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현빈
(Hyun-Bin Jo)
1iD
박종범
(Jong-Beom Park)
2iD
안재범
(Jae-Beom Ahn)
1iD
임승범
(Seung-Beom Lim)
3iD
류홍제
(Hong-Je Ryoo)
†iD
-
(M.S and Ph.D. course, Department of Energy System Engineering, Chung-Ang University,
Korea)
-
(Undugraduate student, Department of Energy System Engineering, Chung-Ang University,
Korea)
-
(General Manager, ESS Department Head, Eon Co., Ltd, Korea)
Copyright ©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Engineers(KIIEE)
Key words
Grid-connected inverter, HVRT, LVRT, TNPC
1. 서 론
환경 이슈 뿐만 아니라 대체 에너지로도 주목받고 있는 신재생 발전원을 이용하는 분산형 전원의 비중이 증가하는 추세와 함께, 계통 안정성에 미치는 분산형
설비의 영향 또한 증가하고 있으며, 이를 고려하여 분산형 전원의 계통연계 기준에 대한 엄격한 규정이 해외 뿐만아니라 국내에서도 제시되고 있다 (1-6). 계통 전압이 기준 전압의 0.9p.u. 미만인 상황에서 동작하는 Low Voltage Ride Through(LVRT) 기준과 1.1p.u.
이상에서 동작하는 High Voltage Ride Through(HVRT) 조건은 분산형 전원의 계통 연계시 요구되는 대표적인 기준으로써 한국전력공사에서는
송전계통(5)과 배전계통 연계 기술(6) 에서 각각 다른 LVRT 및 HVRT 기준을 갖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전력공사의 송전계통과 배전계통에 대한 최신 규정에서 제시하는 LVRT,
HVRT 기준에 대한 분석이 수행되었다. 배전 계통 연계 기준의 LVRT 조건은 송전계통 연계 기준의 조건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긴 계통연계 유지시간을
특징으로 하고 있으며, 증가하는 국내의 분산형 전원의 비중에 따라, 계통의 고장상황 발생 시 분산형 전원의 연계 시간도 점차 증가하는 추세로 변화
될 것을 고려하여 현재 한전의 배전계통 LVRT 기준 역시 점차 송전 계통 기준에 준하는 연계시간을 가질 것으로 분석하였으며, 이에 따라 배전 계통
연계 기준의 HVRT 조건을 참고하여, 송전계통에 존재하지 않는 HVRT 알고리즘을 구현하여 배전계통 전압 레벨에서 동작하는 3-level TNPC
인버터에 본 알고리즘을 적용한 내용을 다루었다. 또한 연계 유지 및 중단 상황 뿐 만 아니라 비정상 전압 상황 시 계통 지원을 목적으로 각 계통 전압에
따라 유효, 무효전류제어 전략을 적용함으로써 계통지원 상황을 다양한 시뮬레이션 케이스를 통해 모델링 및 분석한다.
2. 본 론
2.1 LVRT & HVRT 기준
Fig. 1. Voltage boundary line of KEPCO’s distribution system connection technology standard (LVRT, HVRT)
Fig. 2. Voltage boundary line of KEPCO’s transmission grid connection technology standard (LVRT)
Fig 1은 한국전력공사의 분산형 전원의 배전 계통 연계 기술(6) 에서 제시하는 비정상 전압에 대한 운전 지속시간과 분산형 전원 분리시간을 각각 나타낸다. 각 조건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계통전압 50% 미만
: 150ms 동안 운전을 지속해야 하며, 499ms 까지 운전은 중지하지만 계통과 연계는 유지한다. 그리고 500ms가 지나면 계통과 연계를 분리한다.
다음으로 계통전압의 50% 이상 70% 미만 구간의 경우 160ms까지 분산형 전원은 운전을 지속하며, 2초 이후 계통과 분리하고 그 전 까지는 운전
중지 상태이다. 계통전압의 70%~90% 구간에서는 1.5초 까지 계통연결 및 운전 지속을 하며 이후 운전을 중지 하다가 2초 이후 계통과 분리한다.
계통 전압의 90%~110%는 정상동작이다. 다음으로 계통전압의 110%~120% 구간부터는 HVRT 구간으로써 200ms까지 계통 연결 및 운전을
지속하고 이후 1초 까지는 운전을 중지하며 1초 이후 분산형 전원은 계통과 분리한다. 계통전압의 120% 이상 구간에서는 운전하지 않으며, 160ms
이후 분산형 전원은 계통과 분리된다. 다음으로 Fig 2는 한국전력공사의 송,배전용 전기설비 이용규정(5) 에서 제시하는 송전용 전기설비 접속기준의 계통연계 유지 기준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22.9kV 송전계통이 주요 적용 대상이다. Fig 1의 배전 계통 기준과 비교하여 계통전압이 저전압 상태가 되는 영역에서 상대적으로 긴 시간 동안 계통 연결 및 운전을 지속한다. 그러나 한전의 송전계통
기준에서는 HVRT 영역을 제시하고 있지 않다. 본 계통 접속기준은 독일의 LVRT 기준 (2)과 비교하여 유사성을 지닌다. 150ms 이하 구간에서 계통전압이 0p.u.가 되더라도 계통과 즉시 분리하지 않고 운전을 지속 하는 것, 그리고 0.67p.u/sec
기울기의 경계선을 갖는 것 등의 유사점이 있으며, 이 독일의 규정은 국내 뿐만 아니라 미국, 일본, 중국 등 다수의 국가에서 기반으로 두고 있다.
송전계통 연계기술 기준의 LVRT 경계조건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계통 전압이 0 p.u.까지 감소하는 상황에서도 150ms까지 분산형 전원은
계통 연계를 유지한다. 150ms부터 1.5s까지는 초당 0.67p.u.의 기울기로 경계선이 구분되는데, 이 경계선의 좌측은 계통 연결 및 운전지속
영역이고 우측은 계통 분리 영역이다. 계통전압 0.9p.u.는 연계점의 운영전압 범위의 최소값이다. 이 송전계통 기준은 별도의 HVRT 기준이 요구되지
않는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전력공사의 송전계통 기술기준의 LVRT 조건과 배전계통의 HVRT 기준을 결합한 알고리즘을 3-Level TNPC 인버터에
적용하여 PLEXIM-Plecs 소프트웨어를 통해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두 기준을 결합한 그래프는 Fig 3에 나타내었다.
Fig. 3. Voltage boundary line of KEPCO’s transmission grid connection technology standard (LVRT, HVRT)
2.2 LVRT & HVRT 조건에서 유, 무효전류 주입기준
LVRT & HVRT 상황 시 분산형 전원은 계통 연계를 유지할 뿐만 아니라 유, 무효전류를 주입하여 계통을 지원하는 기준 또한 제시되고 있다. 본
논문의 인버터 회로에서 적용한 무효전류 주입기준을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 Fig 4이다. 해당 무효전류 주입기준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계통전압이 기준전압의 0p.u. 부터 0.5p.u.미만 구간에서 무효전류 크기는 정격전류와
동일하고 유효전류는 0A가 흐른다. 계통전압이 정격전압의 0.5p.u.이상, 0.9p.u.미만인 경우 무효전류는 k(0.9-Vg)In 으로 계통에
주입되며, 여기서 K 는 2.5의 값을 갖는다. 계통전압이 기준전압의 0.9p.u. 부터 1p.u. 까지는 dead zone 영역으로써 유효전류는
정격전류와 동일한 값을 가지며, 무효전류는 0A가 흐른다. 계통전압이 정격의 1.1p.u. 부터 1.2p.u. 까지는 HVRT 구간으로 해당 구간의
무효전류는 -k(Vg-1.1)In A 이다. 유, 무효전류 주입기준에 따른 수식은 식 (1)-(4)에 나타나 있으며, 수식에 사용된 기호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Fig. 4. Reactive current control curve in the event of grid voltage fault (k=2.5)
$i_{d}=유효전류[A],\: i_{q}=무효전류[A]$
$i_{N}=정격출력전류[A],\: V_{g}=계통전압[V],\: k=비례상수$
Fig. 5. 3-level TNPC inverter simulation circuit (Plecs)
2.3 TNPC 인버터 LVRT & HVRT Plecs 시뮬레이션
Fig 5는 PLEXIM Plecs 시뮬레이션 회로도이며 Plant 회로에는3-level TNPC인버터와 LVRT&HVRT 계통 전압 제어 알고리즘이 적용된
제어회로가 모델링 되었다. Controller part 에는 d-q 변환시스템과 전류 제어부, 3-레벨 SVPWM 회로가 있으며 서브시스템 회로 내부에는
PLL회로와 LVRT 유,무효전력 제어알고리즘 등이 구현되었다. Table 1은 설계한 인버터의 세부 사양을 나타낸다. Fig 6은 LVRT & HVRT 상황시 유, 무효전류와 유, 무효전력 제어 동작을 보여주는 파형이다. 해당 시뮬레이션 조건에서는 LVRT와 HVRT 경계선을
넘어서지 않는 조건 하에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므로 인버터는 연계 운전을 지속한다. 상세한 설명으로는 0.1s 이후 계통전압이 1p.u.에서 0.2p.u.로
감소하면서 무효전류는 최대, 유효전류는 0A로 흐르며 이후 1.6s 까지 LVRT 및 HVRT 경계선을 넘어서지 않는 조건에서 인버터는 계통에 정격정류를
공급해준다. Fig 7(a)는 배젼계통 기준의 LVRT 동작 시뮬레이션을 보여준다. 0.1s 이후 동작은 계통전압이 정격의 50% 이하일 때 150ms 후 인버터 운전이 중지되는
모습을 보여준다. 0.1s 전 후로 유, 무효전류는 반전된 특징을 보여주며 이는 1p.u.와 0.5p.u.에서 각각 식 (3) 과 식(1) 로 LVRT 동작이 구현된 것임을 알 수 있다. Fig 7(b) 역시 배젼계통 LVRT 기준으로 수행한 LVRT 동작 시뮬레이션으로써 0.1s~0.2s 구간동안 0.55p.u.의 계통전압이 0.2s 이후 0.75p.u.로
증가하였을 때의 LVRT 동작을 보여준다. 0.55p.u.는 160ms이내 트립 되어야 하지만 100ms 이후 0.75p.u.가 되었을 때 1.5s까지
운전지속 영역이 연장된다. 본 시뮬레이션에서는 계통전압이 0.55p.u.가 되는 시점부터 인버터 운전이 중단되는 시점까지 1.5s가 소요되는것을 통해
배전계통 LVRT 알고리즘의 적용을 검증하였다. Fig 8(a)는 송전계통 LVRT 기준으로 수행한 시뮬레이션으로써 0.3s부터 시작되는 0.75p.u.의 계통전압이 0.5s 이후 감소하기 시작하여 0.4p.u.까지
감소하는 동안 770ms의 시간이 LVRT 트립 경계선과 맞닿아 LVRT 트립 동작이 발생되는 모습을 보여준다. 또한 Fig 8(b)도 Fig 8(a)와 마찬가지로 송전계통 LVRT 기준으로 수행한 시뮬레이션으로써 0.2s에서 0.15p.u.까지 계통전압이 감소하지만, 0.8p.u까지 전압이 상승하는
시간이 LVRT 경계선을 넘어서지 않으므로 트립되지 않다가 0.8p.u. 가 지속되면서 0.2s로부터 1350ms가 흐른 지점에서 인버터 동작이 중지
된 것을 통해 LVRT 상황을 모델링 하였다. Fig 9(a)는 송전계통 연계기준에 존재하지 않는 LVRT 알고리즘을 추가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한 내용으로써, 0.2s 이후 0.8s 까지 0.7p.u의 계통전압이
서서히 증가하면서 dead band인 0.9p.u.로 넘어 설 때 까지는 LVRT 경계선을 넘어서지 않으므로 인버터의 출력은 계속 되지만, 1.1p.u.부터전압이
증가하는 1.2s~1.4s 구간동안 200ms의 시간이지나면서 HVRT 트립 동작이 실행된 것을 보여준다. 또한 Fig 9(b) 는 앞서 Fig 9(a) 와 유사한 HVRT 동작으로 보이지만, 1.1p.u. 이후 200ms의 시간이 지나기 전 계통전압이 1.2p.u.로 상승하면서 HVRT 트립동작과
함께 인버터 출력이 중단되었다. 여기서 0.1s 이후 0.2p.u.부터 0.9p.u. 까지 전압이 상승하는 영역 에서는 계통전압이 LVRT 경계선을
넘어서지 않고 계속해서 상승하므로 LVRT 트립 동작이 발생하지 않으며, 계통 전압 범위에 따라 유 , 무효전류 공급이 식 (1), (2), (3), (4) 까지 모두 구현된 것을 확인하였다.
Table 1. Design specifications of the three-level TNPC inverter
Specifications
|
Values
|
Input Voltage, Vdc
|
800V
|
Rated output power
|
100kW
|
Grid voltage, Vg
|
220Vdc
|
Rated Output Current, In
|
145Arms
|
Switching frequency, fs
|
20kHz
|
Filter inductance 1, Lf1
|
200uH
|
Filter inductance 2, Lf2
|
200uH
|
Fig. 6. Simulation waveform of active and reactive current injection performance in LVRT & HVRT situation
Fig. 7. LVRT performance simulation waveform based on the grid voltage fluctuation condition of the KEPCO distribution system grid connection technology standard
Fig. 8. Simulation waveform of LVRT performance under grid voltage fluctuation condition of KEPCO’s transmission system grid connection technology standard
Fig. 9. Simulation waveform of active and reactive current injection performance in LVRT & HVRT situation
3. 결 론
본 논문에서는 한국전력공사의 송전계통과 배전계통 규정에서 제시하는 LVRT, HVRT 기준을 분석하였으며, 배전계통의 LVRT 기준보다 계통 유지기준이
상대적으로 엄격한 송전계통 기준에서 포함되지 않은 HVRT 기준을 추가하여 분석 및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수행된 시뮬레이션은 3-LEVEL TNPC
인버터에 LVRT, HVRT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구현하였으며 K=2.5를 기준으로 한 유, 무효전류 주입 기준을 기반으로 유, 무효전력 제어 동작이
구현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배전과 송전계통 연계기준의 LVRT, HVRT 조건을 다양한 케이스의 시뮬레이션 모델링을 함으로써 LVRT와 HVRT
동작을 상세히 분석하였다.
Acknowledgements
This work was supported in part by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Korea government(MSIT) (No. NRF2020R1A2C2099663) and in part by the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Korea, under the “Regional Innovation Cluster Development Program
(R&D, P0016220)” supervised by the Korea Institute for Advancement of Technology(KIAT).
References
Amendment to IEEE Std 1547-2003 , 2014, IEEE Standard for Interconnecting Distributed
Resources with Electric Power Systems-Amendment 1 in IEEE Std 1547a-2014", pp. 1-16,
21
Bundesverband der Energieund Wasserwirtschaft , 2008, Technische Richtlinie Erzeugungsanlagen
am Mittel spannungsnetz des Netzbetreibers Ergänzungen des Netzbetreibers
Khairy H., EL-Shimy M., Hashem G., 2015, Overview of Grid Code and Operational Requirements
of Grid-connected Solar PV Power Plants, Industry Academia Collaboration (IAC) Conference
Troester E, 2009, New German Grid Codes for Connecting PV Systems to the Medium Voltage
Power Grid, in Proc. 2nd Int. Workshop on Concentrating Photovoltaic Power Plants:
Opt. Design Prod. Grid Connection, pp. 1-4
KEPCO , 2021, Regulations on the Use of Electrical Equipment for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https://cyber.kepco.co.kr/ckepco/front/jsp/CY/H/C/CYHCHP00706.jsp#
KEPCO , 2021, Linked Technical Standards for Distributed Power and Distribution Systems,
Work Standard Number: H0-distribution-standard-0015), https://cyber.kepco.co.kr/ckepco/front/jsp/CY/H/C/CYHCHP00801.jsp
Biography
He received the B.S. degree in electronic engineering from Catholic University, Bucheon,
South Korea, in 2016.
He is currently pursuing his M.S. and Ph.D. degrees at the Department of Energy System
Engineering, Chung-Ang University, Seoul.
His current research interests include Grid connected Inverter and high-voltage pulsed-power
supply systems.
He is pursuing the B.S. degree at the Department of Energy System Engineering, Chung-Ang
University, Seoul. South Korea, in 2016.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power electronics and Grid connected Inverter.
He received the B.S. degree in electronic engineering from Kook-min University, Seoul,
South Korea, in 2019.
He is currently pursuing the integrated M.S. and Ph.D. degrees at the Department of
Energy System Engineering, Chung-Ang University, Seoul.
His current research interests include power electronics, high-voltage pulse power
systems and arc fault detection in DC PV systems.
He received his B.S., M.S., and Ph.D.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Dankook
University, Yongin, Korea, in 2004, 2006, and 2014, respectively.
Since 2007, he has been a General Manager of ESS R&D department on EON Co., Ltd.,
Anyang, Korea.
His current research interests include multi-level converters/inverters, high-power
density converter/inverter design, and modular UPSs.
He received the B.S., M.S., and Ph.D.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Sungkyunkwan
University, Seoul, South Korea, in 1991, 1995, and 2001, respectively.
From 2004 to 2005, he was a Visiting Scholar with WEMPEC,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Madison, WI, USA.
From 1996 to 2015, he joined the Electric Propulsion Research Division as a Principal
Research Engineer, the Korea Electro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Changwon, South
Korea, where he was a Leader with the Pulsed Power World Class Laboratory, a director
of Electric Propulsion Research Center.
From 2005 to 2015, he was a Professor with the Department of Energy Conversion Technology,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Deajeon, South Korea.
In 2015, he joined the School of Energy Systems Engineering, Chung-Ang University,
Seoul, where he is currently a Professor.
His current research interests include pulsed-power systems and their applications,
as well as high-power and high-voltage conversions.
Prof. Ryoo is the cooperation vice president of the Korean Institute of Power Electronics,
a editorial director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and the Vice
President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ons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