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ISO Journal TitleJ Korean Inst. IIIum. Electr. Install. Eng.

  1. (Master course, Dept. of Electrical Eng.,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Korea)
  2. (Master course, Dept. of Electrical Eng., Kangwon National University, Korea)



2G HTS wire, Critical current, Degradation, Electrical breakdown, Index n

1. 서 론

1911년 네덜란드 Leiden 대학의 Kamerlingh Onnes 교수는 포화상태의 액체헬륨 (4.2K) 내에서 수은이 ‘0’ 저항성의 초전도체가 된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발견하였다[1]. 이후 1913년에는 국제학술대회에 참석하여 수은의 ‘0’ 저항성 현상을 발표하면서 초전도 (superconductor)라는 단어를 처음으로 사용하였다[2]. 이후 수은 외에도 주석이나 납과 같은 물질들도 극저온 온도에서 초전도체가 된다는 사실을 알아냈으나 이와 같은 단원자 분자인 초전도체는 낮은 임계온도와 임계자기장 (납의 경우, 7.2K, 550Gauss)으로 인하여 실생활에 응용되지 못하였다[3].

1962년에는 합금계열인 NbTi가 초전도성질을 가진다는 사실을 발견하였고 이후 본격적으로 자기공명영상장치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와 같은 의료기기 분야에 응용되기 시작하였다[4]. 이와 같은 NbTi는 임계온도가 약 9.2K으로 대기압 조건에서 임계온도가 4.2K인 액체헬륨을 사용해야만 초전도 상태를 유지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5]. 그러나 액체헬륨의 잠열은 약 20.9J/kg으로 작은 외란에도 쉽게 초전도 성질이 깨지는 퀜치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에 안정성을 확보하기 어렵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6].

1980년대 중후반에 들어서는 BSCCO 계열의 물질이 약 90K 이상의 비교적 높은 온도에서 초전도 성질을 가진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6]. 대기압 조건에서 77K의 포화온도를 가지는 액체질소를 냉매로 사용하여 초전도 성질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고온 초전도체라고 명명하였다[6]. 동시에 NbTi와 같이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액체헬륨을 이용하여 초전도 성질을 유지하는 초전도체를 저온 초전도체라고 부르기 시작하였다. 고온 초전도체의 냉매로는 잠열이 액체헬륨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10배 정도 높은 199.3J/kg인 액체질소를 사용하기 때문에 초전도 시스템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수월하지만 금속성이 아닌 세라믹 계열의 물질이므로 기계적 특성과 가공성이 낮아 전력기기로 응용하기 어려운 단점을 가지고 있다[6].

2000년 이후에는 BSCCO와 같이 제작 단가가 비싸고 기계적 강도가 낮은 1세대 고온 초전도체에 비하여 제작 단가가 상대적으로 저렴하고 기계적 강도가 보완된 2세대 고온 초전도체가 개발되기 시작하였다. 1세대 고온 초전도체로 BSCCO가 주로 사용되었다면 2세대 고온 초전도체로는 YBCO와 GdBCO나 ReBCO와 같은 소재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초전도한류기와 초전도케이블과 같은 기존의 고전압 전력기기를 대체할 수 있는 고전압 초전도 전력기기의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2019년에는 우리나라의 신갈변전소와 흥덕변전소 사이 1km 구간에 세계 최초로 23kV 3상 일괄형 초전도케이블의 상용화가 이루어졌으며 현재 문산변전소와 선유변전소 사이에 23kV 3상 동축 초전도케이블 상용화 사업이 진행중에 있다[7]. 같은 해인 2019년에는 러시아 모스크바에 세계 최대용량인 220kV 송전급 초전도한류기가 설치되어 상용화하는데 성공하였다[8]. 이와 같이 최근 들어서 2세대 고온 초전도선재를 이용한 고전압 초전도 전력기기의 상용화가 잇달아 이루어짐에 따라 극저온 절연설계 및 절연설계 안정성 확보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증가하였다.

일반적으로 초전도체의 물리적 특성을 나타내기 위해서 임계전류 Ic (critical current)와 초전도 스위칭특성 지수 index n이 사용된다. 본 논문에서는 고전압 초전도 전력기기의 상용화를 앞당기기 위한 선행 연구로서 2세대 고온 초전도선재의 절연파괴에 따른 열화특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절연파괴전압의 크기와 인가전압의 종류에 따라 2세대 고온 초전도선재가 열화되는 정도를 확인하고 영향도를 분석하였다.

2. 실 험

본 연구에서는 배전급 초전도 전력기기의 절연설계를 위하여 변압기와 차단기와 같은 기존 배전급 전력기기의 절연내력시험 기준인 AC 50kV와 뇌임펄스 150kV에 대하여 2세대 고온 초전도선재의 임계전류와 index n의 열화정도를 확인하였다[9].

2.1 2세대 고온 초전도체

본 연구에서는 절연파괴에 대한 2세대 고온 초전도선재의 열화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서남에서 제작한 SCN-04 초전도선재를 사용하였다. SCN-04 초전도선재의 구조는 주로 두께가 15μm인 구리 재질의 외층 사이에 두께가 104μm인 비자성 스테인레스 스틸 (stainless steel 310S) 재질의 substrate를 위치시킨 후 그 위에 두께 1.3㎛의 GdBCO 초전도체층이 배치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또한 열처리와 산소공급 등의 보호기능을 하는 Al2O3층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10]. Fig. 1에는 SCN-04 초전도선재의 구성도를 나타내었다. SCN-04 초전도선재의 너비는 4mm이고 총 두께는 약 0.13mm이다. 또한 95%의 Ic를 유지할 수 있는 최소 곡률지름은 35mm이고 최대 인장강도는 500MPa 이상이다[10].

임계전류는 대기압 상태의 77K 액체질소에 초전도선재를 넣고 초전도선재의 양쪽에 직류전류를 인가하면서 초전도선재 가운데에 위치한 1cm의 탭에서 발생하는 유기전압의 크기가 1μV일 때 인가된 전류값으로 정의하였다. Fig. 2에는 SCN-04 초전도선재의 임계전류 측정 실험도를 나타내었다. 또한 실험에 사용된 DC 파워서플라이의 모델은 HP 6681A로 최대출력은 DC 580A이고 Nano-voltmeter의 모델은 Keithley 2182A로 분해능은 1nV이다.

Index n은 초전도 성질이 깨지는 퀜치의 기울기를 나타내는 값으로 초전도체가 스위치로 작용할 때 상태천이 (초전도상태-비초전도상태) 특성을 나타낸다. Index n은 식 (1)을 통하여 계산할 수 있다.

(1)
$E=E_{c}(\dfrac{J}{J_{c}})^{n}$

(1)에서 Ec와 Jc는 각각 초전도선재의 임계전계 (V/m) 및 임계전류밀도 (A/m2)이며, E는 전계의 세기, J는 전류밀도를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 index n은 V-I 곡선으로부터 실험적으로 구한 0.1∼10μV/cm 사이의 값을 사용하였다. 절연파괴를 겪지 않은 건전한 SCN-04 초전도선재의 index n을 계산한 결과, 73.1로 계산되었다.

Fig. 1. Structure of 2G HTS wires used in experiment

../../Resources/kiiee/JIEIE.2022.36.3.036/fig1.png

Fig. 2. Experimental schematics of Ic measurement

../../Resources/kiiee/JIEIE.2022.36.3.036/fig2.png

2.2 절연파괴실험 조건

절연파괴에 따른 SCN-04 초전도선재의 열화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사용된 AC 절연내력 시험기는 주파수 60Hz의 전압을 최대 100kV까지 인가할 수 있으며, 뇌임펄스 절연내력 시험기는 1.2/50μs의 전압을 최대 500kV 인가할 수 있는 용량을 가지고 있다. Fig. 3에는 절연파괴실험의 구성도를 나타내었다. Fig.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판전극 위에 초전도선재를 위치시킨 후 Kapton 테이프를 이용하여 고정시키고 액체질소에 담근 후 void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1시간 정도의 안정화 시간을 가졌다. Fig. 4에는 절연파괴실험을 위하여 전극시스템에 위치시킨 SCN-04 초전도선재의 모습을 나타내었다. 구전극에 고전압을 인가하여 초전도선재 표면에 절연파괴가 발생하도록 유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초전도전력기기의 절연내력시험에 대한 별도의 IEC 규정이 마련되지 않았기 때문에 변압기, 차단기와 같은 기존의 배전급 전력기기의 절연내력시험 전압인 AC 50kV, 뇌임펄스 150kV를 기준으로 절연파괴실험을 수행하였다. 이때 전압의 인가속도는 1kV/s를 기준으로 실험하였다.

Fig. 3. Schematic drawing of dielectric experiment

../../Resources/kiiee/JIEIE.2022.36.3.036/fig3.png

Fig. 4. 2G HTS wire on a plane electrode for dielectric experiment

../../Resources/kiiee/JIEIE.2022.36.3.036/fig4.png

절연파괴실험에 사용된 전극시스템은 구 대 평판 전극으로 구체적인 조건은 Table 1에 나타내었다. Table 1에 나타낸 실험조건은 선행 실험을 통하여 얻어낸 결과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액체 절연매질은 매질 내의 void 등과 같은 불순물의 유동 영향으로 인하여 동일한 실험조건에서도 절연파괴전압 크기의 편차가 고체나 기체 절연매질에 비하여 수십 배 이상 차이가 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11].

Table 1. Specifications of an electrode system for dielectric experiment

Electrode

Specifications

feature

sphere-to-plane

size

AC

sphere: diameter 2mm

plane: diameter 120mm

Imp.

sphere: diameter 6mm

plane: diameter 120mm

material

stainless steel 304CD

gap

AC

5mm

Imp.

3mm

3. 실험 결과

포화액체질소 내에서 AC와 뇌임펄스 전압에 대한 절연파괴실험을 수행한 후에 발생한 SCN-04 초전도선재의 임계전류와 index n의 변화를 측정하고 주사전자현미경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으로 초전도체의 단면을 촬영하여 절연파괴로 인하여 발생된 미세조직 구조변화를 확인하였다. 이를 통하여 배전급 초전도 전력기기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절연파괴로 발생할 수 있는 SCN-04 초전도선재의 열화와 물리적 구조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절연파괴실험은 각 전압에 대하여 동일한 조건에서 4회 반복 실험하였으며 실험 결과, AC 전압에 대해서는 46.9, 51.2, 55.1, 55.4kV에서 절연파괴가 발생하였으며 뇌임펄스 전압에 대해서는 145.4, 146.0, 153.1, 154.9kV에서 절연파괴가 발생하였다. Fig. 5에는 뇌임펄스 146.0kV의 전압에 대하여 초전도선재 표면에 발생한 관통공의 모습을 나타내었다.

Fig. 5. Penetration of 2G HTS wire due to electrical breakdown

../../Resources/kiiee/JIEIE.2022.36.3.036/fig5.png

3.1 임계전류 변화

Fig. 6에는 액체질소 내에서 측정한 절연파괴실험에 따른 SCN-04 초전도선재의 V-I 곡선을 나타내었다. 이때 측정된 임계전류는 1μV/cm 기준을 적용했을 때 130A이다. Fig.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절연파괴실험 이전 초전도선재의 임계전류는 130A임에 반하여 뇌임펄스 153.1kV의 절연파괴전압에 의한 임계전류는 약 109A로 임계전류가 약 16% 이상 저하됨을 확인할 수 있다. Fig. 7에는 SCN-04 초전도선재의 AC 절연파괴전압 크기에 따른 임계전류의 변화를 나타내었으며, Fig. 8에는 뇌임펄스 절연파괴전압 크기에 따른 임계전류의 변화를 나타내었다. 두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절연파괴전압의 크기가 커질수록 임계전류값이 감소할 뿐만 아니라 AC에 비하여 뇌임펄스 전압에 대한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Fig. 7Fig. 8에 나타낸 임계전류의 열화특성을 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71-1의 대표값인 AC 50kV와 뇌임펄스 150kV에 대한 값으로 AC와 뇌임펄스 절연파괴전압에 따른 SCN-04 초전도선재 임계전류의 변화를 Fig. 9에 나타내었다. 절연파괴에 따른 초전도선재 임계전류의 열화특성은 실험에서 확인한 바와 같이 인가전압의 크기와 종류에 따라 달라진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Fig. 6. V-I curve of SCN-04 2G HTS wire

../../Resources/kiiee/JIEIE.2022.36.3.036/fig6.png

Fig. 7. Ic degradation according to AC electrical breakdown voltage

../../Resources/kiiee/JIEIE.2022.36.3.036/fig7.png

Fig. 8. Ic degradation according to lightning impulse electrical breakdown voltage

../../Resources/kiiee/JIEIE.2022.36.3.036/fig8.png

Fig. 9. Comparison of Ic degradation according to applied voltage type

../../Resources/kiiee/JIEIE.2022.36.3.036/fig9.png

3.2 Index n 변화

실험을 통하여 측정한 Fig. 6과 같은 V-I 곡선을 바탕으로 식 (1)을 적용하여 계산한 index n의 평균변화를 인가전압에 따라 Fig. 10에 나타내었다. 액체질소를 포함한 액체 절연매질 내에서는 동일한 조건으로 인가한 절연파괴실험에서의 AC와 뇌임펄스 전압의 출력 편차가 일반적인 기체 절연매질의 조건에 비하여 크게 나타난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동일한 조건에서 수백 회 이상의 실험을 반복하여 출력전압의 크기가 ±5kV가 되는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Fig. 10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index n도 임계전류와 유사하게 절연파괴에 의하여 저하되며 AC 절연파괴전압에 비하여 뇌임펄스 전압에 의한 열화가 더 크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Fig. 10. Index n degradation according to applied voltage type

../../Resources/kiiee/JIEIE.2022.36.3.036/fig10.png

3.3 미세조직 변화

본 연구에서는 초전도체의 임계전류와 index n이 절연파괴에 의하여 열화되는 물리적 원인을 확인하기 위하여 전자주사현미경을 이용하여 초전도선재의 단면을 촬영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된 전자주사현미경의 모델은 JEOL(JSM-7610F)로 시료를 최대 1백만 배까지 확대하여 볼 수 있다. 절연파괴실험을 경험하지 않은 정상적인 SCN-04 초전도선재의 단면사진을 Fig. 11에 나타내었다.

Fig.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초전도성질을 가지는 GdBCO가 약 1.2μm의 두께로서 비자성 물질인 스테인레스 스틸 substrate 위에 위치하고 있다. 액체질소 내에서는 초전도성질을 가지는 GdBCO의 저항이 ‘0’이 되어 모든 전류가 손실없이 흐르게 된다. 따라서 절연파괴에 의한 GdBCO의 물리적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절연파괴 후 전자주사현미경을 이용하여 고온초전도체의 단면을 촬영하였다. 모든 고온초전도체 샘플의 단면에서 GdBCO 초전도체층에 crack이 발생하였음을 확인하였다. Fig. 12에는 뇌임펄스 전압 154.9kV와 165.0kV에 의하여 절연파괴가 발생한 SCN-04 초전도선재의 단면을 전자주사현미경으로 촬영한 모습을 나타내었다. Fig.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모든 초전도선재 샘플은 절연파괴에 의하여 비금속 재질인 GdBCO 층에서 crack이 발생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실험을 통하여 절연파괴전압에 의하여 초전도체가 열화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으며, 초전도체의 열화현상은 임계전류와 index n의 측정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Fig. 11. SEM image on cross section view of normal 2G HTS wire

../../Resources/kiiee/JIEIE.2022.36.3.036/fig11.png

Fig. 12. SEM image on cross section view of cracked 2G HTS wire due to Imp. 154.9kV and 165.0kV electrical breakdown

../../Resources/kiiee/JIEIE.2022.36.3.036/fig12.png

4. 결 론

본 논문에서는 배전급 초전도 전력기기의 상용화를 앞당기고 절연설계시 안전율을 고려하기 위하여 일반 배전급 전력기기의 시험전압과 동일한 AC 50kV와 뇌임펄스 150kV를 인가한 후에 열화특성을 확인하였다.

초전도선재의 통전특성을 나타내는 임계전류는 정상 초전도선재 대비 AC 전압에 대해 약 8%, 뇌임펄스 전압에 대해 약 17% 감소하였다. 또한 초전도체의 스위칭특성을 나타내는 index n은 정상 초전도선재 대비 AC 전압에 대해서 약 18%, 뇌임펄스 전압에 대해서 약 20% 감소하였다. 절연파괴전압에 의한 초전도선재의 임계전류와 index n의 감소 원인을 확인하기 위하여 절연파괴가 발생한 초전도선재의 단면을 전자주사현미경으로 촬영한 결과, crack이 발생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이 절연파괴로 인하여 GdBCO 층에 발생한 crack은 초전도선재의 통전특성과 스위칭특성의 열화를 유발하며, 이때 AC 전압에 비하여 뇌임펄스 전압에 의한 열화가 더 크게 발생하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향후 후속 연구에서는 stabilizer의 물질과 다양한 인가전압의 크기에 따른 열화특성 변화를 확인하기 위한 실험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계획이다. 본 연구결과는 고전압 초전도 전력기기의 상용화를 위한 절연 안전율을 확보할 수 있는 데이터로 활용될 수 있다.

Acknowledgement

2021년 한국교통대학교 지원을 받아 수행하였음.

본 과제(결과물)는 2021년도 교육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 사업의 결과임. 2021RIS-001 (1345341783)

References

1 
Russell B. Scott , 1959, Cryogenic Engineering, D. Van Nostrand Company, IncGoogle Search
2 
Kim Sukhwan, Han Songyeop, 2004, Introduction to Superconducting Engineering, DaeyoungsaGoogle Search
3 
Luiz A. M., 2011, Superconductivity Theory and Applications, InTechURL
4 
Wilson Martin N., 1989, Superconducting Magnets, Clarendon Press, INC.Google Search
5 
Poole Charles P., Farach Horacio A., Crewick Richard J., 1996, Superconductivity, Academic Press, INC.Google Search
6 
Iwasa Yukikazu, 1994, Case Studies in Superconducting Magnets, Plenum PressGoogle Search
7 
Lee Chulhyu, et al. , 2020, Progress of the First Commercial Project of High Temperature Superconducting Cables by KEPCO in Korea, Applied Energy Engineering, Vol. 33, No. 044006DOI
8 
Moyzykh Mikhail, et al. , 2021, First Russian 220kV Superconducting Fault Current Limiter (SFCL) for Application in City Grid, IEEE Transactions on Applied Superconductivity, Vol. 31, No. 5, pp. 5601707DOI
9 
IEC 62271-1 , (Accessed 12 July 2017), High-voltage Switchgear and Controlgear - Part 1: Common Specifications Alternating Current Switchgear and Controlgear, https://webstore.iec.ch/publication/32982URL
10 
SuNam , 2G HTS Wire, http://www.i-sunam.com/wp/sunam1-2/URL
11 
Jung Sungkyu, Lee Deokchul, 2011, High-Voltage Engineering, MunwoondangGoogle Search

Biography

Bimaridi Afif
../../Resources/kiiee/JIEIE.2022.36.3.036/au1.png

He received bachelor's degree in Physics engineering from Telkom University, Indonesia in 2016. He is currently a master’s course in Dept. of electrical engineering,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His research interests are high voltage engineering, power asset management, and applied superconductivity.

Seunghee O
../../Resources/kiiee/JIEIE.2022.36.3.036/au2.png

She received master's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in 2022. She is currently a Ph.D. candidate in Dept. of electrical engineering,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Her research interests are high voltage engineering, power asset management, and applied superconductivity.

Younghun Park
../../Resources/kiiee/JIEIE.2022.36.3.036/au3.png

He received bachelor's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in 2021. He is currently a master’s course in Dept. of electrical engineering,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His research interests are high voltage engineering, power asset management, and applied superconductivity.

Jinhyung Park
../../Resources/kiiee/JIEIE.2022.36.3.036/au4.png

He received bachelor's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in 2022. He is currently a master’s course in Dept. of electrical engineering,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His research interests are high voltage engineering, power asset management, and applied superconductivity.

Uhyeon Jo
../../Resources/kiiee/JIEIE.2022.36.3.036/au5.png

He received bachelor's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in 2022. He is currently a master’s course in Dept. of electrical engineering,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His research interests are high voltage engineering, power asset management, and applied superconductivity.

Woochur Shin
../../Resources/kiiee/JIEIE.2022.36.3.036/au6.png

He received bachelor's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in 2022. He is currently a master’s course in Dept. of electrical engineering,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His research interests are high voltage engineering, power asset management, and applied superconductivity.

Ragil Handito
../../Resources/kiiee/JIEIE.2022.36.3.036/au7.png

He received bachelor's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Universitas Jenderal Achmad Yani. in 2020. He is currently a master’s course in Dept. of electrical engineering,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His research interests are high voltage engineering, power asset management, and applied superconductivity.

Seongkeon Park
../../Resources/kiiee/JIEIE.2022.36.3.036/au8.png

He received bachelor's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Kangwon National University in 2021. Currently, master course in Dept. of electrical engineering, Kangwon National University. His research interests are high voltage engineering, power asset management, and applied superconductivity.

Hyoungku Kang
../../Resources/kiiee/JIEIE.2022.36.3.036/au9.png

He received doctor's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Yonsei University in 2005. He is currently a professor in Dept. of electrical engineering,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His research interests are high voltage engineering, power asset management, and applied superconductiv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