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남섭
(Nam-Sup Choi)
1iD
김경민
(Kyoung-Min Kim)
1iD
이범
(Buhm Lee)
†iD
-
(Professor, Division of Electrical Eng., Electronic Communication and Computer Eng.,
Chonnam National University, Korea)
Copyright ©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Engineers(KIIEE)
Key words
DC power source, Flying capacitor, Flying capacitor multilevel converter, Initial charging
1. 서 론
멀티레벨 컨버터의 여러 가지 회로 방식 가운데 플라잉 커패시터(FC: Flying Capacitor) 방식의 멀티레벨 컨버터는 다른 멀티레벨 방식과
비교할 때 사용되는 전력반도체 소자의 개수가 적고 DC-DC 전력변환에 응용되는 경우 스위칭 주파수 증가 없이도 레벨의 증가만으로 인덕터 전류의 주파수가
증가하는 장점이 있다[1].
FC 멀티레벨 컨버터는 멀티레벨의 전압 파형을 구현하기 위하여 플라잉 커패시터마다 각각 특정한 전압으로 충전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야 한다. 만일
각각의 플라잉 커패시터가 적절한 전압으로 충전되어 있지 않으면 원하는 멀티레벨의 전압 파형을 얻을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일부 전력반도체 소자에 과전압이
인가되어 파손될 우려도 있다.
그런데 FC 멀티레벨 컨버터를 초기 동작시킬 때 모든 플라잉 커패시터의 전압은 영(0)으로부터 시작되므로 플라잉 커패시터를 정상 동작시키기 전에 적절한
방법을 사용하여 각각의 플라잉 커패시터를 각각의 특정한 전압으로 초기 충전을 완료하여야 한다[2, 3].
플라잉 커패시터를 초기 충전하는 방법은 크게 나누어 충전 에너지를 컨버터의 직류측에서 얻는지 교류측에서 얻는지에 따라 구분할 수 있다.
문헌 [2]과 [3]은 직류측에 별도의 하드웨어를 추가하여 DC 전원으로부터 플라잉 커패시터를 충전하는 방법을 다룬다. 문헌 [2]와 [3]의 방법은 초기 충전을 위하여 반드시 부하가 연결 되어야 하고 초기 충전 과정에서 컨버터의 전력반도체 스위치가 도통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다. 또 충전
시간이 부하의 특성에 따라 결정되는 단점이 있다.
문헌 [4]와 [5]는 정류기 응용으로 사용된 FC 멀티레벨 컨버터의 초기 충전문제를 다루고 있는데 별도의 하드웨어 추가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그런데 [4]와 [5]의 방법은 직류측에 DC 전원이 존재하는 경우 적용할 수 없다. 문헌 [6]은 AC 전원으로부터 플라잉 커패시터를 충전하는 방식이므로 문헌 [5]와 비슷하지만 정류기-인버터 응용을 목적으로 한다. 문헌 [6]에 제시한 초기 충전 방안도 DC-링크가 직류 전원인 경우 적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문헌 [7]은 계통 연계 운전되는 FC 멀티레벨 컨버터의 초기 충전을 다루고 있는데 AC 전원으로부터 플라잉 커패시터를 초기 충전하는 방식이다. 이 방법도 만일
직류측에 DC 전원이 존재하면 적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문헌 [8]은 각각의 커패시터를 위하여 보조 전원을 사용하고 있는데 전체 시스템의 구성이 복잡해지는 단점이 있다.
플라잉 커패시터를 AC 전원으로 충전하는 경우는 컨버터를 운전하면서 소프트 스타트(soft start)가 가능하지만 DC 전원으로부터 충전하는 경우는
통상 추가적인 하드웨어가 필요하다[3].
본 논문에서는 직류측 DC 전원으로부터 플라잉 커패시터를 충전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 제시된 방법은 플라잉 커패시터의 초기 충전 과정 동안
멀티레벨 컨버터가 전혀 동작하지 않으며 따라서 문헌 [2]나 [3]에서처럼 별도의 교류측 부하가 연결될 필요가 없다. 또한 제안된 충전 회로는 레벨의 수를 증가시키거나 상(phase)를 증가시켜도 쉽게 확장이 가능하다.
최종적으로 제안된 회로는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유효성을 보인다.
2. 본 론
2.1 제안된 FC 초기 충전 회로
Fig. 1은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3-레벨 FC 컨버터의 한 폴(pole)에 적용된 초기 충전회로를 나타낸다. Fig. 1에 제시된 초기 충전회로는 기존의 3-레벨 FC 컨버터에 부가적으로 장착되어 플라잉 커패시터 $C_{x}$의 전압을 $V_{dc}/2$로 충전하는
기능을 갖는다. Fig. 1에서 2개의 스위치 $S_{s1}$, $S_{s2}$는 충전회로를 동작시키기 위한 충전 스위치이며 FC 컨버터의 주 스위치를 모두 턴오프 시킨 상태에서만
동작시킨다. 또 다이오드 $D_{1}$, $D_{2}$, $D_{3}$는 플라잉 커패시터를 충전할 때는 충전 전류의 경로를 제공하며 턴온되지만 충전이
완료되어 FC 컨버터가 정상 운전될 때에는 역방향 접속되어 충전회로를 FC 컨버터의 주 회로와 분리시키는 역할을 한다. 저항 $R_{s1}$, $R_{s2}$,
$R_{x}$는 충전전압의 크기와 충전 속도를 정한다.
초기 충전회로가 올바르게 동작하기 위한 작동 순서는 다음과 같다.
(1) FC 컨버터의 초기 상태는 모든 스위치가 턴오프 상태이며 플라잉 커패시터의 초기전압 $v_{cx}$는 영(0)인 상태이다. 즉, FC 컨버터의
모든 주 스위치 $Q_{1}$, $Q_{2}$, $Q_{3}$, $Q_{4}$와 초기 충전회로의 충전 스위치 $S_{s1}$, $S_{s2}$가 턴오프
상태이다.
(2) FC 컨버터의 모든 주 스위치가 턴오프 상태일 때 충전 스위치 $S_{s1}$, $S_{s2}$을 동시에 턴온함으로써 초기 충전동작이 개시된다.
$S_{s1}$, $S_{s2}$를 턴온하면 플라잉 커패시터 $C_{x}$의 전압은 일정한 시상수를 갖고 지수함수적으로 증가하기 시작한다.
(3) 충분한 시간이 지나서 플라잉 커패시터의 전압이 $V_{dc}/2$근처에 도달하면 충전이 완료된 것으로 보고 충전스위치 $S_{s1}$, $S_{s2}$를
턴오프 함으로써 충전을 완료한다. 충전 스위치를 턴오프하면 충전회로는 FC 컨버터의 주 회로로부터 분리된 것으로 볼 수 있다.
(4) 플라잉 커패시터가 적당한 전압으로 충전되어 있으므로 FC 컨버터를 정상 운전 개시한다.
Fig. 2는 제안된 3-레벨 FC 컨버터의 초기 충전회로의 전형적인 동작 파형을 나타낸다. Fig. 2를 참조하여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0<t<t_{on}$ : FC 컨버터의 주 스위치와 충전회로의 충전 스위치가 모두 턴오프 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때 플라잉 커패시터의 전압 $v_{cx}=0$이므로
X점과 Y점은 단락된 것으로 볼 수 있으므로 $v_{Q 2}=v_{Q 3}=0$이고 DC-링크의 전압 $V_{dc}$는 IGBT $Q_{1}$과 $Q_{4}$에
나누어 인가되므로 $v_{Q 1}=v_{Q 4}=V_{dc}/2$가 된다.
$t_{on}<t<t_{off}$ : $t=t_{on}$일 때 충전 스위치 $S_{s1}$. $S_{s2}$을 동시에 턴온하면 플라잉 커패시터 $C_{x}$의
충전이 개시되며 플라잉 커패시터의 전압 $v_{cx}$는 지수함수적으로 $V_{dc}/2$까지 증가한다. IGBT $Q_{2}$와 $Q_{3}$에
인가되는 전압은 $v_{Q 2}=v_{Q 3}=v_{cx}/2$이므로 $v_{cx}$가 증가하는 동안 $v_{Q 2}$와 $v_{Q 3}$도 지수함수적으로
증가하며 $v_{cx}$가 $V_{dc}/2$에 도달할 때 $v_{Q 2}=v_{Q 3}=V_{dc}/4$가 된다. 또 IGBT $Q_{1}$과 $Q_{4}$에
인가되는 전압은 $v_{Q 1}=v_{Q 4}$$=(V_{dc}-v_{cx})/2$이므로 $v_{cx}$가 증가하는 동안 $v_{Q 1}$과 $v_{Q
4}$는 지수함수적으로 감소하며 $v_{cx}$가 $V_{dc}/2$에 도달할 때 $v_{Q 1}=v_{Q 4}=V_{dc}/4$가 된다.
$t>t_{off}$ : $t=t_{off}$일 때 충전 스위치 $S_{s1}$, $S_{s2}$을 동시에 턴오프하면 충전동작이 완료된다. 플라잉
커패시터의 충전이 완료되면 $v_{cx}=V_{dc}/2$이고 $v_{Q 1}=v_{Q 2}$$=v_{Q 3}=v_{Q 4}=V_{dc}/4$가 된다.
즉 모든 주 스위치에 인가되는 전압은 $V_{dc}/4$가 된다.
Fig. 1. The proposed flying capacitor initial charging circuit in 3-level converter(single-pole)
Fig. 2. The typical waveforms of the proposed flying capacitor initial charging circuit
2.2 FC 초기 충전 회로의 설계
Fig. 3에서 (a)는 충전 동작을 하는 충전회로만 분리하여 나타낸 회로이다. Fig. 2에서 (a)의 회로는 (b)의 회로처럼 간략화 할 수 있다. 여기서
Fig. 3(b)는 1차 회로이며 스위치 $S_{s}$가 닫히면 $v_{cx}$는 다음과 같다.
여기서 $\tau$는 시상수이며
식 (2)에서 $v_{cx}(\infty)=V_{dc}/2$가 되기 위하여 다음의 조건을 만족하여야 한다.
이 경우 시상수 $\tau$는 다음과 같다.
제안된 초기 충전회로의 회로정수의 결정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정한다.
(1) 플라잉 커패시터 $C_{x}$의 값은 3-레벨 FC 컨버터의 동작으로부터 가장 먼저 정해진다.
(2) 시상수 $\tau$의 값을 설정한다. 그러면 식 (5)로부터 $R_{x}=2\tau /C_{x}$로 $R_{x}$의 값이 정해진다.
(3) $R_{s1}$, $R_{s2}$의 값은 식 (1)과 (4)로부터 $R_{s}=R_{x}=R_{s1}+R_{s2}$이고 대칭의 동작을 위하여 $R_{s1}=R_{s2}$이라고 하면 $R_{s1}=R_{s2}=R_{x}/2$로
정한다.
Fig. 3. The equivalent circuit during initial charging operation
2.3 3상 회로에의 적용
Fig. 4는 제안된 플라잉 커패시터 초기 충전회로를 3상 3-레벨 FC 컨버터에 적용한 회로를 나타낸다. 3상 3-레벨 FC 컨버터의 충전회로는 3개의 플라잉
커패시터가 있지만 저항 $R_{s1}$, $R_{s2}$, $R_{x}$과 스위치 $S_{s1}$, $S_{s2}$ 및 블로킹 다이오드 $D_{3}$는
공통으로 사용하게 된다. 즉, 상의 수가 증가하더라도 충전 스위치는 2개만 사용되므로 매우 효율적이다. Fig. 4에 보인 3상의 회로에 대한 초기 충전회로를 설계 과정은 다음과 같다.
(1) Fig. 4에서 충전회로가 동작할 때 $D_{1a}$, $D_{2a}$, $D_{1b}$, $D_{2b}$, $D_{1c}$, $D_{2c}$가 도통하면서 $C_{xa}$,
$C_{xb}$, $C_{xc}$는 병렬연결된다. 따라서 충전회로의 등가 합성 커패시턴스 $C_{x}$는 $C_{x}=C_{xa}+C_{xb}+C_{xc}$가
된다.
(2) 시상수 $\tau$의 값을 설정한다. 그러면 식 (5)로부터 $R_{x}=2\tau /C_{x}$로 $R_{x}$의 값이 정해진다.
(3) 대칭의 동작을 위하여 $R_{s1}=R_{s2}$이라고 하면 $R_{s1}=R_{s2}=R_{x}/2$로 정한다.
Fig. 4. The proposed flying capacitor initial charging circuit applied to 3-phase
3-level converter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플라잉 커패시터 초기 충전회로 특징 및 장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플라잉 커패시터가 적정 수준으로 충전되기 전에는 절대로 FC
컨버터의 주 스위치($Q_{1}$~$Q_{4}$)를 동작시키지 않으므로 FC 컨버터의 주회로가 보호된다. 둘째, 플라잉 커패시터의 충전과정에 충전
스위치는 단순한 시퀀스 제어만으로 동작 가능하고 충전 스위치의 PWM 동작을 수반하지 않으므로 제어가 단순하다. 셋째, 충전 시 동작하는
충전 스위치의 추가 없이 3상 이상의 다상 구성의 FC 컨버터 회로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넷째, 플라잉 커패시터의 충전과정에서 멀티레벨 FC 컨버터의
주 스위치의 전압 스트레스를 DC-링크 전압보다 훨씬 낮은 전압으로 제한한다.
3. 시뮬레이션 검증
제안된 FC 컨버터의 플라잉 커패시터 초기 충전회로의 동작 효과와 성능,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Fig. 5와 같은 3상 3-레벨 FC 컨버터 시스템에 대하여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였다. Fig. 5에서 $V_{dc}=100$V, $L=1.5$mH, $R_{L}=7.5$Ω이고 각 상의 플라잉 커패시터 $C_{x}=100$$\mu$F으로 설정하였다.
또 컨버터의 동작 시 동작주파수 60Hz, 스위칭 주파수는 7.5kHz, 변조지수 $m_{i}=$ 0.9로 정하였다. Fig. 5에서 $S_{ic}$신호는 초기 충전스위치($S_{s1}$, $S_{s2}$)의 제어신호이며 $t_{on}$에 초기 충전을 개시하여 $t_{off}$에
초기 충전을 완료한다. 또한 $S_{op}$ 신호는 $t_{st art}$에 시작되는 FC 컨버터의 PWM 개시 동작신호이다. 여기서 $t_{on}$=5msec,
$t_{off}$=55msec, $t_{st art}$=80msec로 정하였다. 충전시간을 50msec로 설정할 때 충전 시상수 $\tau =$5msec로
설정하여 시상수가 충전시간보다 충분히 작게 즉 1/10배 정도 되도록 정하였다. 이 경우 $R_{x}$=16Ω, $R_{s1}=R_{s2}=8$Ω이
된다.
Fig. 6은 FC 컨버터의 플라잉 커패시터 초기 충전회로의 동작 파형을 나타낸다. Fig. 6에서 보듯이 플라잉 커패시터의 전압(Vxa)은 5msec에서 초기 충전을 개시하여 약 20msec에서 목표전압 50V에 도달함으로써 초기충전이 잘
이루어짐을 확인할 수 있다.
FC 컨버터의 동작은 80msec에서 개시되는데 Fig. 6에서 보듯이 플라잉 커패시터의 전압은 50V로 계속 유지되며 교류측 3상의 전류 $i_{a}$, $i_{b}$, $i_{c}$가 정상적으로 흐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Fig. 6에서 VAB는 FC 컨버터의 출력 선간전압을 나타내며 플라잉 커패시터가 정상적으로 충전되어 있으므로 출력 선간전압은 일정한 레벨 간격의 5-레벨의
파형이 됨을 확인할 수 있다.
Fig. 7은 FC 컨버터의 $a$-상의 IGBT의 전압 스트레스를 나타낸다. 플라잉 커패시터 $C_{xa}$의 충전이 개시되면서 $Q_{1}$, $Q_{4}$
스위치의 전압 스트레스는 50V로부터 25V감소하고, $Q_{2}$, $Q_{3}$ 스위치의 전압 스트레스는 0V에서 50V로 증가하여 충전이 완료되면
모든 스위치가 25V(=$V_{dc}/4$)의 전압 스트레스를 갖게 된다. 또한 Fig. 7에서 0.08초 이후 FC 컨버터가 PWM 동작을 할 때는 모든 IGBT가 50V의 전압 스트레스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다.
Fig. 5. 3-phase 3-level FC converter simulation setup
Fig. 6. Operating waveforms
Fig. 7. Voltage stress of the main switches
4. 결 론
본 논문에서는 FC 멀티레벨 컨버터에서 초기 충전 과정 동안 멀티레벨 컨버터의 개입 없이 직류측 DC 전원으로부터 플라잉 커패시터를 충전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제안된 충전 회로는 플라잉 커패시터가 적정 수준으로 충전되기 전에는 절대로 FC 컨버터의 주 스위치를 동작시키지 않으므로 초기 충전과정
동안 FC컨버터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으며 FC 컨버터가 충전에 따르는 과도현상 없이 바로 정상적인 멀티레벨 PWM 파형을 발생하도록 도와준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초기 충전 회로는 3상 3-레벨 컨버터 시스템의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유효하게 동작함을 확인하였다.
Acknowledgement
This results was supported by “Regional Innovation Strategy (RIS)” through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fund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MOE)
(Grant number : 2022RIS-002).
References
Franquelo L. G., et al., 2008, The Age of Multilevel Converters Arrives, IEEE Industrial
Electronics Magazine, Vol. 2, No. 2, pp. 28-39
Thielemans S., Ruderman A., Melkebeek J., 2009, Self-Precharge in Single-Leg Flying
Capacitor Converters, Proc. of 2009 35th Annual Conference of IEEE Industrial Electronics,
pp. 812-817
Thielemans S., Ruderman A., Reznikov B., Melkebeek J., 2010, Self-Precharge for Single-Leg
Odd-Level Multilevel Converter, Proc. of 5th IET International Conference on Power
Electronics, Machines and Drives (PEMD 2010), pp. 1-6
Sepahvand H., Khazraei M., Ferdowsi M., Corzine K. A., 2012, Capacitor Voltage Regulation
and Rre-Charge Routine for a Flying Capacitor Active Rectifier, Proc. of 2012 IEEE
Energy Conversion Congress and Exposition (ECCE), pp. 4107-4112
Sepahvand H., Khazraei M., Corzine K. A., Ferdowsi M., 2013, Start-Up Procedure and
Switching Loss Reduction for a Single-Phase Flying Capacitor Active Rectifier, IEEE
Transactions on Industrial Electronics, Vol. 60, No. 9, pp. 3699-3710
Janik D., Kosan T., Kamenicky P., Peroutka Z., 2013, Universal Precharging Method
for DC-link and Flying Capacitors of Four-Level Flying Capacitor Converter, Proc.
of 39th Annual Conference of the IEEE Industrial Electronics Society (IECON 2013),
pp. 6322-6327
Ghias A. M. Y. M., Pou J., Agelidis V. G., Ciobotaru M., 2014, Initial Capacitor Charging
in Grid-Connected Flying Capacitor Multilevel Converters, IEEE Transactions on Power
Electronics, Vol. 29, No. 7, pp. 3245-3249
Stillwell A., Pilawa-Podgurski R. C. N., 2019, A Five-Level Flying Capacitor Multilevel
Converter with Integrated Auxiliary Power Supply and Start-Up, IEEE Transactions on
Power Electronics, Vol. 34, No. 3, pp. 2900-2913
Biography
He received the B.S.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Korea University in
1987. He received the M.S. and Ph.D.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the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KAIST), Korea in 1989 and 1994, respectively.
From 1999 to 2000, he was a Visiting Scholar with WEMPEC,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WI, USA. Also, from 2008 to 2007, he was a Visiting Scholar with Michigan State University,
Lansing, MI, USA. He is currently a professor in the Division of Electrical, Electronic
Communication and Computer Engineering, Chonnam National University, Korea.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the modeling and analysis of power conversion systems, matrix converters
and multilevel converters for renewable energy systems and micro-grid applications.
He received the Ph.D. degree from Korea University in 1996. Since 1997, he is currently
a professor at th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Korea. His research interests are
Computer Vision, Signal Processing, Diagnosis etc.
He received the B.S., M.S., and Ph.D.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Korea
University, Seoul, Korea, in 1981, 1989, and 1995, respectively. From 2005 to 2006
and from 2017 to 2018, he was a Visiting Scholar with Georgia Tech, Atlanta, GA, USA.
He is currently a Professor at Chonnam National University from 19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