\right]$$

다음으로, $X,\: f_{1},\: f_{2}$는 각각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21)
$$X=\left[\begin{array}{c} \tilde{V}_{1} \\ \widetilde{V}_{2} \\ u_{1} \end{array}\right], F_{1}=\left[\begin{array}{ccc} 0 & 0 & 0 \\ 0 & 0 & 0 \\ Y_{0} & -Y_{0} & 0 \end{array}\right], F_{2}=\left[\begin{array}{ccc} 0 & 0 & 0 \\ 0 & 0 & 0 \\ -Y_{0} & Y_{0} & 0 \end{array}\right]$$

여기서, $u_{1}$은 전압과 반비례하는 내부 변수이며, 유효전력에 관계된다. 다음으로, Fig. 8은 시간 영역에서의 단상 정전력 부하 모델을 나타낸다.

Fig. 8. Single-phase load model in time-domain
../../Resources/kiiee/JIEIE.2021.35.12.019/fig8.png

시간 영역에서 정전력 부하의 저항을 $R$, 인덕턴스 를 $L$이라고 할 때, 정전력 부하의 단자 전류 및 전압의 관계는 아래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22)
$$L \frac{d}{d t}\left[\begin{array}{l} i_{1}(t) \\ i_{2}(t) \end{array}\right]+R\left[\begin{array}{l} i_{1}(t) \\ i_{2}(t) \end{array}\right]=\left[\begin{array}{cc} 1 & -1 \\ -1 & 1 \end{array}\right]\left[\begin{array}{l} v_{1}(t) \\ v_{2}(t) \end{array}\right]$$

앞서 수행된 모델링에 따라, 주파수 영역 및 시간 영역에서 단상 정전력 부하의 수학적 모델을 확인할 수 있으며, 3상 시스템에서의 부하도 설계할 수 있다.

2.3.4 변압기 모델

전력계통에서 변압기는 발전소의 출력 전압과 수용가에서 사용하는 전압이 다를 때, 전압의 크기를 높이거나 낮추기 위하여 사용된다. 또한, 3상 변압기의 경우 변압기 결선 방식은 Y-Y, Y-△ 등의 다양한 결선 방식이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단상 변압기를 주파수 및 시간 영역으로 모델링하였고 Fig. 9는 주파수 영역에서의 단상 변압기 모델이다.

Fig. 9. Single-phase transformer model in frequency-domain
../../Resources/kiiee/JIEIE.2021.35.12.019/fig9.png

주파수 영역에서, 단상 변압기 1차 및 2차 권선의 어드미턴스는 각각 $Y_{1},\: Y_{2}$이고 변압기 권수비가 $1:t$일 때 변압기 어드미턴스 행렬 $Y$는 다음과 같다.

(23)
$$Y=\left[\begin{array}{ccccc} Y_{1} & -Y_{1} & 0 & 0 & -Y_{1} \\ -Y_{1} & Y_{1} & 0 & 0 & Y_{1} \\ 0 & 0 & Y_{2} & -Y_{2} & -t Y_{2} \\ 0 & 0 & -Y_{2} & Y_{2} & t Y_{2} \\ Y_{1} & -Y_{1} & t Y_{2} & -t Y_{2}-Y_{1}-t^{2} Y_{2}-Y_{m} \end{array}\right]$$

여기서, $Y_{m}$는 변압기 여자 어드미턴스이며, 1차 코일에 유기되는 기전력은 $E_{1}$으로 표현된다. 따라서, 주파수 영역에서 단상 변압기의 단자 전류 및 전압 관계는 아래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24)
$\widetilde I =Y\widetilde V$

여기서, $\widetilde I ,\:\widetilde V$는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25)
$$\tilde{I}=\left[\begin{array}{c} \tilde{I}_{1} \\ \tilde{I}_{2} \\ \tilde{I}_{3} \\ \tilde{I}_{4} \\ 0 \end{array}\right], \tilde{V}=\left[\begin{array}{c} \tilde{V}_{1} \\ \tilde{V}_{2} \\ \tilde{V}_{3} \\ \tilde{V}_{4} \\ \tilde{E}_{1} \end{array}\right]$$

다음으로, Fig. 10은 시간 영역에서의 단상 변압기 모델을 나타낸다.

Fig. 10. Single-phase transformer model in time -domain
../../Resources/kiiee/JIEIE.2021.35.12.019/fig10.png

시간 영역에서, 단상 변압기 1차 및 2차 권선의 저항은 각각 $R_{1},\: R_{2}$이고, 누설 인덕턴스는 각각 $L_{1},\: L_{2}$이다. 또한, 변압기 철손 저항은 $R_{m}$, 변압기 1차 코일에 유기되는 기전력은 $e_{1}(t)$ 이며, 변압기 권수비는 주파수 영역에서와 동일하다. 다음으로, 변압기 자속쇄교수 $λ(t)$는 아래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26)
$L_{m}i_{m}(t)= λ(t)$

식(26)에서, $i_{m}(t)$은 여자전류, $L_{m}$은 자화 인덕턴스를 나타낸다. 다음으로, 단상 변압기의 단자 전류 및 전압의 관계는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27)
$A_{1}\dfrac{d}{dt}i(t)+A_{2}i(t)=B_{1}v(t)+B_{2}\dfrac{d}{dt}v(t)$

여기서, $i(t)$와 $v(t)$는 아래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28)
$$i(t)=\left[\begin{array}{c} i_{1}(t) \\ i_{2}(t) \\ i_{3}(t) \\ i_{4}(t) \\ 0 \\ 0 \\ 0 \end{array}\right], v(t)=\left[\begin{array}{c} v_{1}(t) \\ v_{2}(t) \\ v_{3}(t) \\ v_{4}(t) \\ i_{m}(t) \\ e(t) \\ \lambda(t) \end{array}\right]$$

식(27)에서 행렬 $A_{1}$과 $A_{2}$는 다음과 같다.

(29)
$$A_{1}=\left[\begin{array}{ccccccc}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L_{1} & 0 & 0 & 0 & 0 & 0 & 0 \\ 0 & 0 & L_{2}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end{array}\right], A_{2}=\left[\begin{array}{cccccc} 1 & 1 & 0 & 0 & 0 & 0 & 0 \\ 0 & 0 & 1 & 1 & 0 & 0 & 0 \\ R_{m} & 0 & t R_{m}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R_{1} & 0 & 0 & 0 & 0 & 0 & 0 \\ 0 & 0 & R_{2}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end{array}\right]$$

식(27)에서 행렬 $B_{1}$과 $B_{2}$는 다음과 같다.

(30)
$$B_{1}=\left[\begin{array}{ccccccc}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R_{m} & 1 & 0 \\ 0 & 0 & 0 & 0 & L_{m} & 0 & -1 \\ 1 & -1 & 0 & 0 & 0 & -1 & 0 \\ 0 & 0 & 1 & -1 & 0 & -t & 0 \\ 0 & 0 & 0 & 0 & 0 & 1 & 0 \end{array}\right], B_{2}=\left[\begin{array}{lllll}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end{array}\right.$$

앞서 수행된 모델링에 따라, 주파수 영역 및 시간 영역에서 단상 변압기의 수학적 모델을 확인할 수 있으며, 3상 시스템에서의 변압기도 설계할 수 있다.

3. 수학적 모델링 기반 시뮬레이션 검증

3.1 6 모선 시험 계통

본 장에서는 앞서 수행한 배전계통 모델링의 타당성 검증을 위해 2가지 테스트 계통을 활용하였다. 먼저, 아래 Fig. 11과 같이 간단한 6 모선 테스트 계통을 구현하여 배전계통 고장의 약 85%를 차지하는 1선 지락 사고를 모의하였다. 배전선로, 전압원, 변압기, 부하 등의 주파수 영역 모델을 적용하여 고장 해석을 통한 수학적 모델링의 타당성을 검증한다.

Fig. 11. IEEE 6-bus test system
../../Resources/kiiee/JIEIE.2021.35.12.019/fig11.png

3.1.1 고장 유형에 따른 결과 분석

시뮬레이션을 위해 3번 모선을 고장 모선으로 선정하였으며, 1선 지락, 2선 지락, 3선 지락 사고에 따른 고장 모선에서의 고장 전압 및 고장 전류 결과를 도출하였다. 아래 Table 1에 고장 유형에 따른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Fig. 12Fig. 13은 고장 유형에 따른 3상의 고장 전압과 고장 전류를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Table 1. Voltage-Current results based on fault types

1선 지락 (a상)

2선 지락

(ab상)

3선 지락 (abc상)

고장 전압 (kV)

a상

0.0865

0.0120

0.0139

b상

0.1543

0.0135

0.0131

c상

0.1303

0.1360

0.0365

고장전류 (kA)

a상

0.7730

1.0705

1.1023

b상

0.0599

1.1845

1.2403

c상

0.0549

0.0451

3.3158

Fig. 12. Voltage results based on fault types
../../Resources/kiiee/JIEIE.2021.35.12.019/fig12.png

Fig. 13. Current results based on fault types
../../Resources/kiiee/JIEIE.2021.35.12.019/fig13.png

a상 1선 지락 사고 발생 시, 전류는 고장 임피던스를 통해 고장이 발생한 상으로 흐르기 때문에 b상 및 c상 전류는 0에 가까운 값을 갖게 된다. 또한, a상의 고장 전압은 고장 전류와 고장 임피던스의 곱으로 구할 수 있으며 이 또한 0에 가까운 값을 갖게 된다. 반면에, 중성점 이동 현상으로 인해 건전한 상의 전압은 평시 전압보다 상승하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이론적 배경을 기반으로 시뮬레이션 결과를 검토하면 1선 지락 사고 시 나타나는 고장 해석 결과의 양상과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2선 지락 사고와 3선 지락 사고의 경우 역시, 고장이 발생한 상으로 고장 전류가 크게 흐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건전한 상의 전압은 상승함을 알 수 있다. 6 모선 시험 계통에서 검토한 배전계통 모델링을 바탕으로 다음 절에서는 37모선 시험 계통을 기반으로 주파수 영역 및 시간 영역에서의 모델링 검증을 수행한다.

3.2 IEEE 37 모선 시험 계통

앞서 수행된 수학적 모델링을 IEEE 37 모선 시험 계통에 적용하였고, 시뮬레이션을 진행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시험 계통은 선로, 전압원, 부하, 변압기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구성 요소에 해당하는 입력 파라미터를 활용하였다(11). Fig. 14는 IEEE 37 모선 계통을 나타낸다.

Fig. 14. IEEE 37-bus test system
../../Resources/kiiee/JIEIE.2021.35.12.019/fig14.png

3.2.1 주파수 영역 해석 결과

앞서 수행한 모델링 기반의 시뮬레이션 결과와 OpenDSS를 통해 시뮬레이션을 진행하여 도출된 결과를 비교하였다. 전체 모선에서의 전압과 위상각을 도출하였으며, 전체 오차율에 대한 산술평균을 검토하였다. 아래 Fig. 15는 특정 모선에서의 전압을 나타내며, Fig. 16은 특정 모선에서의 위상각을 나타낸다.

Fig. 15. Voltage magnitude results
../../Resources/kiiee/JIEIE.2021.35.12.019/fig15.png

Fig. 16. Voltage angle results
../../Resources/kiiee/JIEIE.2021.35.12.019/fig16.png

시뮬레이션 결과, 각 모선 전압의 크기 및 위상각에 대한 오차는 0에 가까우며, 전체 오차율에 대한 산술평균은 1.36% 수준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수행된 수학적 모델링의 정확성을 검증할 수 있으며, 이는 재생에너지가 연계된 배전계통 해석 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3.2.2 시간 영역 해석 결과과

앞서 수행한 수학적 모델을 기반으로 시간 영역 해석을 수행하였다. 아래 Fig. 17Fig. 18은 각 시간에 따른 전압원 전류와 부하 전류의 그래프를 나타낸다. 전원과 부하를 결합한 모델에서 총 0.1초의 시뮬레이션을 진행하였고 시간 영역 해석을 통해 구한 값을 plot 함수를 통해 나타내었다.

Fig. 17. Voltage source current
../../Resources/kiiee/JIEIE.2021.35.12.019/fig17.png

Fig. 18. Load current
../../Resources/kiiee/JIEIE.2021.35.12.019/fig18.png

시뮬레이션 결과, 해당 모델은 3상 평형 전원과 부하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3상이 위상만 다르고 같은 값을 가진 평형한 상태로 결과가 출력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향후 동적 특성을 가진 전력 설비와 재생에너지원 등을 배전계통에 연계하여 안정도 해석에 활용할 계획이다.

4. 결 론

본 연구에서는 배전계통의 정확한 해석을 위해 주파수 영역 및 시간 영역에서 배전계통을 이루는 주요 구성 설비의 수학적 모델링을 수행하였다. 이후, OpenDSS를 사용하여 시뮬레이션을 진행하였고, 수행된 모델링의 정확성을 데이터 비교를 통해 검증하였다. 결과적으로 시뮬레이션을 통해 전압 크기와 위상각에 대한 오차율을 확인하였고, 수행된 모델링의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시간 영역 해석은 인버터나 유도전동기와 같은 동적 특성을 가진 설비를 해석하기 위하여 수치 적분 방법론과 같은 고도의 기술 및 계산 과정이 필요하다. 현재 대부분 상용 툴 및 연구가 시간 영역 해석 방법으로 사다리꼴 적분 방법을 수행한다. 향후 사다리꼴 적분 방법보다 Numerical oscillation이 적으며, 긴 시간 시뮬레이션을 수행해도 결과가 더 정확한 Quadratic 적분법을 적용하여 시간 영역 해석을 수행할 계획이다. 또한, 동적 특성을 가진 재생에너지원을 배전계통에 연계하여 안정도 해석을 수행할 것이다.

Acknowledgements

This research was supported by Korea Electric Power Corporation (No. R20XO02-19).

References

1 
Adefarati T., Bansal R. C., 2016, Integration of Renewable Distributed Generators into the Distribution System: A Review, IET Renewable Power Generation, Vol. 10, No. 7, pp. 873-884Google Search
2 
Elatta N. M., 2018, Impact of Distributed Generation in Power System Distribution Networks, Diss. Sudan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pp. 26-29Google Search
3 
Taher S. A, 2014, Optimal Reconfiguration and DG Allocation in Balanced and Unbalanced Distribution Systems, Ain Shams Engineering Journal, pp. 735-749DOI
4 
Hyeokjin Noh, 2018, Analysis of Voltage Stability Using Maximum Lyapunov Exponent According to Renewable Energy Capacity, KIEE, pp. 168-169Google Search
5 
Seungyoon Hyun, 2015, A Study on the Interconnect Protection of Distributed Generators between Distribution System, KIEE, pp. 551-552Google Search
6 
Namhun Cho, 2020, Shunt Fault Analysis Methodology for Power Distribution Networks with Inverter-based Distributed Energy Resources of the Korea Electric Power Corporation,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DOI
7 
Ryu Jaehong, Kim Jaeeon, 2000, A Study for a Load Flow Analysis Algorithm in the Three-phase Distribution Network, KIEE, pp. 150-152Google Search
8 
Song Hwachang, Cho Sungkoo, 2010, Development of Three Phase Optimal Power Flow for Distributed Generation Systems, KIEE, pp. 882-889DOI
9 
Lee Yujeong, You Seokku, 2003, Planning for Operation of Dispersed Generation Systems considering Load Unbalance in Distribution Systems, KIIEE, Vol. 17, No. 5, pp. 118-125Google Search
10 
Kim Jonggyeum, Kim Jimyeong, 2017, Comparative Analysis of Voltage Unbalance Factor on the use of Linear and Non-linear loads in Three-phase Four-wire Low Voltage Distribution Line, KIEE, Vol. 66, No. 3, pp. 587-592DOI
11 
IEEE PES 37-bus Feeder, IEEE, accessed Oct 10, 2021, https://cmte.ieee.org/pes-testfeeders/resources/Google Search

Biography

Moonjeong Lee
../../Resources/kiiee/JIEIE.2021.35.12.019/au1.png

She received the B.S.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Gachon University, South Korea, in 2019.

She is currently pursuing the M.S.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with Korea University, Seoul, South Korea.

Her research interest includes renewable energy and grid analysis.

Myungseok Yoon
../../Resources/kiiee/JIEIE.2021.35.12.019/au2.png

He received his B.S.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Korea University, Seoul, Korea in 2020.

At present, he is enrolled in the intergrated Ph.D. program.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renewable energy and grid code.

Sungyun Choi
../../Resources/kiiee/JIEIE.2021.35.12.019/au3.png

He received the B.E.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Korea University, Seoul, South Korea, in 2002 and the M.S. and Ph.D. degrees in Electrical and Computer Engineering from Georgia Institute of Technology, Atlanta, GA, USA, in 2009 and 2013, respectively.

From 2002 to 2005, he was a Network and System Engineer, and from 2014 to 2018, he was a Senior Researcher with Smart Power Grid Research Center, Korea Electro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Uiwang-si, Gyeonggi-do, South Korea.

Since 2018, he has been an Associate Professor with Electrical Engineering, Korea University, Seoul, South Korea.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microgrids, power system state estimation, sub-synchronous oscillations, renewable forecasts, and computational intellig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