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ISO Journal TitleJ Korean Inst. IIIum. Electr. Install. Eng.




Cost functions, DC microgrid, DCVC, DERs, Sensitivity

1. 서 론

우리나라는 2015년 파리협정 이후 새로운 기후체제의 도래에 발맞추어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37% 감축하는 목표를 설정하였다. 또한, 제9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라, 2034년까지 신재생에너지 발전을 77.8GW까지 늘릴 계획이다[1]. 한전에 따르면 직류(DC) 기반 디지털 부하가 5년 안에 50% 이상을 차지할 것이라고 한다. DC를 사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대부분의 신재생에너지는 AC 기반 배전망에 연결할 수 있도록 전력 변환 단계(AC/DC)를 포함하며, 이로 인해 전력 손실이 발생한다. 그러나, 배전망이 DC 기반인 경우 DC에서 생산된 전력을 AC로 변환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DC 전원을 디지털 부하에 직접 공급함으로써 배전계통의 효율적인 운영이 가능하다[2].

또한, DC 배전시스템은 배전선로의 배전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주파수가 없으므로 전력 설비의 절연 수준을 낮출 수 있다. 이처럼 DC 배전시스템은 신재생에너지의 생태계 구축과 신기후체제에 대한 전력산업의 대응에 있어 핵심으로 고려된다.

분산전원과 디지털 부하가 지속적으로 배전계통과 연결됨에 따라 DC 배전계통이 중요한 연구대상으로 떠오르고 있다. Fig. 1과 같이 AC 전력계통에서는 주파수, 무효전력, 역률이 핵심 요소이고 DC 전력계통에서는 저압 DC 전류가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Fig. 1. Schematic of DC distribution line

../../Resources/kiiee/JIEIE.2022.36.7.016/fig1.png

이에, PV 및 배터리 등이 연계된 DC 마이크로그리드의 MPPT 제어 연구, PSO 최적화 기반의 실시간 AC/DC 인버터 제어 연구, 부하 균등 제어를 목적으로 하는 DC 마이크로그리드 연구, Multi-Agent 시스템 기반의 DC 배전 제어 연구, DC 마이크로그리드의 계층적 전압제어 연구 등 DC 배전 및 마이크로그리드 제어와 관련하여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3-7].

대부분의 DC 배전 및 마이크로그리드 제어 연구는 인버터 기반의 동적 제어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DC 마이크로그리드의 취약 모선 제어를 위한 정적 전압 제어 알고리즘(DCVC, DC Voltage Control)을 제안한다. 이 전압 제어 알고리즘은 다양한 분산전원에 대한 감도해석 및 비용함수 연산을 기반으로 하는 정수 프로그래밍 방법을 사용하여 빠르게 분산전원과 인버터 제어량을 산정할 수 있다.

2. DCVC 제어 개념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DCVC의 최종 목적은 DC 계통 변화에 대한 전압 이상, 즉, 저전압이나 과전압에 대해 전압 보상을 통해 모선의 전압을 규정 내로 유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AC/DC 정류기 제어 혹은 DC 계통 쪽에 설치된 분산전원(Distribution Generator) 출력을 제어요소로 한다. Table 1은 DCVC에 대한 기능을 설명한 것이다.

Table 1. Functions of DCVC

Function

Description

Voltage control of converter bus

Calculation of converter voltage deviation against an abnormal voltage in bus

Change of DG output

Calculation of DG output against a vulnerable bus

Table 1과 같이 DCVC의 기능은 크게 두 가지이다. 첫 번째는 전압 이상 모선이 발생했을 때 정류기 전압 제어를 통해 전압 이상을 해소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정류기 전압 변동량을 계산하여 전압 제어를 수행한다. 정류기 전압 변동량을 계산하기 위해서 Fig. 2와 같이 2기 AC-DC 정류기와 분산전원으로 구성된 2-terminal DC 계통을 고려한다.

Fig. 2. DC power system with converter and DG

../../Resources/kiiee/JIEIE.2022.36.7.016/fig2.png

주어진 DC 계통 슬랙 모선의 전압 변동량($\triangle V_{conv}$)은 기본적인 회로 해석 방법($P=VI,\: I=YV$)을 이용하여 계산하고 수식 (1)과 같이 새로운 슬랙 모선의 목표 전압을 결정할 수 있다.

(1)
$\begin{align*} V_{conv}^{n ew}=V_{conv}^{old}+\triangle V_{conv}\\ \\ V_{mi n}<V_{conv}^{n ew}<V_{ma x} \end{align*}$

이때, Fig. 3과 수식 (2)와 같이 정류기의 드룹 특성(droop characteristic)을 고려하여 정류기 전압 변동에 대한 유효전력 출력($P_{dc}$)이 결정된다. 이때, 정상 전압유지 범위는 하한(Vdc_ref_min) 및 상한(Vdc_ref_max)으로 표시한다.

(2)
$P_{dc}=\dfrac{1}{R_{dc}}(V_{dc}-V_{mi n,\: dc})+P_{ma x,\: dc}$

Fig. 3. P-V Droop characteristics of converter

../../Resources/kiiee/JIEIE.2022.36.7.016/fig3.png

두 번째는 전압 이상 모선이 발생하고 정류기 전압 제어만으로 전압 이상을 해소할 수 없는 경우이다. 이때, 전압 이상 모선에 대한 최대 민감 분산전원을 선정하고 선정된 분산전원의 발전 변동량을 계산하여 전압 제어를 수행한다. 최대 민감 분산전원 선정을 위해서 수식 (3)과 같이 자코비안(Jacobian) 행렬을 이용하여 모선의 전압에 대한 유효전력 출력 감도를 계산한다.

(3)
$\begin{align*} \triangle V=J^{-1}\triangle P\\ \\ \left[\begin{aligned}\triangle V_{1}\\\begin{aligned}\triangle V_{2}\\\begin{aligned}...\\\triangle V_{n}\end{aligned}\end{aligned}\end{aligned}\right]=\begin{bmatrix}J_{11}&J_{12}&...&J_{1n}\\J_{21}&J_{2}&...&J_{2n}\\\begin{aligned}...\\J_{n1}\end{aligned}&\begin{aligned}...\\J_{n2}\end{aligned}&\begin{aligned}...\\...\end{aligned}&\begin{aligned}...\\J_{nn}\end{aligned}\end{bmatrix}^{-1}\left[\begin{aligned}\begin{aligned}\begin{aligned}\triangle P_{1}\\\triangle P_{2}\end{aligned}\\...\end{aligned}\\\triangle P_{n}\end{aligned}\right] \end{align*} $

이때, 자코비안 행렬의 대각 성분과 비대각 성분을 수식으로 표현하면 각각 수식 (4)(5)와 같다.

(4)
비대각 성분 : $J_{ii}=2V_{i}G_{ii}+\sum_{j=1,\: j\ne i}^{N}V_{j}G_{ij}$
(5)
대각 성분 : $J_{ij}=V_{i}G_{ij}$

위 감도 행렬을 통해 j모선이 분산전원 출력 변화($\triangle P_{j}$)에 대한 전압 이상 모선 i의 전압 변화($\triangle V_{i}$)를 수식 (6)과 같은 감도($S_{ij}$) 수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

(6)
$S_{ij}=\dfrac{\triangle V_{i}}{\triangle P_{j}}=[J]_{ij}^{-1}$

3. DCVC 제어 알고리즘

3.1 DCVC 구조

DCVC의 전압 제어는 기본적으로 조류계산 결과 정보를 바탕으로 DC 계통의 모선 전압이 전압 유지 범위 내에 있는지를 확인한 후, DC 계통의 모선 전압이 적정한 범위 내에 있지 않다면 이를 정상 운전 범위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슬랙 모선 정류기, 분산전원 등 전압 제어기기의 제어 효과를 반복 조류계산으로 분석한다. 즉, 계통 운영자가 정한 전압 유지 기준을 벗어나는 전압 위반 모선(Voltage Violation Bus)이 발생하면 해당 독립계통에서 integer programming을 이용하여 전압 제어기기(Voltage Control Device)를 결정한다. 이때 미리 투입 비용을 정해놓은 후보 제어기기의 비용함수(Cost Function)를 계산하여 가장 적은 비용이 소요되는 제어기기 순으로 투입 순서를 결정한다.

Fig. 4. DCVC structure

../../Resources/kiiee/JIEIE.2022.36.7.016/fig4.png

DCVC의 제어 구조는 Fig. 4와 같다. DCSE(상태추정)를 통해서 각 제어기기 및 계통 모델의 상태를 입력받아 최적의 전압 제어기기의 제어 동작을 결정한다. 그리고 자동으로 제어 대상 및 제어량을 각 제어기기에서 전달하고 계통 운영자에게는 경고 메시지를 통하여 현재 계통의 상황이나 조치 사항 등을 제공한다. 이때 주요 제어 수단은 DCVC의 기능 요구사항에 따라 다음과 같다.

1) AC-DC 정류기의 전압 조정

2) 분산전원의 유효전력 출력 조정

주로 이 두 가지 제어 수단을 통하여 DC 계통의 모선 전압을 일정 수준으로 유지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구현한다. 또한, DCVC의 제어 목적은 다음과 같이 설정할 수 있다.

1) 모선 전압 유지

2) 제어기기 제어 동작 최소화

3) DC계통 배전선로(DL)의 유효전력 손실 감소

3.2 비용함수 정식화

앞서 밝힌 바와 같이 전압 제어기기는 정류기 및 분산전원을 고려한다. 이러한 제어 설비는 수식 (7)과 같이 비용함수로 정식화되어 제어기기의 우선순위를 정하게 된다[8, 9].

(7)
$\begin{align*} \min imize\left\{\begin{aligned}w_{n}\sum_{i=1}^{n}vert k_{i}vert S_{i}\\ +\sum_{m=1}^{M}[f_{m}(k_{i})+w_{m}P_{loss,\: m}(k_{i})]\end{aligned}\right\}\\ \\ s.t. k_{i}\in\left\{x_{i}vert x_{i}=0,\: 1,\: i\in n\right\} \end{align*}$
(8)
$P_{loss=}\sum_{i=1}^{n}\sum_{j=1}^{n}\left[\begin{aligned}V_{i}^{2}G_{ij}+V_{j}^{2}G_{ij}\\ -2V_{i}V_{j}G_{ij}\cos(\delta_{i}-\delta_{j})\end{aligned}\right]$

Table 2. Parameter descriptions of cost functions

Parameter

Description

Parameter

Description

n

Control Devices

M

Load Buses

$k_{i}$

Status of Control Devices

$S_{i}$

Voltage Control Cost

$f_{m}$

Voltage Penalty Function

$P_{loss,\: m}$

Line Loss Penalty

$w_{n}$

Voltage Control Weighting

$w_{m}$

Line Loss Weighting

비용함수의 각 파라미터에 대한 설명은 Table 2와 같다. 즉, ‘n’은 제어기기 수, ‘M’은 부하 모선 수를 나타낸다. ‘$k_{i}$’는 제어기기의 투입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정류기와 분산전원 중 제어에 참여하는 제어기기 상태를 의미한다. 즉, 0은 제어에 참여하지 않은 것을 의미하며, 1은 제어에 참여하는 것을 의미한다. ‘$S_{i}$’은 정류기와 분산전원의 제어에 따른 비용으로써, 이 값은 제어 후에 증가하게 된다.

‘$f_{m}$’는 전압 페널티 함수(voltage penalty function)로 제어 전, 후의 부하 모선의 전압 위반 정도를 수식화한 것이다. Fig. 5는 제어기기의 페널티 함수를 나타낸다. 그림에서 보듯이 정상 전압 유지 범위가 있고 이 범위 안에서는 페널티 함수값은 0이 되고 정상 전압 유지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는 즉, b1.05 (b>1) 보다 크거나, a0.95(a<1) 보다 작으면 최대값이 되며, 1.05 ∼ b1.05와 a0.95 ∼0.95 사이는 선형 함수로 정의된다. 이때, 전압 단위는 p.u이고, a, b는 상수값이다.

Fig. 5. Voltage penalty functions

../../Resources/kiiee/JIEIE.2022.36.7.016/fig5.png

‘$P_{loss,\: m}$’는 선로손실 페널티로 수식 (8)을 이용하여 제어 전, 후의 선로손실을 계산한다. ‘$w_{n}$’와 ‘$w_{m}$’는 전압 제어 가중치와 선로손실 가중치를 각각 나타내는 것으로 수식 (9)를 만족해야 하며, 본 논문에서는 동일한 가중치로 설정한다.

(9)
$\omega_{n}+\omega_{m}=1,\: 0\le\omega_{n}\le 1,\: 0\le\omega_{m}\le 1$

3.3 DCVC 알고리즘 순서도

Fig. 6은 DCVC 알고리즘 순서도를 나타낸다. ① DC 계통데이터와 정류기 및 분산전원 데이터를 읽어 들인다. ② DCPF(조류계산)를 실행하여 전압 이상 여부를 체크한다. ③ 전압 위반 여부가 나타난 경우 앞서 설명한 비용함수를 계산하여 적절한 전압 제어기기와 제어량을 선정한다. ④ 전압 이상 여부를 재평가하여 위반이 일어나지 않은 경우 알고리즘은 종료 되고, 위반이 발생한 경우 다른 제어기기의 추가 제어를 고려한다. ⑤ 만약 제어요소가 더 이상 없거나 기존 제어요소가 전압 상하한에 도달하였을 경우 알고리즘은 종료된다. 이러한 반복 과정을 통하여 전압 유지를 위한 적절한 전압 제어기기의 제어 순서가 결정되고 계통 운영자는 정류기와 분산전원 제어에 따른 DC 계통의 변화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Fig. 6. DCVC control flows

../../Resources/kiiee/JIEIE.2022.36.7.016/fig6.png

4. 시뮬레이션 결과

4.1 모의 계통

모의 계통은 Fig. 7과 같이 거차도이다. 거차도 계통은 3개의 독립계통으로 구성되며, 각각 ±750V DC의 P폴과 N폴을 가진다. 1번 모선에는 100kW급 풍력발전기 1기와 209kW급 태양광발전기 1기가 연결되어 있고, 3번 모선은 송전 AC계통에 연계된 슬랙 모선으로 100kW급 AC/DC 정류기 2대, 200kW급 ESS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부하는 각각 8번 모선 20kW, 11번 모선 25kW, 12번 모선 10kW, 17번 모선 10kW, 19번 모선 25kW, 21번 모선 5kW로 구성된다.

4.2 모의 시나리오

DCVC의 제어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Table 3과 같이 비용 함수의 파라미터를 설정한다. 우선, DCVC의 연산 기능 요구사항에 따라 DC 계통의 모선 전압을 위해 슬랙 정류기의 전압 제어를 우선순위로 놓기 위해서 시나리오 1에서는 분산전원 출력 변동 비용을 정류기 제어 비용보다 10배 높게 설정한다. 또한, 시나리오 2에서는 DCVC의 분산전원 출력 제어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반대로 정류기 제어 비용을 분산전원 출력 변동 비용보다 10배 높게 설정한다.

Fig. 7. Geocha-do power system

../../Resources/kiiee/JIEIE.2022.36.7.016/fig7.png

Table 3. Parameter setting of scenarios

Scenario

Converter

DG

1

$X_{Con}$

$X_{DG}=10X_{Con}$

2

$X_{Con}=10X_{DG}$

$X_{DG}$

4.3 DCVC 제어 결과

모의 계통의 감도 계산은 모선 기반으로 수행되며 1번 모선에 연결된 두 개의 발전기는 동일한 감도 값을 갖는다. Table 4는 각 모선에 대한 감도행렬 결과이다.

Table 4. Sensitivity analysis results

Bus

Sensitivity

13

0.05

12

0.04

22

0.04

8

0.02

18

0.02

1

0.01

2

0.003

3

0.003

10

0.002

4.3.1 정류기 전압 조정

우선, AC/DC 정류기의 전압 조정을 통해 과전압 모선을 해소할 수 있다. 3번 독립계통의 과전압 모선을 해소하기 위해서 13번 모선에 연계된 100kW급의 정류기의 목표 전압을 Table 5와 같이 DCVC 제어값인 0.06p.u만큼 조정하여 Table 6과 같이 모든 부하 모선의 전압을 1.05p.u이하로 유지하였다. 또한, Table 7과 같이 비용함수 값도 모두 20 이하로 작아졌다.

Table 5. Results of converter target voltages

Converter

Before Control(p.u)

After Control(p.u)

3-5

1.05

1.05

3-13

1.05

0.99

Table 6. Results of load bus voltages

Bus

Before Control(p.u)

After Control(p.u)

15

1.09

1.05

16

1.10

1.04

17

1.06

1.01

18

1.07

1.02

20

1.10

1.04

Table 7. Results of cost functions

Bus

Before Control

After Control

9

402.3

19.2

14

400.7

17.5

4

190.0

2.5

12

95.0

1.0

4.3.2 분산전원 출력 제어

시나리오 2를 적용하여 DCVC의 분산전원 출력 제어를 확인한다. DCVC의 분산전원 출력 제어를 통해 Table 8과 같이 풍력발전기와 태양광발전기의 출력을 각각 23kW 감소시켜 Table 9와 같이 모든 부하 모선의 전압을 1.05p.u이하로 유지하였다. 또한, Table 10과 같이 비용함수 값도 모두 10 이하로 작아졌다.

Table 8. Results of DG outputs

DG

Before Control(kW)

After Control(kW)

WT

35

12

PV

48

25

ESS

60

60

Table 9. Results of load bus voltages

Bus

Before Control(p.u)

After Control(p.u)

15

1.09

1.04

16

1.10

1.05

17

1.06

1.02

18

1.07

1.02

20

1.10

1.05

Table 10. Results of cost functions

Bus

Before Control

After Control

9

402.3

8.5

14

400.7

8.2

4

190.0

1.0

12

95.0

0.1

5. 결 론

분산전원의 접속 용량 증대와 에너지 효율 향상을 위해 DC 배전계통의 운영 기술이 필요하며, 특히 배전선로 전압 제어가 중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DC 마이크로그리드의 취약 모선을 제어하기 위해서 정적 전압 제어 알고리즘(DCVC)을 제안하였다.

DCVC는 감도해석 및 비용함수 연산을 기반으로 하는 정수 프로그래밍 방법을 사용하였고, 이를 거차도 계통에 적용하여 정류기와 분산전원에 대한 전압 제어 효과를 전압값과 비용함수로 확인하였다.

향후 분산전원 인버터의 Volt-Var, Volt-Watt, Fixed PF 등의 제어 곡선을 활용한 동적 제어 알고리즘과 연계하여 계층적 제어시스템을 연구할 예정이다.

Acknowledgement

This work was supported by research grants from Daegu Catholic University in 2020.

References

1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 2020, The 9th Basic Plan on Electricity Demand and SupplyGoogle Search
2 
KEPCO Research Institute , 2016, Demonstration Study for Low Voltage Direct Current Distribution Network in an IslandGoogle Search
3 
Sun J., Lin W., Hong M., Loparo K., 2020, Voltage Regulation of DC Microgrid With PV and Battery, IEEE Transaction on Smart Grid, Vol. 11, No. 6, pp. 4662-4675DOI
4 
EL-Shahat A., Sumaiya S., 2019, DC Microgrid System Design, Control, and Analysis, Electronics, Vol. 8, No. 2DOI
5 
Lonkar M., Ponnaluri S., 2015, An Overview of DC Microgrid Operation and Control, Proc. of the 6th International Renewable Energy CongressDOI
6 
Trinh P. H., et al., 2017, A Novel Voltage Control Scheme for Low-Voltage DC Distribution Systems Using Multi-Agent Systems, Energies, Vol. 10, No. 41DOI
7 
Shuaia Z., Fanga J., Ninga F., Shenb Z. J., 2017, Hierarchical Structure and Bus Voltage Control of DC Microgrid,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Vol. 82, No. 3, pp. 3670-3682DOI
8 
Choi Y. H., Lee B., Kim T. K., 2015, Optimal Shunt Compensation for Improving Voltage Stability and Transfer Capability in Metropolitan Area of the Korean Power System, Journal of Electrical Engineering & Technology, Vol. 10, No. 4, pp. 1502-1507DOI
9 
Choi Y. H., Kim J. Y., 2019, Voltage Control of Vulnerable Buses in a DC Micro-grid, Proc. of the ICEE 2019Google Search

Biography

Yun-Hyuk Choi
../../Resources/kiiee/JIEIE.2022.36.7.016/au1.png

He received Ph.D. degree from Korea University in 2012. Since 2017, He is currently an assistant professor at the Daegu Catholic University. His research interests are distribution system analysis, ESS operating technology for NTAs, and hosting capacity of renewable ener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