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ISO Journal TitleJ Korean Inst. IIIum. Electr. Install. Eng.

  1. (Back-End Developer, Product Team, Company Lab Corp., Seoul, Korea)



InDoor location detecting, Kalman filter, Long short term memory, Machine learning, Radar based location detecting

1. 서 론

현시대에 IoT(Internet of Things)와 AR (Augmented Reality)는 실생활에서 사용자의 위치 파악을 통해 안전과 상업 마케팅 활동에서 비중이 점점 높아지는 중요한 기술이 되고 있으며 이러한 IoT와 AR 기술들의 중심에는 실시간 위치 추적이 있다(1). 현재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시스템이 실외 위치 추적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GPS 시스템은 건물 내부에서 스마트폰을 소지한 대상의 정확한 위치 추적 및 제공에는 한계가 있다. 스마트폰 사용자에게 더 나은 편의성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실내에서의 정확한 위치 추적이 필요하다. 현재 건물 내부의 위치 추적은 단순히 설치되어 있는 네트워크에 접속 여부로 위치를 추정하거나 추가적인 장비를 이용하고 있다(2). 정확한 실내 위치 추적 시스템의 경우 사용자의 이동 궤적 패턴 분석을 통해 고유명칭으로 좌푯값을 얻는 지오 코딩(Geo coding)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서비스를 사용하는 이용자들에게 맞춤형 환경을 제공하고 위치 데이터를 기반으로 마케팅에도 긍정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나아가 자연재해 발생 시 실종자 구출에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현재 사용되는 위치 추적 시스템은 GPS 기반으로 실종자의 대략적인 위치는 추적할 수 있지만 상세하고 입체적인 위치 정보는 알 수 없어 물리적으로 정확한 위치를 찾아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이에 이 논문에서는 유사시 사용자의 안전 확보를 위한 실내 및 단거리에서의 정확한 위치 추적을 위해 Radar based 방식을 이용한 정확한 무선 위치정보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물은 근래 토목, 건축구조물 붕괴 현장처럼 물리적으로 실종자를 찾기 힘든 재해 상황에서 대략 적인 위치가 아닌 상세하고 정확한 위치 정보를 확보하여 인명구조에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저전력 블루투스 (Bluetooth Low Energy, BLE)의 신호 세기(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RSSI)로 사용자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시스템을 설계하여 정확한 위치 정보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 시스템은 Radar based 방식과 Kalman 필터, 기계학습을 이용하여 찾고자 하는 대상물의 위치 정확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이러한 설계는 기존 위치 추적에서 사용된 삼변측량 방식의 단점인 세 점 내부에서만 위치 추적이 가능하다는 점을 보완하여 추적 범위를 확대하는 장점이 있다.

2. 무선 거리 측정의 이론적 배경

2.1 무선 거리 측정 방식 기법

신호 세기란 수신된 전파 신호 강도를 나타내고 보통–99dBm에서 35dBm까지 범위를 가지며 신호의 강도가 강할수록 숫자가 높다. 신호 세기를 이용한 거리 측정 방법은 송신 신호의 물리적인 특성상 거리의 제곱에 비례하게 신호 세기의 감소가 일어나는 점에 착안하여, 이론적으로 송신 신호를 수신기에서 수신할 때, 송신 신호의 강도와 감쇠되는 수신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여 송신기와 수신기 간의 거리를 측정하는 방법이다(3). 실내 환경에서의 신호 세기는 여러 가지 방해물에 의해 굴절, 산란, 반사 등을 거친 왜곡된 신호를 가지게 되기 때문에 직접 이용하기 어려운 단점으로 추가적인 신호처리 과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단가가 낮고 여러 스마트 디바이스와 호환이 좋은 신호 세기 방식을 선택하여 프로토타입 구현에 적용하였다.

2.2 위치정보 확인 도구 Beacon

비콘(Beacon)은 위치정보를 주기적으로 전송하기 위해 사용하는 기기로, 전송하는 신호의 종류에 따라 Wi-Fi, ZigBee, 블루투스 비콘 등으로 분류가 되며, Fig. 1과 같이 비콘에서 스마트 디바이스로 주기적으로 신호 세기 신호를 보내면 스마트폰 내 앱에서 이를 인식하여 서버에게 이 정보를 넘기게 된다. 서버는 신호 세기의 신호를 분석 후 이에 맞는 정보를 스마트폰에 다시 제공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본 연구에서는 Table 1의 비콘 통신 방법 중 전력 사용량과 호환성, 그리고 좁은 실내에서 유리한 BLE 비콘을 사용하였다.

Fig. 1. Example of BLE RSSI send scenario between smart device and server
../../Resources/kiiee/JIEIE.2022.36.2.014/fig1.png

Table 1. Pros and cons of beacon communication methods

Signal Type

Advenatge

Disadventage

Wi-Fi

Wide range,

Compatibility,

Accuracy

Power consumption

ZigBee

Power consumption

Compatibility,

Accuracy

BLE

Power consumption,

Wide range,

Compatibility

Accuracy

2.3 위치추적 기법

2.3.1 Fingerprinting 기법

Fingerprinting 방식은 Wi-Fi 그리고 BLE, ZigBee 등을 기반으로 실내 위치 추적에서 쓰이는 방식으로 특정 RP(Reference Points) 위치들의 신호 세기 값을 비콘과 같은 AP(Access Point)가 저장해서 Radio Map 을 생성한다. 그 후에 스마트 디바이스의 위치를 Radio Map을 통해 추적하는 방식이다(4). 높은 정확도와 적은 연산량을 가지고 있으나 환경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2.3.2 변측량(Trilateration) 기법

위치추적 기법으로 많이 사용되는 삼변측량 방식은 Fig. 2와 같이 각 세 지점으로부터 추정하고자 하는 물체까지의 거리 D1, D2, D3를 측정하여 교차점의 위치를 추적하는 방식이다(5).

Fig. 2. Schematic of the trilateration method
../../Resources/kiiee/JIEIE.2022.36.2.014/fig2.png

삼변측량 방식에는 두 가지 단점이 있다. 신호 세기 값은 기기의 수율 및 통신환경에 따라 차이를 가져 이상적으로 같은 값이 나오기가 힘들다. 이로 인하여 정확한 위치 추정이 어려워진다(6). 두 번째로 여러 대의 비콘을 사용하게 되면 연산량이 증가한다.

현재 위치 추적 기법으로는

1. Fingerprinting

2. Trilateration

등이 사용되고 있으며 삼변측량 방식은 대략적인 위치에는 강점을 보이나 정확한 위치에는 약점을 가지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정확한 위치 추적을 위해 Fingerprinting 방식을 개량하여 구현에 적용하였다.

2.4 신호처리에 사용된 필터와 기계학습 기법

2.4.1 Kalman 필터

앞서 기술하였듯이 신호 세기는 실내에서 굴절, 산란, 반사 등을 거친 왜곡된 신호를 가지게 되기 때문에 직접 이용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으며 이를 개선하기 위해 Kalman 필터와 같은 필터를 사용하게 된다(6,7). 루돌프 칼만이 개발한 Kalman 필터란 잡음이 섞여 있는 기존의 관측 값을 최소 제곱법을 통해 분석함으로써 최적의 수학적 계산 과정을 통해 일정 시간 후의 위치를 예측할 수 있도록 하는 알고리즘으로 현재 컴퓨터 비전, 로봇 공학 등의 여러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시간에 따라 진행한 값을 기반으로 측정하기 때문에 해당 순간에만 측정한 결과만을 사용한 것보다 좀 더 정확한 결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잡음까지 포함된 입력 데이터를 재귀적으로 처리하는 필터로써 현재 상태에 대한 최적의 통계적 예측을 진행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앞서 언급한 기존의 삼변측량 방식의 단점인 주변 환경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정확도가 낮다(8)는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Kalman 필터를 사용하여 비콘을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보정하여 수신 데이터의 신뢰도와 정확도를 향상하고자 한다.

2.4.2 LSTM(Long Short Term Memory)

LSTM은 RNN(Recurrent Neural Net)의 변형된 버전이며 RNN은 유닛 간의 연결이 순환적 구조를 갖는 특징을 갖는 인공신경망의 한 종류이다(9).

RNN의 기본 구조는 Fig. 3로 표현할 수 있으며 hidden state $h_{t}$, 입력 x, 출력 y로 구성되어있다. 현재 상태의 hidden state $h_{t}$는 직전 시점의 hidden state $h_{t-1}$를 받아 수식 (1)을 통해 갱신되며 현재 상태의 출력 $y_{t}$는 $h_{t}$를 전달받아 수식 (2)을 통해 갱신되는 구조이다.

(1)
$h_{k}=\tanh(W_{hh}h_{t-1}+W_{xh}x_{t}+b_{n})$

(2)
$y_{k}=W_{hy}h_{t}+b_{y}$

입력에 따라 출력이 나오는 과정을 순전파(Foward Propagation)라고 한다. 순전파를 따라 최종 출력되는 $y_{t}$, 최종 loss에 대한 $y_{t}$ 의 경사도($d L /dy_{t}$)를 역으로 계산해 hidden state의 파라미터(Parameter)를 갱신하는 과정을 역전파(Back Propagation)라고 한다. RNN은 hidden state가 순환 구조를 가지는 신경망으로 $h_{t}$를 만들 때 $h_{t-1}$가 반영된다. 이러한 과정으로 학습되는 RNN은 관련 정보와 그 정보를 사용하는 지점 사이 거리가 멀 때 역전파 과정에서 경사도가 점차 줄어 학습능력이 크게 저하되는 경사도 값이 사라지는 문제(Vanishing Gradient Problem)가 일어나는데 그러한 단점을 극복하고자 개발된 기계학습 기법이 LSTM이다. LSTM과 RNN의 구조적 차이는 Fig. 3 과 같이 표현할 수 있으며 cell state가 추가되어 설계된다.

Fig. 3. Schematic diagram of RNN and LSTM structure
../../Resources/kiiee/JIEIE.2022.36.2.014/fig3.png

$f_{t}$(forget gate)는 과거 정보 삭제를 위한 게이트로 $h_{t-1}$, $x_{t}$를 수식 (3)과 같이 시그모이드(Sigmoid) 함수($\sigma$)에 적용 값을 출력한다. 시그모이드 함수의 출력 범위는 0에서 1 사이이기 때문에 그 값이 0이라면 이전 상태의 정보는 삭제, 1이라면 이전 상태의 정보를 유지한다.

(3)
$f_{t}=\sigma(W_{xhf}x_{t}+ W_{hhf}h_{t-1}+ b_{hf})$

(4)
$i_{t}=\sigma(W_{xhi}x_{t}+ W_{hhi}h_{t-1}+ b_{hi})$

(5)
$g_{t}=\tanh(W_{xhg}x_{t}+ W_{hhg}h_{t-1}+ b_{hg})$

$i_{t}\odot g_{t}$(input gate)는 현재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게이트로 $h_{t-1}$, $x_{t}$를 수식 (4)과 같이 시그모이드 함수와 수식 (5)과 같이 쌍곡탄젠트(Hyperbolic Tangent)를 적용하고 아다마르 곱(Hadamard Product)연산($\odot$)을 한 값이다.

Fig. 4. Schematic of LSTM propagation
../../Resources/kiiee/JIEIE.2022.36.2.014/fig4.png

에서 초록색으로 표현된 순전파에서 앞서 설명한 RNN과의 차이점은 행렬 $H_{t}$ 을 사등분하여 $i$, $f$, $o$, $g$ 각각에 해당하는 활성 함수를 작용하여 계산한다. 마찬가지로 Fig. 4에서 붉은색으로 표현된 역전파 또한 RNN 과의 차이점은 $d_{i}$, $d_{f}$, $d_{o}$, $d_{g}$ 을 통합하여 $d H_{t}$ 구하고 앞서 설명한 RNN과 같은 방식으로 파라메터를 조정하게 된다. LSTM은 기존 신호세기를 이용한 삼변측량이나 디지털지문 추적에서도 매우 유리하기 때문에 실내 위치 추적 시스템에 다수 적용되었다(10). 본 연구에서는 이전 연구들을 기반으로 비콘으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Kalman 필터를 적용하고 잡음을 제거하여 기계학습을 진행하였다(8). 신호 세기의 값이 움직임에 따른 경향성을 가지기 때문에 기계학습은 이전 분석을 기억해 활용할 수 있는 LSTM 기법을 통해 전 처리된 신호로부터 위치를 분석하도록 설계하였다(10).

3. 시스템 설계와 실험

3.1 Radar 시스템 설계

앞서 설명한 기존의 삼변측량 방식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 새롭게 고안한 방식은 Radar based 방식으로 Fig. 5에서 볼 수 있듯이 A, B, C, D 4방향 비콘의 신호 세기를 종합하여 분석해 정확한 목표물의 위치를 추적하고자 한다. 제안 방식은 비콘들이 비슷한 통신환경에 노출되며 이로 인하여 비콘 간 환경의 차이로 인한 결괏값 변화 및 오류에 영향을 덜 받게 되어 신호 세기 비교 값들의 신뢰성이 증가한다.

Fig. 5. Structure of the radar based tracking system
../../Resources/kiiee/JIEIE.2022.36.2.014/fig5.png

3.2 신호처리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본 연구는 IoT 시장의 유리한 조건 중 하나인 긴 배터리 수명에 맞추어 저전력 블루투스인 BLE 비콘을 사용했다. 이를 사용하여 위치 추적에 필요한 신호 세기의 값을 받으면 세 가지 문제가 발생한다.

첫 번째, 1초에 1개의 신호 세기 값을 전송하는 BLE 비콘의 특성상 위치 추적에 긴 시간이 걸린다.

두 번째, 스마트 디바이스의 위치와 비콘의 안테나 방향에 따라 신호 세기 값이 불안정해진다.

세 번째, 같은 환경의 조건에서 스마트 디바이스의 설계 방식에 따른 안테나 위치의 차이로 인해 디바이스의 방향에 따라 신호 세기가 다르게 측정되는 현상이 생긴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실험에서는 총 12개의 비콘을 Fig. 6와 같이 지향성(Cardioid) 안테나를 세 방향(A', A'', A''')으로 조정해서 하나의 무지향성 안테나(A)와 같은 특성을 보이도록 함과 동시에 시간당 받을 수 있는 신호 세기 값이 증가 되도록 하여 해결하고자 하였다.

Fig. 6. Structure of the cardioid antenna and the additional beacon
../../Resources/kiiee/JIEIE.2022.36.2.014/fig6.png

실험에 적용된 기법과 조건은 다음과 같다. 우선 비콘에서 전달되는 순수한 신호 세기의 값은 노이즈가 다수 포함되어 측정한 값을 안정화하는 필터를 적용해야 한다. 필터의 적용에는 순간적인 움직임에 대한 민감한 반응을 위해 Low Pass Filter가 아닌 Kalman 필터를 적용하였다. 또한 신호 세기 신호 값은 한 지점에 고정되는 것이 아닌 위치 추적 대상의 시간과 움직임에 따라 상이 하므로 이에 따른 데이터 변화량의 경향성으로 위치를 추적하기 때문에 장단기메모리(LSTM)를 적용하였다.

3.3 실험에 사용된 도구 및 방법

본 실험에서는 12개의 hm-10 블루투스 모듈을 비콘으로 사용하였고 스마트 디바이스는 iPhone 5s를 사용하였다. 기계학습의 학습 및 적용은 Fig. 7 과 같은 NVIDIA 사의 에지 AI 애플리케이션 및 디바이스를 지원하도록 설계된 소형 컴퓨터 Jetson Nano Developer Kit을 사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RNN과 LSTM으로 신호 세기를 분석 후 Fingerprinting 방식으로 위치를 추적했다.

Fig. 7. NVIDIA jetson nano developer kit
../../Resources/kiiee/JIEIE.2022.36.2.014/fig7.png

Fig. 8. Experiment layout
../../Resources/kiiee/JIEIE.2022.36.2.014/fig8.png

40cm*40cm*40cm의 실험공간 상단 면 중앙에 시스템을 두고 하단 면을 2 by 2, 3 by 3, 5 by 5로 나누어 Fig. 8 과 같은 실험공간을 구현했다. 이후 구분된 하단 면을 Mapping 하여 5초 간격으로 스마트 디바이스를 10,000회 이동한 신호 세기 값을 데이터로 설정 후 학습시켰다. 정확도 측정은 학습과 마찬가지로 구분된 하단 면에 무작위 공간으로 5초 간격으로 스마트 디바이스를 2,000회 이동했을 때 정답의 개수로 측정하였다. 해당 실험은 비콘들의 신호 세기 값을 받아와 위치 추적을 하는 것이 핵심이다. 따라서 신호 세기 값을 Mapping해서 파악한 시스템과 신호 세기를 RNN으로 학습한 시스템, 신호 세기를 LSTM으로 학습한 시스템의 정확도를 비교하였다.

3.4 실험결과

Table 2는 실험 결과를 추적 시스템 종류와 실험공간 분할 방식에 따른 정확도로 나타내었다. 분석 결과 Mapping시스템은 중심부를 특정하기 어려웠고 5초간 디바이스의 위치를 고정하는 상황에서 신호 세기 값이 유지되지 않고 계속 변화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반면 RNN과 LSTM은 신호 세기의 변화 경향성 분석에 유리하게 작용해 Mapping 시스템보다 상당히 정확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세분된 공간에서도 유리한 모습을 보였다.

실험 과정 중 정답 직후 정확도가 유지되지 못하는 현상을 발견했다. 따라서 추가로 정답 직후 다음 정확도, 즉 연속 정확도 측정 실험을 진행하였고 실험 결과는 Table 3으로 정리할 수 있다.

Table 3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Mapping 시스템은 정답 이후에 정확도의 급격한 하락을 관찰하였고 이 문제는 2 by 2 이상으로 인식하는데 한계점으로 작용한다. 반면 RNN 시스템은 초기에 연속된 정확도에도 강한 모습을 보였다. 그러나 횟수가 증가하고 시간이 흐름에 따라 시스템의 정확도가 떨어지기 시작했다. 반면 LSTM으로 학습한 시스템은 장기간의 실험에도 정확도를 유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LSTM의 큰 특징인 장기적인 기억이 위치를 추적하면서 상당히 유리한 작용을 했다고 판단할 수 있다.

Table 2. Tracking System Accuracy

Divide method

Analysis method

2 * 2

(%)

3 * 3

(%)

5 * 5

(%)

Mapping

72.8

17.2

2.9

RNN

83.1

53.5

20.1

LSTM

92.4

85.6

54.3

Table 3. Following accuracy

Divide method

Analysis method

2 * 2

(%)

3 * 3

(%)

5 * 5

(%)

Mapping

40.0

25.0

0.0

RNN

86.7

66.7

20.0

LSTM

90.0

75.0

50.0

4. 결 론

이 연구에서는 실내 위치 추적 시스템을 설계하고 프로토타입을 구현하면서 어떻게 하면 좀 더 수월성 높고 효과적으로 그리고 정확하게 위치 추적을 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는지에 집중하였다. 기존 위치 추적 방식인 삼변측량은 각 세 비콘의 지점으로부터 물체까지의 거리를 신호 세기로 측정하여 위치를 추적하는 방식으로 각 비콘들의 위치에 따라 통신환경이 상이하여 부정확한 값이 수집되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새롭게 고안한 방식은 Radar Based 방식으로 각 방향의 집합으로 연결된 비콘의 신호 세기의 값을 분석해 위치를 추적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비콘들이 동일한 네트워크 환경에 노출 되어 신호 세기 비교 값들이 정확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위치 추적 범위를 확대하고 네트워크 환경 변화에 따른 제약을 최소화하였다. 프로토타입의 구현 및 실험에서 정확한 위치 추적을 위해 신호 세기 값에 Kalman 필터를 적용해 안정화했다. 정확한 위치 확인을 위해 방향당 3대, 총 12대의 비콘을 사용해 시간당 수집 데이터를 확대하고 안테나의 위치나 방향에 따라 둔감하게 설계하여 안정성을 확보하고 LSTM으로 정확한 위치를 추적했다.

본 연구에서는 저전력 블루투스의 신호 세기로 사용자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시스템을 설계하고 실험을 통해 구현된 프로토타입의 유용성을 검증하였다. 제안한 실내 위치 추적 시스템은 정확한 위치 추적이 용이하여 GPS 기반의 대략 적인 위치가 아닌 상세하고 정확한 위치정보를 추적하여 실생활에 유용하게 적용 및 활용할 수 있다. 연구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관련 방법론과 도구들의 장단점을 명확하게 측정하고 실제 재해 시스템 등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지속해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References

1 
Kim Soo-jung, 2020, A Case Study by Type of Experience Marketing Based on Data Intelligence(DI), Cdak Socierty of Communication DesignGoogle Search
2 
Lim Jae-Wook, 2021, TOA Based Indoor Positioning Algorithm in NLOS Environments, The Institute of Positioning, Navigation, and Timing, Vol. 10, pp. 121-130DOI
3 
Kim Min-jeong, 2013, Positioning Estimator Design of the Smart per on Tablet Model Using RSSI, Ph.D. DissertationsGoogle Search
4 
Yan J., 2018, Hybrid Kernel Based Machine Learning Using Received Signal Strength Measurements for Indoor Localization, IEEE Trans. Veh. Technol., Vol. 67, No. 3, pp. 2824-2829DOI
5 
Carotenuto R., Merenda M., Iero D., Corte F. G. D., 2019, An Indoor Ultrasonic System for Autonomous 3-D Positioning, IEEE Trans. Instrum. Meas., Vol. 68, No. 7, pp. 2507-2518DOI
6 
Subhan F., Hasbullah H., Ashraf K., 2013, Kalman Filter-based Hybrid Indoor Position Estimation Technique in Bluetooth Networks, Int. J. Nav. Observ., Vol. 2013, pp. 1-14Google Search
7 
Lipkap M., Sippel E., Vossiek M., 2019, An Extended Kalman Filter for Direct, Real-time, Phase-based High Precision Indoor Localization, IEEE Access, Vol. 7, pp. 25288-25297DOI
8 
Faragher R., 2012, Understanding the Basis of the Kalman Filter via a Simple and Intuitive Derivation, Lecture Notes, IEEE Signal Processing Magazine, Vol. 29, No. 5, pp. 128-132DOI
9 
Staudemeyer Ralf C., Morris Eric Rothstein, 2019, Understanding LSTM - A Tutorial Into Long Short-Term Memory Recurrent Neural Networks, arXivDOI
10 
Hoang M. T., 2019, Recurrent Neural Networks for Accurate RSSI Indoor Localization, IEEE Internet Things J., Vol. 6, No. 6, pp. 10639-10651DOI

Biography

Hansol Lee
../../Resources/kiiee/JIEIE.2022.36.2.014/au1.png

He studied at Chung-Ang University.

He received his B.S degree in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ing in 2020.

Currently, he is Back-End Developer and Data Engineer at Company Lab Corp., Seoul, Korea.

Ju-Hyun Jeon
../../Resources/kiiee/JIEIE.2022.36.2.014/au2.png

She received her B.S., M.S., and Ph.D. degree in Computer Engineering from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in 1995, 1997, and 2002, respectively.

She completion of course her Ph.D. in Computer Engineering at Korea University(2010).

She received her Ph.D. degree in Human Resource Development at Chung-Ang University(2013).

Currently, she is Professor of Da Vinci College Education at Chung-Ang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