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상호
(SangHo Park)
1†iD
최병철
( Byung-Chul)
2iD
임홍우
( Choi)
3iD
-
(Assistant professor, Department of Electrical & Electronic Materials Engineering,
Dongshin University, Korea)
-
(Representative, Myungryun IP & Law Firm, Korea)
-
(General Manager, New-Growth Industrial Division, Korea Testing Certification, Korea)
Copyright ©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Engineers(KIIEE)
Key words
Electric power facility, Intellectual property, IP5, Patent analysis, Renewable energy
1. 서 론
1.1 연구의 배경
2021년 코로나19 완화에 따른 경기회복으로 전력수요가 증가 추세로 전환될 전망으로, 신재생에너지 가격하락 및 보급정책 확대에 따라 신재생 발전
비중은 지속적으로 증가될 것으로 예상된다. 에너지 전환 가속화로 도소매 전력시장에 대한 개선이 본격화 될 것으로 전력망에 대한 투자 확대, 계통 유연성
확보를 위해 수요자원 활용 확대 등 다양한 이슈가 예상된다. 지난해 글로벌에너지 수요는 ‘19년 대비 6% 감소를 보였으며, 에너지원별로는 석유가
–9.5%, 석탄 –7.7%로 수요가 급격히 하락하여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8% 이상 급감하는 추세이다(1). 특히 국내의 경우 전력판매량은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소비심리, 생산활동 위축과 기후변화에 따른 온난화로 인한 겨울철 일 평균기온 상승에 따른
수요 감소로 전년 동기 대비 2.5% 감소되었다. 올해 들어 점진적 경기회복세로 국내 전력판매량은 2020년 대비 2.7% 증가, 세계 전력수요는
연평균 2% 증가가 전망된다(1).
전력설비 산업의 주요 글로벌 메이커도 코로나19의 지속적인 여파로 인하여 2020년 누적 매출은 2019년 대비 마이너스 성장을 보이고 있으며, 미국,
중국 등 주요 국가들의 수출 감소가 지속되고 있는 실정이다(2). 전 세계적으로 재생에너지 확대 등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송배전망 투자가 확대 되고 있고, 전력수요 및 재생에너지 증가에 따른 스마트그리드 필요성
증대 등에 따라서 전 세계적인 전력망 신설 및 보강을 위한 투자가 증가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3,4). 또한 주요국 대부분은 소규모 신재생 발전원의 계통 유입으로 인해 송전망 투자와 더불어 배전망에 대한 투자비 또한 지속적으로 증가 될 전망으로 관련
특허 출원도 증가하는 추세이다(4-6).
1.2 연구 방법 및 목적
특허검색 DB로는 WINTELIPS를 사용하였으며, IP5(Intellectual Property) 국가인 한국, 미국, 일본, 유럽 및 중국을 대상으로
출원공개 및 등록공고 건에 한하여 1999.1.1부터 2020.12.31까지 검색을 수행하였으며, 주요 검색 관련 기술분류는 아래의 표 1과 같다.
Table 1. Search criteria and analysis target technology classification criteria
구분
|
내용
|
검색 DB
|
WINTELIPS
|
검색 기간
|
1999.01.01. ~ 2020.12.31
|
검색 국가
|
KR, US, JP, EP, CN
|
검색 범위
|
발명의 명칭, 요약, 청구범위, 전문
|
|
대분류
|
중분류
|
소분류
|
검색개요(기술범위)
|
전력망시스템
|
전력
설비
|
Asset
Management
|
self-Healing 기술, 상태감시진단
(CMD)신기술, 활선유지보수기술을 포함
|
내부피뢰
시스템
|
배전선로 등을 뇌서지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시설
|
배전설비
|
변전소에 도달한 전력이 강압되어서 낮은 전압으로 소비자들에게 전달하는 장치
|
송변전설비
|
발전소에서 변전소까지 전력을 전달하거나 송배전 과정에서 전압을 조절하는 장치
|
표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출된 키워드를 바탕으로 검색식을 도출하고 전력설비 관련 특허 결과를 확보하였으며, 명칭, 요약, 국제특허 분류코드(IPC)를
활용하여 유효 특허 9,878건을 도출하였다. 이를 대상으로 기술 유형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검색 결과 유효 특허는 아래의 표 2와 같다.
Table 2. Valid patents derived from search results for power facility(cases)
구분
|
한국
|
미국
|
일본
|
유럽
|
중국
|
합계
|
검색결과
|
3,294
|
7,712
|
3,967
|
3,081
|
106,281
|
124,335
|
유효특허
|
494
|
1,351
|
790
|
501
|
6,806
|
9,878
|
본 논문에서는 전력망 시스템 중 전력설비와 관련한 IP5 국가의 최근 특허 출원 동향을 살펴보고 Asset management, 내부피뢰시스템, 배전설비,
및 송변전설비의 4개 소분류 기술에 대하여 정량적 특허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하여 국가별 특허 출원 현황 및 출원인별 기술경쟁력을 분석하고,
키워드 분석을 통해 최근 부상기술 등을 도출하였다.
2. 출원 동향 분석
2.1 IP5 특허 동향 분석
전력설비의 연도별-국가별 출원건을 살펴보면, 중국이 다른 IP5 국가들에 비해 활발한 특허 출원이 진행중인 것으로 분석되며, 2000년대 중후반부터
급격하게 출원건이 증가됨을 알 수 있다. 중국에 비해 다른 IP5 국가 중 미국, 일본, 한국 및 유럽 순으로 출원건이 많은 것으로 분석된다. 그림 1에서 2020년 이후 중국의 출원이 급격하게 줄어든 것으로 분석되나, 이는 특허가 출원 이후 1년 6개월 이후 공개되는 점을 감안하여야 할 것이다.
좀 더 자세한 국가별 출원건수 및 점유율 현황을 그림 2에 도시하였다. 중국이 총 6,806건(68.9%)으로 다른 IP5 국가인 한국 494건(5.0%), 미국 1,351건( 13.75%), 일본 730건(7.4%),
및 유럽 501건(5.1%)을 모두 합친 건수보다 양적으로 더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처럼 중국의 특허출원 활동이 타 국가에 비해 월등히 많은
결과는 2015년 전력산업 구조개편을 통해 전력산업에 민간자본을 도입하고 스마트그리드(SG), 에너지저장장치(ESS), 신재생에너지, 전력 ICT
융합기술 등 신기술 확대에 따른 정부의 지원 및 기업의 투자 확대의 결과로 사료된다.
Fig. 1. Application trends of year and country, respectively
Fig. 2. Patent application trends by country
Fig. 3. Trend for top applicants
전력설비에 대한 상위 출원인 TOP 5를 그림 3에 도시하였으며, 출원 비중은 중국 국영 전력회사인 STATEGRID CORP CHINA가 980건, 10.2%로 가장 많은 특허를 출원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일본의 TOSHIBA는 177건으로 1.8%, HITACHI 102건으로 1.1%, 미국의 GENERAL ELECTRIC은 89건으로
0.9%, 일본의 MITSUBISHI ELECTRIC은 81건으로 0.8%의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전력설비 내 4개의 기술분야 중 부상기술 확인을 위해 활동력과 기술력 지수를 활용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일반적으로 특허증가율과 시장확보력으로 활동력지수를
정하고, 특허인용율, 주요국 특허확보율, 및 등록특허의 평균 청구항 수로 기술력 지수를 평가하였으며, 아래 표 3에 분석지표를 도시하였다.
Table 3. Activity and technology analysis indicator
분석지표
|
내용
|
활동력
|
특허증가율
|
3, 4구간의 특허증가율
|
시장확보력
|
전체구간 PFS, 4구간 PFS
|
기술력
|
특허인용율
|
전체구간 피인용지수 (미국등록특허 대상)
|
특허확보율
|
전체구간 삼극특허 지수(한국, 미국, 일본, 유럽, 중국)
|
특허청구항수
|
전체구간 등록특허 평균 특허청구항 수
|
전력설비 4개 소분류 기술중 특허증가율을 살펴보면, Asset management 분야가 126.1%로 가장 많은 증가 추세를 보이며, 송변전설비,
내부피뢰시스템, 배전설비 순으로 증가율을 보이고 있다.
Table 4. Patent growth rate by technology
기술
|
증가율
|
3구간
|
4구간
|
증가율
|
Asset Management
|
403
|
911
|
126.1%
|
송변전 설비
|
1,365
|
2,917
|
113.7%
|
내부피뢰시스템
|
232
|
440
|
89.7%
|
배전 설비
|
299
|
422
|
41.1%
|
세부 기술별 시장확보력(PFS, Patent Family Size)을 살펴보면 Asset Management 분야가 점유율비 91.0% 수준으로 패밀리특허가
많아 시장성 확보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송변전설비, 배전설비, 내부피뢰시스템 순으로 분석되었다. 일반적으로 시장확보력 점유율이 높을수록
상대적으로 시장확보가 용이하고 반대로 낮은 경우 시장 확보력이 낮은 것으로 평가된다.
Table 5. Market capability by technology(PFS)
기술
|
시장확보력(PFS*)
|
전체
|
4구간
|
점유율비
|
Asset Management
|
1.46
|
1.32
|
91.0%
|
송변전 설비
|
1.93
|
1.40
|
72.5%
|
배전 설비
|
2.77
|
1.97
|
71.3%
|
내부피뢰시스템
|
2.06
|
1.43
|
69.4%
|
* Patent Family Size : 패밀리 특허 점유율비가 높은 것은 특허를 통한 시장성이 크다고 판단되어 시장확보력이 상대적으로 큼을 의미
|
기술력지수를 살펴보면, 특허인용율, 삼극특허, 특허 청구항 수 등 모든 지표에서 배전설비의 기술력 지수가 가장 높게 분석되며, Asset Management(7)는 활동력지수와 반대로 기술력지수는 가장 낮은 수준으로 나타나고 있다. 기술력지수는 피인용도가 높을수록 상대적으로 기술력이 강한 기술을 의미한다.
Table 6. Index for technology
기술
|
기술력지수
|
특허인용율
|
삼극특허
|
특허청구항수
|
배전 설비
|
15.3
|
23.7%
|
13.6
|
내부피뢰시스템
|
13.6
|
12.4%
|
8.7
|
송변전 설비
|
10.7
|
12.6%
|
8.2
|
Asset Management
|
12.2
|
7.6%
|
7.5
|
2.2 최근 Trend 특허 기술 분석
최근 출원이 급증하는 2개 분야의 keyword를 분석을 통해 무선 전력전송·충전기술과 초고압직류송전(DC) 기술이 부상기술로 도출되었다. 무선 전력전송·충전기술
중 주요 핵심 요소기술로는 고효율 마이크로파 변환기술, 다중기기 무선 전력전송 기술, 근거리 무선충전 인프라 기술, 중장거리 고효율 무선전력전송 기술,
장거리 대용량 무선전력 전송시스템 및 초소형 고효율 자기 결합 무선 전력전송 기술 등이 활발한 특허 출원 활동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중 무선전력
전송·충전기술은 삼성전자, 퀄퀌 둥 개인 휴대용 소형 기기의 무선 충전기술 등으로 기 확보된 요소기술에 집중하여 출원이 급등한 것으로 분석된다.
무선전력전송·충전기술의 상위 출원인은 삼성전자(한국), Qualcomm(미국), Toyota(일본), LG이노텍(한국), Panasonic(일본)
순으로 분석되었다.
Table 7. Top applicant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nd charging technology
순위
|
출원인
|
전체
|
3구간
|
4구간
|
1
|
삼성전자(한국)
|
1,657
|
760
|
861
|
2
|
QUALCOMM(미국)
|
1,335
|
621
|
631
|
3
|
TOYOTA MOTOR(일본)
|
1,071
|
457
|
519
|
4
|
엘지이노텍(한국)
|
981
|
274
|
707
|
5
|
PANASONIC(일본)
|
767
|
276
|
491
|
전세계적으로 탄소중립을 준비하기 위한 재생에너지 보급이 확대되며 직류송전기술에 대한 기술개발 및 실증 등이 활발이 이루어 지고 있다. 이중 초고압직류송전기술(HVDC)
관련(8) 기술 또한 부상기술로 도출되었다. 직류송전 기술의 주요한 출원 기술은 HVDC 계통해석, HVDC 통합운영, MVDC 적용 계통해석, UHVDC
송전기술과 해저케이블과 전력변환 기술 등으로 분석되었다.
직류 송전기술의 상위출원인은 한국의 LS산전이 가장 많은 특허를 출원하고 있으며 가장 높은 특허활동지수 및 기술 경쟁력을 보유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able 8. Top applicants for DC transmission technology
순위
|
출원인
|
전체
|
3구간
|
4구간
|
1
|
LS산전(한국)
|
81
|
5
|
76
|
2
|
STATEGRID CORP CHINA(중국)
|
35
|
15
|
320
|
3
|
SIEMENS(독일)
|
18
|
3
|
30
|
4
|
UNIV SICHUAN(중국)
|
11
|
1
|
10
|
5
|
ABB(스위스)
|
8
|
3
|
5
|
그 외 부상기술로는 스마트그리드의 필수적인 부품으로 지속적인 전압을 조절하고 전력 변동으로부터 전기장비를 보호하기 위한 스마트 변압기(9)에 대한 출원이 연평균 10% 이상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3. 결 론
IP5 국가의 전력설비와 관련된 정량적인 출원건수를 분석해보면, 중국이 2000년도 중후반부터 출원이 급격하게 증가하며, 가장 활발한 특허 출원 활동을
보이고 있으며, 미국, 일본, 한국 및 유럽 순으로 특허 출원 활동이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정량적 특허 증가율을 살펴보면, Asset management 분야가 가장 많은 증가 추세를 보였으며, 기술력지수를 살펴보면, 특허인용율, 삼극특허,
특허청구항 수 모두 배전설비의 기술력 지수가 가장 높게 분석되었다. 이는 기 구성된 국가 전력 송전망 보다는 신재생발전원의 증가에 따른 배전망에서의
전력설비 관련 산업에서의 지식재산 생산활동이 주로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부상기술 중 무선전력 전송·충전기술은 삼성전자, 퀄컴 등 통신관련 기업이 상위 출원을 보였으며, 고압직류송전 기술이 주요 출원으로 증가되는 것으로
분석되는데, 이의 주된 원인은 글로벌 재생에너지 발전원의 지속적인 증가에 따른 기업들의 활발한 연구개발 및 시장 진출에 따른 것으로 예측된다.
상기 사항을 종합하여 볼 때 국내 전력설비의 정량적 특허 경쟁력은 다소 상위권에 다수 포함되어 있고, 부상기술에 대한 국내 기업이 상위 출원을 점유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 되나, 글로벌 특허 경쟁력을 가지기 위해서는 영업활동을 영위하는 개별 기업이 자사 제품과 관련된 세밀한 특허 기술 맵핑(Mapping)
분석을 통해 특허 경쟁력을 분석하고, 권리범위에 대한 보완이 매우 중요하다 하겠다. 특히 내수시장의 포화로 전세계 시장으로 진출 확대가 필요한 국내
전력설비 기업의 경우 수출 대상 국가에 특허 출원 등 도전적인 산업지식재산 활동을 통해 경쟁국 기업의 특허침해 소송에 선제적인 특허 권리 확보가 우선
되어야 할 것이다.
Acknowledgements
이 연구는 산업통상자원부(MOTIE)와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KETEP)의 지원(No. 20215410100030)과 고압전선 국제 상호인정(인증)
시험평가 기반 및 체계 구축(No. 20204400000030)의 지원에 의해 수행된 연구임.
References
Kwon Y. O., 2020, KEMRI Economy for Electricity REVIEW 2020, KEPCO Management Research
Institute, Vol. 2, pp. 1-11
Korea Electrical Manufactures Association(KOEMA) , 2020, Electricity Industry Trends
and Prospects in 2021
International Energy Agency(IEA) , 2020, World Energy Outlook 2020
Ministry of Trade , Industry and Energy(MOTIE) , 2021, Distributed Energy Revitalization
Promotion Strategy
Kim C. H., 2020, A Study on Regional Implementation Plan of Distributed Power Policy,
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Korea Intellectual Property Strategy Agency ,
2020, Electricity-Nuclear Patent Mega-trend Analysis Report
Schneider J., 2006, Asset Management Techniques, International Journal of Electrical
Power & Energy Systems, Vol. 28, No. issue 9, pp. 643-654
Alassi A., 2019, HVDC Transmission Technology Review Market Trends and Future Outlook,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Vol. 112, pp. 530-554
Rodrigues J., Moreira C., Lopes J.P., 2020, Smart Transformers as Active Interfaces
Enabling the Provision of Power-Frequency Regulation Services from Distributed Resources
in Hybrid AC/DC Grids, Applied Sciences, Vol. 10, pp. 1433-1434
Biography
He received the Ph.D. in Chemical Engineering from Hanyang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in 2005.
He is currently professor at Dongshin University.
Recently, his technical interests are in next-generation battery, Battery recycling,
and safety for EV, ESS system.
He received the Ph.D. in Energy Engineering from Ajou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in 2003.
He is currently patent attorney at Myungryun IP & Law Firm.
Recently, his technical interests are in renewable energy, and secondary battery.
He received the Ph.D.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Chosun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in 2004.
He is currently General Manager at Korea Testing Certification Institute.
Recently, his technical interests are in safety for Renewable Energy system and testing
certification manu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