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ISO Journal TitleJ Korean Inst. IIIum. Electr. Install. Eng.




Residual current, Temporary residual current, Type-A CBR, Unwanted tripping

1. 서 론

본 연구의 목적은 감도전류(residual operating current, I△N) 30㎃, A형 산업용 누전차단기(circuit-breaker incorporating residual current protection for industrial uses: CBR)의 부동작 감도전류(residual non-operating current, I△NO) 이하(고조파 포함 누전전류, 실효값 약 13㎃) 차단의 원인 규명이다.

I△NO(15㎃) 이상 및 I△N 이하에서의 차단현상 또는 고조파 등으로 인한 I△N 이상에서의 차단현상(CBR 민감도 저하)은 CBR의 일반적 동작이나 금번 기상청에서 발생한 I△NO 이하(실효값 약 13㎃)에서의 차단현상(CBR 민감도 상승)은 선행된 연구 및 사례가 알려지지 않았다.

I△NO 이하 차단원인의 파악을 위하여, CBR의 원치 않는 차단 현상과 관련한 이론적 근거를 관련 국제규격, 한국산업규격, 연구자료 및 국외 누전차단기 제조사의 기술자료 등을 통하여 조사하였다. 둘째, 차단이 발생한 CBR의 I△N 시험을 통하여 CBR 오작 여부를 확인하였으며 누전전류 추이의 특이점 확인을 위하여 차단이 발생한 회로의 누전전류 추이를 20일간 분석하고 전원공급환경이 동일하고 부하현황이 유사하나 차단이 발생하지 않는 세 개의 회로와 비교하였다. 비교항목은 대지누설전류(earth leakage current)와 지락고장전류(earth fault current)의 합으로 고조파 전류를 포함한 누전전류 실효값과 일시 및 순시 누전전류이다. 마지막으로 CBR 차단이 발생한 회로의 전력품질을 분석하고 누전전류 추이의 특이점 등과 비교하여 전력품질과 누전전류의 관계를 비교 분석하였다. 비교항목은 전압, 전류, 직류 전류, 절대값 전류 및 파고율(crest factor), 고조파 전류 및 고조파 전류 위상차를 포함한다.

2. 본 론

2.1 차단 CBR 및 회로 현황

차단이 발생한 회로는 직원 13명의 사무용 부하로 구성되며 PC 26세트와 전화기 13대 등이다. CBR의 동작시간과 횟수는 16시 30분경 3회, 18시 30분경 2회 발생하였으며 차단 주기는 약 1개월이다. 차단 CBR 현황을 Table 1에 나타내었다. CBR 차단 회로에 대한 누전전류, 절연저항 및 부하전류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Table 2와 같이 건전하였으므로 CBR 오작으로 판단하고 신품(정격 차단전류: 30 A)으로 교체하였으나 차단이 반복되었다. 원치 않는 차단의 예방을 위해 Table 3과 같은 ‘저항성 누설전류 차단기’로 교체하였으며 차단 원인의 규명을 위하여 13기의 A형 CBR을 직원별 사무용 부하측으로 설치하였다.

Table 1. Common rating of CBRs used at the unwanted tripping circuit

Utilization category

Type-A CBR

(Voltage Dependent)

Standard

KS C 4613,

KS C IEC 60947

Rated V / I

AC 220V / 30A, 20A

I△N / I△NO

30㎃ / 15㎃

Response time

30 ms (non time delay type)

Breaking capacity(Icu)

2.5㎄ RMS

Protection

residual, overload, short current

Instantaneous trip

(8~20) × In

Type of trip

earth fault

electronic

over current

thermal magnetic

Table 2. Residual currents on the unwanted tripping circuit

Measurement

Value

Residual current (RMS)

with harmonics

12.7㎃

without harmonics

12.1㎃

Earth fault current(RMS)

1.5㎃

Insulation resistance

10.3㏁

Loads current(RMS)

11.3A

Table 3. Exchanged CBR commonly known as ‘Igr-residual current device’

Utilization category

unknown

Rated V / I

AC 220V / 20A

Earth fault current

I△N /

I△NO

30㎃ / 15㎃

Earth leakage current

105㎃ / 15㎃

Response time

30ms(non time delay type)

Breaking capacity(Icu)

2.5㎄ RMS

Protection

residual, overload,

short current

Instantaneous trip

unknown

2.2 누전차단기류의 원치 않는 차단 원인 조사

누전차단기는 전원 환경 및 부하 특성에 따라 I△N 이상 및 이하 차단, 차단시간 지연 등의 원치 않는 차단이 발생할 수 있으며 주요 원인은 아래와 같이 조사되었다.

․ 누전차단기 선정 부적합 및 1 회로 당 과다 PC 사용: PC SMPS(switch mode power supply) 등 전자기기류(electronic devices)를 다수 사용하는 회로와 고조파를 포함하는 비선형 및 과도 전류(pulsing current) 등에 대한 누전차단기류의 원치 않는 차단 예방을 위하여 B, F형 등 특수 목적용 누전차단기의 사용이 권고되고 있다(1-7). 그러나 국내의 경우 관련한 산업규격은 마련되었으나 B형과 F형의 누전차단기는 생산되지 않으며 단지 ‘저항성 누설전류 차단기’ 등으로 통칭되는 고조파와 용량성 누설전류에 대한 내력을 갖는 누전차단기가 생산되고 있다. Schneider Electric사 등 누전차단기류의 제조사들은 단상 전자기기의 고유 누설전류(permanent or static leakage currents)로 인한 누전차단기의 오작 예방을 위하여 전원설비 접지시스템에 따라 누전차단기 1 회로에 접속되는 전자기기의 수를 제한하고 있으며 접지 시스템이 TT, TN일 경우 I△N의 0.3배(9㎃), IT일 경우 0.17배 이하가 되도록 권고하고 있다[1-3, 7].

․ 높은 파고율 및 고조파(3, 5, 및 7차)를 포함하는 누전전류: 고조파는 누전차단기의 원치 않는 차단의 대표적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1). 그러나 한국산업규격과 국제규격은 CBR에 대한 고조파의 영향을 정의하지 않고 있어 관련한 연구를 조사하였다. 고조파로 인한 CBR의 차단 민감도, 즉 최소 동작전류의 변화와 관련한 연구결과를 Table 4에 정리하였다(8-12). 누전전류는 기본파와 고조파 전류의 크기(amplitude)와 위상(phase angle)의 합이고 고조파의 함유량과 기본파에 중첩된 위상에 따라 CBR의 차단 민감도가 영향을 받는 것은 일반적인 현상일 것이다. 그러므로 Oh (2018)의 주장과 같이 I△NO 이상에서 발생하는 고조파로 인한 CBR의 차단은 오작으로 판단할 수 없다(13). Czapp (2020)는 최초로 A형 누전차단기의 I△NO 이하 차단 현상을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8). 3차 고조파가 기본파에 270, 315도로 중첩되고 그 함유량이 50\% 이상이며 100\%에 근접할 경우 A형 누전차단기는 I△NO 이하에서 차단될 수 있음을 시험을 통해 확인하였다(8).

Table 4. Relationship between harmonics and tripping threshold

Reference

Tripping threshold

(residual operating current)

At low order harmonics

At high order harmonics

(8) Czapp (2020)

decrease

(3, 5, 7th)

increase or decrease

(9) Lim (2017)

decrease(3th)

-

(10) Xiang (2011)

increase or decrease

increase or decrease

(11) Luo (2011)

increase or decrease

-

(12) Jun (2006)

increase or decrease(3th)

increase

․ 고주파 대지누설전류(high frequency earth leakage current): 고주파를 포함하는 대지누설전류 또는 지락고장전류는 누전차단기 차단 민감도 감소의 원인이 되어 I△N 이상에서의 차단으로 원치 않는 차단이 발생할 수 있으나 통상 A형 누전차단기류는 이에 대한 차단 능력이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7,14).

․ 높은 파고율, 과전류 트립 방식을 열동형으로 하는 경우(15).

․ 일시 누전전류: Schneider Electric사는 ‘transient leakage currents’로 명명하며 공통 모드(common mode) 과전압 발생 또는 충전 회로 정전용량 불균형(capacitive unbalance)을 발생원인으로 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원치 않는 차단의 예방을 위하여 시간 지연형(time-delayed) 누전차단기의 적용을 권고하고 있다(1-2). ABB사는 일시 누전전류를 ‘temporary leakage current’로, EATON사는 ‘short impulse of residual current’로 명명하고 전원측 전압 교란(network disturbances)을 발생원인으로 정의한다(3-4). SIEMENS사는 ‘temporary high leakage current’ 또는 ‘dynamic leakage currents’로 명명하며 상과 중성선에서 대지 또는 접지선으로 흐르는 과도 전류(transient currents)로 정의하고 있다(7). 그 전류의 지속시간은 회로 임피던스와 관련된 시간 상수(time constant)와 관련되며 SMPS와 같이 필터(filter) 회로를 내장한 기기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수 ㎲ ∼ ㎳의 지속시간과 수 암페어(amperes)에 근접할 수 있으므로 I△N 300㎃ 누전차단기의 순시(instantaneous) 차단을 가능하게 하여 약 10㎳의 지연시간을 갖는 특수 목적용 누전차단기의 적용을 권고한다(7). 마지막으로 Gurevich(2013)의 연구는 ‘short impulse residual current’로 명명하며, 전원측 과전압 및 과전류 유입으로 인한 SMPS 소손 방지를 위해 사용되는 ‘voltage-depended non-linear resistors (varistors)’의 방전 시 수 ㎳ 동안 상-대지간, 중성선-대지간 임펄스성 누전전류가 발생할 수 있고 이 차동전류(differential current)는 누전차단기류의 원치 않는 차단의 원인이 될 수 있음을 밝히고 있다(16).

․ 다수 SMPS의 과도 돌입전류(inrush current): SMPS의 과도 돌입 전류는 누전차단기의 원치 않는 차단의 원인이 될 수 있다(1,3). 그러나 그 차단은 SMPS에 전원을 인가할 때마다 발생하지 않고 모든 돌입전류가 입력측에서 합성될 경우 발생한다.

․ 과전압(모터류, 조명 등의 투입과 개방 시, 낙뢰) (3,4,17).

․ 용량성 및 유도성 부하의 개방 및 투입으로 발생하는 과도 임펄스 전류(transient impulsive current) (3-6).

․ 과도 직류 맥동 전류(pulsating direct currents)를 포함하는 누전전류: A형 CBR은 6㎃ 이하의 평활 직류 누전전류(smooth direct residual current)에 대하여 1.4 I△N이내에 차단이 보증되어야 하며 직류 맥동 누전전류는 교류 정현파 누전전류에 대한 중첩 위상에 따라 최소 0.11 I△N(3.3㎃), 최대 1.4 I△N(42㎃)의 I△N 변화를 유발한다(2-7). 즉, 직류 맥동 전류를 포함하는 누전전류는 I△NO 이하에서의 CBR 차단을 가능하게 한다.

2.3 누전전류 분석

2.3.1 계측기 사양

누전전류 분석을 위해 Kyoritsu사의 KEW5050SE (clamp sensor: KEW8177)를 사용하였으며 사양은 Table 5, 6과 같다(18). KEW5050SE는 절연 불량으로 인해 대지로 흐르는 전류인 지락고장전류뿐만 아니라 절연 불량 없이 설비의 충전부에서 대지로 흐르는 대지누설전류의 구분 측정이 가능하다. 특히 지락고장과 대지누설전류합의 실효값에 고조파를 포함한 경우와 미포함한 누전전류의 측정이 가능하다. 고조파를 포함한 누전전류의 경우 참 실효값(true RMS: TRMS)으로 나타낸다. 저장 간격(interval)은 200㎳(12 cycles) ∼ 2hours 까지 설정이 가능하고 본 연구에서는 간헐적(intermittent) 누전전류의 측정에 유리한 200㎳를 사용하였다. KEW5050SE는 누전전류 실효값뿐만 아니라 일시 누전전류의 측정이 가능하며 발생한 일시 누전전류 이벤트는 ‘이벤트(상한값)’과 ‘이벤트(피크값)’으로 구분된다. ‘이벤트(상한값)’의 경우 약 200㎳ 동안의 실효값 평균이 설정된 문턱값 이상일 경우 이벤트로 판정하고 200㎳의 시작시간을 이벤트 시작점으로 하고 그때 측정된 누전전류를 실효값이 아닌 ‘peak to peak values’로 저장한다. 최초 이벤트 발생 이후 다시 200㎳ 동안 누전전류 실효값 평균을 측정하고 그 값이 문턱값 이하일 경우 그 200㎳의 시작점을 이벤트 종료로 판정하며 역시 ‘peak to peak values’로 저장한다.

‘이벤트(피크값)’의 경우 설정된 순시값의 문턱값 이상이 검출되면 그 시간을 200㎳의 시작시간, 즉 이벤트 시작점으로 간주하며 시작 이후 200㎳ 동안 이벤트가 검출되지 않을 경우 그 두 번째 200㎳의 시작점을 종료시간으로 한다. 이벤트의 크기는 순시값이 아닌 ‘peak to peak values’로 저장된다. ‘이벤트(상한값)’과 ‘이벤트(피크값)’의 차이는 전자의 경우 설정된 실효값의 문턱값이 약 200㎳ 동안 지속되어야 이벤트로 판정되며 후자의 경우 설정된 순시값 이상이 발생하면 그 지속시간과 무관하게 이벤트로 판정된다. 기록된 ‘이벤트(상한값)’과 ‘이벤트(피크값)’은 그 시작과 종료 시 측정된 값으로 ‘이벤트(상한값)’은 실효값 기준이므로 발생한 일시 누전전류의 지속시간은 약 16㎳로 추정되며 ‘이벤트(피크값)’의 최소 지속시간은 24.4㎲, 최대 지속시간은 알 수 없다. 또한 이벤트의 지속기간 중 발생한 최대 ‘peak to peak values’ 역시 알 수 없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이벤트 시작점에서 측정된 값을 최대값으로 간주하였다.

일시 누전전류에 대한 국제 공통 용어의 부재로 본 연구에서는 ‘이벤트(상한값)’ 발생 시 측정된 일시 누전전류는 ‘temporary residual current (TRC)’로, ‘이벤트(피크값)’ 발생 시 측정된 일시 누전전류는 ‘instantaneous residual current (IRC)’로 표기하였다.

Table 5. KEW5050SE specifications

Measure--ments

-leakage current with resistive components only

-leakage current with basic wave of 50/60 ㎐ only

-leakage current including harmonic components

Recording interval

200/400㎳/1/5/15/30s/1/5/15/30/60/120m

Range

10/100/1000㎃/10 A(AUTO)

Accuracy

±0.2%

measure--ment method

sampling speed 40.96 kS/s(every 24.4㎲), gapless, calculate TRMS values every 200㎳

Table 6. Clamp sensor KEW8177 specifications

Rated current

10A(RMS) AC

Range

0 ~ 10 A AC

Accuracy

±1.0%(40 ~ 70 ㎐)

±4.0%(30 ~ 5 ㎑)

2.3.2 감도전류 시험

차단이 발생한 2기의 CBR에 대한 오작 여부(I△NO 이하 차단)를 판단하기 위하여 I△N 시험을 제조사측 공장 시험으로 실시하였다. Fig. 1, 2에 시험 회로의 구성과 시험 결과를 나타내었다. 시험 결과, 2기의 CBR 모두 누전전류 실효값, 약 24㎃ 에서 동작하였으므로 관련한 한국산업 규격인 ‘KS C 4613: 2019(산업용 누전차단기)’ 에 적합하다. 그러므로 I△NO 이하에서 발생한 CBR 차단 원인이 외부 요인, 즉 전원 환경이나 부하에 있음을 알 수 있다.

Fig. 1. Setup for testing CBRs’ residual non-operating current
../../Resources/kiiee/JIEIE.2021.35.12.029/fig1.png

Fig. 2. Results of testing CBRs’ residual operating currents
../../Resources/kiiee/JIEIE.2021.35.12.029/fig2.png

2.3.3 누전전류 분석

누전전류는 CBR의 주회로에 흐르는 상(phase)과 중성선(neutral) 전류의 벡터합이다. 상과 중성선의 위상차(phase angle difference)는 이상적인 경우 180도를 유지하므로 부하측에 대지누설 및 지락고장전류가 없다면 누전전류는 ‘0(zero)’이다. 그러나 임피던스 부정합, CBR 내부 영상변류기의 포화 등 물리적 현상으로 영상변류기 2차측으로 출력이 발생한다(19). 또한 PC 등의 전원공급용 SMPS는 전원측 노이즈로부터 내부 회로 보호와 내부 회로 스위칭 노이즈의 전원측 유출 방지를 위하여 내부 노이즈 필터(internal noise filter) 회로가 필요하며 이 회로의 Y형 콘덴서(Y-capacitors)는 대지누설전류의 주요 발생원이며 SMPS의 수가 증가할수록 대지누설전류는 증가한다(20).

CBR의 원치 않는 차단이 발생한 시간과 횟수는 주중 16시 30분경 3회, 18시 30분경 2회이며 그 발생 주기는 약 1개월이다. 그러므로 차단이 발생한 회로에 대한 누전전류 분석을 주중 8시부터 20시까지 총 20일간 측정하였으며 Fig. 3으로 1일 12시간 측정결과의 예시를, Table 7로 그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벤트 문턱값은 ‘이벤트(상한값)’의 경우 CBR의 차단이 발생한 당시의 누전전류 실효값을 고려하여 13㎃, ‘이벤트(피크값)’은 CBR I△N를 고려하여 30㎃로 설정하였다.

누전전류 실효값과 대지고장전류는 모든 경우 Fig. 3과 같이 업무 시작시간대에 상승하고 업무 종료시간대에 감소한다. 그러나 TRC, IRC는 Fig. 3, Table 7과 같이 누전전류 및 대지고장전류의 증감과 무관하게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Fig. 3의 실선은 최대 누전전류 실효값이 발생한 시점이며 화살표 내부에 각 항목별 측정값을 표기하였다. 점선으로 최대 TRC가 발생한 시점을 나타내고 화살표 내부에 각 항목별 측정값을 기록하였다. 누전전류 및 지락고장전류는 실효값이며 TRC와 IRC는 ‘peak to peak values’이다.

Table 7과 같이 최대 누전전류 실효값은 16.5㎃으로 5월 13일 16시 20분경에 발생하였으나 선행한 I△N 시험 결과를 고려하면 그 최대 실효값은 CBR의 원치 않는 차단의 원인이 될 수 없다.

Table 7, 8과 같이 13㎃ 이상의 누전전류가 1분 200㎳ 동안 지속되고 그 시작점에서 측정된 TRC가 279㎃인 최대 ‘이벤트(상한값)’가 6월 28일 16시 42분경에 발생하였다. 또한 184㎃의 최대 IRC가 6월 23일 8시 36분경에 발생하였다. 그러나 발생한 최대 TRC, IRC가 CBR의 원치 않는 차단을 유발하는지 알 수 없다. 첫째, TRC, IRC와 관련한 CBR의 동작 특성이 제조사로부터 알려지지 않았다. 둘째, 측정된 TRC와 IRC를 모의할 수 있는 즉, 고유 누전전류 인가 후 양극성 일시 누전전류의 크기와 지속시간을 모의하여 인가할 수 있는 ‘누전전류 발생기(residual current generator)’의 부재는 원치 않는 차단의 원인 규명을 곤란하게 한다. 단지 일시 누전전류와 관련한 참고도서에 따르면, 수 µs ∼ ㎳의 지속시간과 수 A의 크기로 발생할 수 있는 일시 누전전류는 필터 회로를 갖는 SMPS 등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누전차단기류의 원치 않는 동작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해외 제조사들은 이러한 일시 누전전류에 대한 불필요한 동작의 예방을 위해 누전차단기류의 동작을 일시적으로 지연하는 기술 등을 적용하고 있다[1-7, 16]. 그러므로 측정된 TRC 및 IRC는 원치 않는 차단의 한가지 원인이 될 수 있음을 추정할 수 있다.

Fig. 3. Example: trends of residual currents including TRC and IRC measured at the CBRs unwanted tripping circuit(28th June, 2021)
../../Resources/kiiee/JIEIE.2021.35.12.029/fig3.png

Table 7. Results of measuring residual current with TRC and IRC at the CBR tripping circuit

Date

(Max.) residual current [㎃] (emergence time)

with harmonic

TRC

IRC

3. 26.

12.7(10:34:00)

47(08:59:26)

61(09:55:38)

3. 29.

12.7(10:34:00)

38(09:00:53)

59(16:30:27)

5. 13.

16.5(16:20:48)

-

-

5. 21.

16.4(08:52:38)

-

-

5. 27.

15.7(08:33:42)

-

-

5. 31.

15.6(08:57:15)

-

-

6. 2.

13.9(08:50:13)

-

-

6. 7.

12.8(08:44:14)

-

-

6. 15.

15.4(08:39:51)

257(16:44:18)

-

6. 16.

13.4(08:45:09)

58(08:44:34)

84(19:48:15)

6. 17.

11.6(08:46:20)

-

40(18:21:40)

6. 21.

13.4(13:25:18)

114(13:23:29)

43(19:03:16)

6. 22.

13.6(14:22:16)

-

-

6. 23.

11.9(08:41:51)

-

184(08:36:06)

6. 24.

13.7(08:45:46)

-

34(19:38:58)

6. 25.

10.6(08:40:48)

-

-

6. 28.

16.1(16:42:17)

279(16:42:17)

64(19:29:59)

7. 28.

9.8(08:26:21)

-

153(08:01:25)

8. 2.

11.7(09:58:38)

-

171(08:47:05)

8. 3.

11.9(08:46:02)

-

101(08:55:42)

Table 8. TRC events upper 200㎃

Emergence time

Start

/End

RC

[A]

+TRC

[A]

-TRC

[A]

Peak to peak[A]

16:44:18.068

Start

0.013

0.125

-0.132

0.257

16:44:18.268

End

0.012

0.066

-0.068

0.134

16:42:16.810

Start

0.015

0.140

-0.139

0.279

16:42:18.010

End

0.013

0.025

-0.028

0.053

CBR의 원치 않는 차단이 발생한 회로에서 측정된 TRC, IRC의 특이점 확인을 위하여 CBR의 차단이 발생하지 않는 3개의 회로를 CBR 차단 회로와 비교하였다. 비교를 위해 선정된 회로는 최대 누전전류 실효값이 15㎃ 이상이고 동일한 전원공급 설비, 즉 동일한 변압기와 배전설비를 사용하며 부하로 PC를 사용하는 회로가 선택되었다. 비교 회로의 누전전류는 CBR 차단이 발생한 회로와 동일하게 주중 8시부터 20시까지 20일간 측정되었으며그 결과는 Table 9와 같다.

Table 9. Comparison of unwanted tripping circuit with other circuits

Measurement values

Tripped circuit

Circuit 1

Circuit 2

Circuit 3

Residual current (Max.)

[㎃]

with harmonic

16.5

15.3

21.5

19.1

without harmonic

15.8

14.3

20.3

17.8

earth fault

current

1.8

1.6

2.6

3.3

RMS (avg)

13.3

13.1

19.9

18.2

TRC

279

43

103

65

IRC

184

148

275

177

V RMS (avg) [V]

220.3

220.0

220.2

220.3

I RMS (avg) [A]

11.3

10.2

14.5

12.6

load

PC sets

26

22

34

29

누전전류 분석 등을 통하여 확인된 사항은 다음과 같다.

․ 차단이 발생한 CBR의 I△N 시험 결과, 24㎃ 이하의 누전전류 실효값은 CBR의 차단원인이 될 수 없다.

․ 고조파로 인한 누전전류 실효값의 증가는 Table 9와 같이 최소 4\%(tripped circuit), 최대 7\%(circuit 2)이다.

․ 차단 회로와 비차단 회로의 누전전류 추이를 비교한 결과, IRC는 CBR 미차단 회로(circuit 2)에서 더 큰 값이 측정되었으므로 IRC는 원치 않는 차단의 원인이 될 수 없다.

․ 차단 회로와 비차단 회로의 누전전류 추이를 비교한 결과, TRC에서 특이점이 발견되었다. KEW5050SE의 제한적 기능으로 TRC의 정확한 지속시간과 최대 실효값은 확인할 수 없으나 CBR의 원치 않는 차단이 발생한 회로에는 지속시간 약 16㎳, peak to peak value 279㎃(실효값 약 99㎃)의 TRC가 약 1초 200㎳의 지속시간을 갖는 13㎃ 이상의 고유 누전전류에 중첩하는 것을 알 수 있다. CBR의 원치 않는 차단이 발생한 시간대, 약 16시 30분과 약 18시 30분인 것과 Table 7의 TRC 발생시점을 고려하면 차단 원인으로 추정할 수 있는 TRC는 257(6월 15일), 279㎃(6월 28일)이다. 미차단 회로에서도 TRC 최대 43㎃(실효값 약 15㎃)가 측정되었으나 이는 CBR의 I△N 이하이므로 원치 않는 차단의 원인이 될 수 없다.

․ 차단 원인의 규명을 위해 직원별 사무용 부하측으로 설치된 13기의 CBR 부동작을 통하여 TRC만으로는 CBR의 차단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원치 않는 차단의 원인은 고유 누전전류에 중첩된 TRC임을 논리적으로 추정할 수 있다. 결과로, CBR의 원치 않는 차단 원인은 13㎃ 이상의 고유 누전전류에 중첩된 최대 279㎃의 TRC로 추정된다.

2.4 전력품질 분석

2.4.1 계측기 사양

전력품질 분석을 위해 Fluke사의 435II(current clamp: i30s)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도입한 i30s 전류 클램프는 AC뿐만 아니라 DC 전류와 고조파 등으로 인한 왜곡 파형에 대한 높은 분해능과 정확성을 위해 개발되었다. 그 주요 사양은 Table 10, 11과 같다(21).

Fig. 4. Setup for the measurement both power qualities and residual currents
../../Resources/kiiee/JIEIE.2021.35.12.029/fig4.png

Table 10. Fluke 435 II specifications

Bandwidth

> 10kHz, up to 100kHz for Transients mode

Resolution

16 bit analog to digital converter on 8 channels

Max. sampling

200kS/s(every 5㎲)

Range

Resolution

Accuracy

VRMS

1-600V

0.01V

± 0.1%

ARMS

(see Table 10)

Crest factor

1-10

0.01

± 5%

Harmonic order

DC, 1-50 Grouping

Amps absolute

0-600A

0.1A

± 5%

Table 11.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i30s AC, DC current clamps

Current range

Accuracy

Resolution

Frequency range

Response time

30㎃~

20A

± 1%

(at 25 °C)

± 1mA

DC to

100kHz

Better than 1µs

2.4.2 전력품질 분석

TRC, 누전전류의 발생과 전력품질간의 연관성 확인을 위해 CBR 차단이 발생한 회로의 전력품질과 누전전류를 Fig. 4와 같이 20일간 동시에 측정하고 그 추이를 비교하였다. 전압, 전류, 직류 전류, 절대값 전류 및 파고율, 고조파 및 고조파 위상이 측정되고 분석되었다. 전력품질은 상과 중성선 동시에 측정되었으며 벡터합은 전력품질 측정값을 이용하여 산정하였다.

전력품질 측정을 위해 전력분석기의 로거(logger) 기능을 사용하였으며 저장 간격은 1분, 측정시간은 누전전류 측정과 동일하게 8시부터 20시까지로 설정하였다. 전력분석기는 측정 항목을 40㎲(416 samples per cycle) 단위로 측정하여 1분 단위로(최소 설정값: 200㎳)최대, 최소 및 평균값을 저장하므로 측정 항목의 최대 지속시간을 알 수 없다. 단지 그 최저 지속시간은 40㎲이다.

Fig. 5-9, Table 12로 20일 동안의 측정 결과 중 6월 15일의 측정결과 예를 나타내었다. 그림의 실선은 최대 누전전류 실효값과 전력품질 비교를 위해, 점선은 TRC와 전력품질 비교를 위해 표시하였다. 측정결과, 최대 TRC 그리고 최대 누전전류 실효값의 발생은 전력품질과 무관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CBR의 원치 않는 동작의 원인은 전원 환경이 아닌 부하측에 있음을 알 수 있다.

․ 전압 최대 실효값(effective value) 및 평균값: SMPS 대지누설전류의 주발생원은 EMI 또는 EMC 필터의 Y형 콘덴서이며 이 콘덴서에서 누설되는 누전전류의 양은 전원공급측의 전압 및 주파수 변동에 영향을 받는다(22). 그러므로 Fig. 5와 같이 전압 변동 추이를 측정하였으나 PC 등 정보통신기기의 요구 입력 전압인 100 ∼ 254VAC에 ‘적합’하고 전압 최대 및 최소값의 변동 시점과 최대 TRC 및 누전전류 실효값의 발생 시점은 상이하다. 그러므로 최대 누전전류 실효값과 TCR의 발생은 전압 변동과 무관하다.

Fig. 5. Trends for residual currents and voltage
../../Resources/kiiee/JIEIE.2021.35.12.029/fig5.png

․ 부하전류(전류 최대 실효값 및 평균값): 누전전류 실효값의 증감 추이는 부하전류의 증감 추이와 유사하나 정확히 일치하지 않는다. 부하전류 벡터합의 최대값 발생 시 누전전류 실효값의 최대값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Fig. 6, Table 11과 같이 각 최대값 발생 시점이 상이하다. 그러므로 최대 누전전류 실효값과 최대 TCR의 발생은 최대 부하전류 및 그 최대 벡터합과 무관하다.

Fig. 6. Trends for ACs
../../Resources/kiiee/JIEIE.2021.35.12.029/fig6.png

․ 직류 전류: SMPS에서 발생하는 직류분 누전전류, 즉 맥동 직류 누전전류 및 평활 직류 누전전류는 CBR의 원치 않는 차단 또는 감도 전류 이상에서의 차단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그 추이를 측정하였다. 이상적인 경우 부하전류 등과 같이 상과 중성선에서의 직류 전류의 합은 ‘0(zero)’가 될 것이나 Fig. 7과 같이 모든 경우 ± ‘0’가 되는 것이 아니며 최대 지속시간은 알 수 없으나 최소 40㎲의 지속시간을 가지며 그 합이 A형 CBR의 시험 및 검사 등을 정의하는 KS C IEC 60947-2(2016)에 명시된 6㎃ 이상의 직류누전 전류가 발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과 중성선 그리고 그 합의 최대값 발생 시점과 최대 누전전류 실효값 및 TRC의 발생시점이 상이하다. 즉 최대 누전전류 실효값과 TCR의 발생은 최대 직류전류 및 그 최대합의 발생과 무관하다.

Fig. 7. Trends for DCs
../../Resources/kiiee/JIEIE.2021.35.12.029/fig7.png

․ 절대값(absolute value, peak to peak) 전류 및 파고율: 절대값 전류 역시 상과 중성선의 벡터합으로 상쇄되어 그 크기가 크게 감소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누전차단기의 차단 민감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진 파고율 역시 상과 중성선의 벡터합이므로 역시 상쇄되어 상이나 중성선의 값보다 크게 감소된다. 또한 그 벡터합의 최대값 발생 시점과 누전전류 실효값 및 TRC의 최대값 발생시점은 상이하다. 즉 최대 누전전류 실효값과 TRC의 발생은 최대 절대값 전류, 파고율 및 그 벡터합과 무관하다.

Fig. 8. Trends for A peak to peak and CF
../../Resources/kiiee/JIEIE.2021.35.12.029/fig8.png

․ 고조파 전류 실효값 및 위상차: 누전차단기의 차단 민감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진 고조파 전류 함유율(percentage-to-fundamental: \%f)은 기본파 전류 또는 1차 고조파에 대한 고조파 차수의 백분율이므로 부하전류가 낮은 업무 시작 및 종료 시간대에 증가하여 누전전류의 증감과 무관하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고조파 전류 실효값을 측정하였다. CBR의 차단에 영향을 주는 것은 상과 중성선의 고조파가 아닌 고조파 전류의 벡터합이므로 Fig. 9에 벡터합을 포함한 고조파 전류 추이와 누전전류 추이를 비교하였다. 고조파 전류 역시 부하전류 등과 동일하게 그 위상차는 대부분의 경우 약 180를 유지하고 상쇄되어 그 값은 상과 중선선의 고조파 전류 실효값에 비하여 크게 감소됨을 알 수 있다. 각 차수별 고조파의 위상차는 12시간 평균값으로 3차, 7차의 경우 0.01, 5차 0.10로 나타났다.

상과 중성선의 최대 고조파 전류 실효값, TDD, 차수별 벡터합 그리고 최대 차수별 상과 중성선의 위상차 발생 시점과 누전전류 실효값 및 TRC의 최대값 발생시점은 상이하다. 즉 최대 누전전류 실효값과 TRC의 발생은 고조파와 관련한 전력품질과 무관하다.

Fig. 9. Trends for harmonics
../../Resources/kiiee/JIEIE.2021.35.12.029/fig9.png

Table 12. Comparison between residual currents and power qualities

Measurement

Emergence time

Value

Residual current, RMS

08:39:51

15.432㎃

TRC, peak to peak

16:44:18

257㎃

V RMS

maximum

12:18:00

220.16V

average

-

216.87V

minimum

14:14:00

214.01V

A RMS

phase

11:09:00

10.552A

neutral

11:09:00

10.615A

summation

08:36:00

-183㎃

ADC

phase

09:04:00

775㎃

neutral

08:37:00

506㎃

summation

09:04:00

848㎃

A

peak to peak

phase

08:37:00

42.642A

neutral

08:50:00

42.300A

summation

08:36:00

-4.240A

crest factor

phase

08:11:00

8.94

neutral

08:11:00

8.96

summation

08:36:00

-0.57

Harmonic A RMS

3th

phase

09:29:00

2.863A

neutral

09:29:00

2.882A

summation

08:11:00

-33㎃

5th

phase

09:40:00

3.613A

neutral

09:40:00

3.633A

summation

09:28:00

-21㎃

7th

phase

09:57:00

1.474A

neutral

09:57:00

1.483A

summation

08:36:00

-35㎃

Harmonic phase difference

3th

phase

19:57:00

129.64θ

neutral

-49.98θ

difference

0.38θ

5th

phase

12:04:00

-33.4θ

neutral

-213.54θ

difference

-0.14θ

7th

phase

19:59:00

135.2θ

neutral

-44.7θ

difference

-0.1θ

3. 결 론

본 연구의 목적은 A형 CBR에서 발생한 원치 않는 차단 현상의 원인 규명이다. 원치 않는 차단은 고조파를 포함한 누전전류 실효값 약 13㎃에서 발생하였다. 연구 결과, CBR의 원치 않는 차단 원인은 약 13㎃ 이상의 고유 누전전류에 중첩된 TRC로 추정된다. 측정된 TRC의 실효값은 40 ∼ 99㎃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추가로 확인된 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최소 24.4㎲의 지속시간을 갖는 실효값 약 97㎃ IRC가 200㎳의 지속시간을 갖는 약 21㎃의 고유 누전전류 중첩할 경우 CBR은 동작하지 않는다. 둘째, 최대 누전전류 실효값의 발생과 최대 TRC의 발생 사이에는 연관성이 없다. 셋째, 누전전류 실효값의 증감 추이는 부하전류 증감 추이와 정확히 일치하지 않는다. 마지막으로 최대 누전전류 실효값의 발생과 전력품질 요소(전압, 전류, 직류 전류, 절대값 전류 및 파고율, 고조파 및 고조파 위상)사이의 연관성은 선행된 연구들과는 다르게 발견되지 않았다.

TRC, IRC에 대한 CBR의 동작 특성은 제조사로부터 알려지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TRC를 모의할 수 있는 즉, 고유 누전전류 인가 후 양극성 TRC의 크기와 지속시간을 모의하여 인가할 수 있는 ‘누전전류 발생기(residual current generator)’의 부재로 본 연구 결과의 진위를 명확히 확인할 수 없다. 그러나 본 연구는 지금까지 국내에 알려지지 않는 TRC로 인한 CBR의 원치 않는 차단과 관련한 첫 번째 현장 연구 결과로 향후 누전차단기류의 사용자 등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References

1 
Schneider Electric , 2021, Earth Fault ProtectionGoogle Search
2 
Schneider Electric , 1999, Residual Current Devices in LVGoogle Search
3 
ABB , 2015, Protection against Earth Faults with Residual Current DevicesGoogle Search
4 
ABB , 2015, RCDs Technical DetailsGoogle Search
5 
ABB , 2015, Residual Current Protection without Unwanted TrippingGoogle Search
6 
EATON , 2017, Residual Current DevicesGoogle Search
7 
SIEMENS , 2012, Residual Current Protective DevicesGoogle Search
8 
Czapp Stanislaw, 2020, Testing Sensitivity of A-Type Residual Current Devices to Earth Fault Currents with Harmonics, Multidisciplinary Digital Publishing Institute (MDPI), sensors 2020, 20, 2044, pp. 1-20DOI
9 
Lim Keun-Ha, Choa Sun-hoon, 2017, Effect of Harmonics Generation from LED on Earth Leakage Breaker,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II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Vol. 31, No. 4, pp. 71-79Google Search
10 
Xiang Y., Cuk V., Cobben J., 2011, Impact of Residual Harmonic Current on Operation of Residual Current Devices, in Proceedings of 10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nvironment and Electrical Engineering (EEEIC), pp. 8-11DOI
11 
Luo X., Wang X., Chen M., 2011, Tripping Characteristics of Residual Current Devices under Nonsinusoidal Currents, IEEE Transactions on Industry Applications, Vol. 47, No. 3, pp. 1515-1521DOI
12 
Jeon g-Chay, Lee Sang-Ick, Yoo ae-Geun, 2006, Effect of Harmonics on Residual Current Protective Device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II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Vol. 20, No. 3, pp. 84-89DOI
13 
Oh Hun, Jeon Jeong-Chay, 2018, The Behavior Characteristics and Malfunction of Residual Current Circuit Breaker under Harmonic Condi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Pure and Applied Mathematics, Vol. 118, No. 19, pp. 1535-1545Google Search
14 
Czapp Stanislaw, Borowski K., 2013, Immunity of Residual Current Devices to the Impulse Leakage Current in Circuits with Variable Speed Drives, E LEKTRONIKA IR ELEKTROTECHNIKA, ISSN 1392-1215, Vol. 19, No. 8Google Search
15 
AMETEK , 2015, White Paper: Understanding Power Factor and Crest FactorGoogle Search
16 
Gurevich Vladimir, 2013, RCD Nuisance Tripping: Who’s Guilty and What Needs to be Done?, Global Journal of Researches in Engineering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ing, Vol. 13Google Search
17 
Escriv-Escriv G., Rold n Porta C., De Jong ECW., (2016). Nuisance Tripping of Residual Current Circuit Breakers in Circuits Supplying Electronic Loads. Electric Power Systems Research, 131:139-146DOI
18 
KYORITSU , 2020, Instruction Manual: Leakage Current Logger(KEW 5050)Google Search
19 
Registration of Patent, 10-2173348 , 2020, Earth Leakage Circuit Breaker (ELCB) and Method for Detecting Leakage current, LS ElectricGoogle Search
20 
OMRON , 2019, Technical Explanation for Power SuppliesGoogle Search
21 
FLUKE , 2012, Users ManualGoogle Search
22 
SCHAFFNER , 2017, Leakage Currents in Power Line FilterGoogle Search

Biography

Hae-Sup Shim
../../Resources/kiiee/JIEIE.2021.35.12.029/au1.png

He received M.Sc.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 Technology in 2009.

His research interests are in the areas of transient over-voltages, and lightning warnin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