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 대체 소재를 활용한 동작 분석 및 유한요소해석을 통한 로봇 크로스 조인트 설계
유한요소 해석을 위한 로봇 암 크로스 조인트의 3D 제작하였으며, 아래 Fig. 2의 경우 Autodesk사의 Inventor 2020을 활용하여 로봇 암 크로스 조인트의 3D 객체를 생성하였다.
Fig. 2. 3D Objects created for finite element analysis
1) 유한요소 해석을 위한 재질 선정
- Aluminum : 기존의 로봇암 및 크로스 조인트의 재질로 은백색의 가벼운 금속
- PC/ABS : PolyCarbonate와 ABS을 혼합하여 제조하는 합성수지로 사출 가공성 및 압출이 아주 우수하고, 내화학성이 뛰어남
- PolyCarbonate : 대표적인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내충격성, 절연성, 가공성 등 기계적 성질이 우수함
- Polyethlyene : 열가소성 플라스틱의 하나로 일상생활에서 가장 많이 볼 수 있는 플라스틱으로 가볍고 유연함
본 연구에서 선정한 재료인 PA6 GF40 카본 재질을 신규로 생성하였으며, 기초 데이터는 정량적 목표 항목에 맞춰 작성하였다.
2) 유한요소해석을 위해 크로스 조인트 동작 시 하중을 받는 부분을 선정하였으며, 각각 다음과 같다.
가로 삽입 파이프 하단부 : 로봇 암 크로스 조인트는 교차하는 두 개의 파이프를 연결하는 그리퍼 부품으로 두 개의 삽입 파이프 중 가로 파이프로 인해
발생하는 하중을 위해 설정하였으며, 세로 삽입 파이프 하단부 : 로봇 암 크로스 조인트는 교차하는 두 개의 파이프를 연결하는 그리퍼 부품으로 두 개의
삽입 파이프 중 세로 파이프로 인해 발생하는 하중을 위해 설정하였다.
Fig. 3. Area where load occurs during cross joint operation
위의 Fig. 3의 경우 볼트 체결부(좌, 우) : 로봇 암 크로스 조인트의 교차하는 두 개의 파이프를 고정하여 상단부와 하단부를 결합하는 형태로 되어 있으므로 이를
고정하기 위한 볼트 체결부는 하중이 발생하므로 해당 부분을 설정하였다.
3) 알루미늄과 제안 소재의 유한요소해석 비교분석 두 소재를 비교하였으나 측정값을 통한 비교는 불가능하였다. 이는 아래의 Table 1의 경우 크로스 조인트 전체에 대한 결과값이기 때문에 발생하였다.
Table 1. Comparison of results
Name
|
Aluminum 6061
|
PA6/CF40
|
Minimum
|
Maximum
|
Minimum
|
Maximum
|
Volume
|
139,099mm3
|
139,099mm3
|
Mass
|
0.827982lbmass
|
0.827982lbmass
|
Von Mises
Stress
|
0.000682977MPa
|
16,976.1MPa
|
0.000682977MPa
|
16,976.1MPa
|
1st Principal
Stress
|
-56,47.12MPa
|
15,207.1MPa
|
-56,47.12MPa
|
15,207.1MPa
|
3rd Principal
Stress
|
-17,092.7MPa
|
48,72.71MPa
|
-17,092.7MPa
|
48,72.71MPa
|
Displacement
|
0mm
|
61,1102mm
|
0mm
|
61,1102mm
|
Safety Factor
|
0.0159803ul
|
15ul
|
0.0159803ul
|
15ul
|
아래 Fig. 4의 경우 Von Mises Stress의 경우 알루미늄보다 제안 소재가 강한 압력(테스트 결과상 붉은 부분)을 덜 받는 것으로 확인이 되었으며, Displacement
(뒤틀림) 테스트 결과 알루미늄 소재와 제안 소재의 뒤틀림 방향이 서로 다름을 확인하였다.
Fig. 4. Comparison of test results
3.2 로봇 크로스 조인트 대체 슈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의 공인인증에 따른 시험평가 분석
금속재를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사출 소재로 변경할 경우 조립성 및 구성 부품 단순화를 가능케 하고, 제조 공정이 단순화될 수 있어 제조비용 및
2차 조립도 훨씬 유리하다고 할 수 있다.
선정된 PA6 GF40에 카본이 함유된 소재를 활용하여 공인시험 규격에 맞게 시편을 제작하여 만능재료 시험기, 플라스틱 충격 시험기를 사용하여 인장강도
테스트를 진행하였다.
① 인장강도는 ASTM D638 규격에 준하여 해당 규격에서 인정하는 모양의 시편 중 Dog Bone Type의 시편을 제작하여 인장강도 측정 테스트기에서
5회 시험하여 인장강도를 측정한다.
② 굴곡강도는 ASTM D790 규격에 준하여 해당 규격에서 인정하는 모양의 시편 중 Bar Type의 시편을 제작하여 굴곡강도 측정 테스트기에서
5회 시험하여 굴곡강도를 측정한다.
③ 굴곡탄성률은 ASTM D790 규격에 준하여 해당 규격에서 인정하는 모양의 시편 중 Bar Type의 시편을 제작하여 굴곡탄성률 측정 테스트기에서
5회 시험하여 굴곡탄성률을 측정한다. 굴곡강도와 동시 수행에 대한 결과는 Table 2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Table 2. Plastic specimen test results
시험항목
|
단위
|
시료
구분
|
결과치
|
시험방법
|
인장강도
|
MPa
|
1
|
229
|
ASTM D638-14
|
굴곡강도
|
MPa
|
1
|
339
|
ASTM D790-17
|
굴곡탄성률
|
GPa
|
1
|
16.7
|
ASTM D790-17
|
하중변형온도
(1.82 MPa)
|
℃
|
1
|
238
|
ASTM D648-18
|
굴곡강도는 ASTM D790-17 규격을 참고로 하여 Universal test machine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시편은 사출기를 사용하여 길이 127mm, 넓이 12.7mm, 두께는 3.2mm인 시편을 제조하였으며, 시험 항목의 변화에 따른 강도 및 탄성률 곡선을
나타내고 있다. 아래의 기계적 물성 테스트(인장강도 Fig. 5의 경우 굴곡강도 Fig. 6의 경우 굴곡 탄성률 Fig. 7의 경우, 하중변화온도)와 전기적 물성(표면저항)을 각각 측정하였다.
Fig. 5. Tensile strength test results
Fig. 6. Volumetric plastic specimen test
Fig. 7. Insulation resistance plastic specimen test
인장강도에 대한 테스트 시편을 통해서 측정하였으며, 인장강도 테스트는 최종 소재 결정을 위해 총 4차례에 걸쳐 수행하였다. 테스트 결과 185MPa,
192MPa, 198MPa, 229MPa가 나왔고, 최종 목표치인 220MPa를 상회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열 변형온도는 ASTM D648 규격에 따라 제공된 시편을 바탕으로 열 변형온도를 측정하였으며, 해당 소재를 활용하여 실제 로봇 크로스 조인트를 미리
제작한 시금형을 통해 시제품을 사출하였다.
3) 체적저항 테스트
아래 Fig. 8의 경우 체적저항은 고저항 측정기 4339B (Agilent, 미국), 버니어 캘리퍼스 CD-20APX (Mitutoyo, 일본)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시편은 사출기를 사용하여 길이 50mm, 넓이 50mm, 두께는 6mm인 시편을 제조하였다.
Fig. 8. Volumetric resistance a high resistance measuring instrunent. 4339B (Agilent,
America)
시험 항목, 시험조건은 테스트 전압 DC 500V, 시료 고정력 10kg 충전시간 1min이며, 시료 수는 5개로 시험을 통해 체적저항 측정결과는
Table 3과 같다.
Table. 3. Volumetric plastic specimen test
시료
No.
|
시료 두께 (mm)
|
Diameter of test fixture(cm)
|
체적저항(Ω-cm)
|
#1
|
6.00
|
2.6
|
8.1970 x $10^{12}$
|
#2
|
6.00
|
6.9444 x $10^{12}$
|
#3
|
6.01
|
7.4352 x $10^{12}$
|
#4
|
6.01
|
7.9129 x $10^{12}$
|
#5
|
6.00
|
6.6693 x $10^{12}$
|
4) 절연저항 테스트
절연저항은 내전압 절연저항 시험기 TOS-9201 (Kikusui, 일본)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시편은 사출기를 사용하여 길이 50mm, 넓이
50mm, 두께는 6mm인 시편을 제조하였다. 아래 Fig. 9의 경우 시험 항목, 시험조건은 DC 500V, 1분 유지, 시험 포인트는 시료의 앞면 → 시료의 뒷면이며 시료 수는 5개로 시험을 통해 절연저항
측정결과는 Table 4와 같다.
Fig. 9. Insulation resistance tester for withstand voltage insulation resistance.
TOS-9201 (Kikusui, Japan)
Table. 4. Insulation resistance plastic specimen test
시료 No.
|
인가전압 (Vdc)
|
절연저항
|
#1
|
500
|
99.9 GΩ 이상
|
#2
|
99.9 GΩ 이상
|
#3
|
99.9 GΩ 이상
|
#4
|
99.9 GΩ 이상
|
#5
|
99.9 GΩ 이상
|
4) 경량화 연구 성과
아래 Fig. 10의 경우 알루미늄 다이캐스팅 제품의 경우 무게를 측정한 결과 607g이고,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사출 제품의 경우 408g로 약 199g의 무게
감소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약 40%정도의 제품 무게 감소를 직접 확인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Fig. 10. Weight comparison of aluminum and super engineering plastic produ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