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ISO Journal TitleJ Korean Inst. IIIum. Electr. Install. Eng.

  1. (M.S. Student, Ph.D. Student, Deep Learning Architecture Research Center, Dept. of Architectural Engr., Sejong University, Korea)
  2. (CEO, Sehong Inc., Ltd., Korea)
  3. (Assistant professor, Dept. of Architectural Engr.,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Korea)



Coefficient of friction, Damage prevention, Finite element analysis, Vibration attenuation, Wireway-pulley system

1. 서 론

1.1 연구의 배경

우리나라에서 지진발생은 2016년 경주 9.12지진을 비롯하여 3.0 이상의 지진이 크게 증가하여 지난 10년간 연평균 41회를 상회하고 있다. 그림 1과 같이 2016년과 2017년에 국내 지진(규모 2.0 이상) 발생 횟수는 크게 증가하여 사회적, 경제적으로 지진재해에 대한 준비가 필요함을 알려주었다. 2017년에 발생한 지진 중 가장 큰 규모의 지진은 11월 15일 경북 포항시 북구 북쪽 8km 지역에서 발생한 규모 5.4 지진이다. 이 지진으로 전국 대부분의 지역에서 지진을 감지하였으며, 경북지역에서 최대 진도 VI로 기록되었고, 강원, 경남, 대구, 부산, 울산, 충북지역에서도 진도 IV가 감지되었다. 2016년 경주 9.12지진(규모 5.8) 및 2017년 포항지진(규모 5.4)의 발생은 지진재해에 대한 국민 불안감을 증대하였고 국가차원에서 지진재난으로부터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고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대책이 필요함을 알려주었다.

Fig. 1. Occurrence rate of earthquakes in South Korea(Korea Meteorological Adm.,2019)
../../Resources/kiiee/JIEIE.2021.35.12.045/fig1.png

Fig. 2. Procedure of shaking table test for wireway system
../../Resources/kiiee/JIEIE.2021.35.12.045/fig2.png

지금까지 건축물에 대한 내진설계는 인명안전이나 붕괴방지 등의 구조체의 성능에 관한 부분만 중심으로 중요성이 강조되어 왔다. 그러나 중약진지역에 위치한 우리나라의 경우 지진의 특성상 대규모 지진보다 중간규모의 지진이 발생할 확률이 훨씬 크고 이는 가속도와 변위의 초기 값에 민감한 비구조체의 피해를 크게 가져올 수 있다. 실제로 지난 2016년 경주지진과 2017년 포항지진에서 대부분의 피해는 건축물의 붕괴나 전파보다는 비구조재의 손상과 탈락 등이 집중된 것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관련 조사문헌에 따르면 경주지진 피해 9,352건 중 4,678건(50% 이상)이 비구조요소 손상으로 조사되었다(1). 지진피해 규모는 구조요소보다 비구조요소의 손상으로 인한 피해가 3배 이상 크고, 자체 손상, 낙하 및 전도로 직·간접적인 인명과 재산 피해뿐만 아니라 건물내부의 낙하물 및 설비의 전도나 파손으로 대피 경로가 차단되거나 방해될 수 있다. 또한 설비 및 중요 장비의 파손은 건축물의 기능 수행이 중지되고 2·3차로 피해가 확대되므로 지진에 대한 안전성이 반드시 확보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정부에서는 관련 기준을 정비하면서 지난 2018년 11월에 국토교통부가 “전기 및 기계 비구조요소의 내진설계 관련 규칙”을 법령으로 강화시켜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으로 개정하고 시행령(제 555호)으로 공포하였다. 이 개정령에는 “비구조요소”에 대하여 건축물을 설계 및 시공함에 있어 건축법 제 48조 및 동법 시행령 제 32조에 따라 “구조안전 및 내진설계 확인서”를 의무제출하도록 하였다. 국토부는 2019년 3월 ‘KDS 41 17 00’ (건축물의 내진설계 기준)을 통해 건축은 물론 기계 및 전기, 통신, 소방시설의 비구조요소에 대한 내진설계기준과 절차 및 방법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이에 따르면 (1) 지진이 발생한 이후에도 인명안전을 위해 기능이 유지돼야 하는 시설물 (2) 지진발생으로 손상이 발생되면 피난대피 경로에 영향을 주는 시설물 (3) 내진특등급 건축 구조물에서 지속적인 기능 수행이 필요한 비구조요소 등은 중요도계수($I_{p}$) 1.5로 분류되며 내진설계가 수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건축물의 비구조요소에서 지진 발생 전후의 기능 수행에서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는 천장용 조명설비 와이어웨이시스템의 내진성능을 진동대실험을 수행하여 내진성능을 검증하였다. 와이어웨이 조명설비 시스템의 구체적인 내진성능 목표는 ① 재해발생 전후 균등한 조도유지의 성능을 확보해야하며 ② 현수상태를 단단하게 고정하여 진동에 따른 흔들림을 제어해야하고 ③ 설계된 내진성능을 균등하게 확보하는 것으로 고려할 수 있다.

그림 2는 본 실험연구의 전체적 흐름을 플로우차트를 통해 보여주고 있다. 진동대실험 실시 전에 (1) 시험 전 성능 검증 (2) 진동대 실험 (3) 공진주파수를 찾기 위한 가진실험 (4) 다진 주파수를 통한 내진성능실험 (5) 실험응답스펙트럼(TRS)에 따른 다진 주파수의 유효성 확인 (6) 진동대 실험 계측 결과를 통한 내진성능분석 및 평가 (7) 실험 종료 후 육안검사 동의 순서로 진행되었다.

2. 5개 와이어웨이시스템의 구성과 특성

그림 3은 진동대 실험에서 고려된 5개 와이어웨이시스템에 대해서 보여주고 있다. 구성과 경계조건을 달리하여 Type 1에서 5까지 구성되며 각각의 특징은 (1) 폴을 사용하여 천장과 와이어웨이시스템을 고정 시키는 천장고정형 (2) H형강 골조에 와이어웨이시스템을 접합시킨 H형강 골조형 (3) 벽체와 와이어웨이시스템을 고정시킨 벽체고정형(기본형) (4) Type 3에 풀리를 추가한 와이어웨이시스템인 벽체 고정형(풀리 추가형) (5) 보와 기둥에 와이어웨이시스템을 접합시킨 보-기둥골조형으로 총 5개의 와이어웨이시스템이 구성되었다.

Fig. 3. Five types of wireway system configuration
../../Resources/kiiee/JIEIE.2021.35.12.045/fig3.png

Fig. 4. Details of both ends of the wireway system
../../Resources/kiiee/JIEIE.2021.35.12.045/fig4.png

그림 4는 풀리가 배치된 와이어웨이시스템의 양쪽 단부를 보여준다. 2번과 3번 시작유니트와 끝점유니트를 와이어웨이시스템을 통해 연결되어 있으며 두개의 와이어웨이에 덕트를 통해서 조명설비가 놓이게 된다. 시작단에는 장력조절장치, 종단에는 진동감쇠기구가 설치되어있다. 이는 케이블의 장력을 고정하고 계측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표 1그림 3, 4에서의 와이어웨이 구성 요소를 보여준다.

Table 1. Composition of five types of wireway system

No.

Part name

No.

Part name

1

Pulley part

11

Beam-column connection

2

Connector 1

12

Cable brace

3

Connector 2

13

H-beam column

4

Tension towing machine

14

Wall

5

Duct

15

Beam

6

Lights

16

Anchor bolt

7

H-beam column connection

17

Cable

8

Ceiling connection

18

Pulley clamp

9

Pole

19

Pulley

10

Wall connection

20

Pulley shaft

3. 진동대실험 실험결과와 구성

와이어웨이조명시스템에서 지진 발생시 허용범위 이상의 변위와 가속도의 발생은 정상적인 기능 수행에 손상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러한 기능의 상실은 2차, 3차 피해를 추가적으로 가져올 수 있다.

조명설비의 파손은 비상시 대피로 등에서 조명기능을 상실할 수 있으며 이는 피난과 구호에 막대한 지장을 줄 수 있다. 진동대 실험 조건에서는 와이어웨이시스템이 건축물 구조요소에 고정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건물에서 발생 가능한 횡 변위에 대해 충분한 변형성능을 가지고 있는지를 통해 내진성능을 평가하였다. 일반적으로 구조체의 실험은 낮은 주파수의 진동으로 유압액츄에이터를 이용하여 힘을 가하고 변위를 유발하게 하며 그 성능을 검토하게 된다. 반면에 조명설비 등은 설치된 위치에서 작용하는 지진가속도에 의해 주된 영향을 받으므로 수평지진력에 저항할 수 있도록 고정된 설치 장치, 즉 앵커나 고정 마운트, 버팀대, 전단보강부재 등의 안정성을 검토하게 된다. 지진가속도에 의해 영향을 받는 설비는 고유진동수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비교적 고주파의 진동시험이 요구되고 주파수 대역폭이 넓은 지진파형의 특성을 반영하기 위해 진동대를 이용한 시험법이 활용된다(5).

현재 진동대실험에 대한 절차 및 구성요소에 대한 요구사항은 미국 ICC-ES AC156-2010(6)과 SPS-F KOCED 0007-7419(7)에서 명시하고 있고 이에 기반하여 진동대 실험이 수행되었다. 와이어웨이시스템의 동적 특성을 검증하기 위해 초기에 공진탐색 실험이 먼저 수행되었으며 주파수 소인시험을 통해 3개의 축 방향에 대해 수행되었다. 가중 주파수는 1~50Hz 대역을 포함하며 진동대 바닥에서 출력된 가속도와 지그프레임, 와이어웨이 지지대와 본체에서 측정된 요구응답스펙트럼을 적용하여 내진성능을 계측하고 이를 시험응답스펙트럼과 비교하였다. 요구응답스펙트럼은 와이어웨이가 설치되는 층에 대해 ICC-ES AC 156에서 요구하는 층 응답스펙트럼을 사용하였다. 시험에 적용되는 요구응답스펙트럼은 그림 5의 형태를 가져야 하며 식 (1)~(4)에 나타낸 것과 같이 단주기 설계스펙트럼 가속도($S_{DS}$)와 높이계수비($z/h$)의 함수에 의해 요구응답스펙트럼의 크기가 결정되었다. 식(1)~(4)이 의미하는 바는 (1) 높이계수비가 0일 때 변형가능한 구성요소에 대해 계산된 수평 스펙트럼 가속도 (2) 높이계수비가 0일 때 강체 구성요소에 대해 계산된 수평 스펙트럼 가속도 (3) 높이계수비가 0일 때 변형가능한 구성요소에 대해 계산된 수직 스펙트럼 가속도 (4) 높이계수비가 0일 때 강체 구성요소에 대해 계산된 수직 스펙트럼 가속도이다.

Fig. 5. Response spectrum for use of shaking table test
../../Resources/kiiee/JIEIE.2021.35.12.045/fig5.png

요구응답스펙트럼에 대해 계측된 내진성능결과는 시험응답스펙트럼을 만족하는지 판단되었고 이는 ICC-ES AC 156에서 제안하는 기준에 따라 평가되었다. 시험응답스펙트럼은 요구응답스펙트럼의 감쇠비 5%와 동일한 감쇠값을 사용하여 계산되었으며 1.3Hz~33.3Hz의 주파수 범위내에서 최대 1/6 옥타브 대역폭분해성을 기반으로 요구응답스팩트럼과 비교하였다. 이를 통해 요구응답스펙트럼의 130% 이상을 초과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표 2는 전체 실험 절차에 대해 표로 정리하여 보여주고 있다. 총 3단계의 실험 과정을 통해 구성과 경계조건을 달리한 5개 와이어웨이시스템에 대해 진동대 실험을 통해 공진시험과 지진하중 가력 실험을 실시하였다. 진동대 실험은 부산대 양산캠퍼스 지진방재연구센터에서 수행되었다. 그림 6은 와이어웨이 실험을 위한 진동대 실험 셋업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1)
$A_{FLX-H}=S_{DS}(1+2\dfrac{z}{h})$

(2)
$A_{RIG-H}=0.4S_{DS}(1+2\dfrac{z}{h})$

(3)
$A_{FLX-V}=0.67\times S_{DS}$

(4)
$A_{RIG-V}=0.27\times S_{DS}$

그림 7은 각각 와이어웨이시스템에 대한 소인파 가속에 대한 공진주파수 실험의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19.75Hz의 횡하중 가력 주파수에서 진동전달율은 38$m/s^{2}$에서 2.8$m/s^{2}$으로 측정치를 보여주었다. H형강 골조형(Type 2)이 천장고정형(Type 1) 보다 더 낮은 진동전달율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그림 8은 시간에 따라 지진하중 적용을 통한 가속도 값을 계측한 것을 보여주고 있으며 강체 구조물의 가속도 값을 비교 대상으로 보여주고 있다. 또한 오른쪽의 그래프는 시험에서 계측한 요구응답스펙트럼과 시험응답스펙트럼의 90%와 130%의 값을 보여주고 있다. 진동대 실험에서 와이어웨이시스템에 가한 요구응답스펙트럼의 값이 90%와 130%를 초과하는 것을 보여주어 이를 통해 진동대 하중 가력의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Fig. 6. Experimental setup for shaking table test
../../Resources/kiiee/JIEIE.2021.35.12.045/fig6.png

Fig. 7. The results of transfer function accelerated resonance frequency test
../../Resources/kiiee/JIEIE.2021.35.12.045/fig7.png

Fig. 8. Base acceleration of shaking table and comparing between TRS vs. RPS
../../Resources/kiiee/JIEIE.2021.35.12.045/fig8.png

Table 2. Test plan of 5 wireway systems

Test

phase

Test No.

Specimen

under test

Input motion

$S_{ds}$(g)

z/h

Input PGA (g)

X-dir

Y-dir

Z-dir

Test 1

1

Ceiling type and H-beam frame type

Single-axis sinusoidal sweeping* from 1-50 Hz(2 octave/min)

-

-

0.1±0.05

-

-

2

-

0.1±0.05

-

3

-

-

0.1±0.05

4

Artificial earthquake

0.96

1

1.52

1.03

0.5

5

0.96

1

1.49

1.07

0.46

6

1

1

1.63

1.14

0.5

Test 2

1

Wall type and wall type w/o pulley

Artificial earthquake

0.3

1

0.46

0.43

0.17

2

Single-axis sinusoidal sweeping* from 1-50 Hz(2 octave/min)

-

-

0.1±0.05

-

-

3

-

0.1±0.05

-

4

-

-

0.1±0.05

5

Artificial earthquake

1

1

1.52

1.13

0.46

Test 3

1

Beam-Column type

Single-axis sinusoidal sweeping* from 1-50 Hz(2 octave/min)

-

-

0.1±0.05

-

-

2

-

0.1±0.05

-

3

-

-

0.1±0.05

4

Artificial earthquake

1

1

1.49

1.1

0.45

5

1

1

1.54

1.12

0.47

4. 풀리 설치에 의한 PSD 기반 진동 저감 효과

본 절은 3절에서 조사된 진동대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조명 와이어웨이시스템의 풀리 적용에 의한 진동 저감 효과를 조사하였다. 이를 위하여 진동대 실험 결과에서 풀리의 적용 여부에 따른 성능 변화를 관찰할 수 있는 표 2의 Test 2에 나열된 벽체형(Wall type) 와이이웨이 시스템의 동적 응답을 비교하였다.

풀리 설치에 의한 진동 저감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진동대 실험을 통하여 시간과 가속도 관계(시간 영역, time domain)로 측정된 동적 응답을 파워스펙트럼 밀도(power spectrum density, PSD) 함수를 이용하여 주파수 영역(frequency domain)으로 전환하였다. 각 주파수에 따른 가속도 응답의 분포를 나타내는 PSD는 진동대 실험을 통해 측정된 응답을 식 (5)에 제시된 푸리에 변환(Fourier transform)을 통해 산정하였다(8). 여기서 N은 자료의 샘플수 이며, Δt는 샘플링 비율이고, 2Δt/N은 정규화 요소(normalization factor), T는 총 획득 시간, x(t)는 시간에 따른 측정 응답을 의미한다.

(5)
$PSD(f)=\dfrac{2\triangle t}{N}\left |\int_{0}^{T}x(t)e^{-2i\pi t}dt\right |^{2}$

그림 9는 PSD 함수를 통하여 계산된 벽체형 와이어웨이시스템의 X-, Y- 그리고 Z-방향에 대한 주파수 응답을 보여준다. 풀리 적용에 따른 응답 차이를 조사하기 위한 목적으로 풀리가 적용되지 않은 와이어웨이시스템의 주파수 응답을 함께 제시하였다. 그림에 제시된 것과 같이 모든 방향에 대하여 낮은 주파수 영역대에서 벽체고정형(Wall type w/o pulley)과 풀리가 추가된 벽체고정형(Wall type)의 응답은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주파수의 크기가 증가할수록 풀리 적용에 의한 응답 차이를 보였다.

Test 2의 벽체형 와이어웨이시스템의 고유 진동수는 각 방향에 대하여 12.5Hz(교축방향), 19.0Hz(길이방향) 그리고 8.25Hz(수직방향)으로 조사되었으며, 해당 실험체의 방향별 고유 진동수에 상응하는 지진 하중에 대한 와이어웨이시스템의 응답 가속도는 표 3에 나타냈다. 여기서 진동 저감 효과는 풀리가 적용된 와이어웨이시스템의 응답과 풀리가 적용되지 않은 와이어웨이시스템의 응답 차이를 나타낸 것이다. 표 3에 제시된 것과 같이 진동 방향에 관계없이 전반적으로 풀리가 설치된 와이어웨이시스템의 스펙트럼 응답이 감소하는 것을 볼 수 있다. 특히, X-방향(수평 방향)과 Z-방향(수직 방향)에 대하여 풀리 적용 여부에 따른 가속도 응답은 최대 50%까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풀리가 설치된 와이어웨이시스템은 지진에 의해 와이어와 풀리 사이의 움직임이 발생하고, 이때 풀리와 와이어 사이에 발생한 마찰력에 의해 지진에너지를 효과적으로 소산시켰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Table 3. Acceleration of response to pulley application ($g^{2}/Hz$)

Direction

Sds = 0.3g

Sds = 1.0g

w/ pulley

w/o pulley

w/ pulley

w/o pulley

X-dir.

0.020

0.010

0.060

0.035

Y-dir.

0.001

0.001

0.006

0.004

Z-dir.

0.002

0.001

0.030

0.015

5. 풀리 설치에 의한 RMS가속도 기반 지진 에너지 저감 효과

그림 10은 진동수와 RMS(root mean square) 가속도의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RMS가속도는 지진에 의하여 구조물에 누적된 에너지와 관련된 지표로서, 풀리 설치에 의한 시스템에 작용하는 지진 에너지의 저감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활용하였다. RMS가속도는 일정 시간(샘플링 시간) 동안의 가속도 응답 제곱의 평균 제곱근을 의미하며, 이는 식 (6)을 활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9). 여기서 a(t)는 시간에 따른 가속도 응답을 나타낸 것이며, $t_{0}$는 최초 시간, $T_{d}$는 진동 측정 시간을 의미한다.

(6)
${S}_{{a}}=[\dfrac{1}{{T}_{{d}}}\int_{{t}_{0}}^{{t}_{{a}}+{T}_{{d}}}{a}^{2}(\tau){d}\tau]^{1/2}$

그림 10에 제시된 진동수와 RMS 가속도의 관계를 살펴보면, 그림 10(a)에 제시된 $S_{ds}$가 0.3g가 작용했을 때 풀리 적용에 따른 와이어웨이시스템의 지진에너지의 변화는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S_{ds}$가 1.0g에 도달할 때 풀리 적용에 의한 X- 와 Z-방향에 대한 지진에너지의 변화는 진동수 크기에 따라 큰 폭으로 감소하는 것을 볼 수 있다(그림 10(b) 참고). X-와 Z-방향의 RMS 가속도는 와이어웨이시스템의 고유 진동수 값(X-방향: 12.5 Hz, Z-방향: 8.25 Hz) 이후에 큰 폭으로 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장력을 가진 케이블과 이에 연결된 풀리의 적용은 지진 가속도의 발생 시 와이어웨이시스템에 작용하는 지진 에너지를 풀리와 케이블의 마찰력을 통해 효율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음을 보여준다.

Fig. 9. PSD plots of tri-axial vibraion of X-, Y- & Z-directions
../../Resources/kiiee/JIEIE.2021.35.12.045/fig9.png

Fig. 10. RMS responses in X-, Y- & Z-directions
../../Resources/kiiee/JIEIE.2021.35.12.045/fig10.png

6. 결 론

본 연구는 천장용 조명 설비의 내진성능 향상을 목적으로 개발된 와이어웨이시스템의 유형별 진동대 실험에 대한 결과를 제시하였으며, 동적 실험을 통해 측정된 가속도 응답을 바탕으로 와이어웨이시스템의 풀리 적용에 의한 지진 응답 저감 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실험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진동대 실험을 통하여 조명 와이어웨이시스템은 설치 유형(경계 조건)에 따라 진동 전달율에 차이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와이어웨이시스템의 양단부를 효과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H형강 골조형의 진동 전달율은 천장 고정형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진동 제어에 대해서 다른 시스템에 비해 효율적임을 의미한다.

2) 벽체 고정형 시스템에 대하여 진동대 실험에서 계측된 가속도 응답을 바탕으로 풀리 적용에 의한 PSD 가속도 변화를 살펴봤을 때 진동수 증가에 따라 풀리에 의한 진동 저감 효과가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3) RMS 기반의 풀리 적용에 따른 와이어웨이시스템에 작용하는 지진에너지의 응답은 PSD 가속도의 변화와 유사하게 진동수 증가에 따라 큰 폭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진동대 실험을 통하여 계측된 응답을 바탕으로, 새롭게 개발된 조명 와이어웨이시스템은 풀리 적용에 의하여 기존의 조명 설비 시스템에 비하여 효과적으로 지진 에너지를 소산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풀리와 와이어 사이에 발생한 마찰력에 의해 유입된 지진에너지가 소산되고 이를 통해 와이어의 최대 변형과 진폭이 감소되는 진동감쇠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5) 현 내진설계기준에서 전기조명시스템이 지진 발생 시 요구되는 기본적 내진성능뿐만 아니라 비상시 대피를 위해 기능수행의 성능목표를 반드시 확보해야 함을 고려할 때 본 와이어웨이시스템이 진동과 변위를 효율적으로 제어하고 손상을 억제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Acknowledgements

이 논문은 2020년도 ㈜세홍의 연구비 지원에 의해 수행되었습니다. 이에 감사드립니다.

References

1 
Lee Soo-hyun, Cho Tae-gu, Im Hwan-taek, Choi Byung-jung, 2016, Due to Damage from The 9.12 Earthquake in Gyeongju and Earthquake-Resistant Design Standards for Non-structural Elements, Journal of the Earthquake Engineering Society of Korea, Vol. 20, pp. 561-567Google Search
2 
Lee Su-Hyeon, Cho Tae-Gu, Lim Hwan-Taek, Choi Byong-Jeong, 2016, Earthquakes and Seismic Design Criteria for Nonstructural Elements, Journal of Korea Earthquake Engineering Society, Vol. 20, No. 7, pp. 113Google Search
3 
Ministry of Land ,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Department of Building Safety) , 2020, Rules on Structural Standards, etc. of Buildings (Abbreviated as Building Rescue Standards Rules), National Territory Traffic Decree, No. 777Google Search
4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 2019, Revision of Building Seismic Design Standards (KDS 41 17 00)Google Search
5 
Jung Woo-young, 2018, Shaking Table Test Examples for Seismic Performance Evaluation of Nonstructural Components, Journal of KSNVE, Vol. 28, No. 3Google Search
6 
International Code Council , 2006, International Building CodeGoogle Search
7 
Petrone C., Magliulo G., Manfredi G., 2014, Shake Table Tests for The Seismic Assessment of Hollow Brick Internal Partitions, Engineering Structures, Vol. 72, pp. 203-214DOI
8 
McNamara D. E., Boaz R. I., 2005, Seismic Noise Analysis System Power Spectral Density Probability Density Function: Stand-alone Software Package, U.S. Geological Survey OpenfileGoogle Search
9 
Housner G. W., 1964, Generation of Artificial Earthquakes, ASCEGoogle Search
10 
Architectural Institute of Seoul , 2016, Code A.K.B., KBCGoogle Search
11 
European Committee for Standardization , 2005, Eurocode 8: Design of Structures for Earthquake Resistance-part 1: General Rules, Seismic Actions and Rules for BuildingsGoogle Search
12 
Kasai K., 2013, Performance of Seismic Protection Technologies During the 2011 Tohoku-oki Earthquake, Earthquake Spectra, Vol. 29, pp. 265-293DOI

Biography

Su-Min Jin
../../Resources/kiiee/JIEIE.2021.35.12.045/au1.png

She received B.S. degree in Architectural engineering from Sejong University in 2021. She is now a Master in Architectural engineering from Sejong University.

Han Van Tran
../../Resources/kiiee/JIEIE.2021.35.12.045/au2.png

He received his B.Eng. degree in Civil Engineering from Hanoi Architectural University, Vietnam in 2015.

He is now a Ph.D. in Architectural engineering from Sejong University.

Sung Chan Kim
../../Resources/kiiee/JIEIE.2021.35.12.045/au3.png

He is the CEO of Sehong, a wiring company.

It has and develops a wireway system lighting equipment product that meets the seismic design standards for non-structural elements.

Jiuk Shin
../../Resources/kiiee/JIEIE.2021.35.12.045/au4.png

He recived B.S. degree in Architecure Engineering from Sejong University in 2008, M.S. degree in Architecure Engineering from Sejong University in 2010, Ph.D. degrees in Civil engineering from Georgia Institute of Technology in 2017.

He is now an assistant professor at Dept.

Architecture Engineering in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Kihak Lee
../../Resources/kiiee/JIEIE.2021.35.12.045/au5.png

He received B.S. degree in Architecure Engineering from Korea University in 1993, M.S. degree from Purdue Univ., West Lafayette, IN, U.S, 1996, Ph.D. degrees from Univ. of Illinois at Urbana-Champaign in 2000.

He is now a professor at Dept. Architecture Engineering in Sejong University.

His research is related to seismic desig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