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ISO Journal TitleJ Korean Inst. IIIum. Electr. Install. Eng.

  1. (Master course, Dept. of Electrical Engineering, Kyungnam University, Korea)
  2. (Senior researcher, Dept. of Electric Machine and Drives Research Center, Korea Electro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Korea)
  3. (Senior researcher, R&D Center, GMB Korea Corp., Korea. )
  4. (Managing director, R&D Center, GMB Korea Corp., Korea.)



Asymmetric six-phase PMSM, Current ripple, Dual three-phase inverter, HPF with variable cut-off frequency, Open fault detection

1. 서 론

영구자석 동기전동기는 고효율, 고정밀 및 고출력 등의 특징을 가지고 있기에 다양한 산업 및 응용분야에서 활용이 되고 있다. 이로 인해 교류 전동기의 구동을 위한 제어 기술과 전력변환토폴로지 등이 지속적으로 연구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전동기 구동 시스템의 예기치 못한 원인으로 고장 발생하는 경우, 출력 및 효율 저하, 토크 맥동 등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전동기 및 인버터의 신뢰성 확보는 매우 중요한 요소이며 드론 및 도심항공 모빌리티 등의 항공분야에서는 고장허용운전이 가능한 다상 전동기와 듀얼 인버터의 적용이 증가하고 있다[1-3]. 다상 전동기는 기존 3상 전동기 대비 전류 고조파 감소 및 토크 맥동 저감의 이점을 가지며, 다양한 토폴로지 구성을 통해 높은 안정성 및 신뢰성을 갖는다.

일반적으로 인버터에서 발생 가능한 고장의 종류는 전류 및 위치 센서 고장, 직류단 커패시터 단락, 스위치 개방 및 단락 고장 등이 있다[4]. 여기서, 전류 및 위치 센서의 고장은 전류 및 위치 정보의 검출 여부를 통해서 고장 여부를 쉽게 판단할 수 있으며, 스위치 단락 고장은 과전류로 인한 하드웨어의 손상을 막기 위한 별도의 하드웨어 구성이 필요하다. 또한, 스위칭 소자는 고전압과 높은 스위칭 주파수로 인해 상대적으로 높은 고장률을 가지며, 고장 발생 시 연속운전을 위한 고장 발생 위치 특정이 필요하다[5].

본 논문에서는 다상 영구자석 동기전동기 중 하나인 비대칭 6상 영구자석 동기전동기와 해당 전동기의 운전을 위한 3상 듀얼 인버터의 스위치 개방 고장 발생에 따른 스위치 개방 고장 검출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상전류를 정규화하고 그 적분값의 변동을 통해 개방 고장이 발생한 스위치를 판별한다. 고장 검출을 위한 전류를 측정하는 과정 중에 야기되는 전류 옵셋의 영향을 제거하기 위하여 전동기의 운전 속도에 비례하는 가변형 차단 주파수를 갖는 고역통과필터(High Pass Filter)를 추가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기법은 구현이 용이하고 단일 스위치 개방 검출뿐만 아니라 2개 이상의 스위치 개방 고장 발생 시에도 적용할 수 있다. 비대칭 6상 영구자석 동기전동기의 운전을 위해 듀얼 dq축 동기 좌표계 전류 제어 기법을 사용하였으며, 다수의 실험을 통해 신뢰성과 효용성을 검증하였다.

2. 본 론

2.1 스위치 개방 고장 시 전류 특성

본 연구에서 비대칭 6상 영구자석 동기전동기의 구동을 위해 사용한 3상 듀얼 인버터의 구조를 Fig. 1에 나타내었다. 각각의 3상 인버터는 기존 3상 인버터의 구조와 동일하며 개별 인버터는 상호 독립적으로 구동된다. 또한, 비대칭 6상 영구자석 동기전동기는 중성점이 상호 분리된 구조를 갖는다.

Fig. 1. Configuration of dual 3-phase inverter

../../Resources/kiiee/JIEIE.2022.36.11.009/fig1.png

인버터 한 상의 상단 스위치 및 하단 스위치에서 개방 고장이 발생한 경우의 상전류는 식 (1)와 식 (2)와 같이 표현할 수 있으며 Fig. 2에서 확인할 수 있다.

Fig. 2. Current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switch open fault. (a) top, (b) bottom

../../Resources/kiiee/JIEIE.2022.36.11.009/fig2.png
(1)
$ \begin{cases} i_{a_{-}open}=-I_{n}\sin\theta_{e}\\ \begin{aligned}i_{b_{-}open}=-I_{n}\sin\left(\theta_{e}-\dfrac{2}{3}\pi\right)\\i_{c_{-}open}=-I_{n}\sin\left(\theta_{e}+\dfrac{2}{3}\pi\right)\end{aligned} \end{cases}(0\le\theta_{e}\le\pi)\\ \\ \begin{cases} i_{a_{-}open}=0\\ i_{b_{-}open}=i_{c_{-}open} \end{cases}(\pi <\theta_{e}\le 2\pi) $
(2)
$ \begin{cases} i_{a_{-}open}=0\\ i_{b_{-}open}=i_{c_{-}open} \end{cases}(0\le\theta_{e}\le\pi)\\ \\ \begin{cases} i_{a_{-}open}=-I_{n}\sin\theta_{e}\\ \begin{aligned}i_{b_{-}open}=-I_{n}\sin\left(\theta_{e}-\dfrac{2}{3}\pi\right)\\i_{c_{-}open}=-I_{n}\sin\left(\theta_{e}+\dfrac{2}{3}\pi\right)\end{aligned} \end{cases}(\pi <\theta_{e}\le 2\pi) $

또한 상·하단 개별 스위치 개방 고장이 발생한 경우의 동기 좌표계 dq축 전류는 식 (4) 및 식 (5)와 같으며 해당되는 결과 파형은 Fig. 3과 같다.

Fig. 3. Synchronous reference frame dq-axis currents under the switch open fault. (a) top, (b) bottom

../../Resources/kiiee/JIEIE.2022.36.11.009/fig3.png
(3)
$\begin{cases} i_{ds_{-}open}^{e}=\dfrac{2}{\sqrt{3}}I_{m}\cos\theta_{e}\sin\theta_{e}=\dfrac{1}{\sqrt{3}}I_{m}\sin 2\theta_{e}\\ i_{qs_{-}open}^{e}=\dfrac{2}{\sqrt{3}}I_{m}\cos^{2}\theta_{e}=\dfrac{1}{\sqrt{3}}I_{m}+\dfrac{1}{\sqrt{3}}I_{m}\cos 2\theta_{e} \end{cases}\\ \qquad\qquad(0<\theta_{e}<\pi)\\ \begin{cases} i_{ds_{-}open}^{e}=0\\ i_{qs_{-}open}^{e}=I_{n} \end{cases}(\pi\le\theta_{e}<2\pi)$
(4)
$\begin{cases} i_{ds_{-}open}^{e}=0\\ i_{qs_{-}open}^{e}=I_{n} \end{cases}(0<\theta_{e}<\pi)\\ \begin{cases} i_{ds_{-}open}^{e}=\dfrac{2}{\sqrt{3}}I_{m}\cos\theta_{e}\sin\theta_{e}=\dfrac{1}{\sqrt{3}}I_{m}\sin 2\theta_{e}\\ i_{qs_{-}open}^{e}=\dfrac{2}{\sqrt{3}}I_{m}\cos^{2}\theta_{e}=\dfrac{1}{\sqrt{3}}I_{m}+\dfrac{1}{\sqrt{3}}I_{m}\cos 2\theta_{e} \end{cases}\\ \qquad\qquad(\pi\le\theta_{e}<2\pi)$

2.2 기존의 다상전동기 스위치 개방 고장 검출 방법

기존의 인버터 스위치 개방 고장 검출은 크게 추가적인 센서를 사용하는 방법과 소프트웨어 알고리즘을 통한 검출 방법 두 가지로 나뉠 수 있다. 추가적인 하드웨어를 부착하는 경우 인버터 각 상의 스위치에 전압 센서를 사용하여 고장 유무를 판별하며, 고장 검출의 성능이 뛰어나지만 추가적인 회로가 필요하다는 단점을 가져 소프트웨어만으로 개방 고장을 검출하는 방식이 일반적이다.

소프트웨어를 통한 고장 검출 방법으로 A. Khlaief 및 Nikita Bhole 등은 정지 좌표계 dq축 전류 궤적 변화 및 고조파 분석을 통해 스위치 개방 고장 진단 방법을 제안하였다[6, 7]. 또한 M. Shao 등은 다상 전동기의 스위치 개방 고장 검출을 위해 제 3 고조파의 좌표변환을 통한 전류 벡터 특징을 추출하여 개방 고장을 진단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8].

2.3 제안하는 스위치 개방 고장 검출 알고리즘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스위치 개방 고장 검출 알고리즘의 흐름도를 Fig. 4에서 보여주고 있다. 앞서 언급했듯이 측정된 상전류를 정규화한후 적분하여 고장 유무 및 고장이 발생한 스위치의 위치를 판별한다. 상전류는 전류 센서를 통한 측정 전류로 부하 조건의 변동과 외란 등 주변 환경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고장 판별을 위한 신호로 부적절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상전류의 정규화를 진행한다. 식 (1)과 식 (2)의 정지좌표계 dq축 전류 $i_{ds}^{s}$와 $i_{qs}^{s}$를 이용하여 식 (5)를 이용하여 정규화하면 식 (6)과 같이 정규화된 상전류를 구할 수 있다.

Fig. 4. Flow chart of the proposed switch open fault detection algorithm

../../Resources/kiiee/JIEIE.2022.36.11.009/fig4.png
(5)
$i_{as_{-}N}=\dfrac{i_{as}}{\sqrt{(i_{ds}^{s})^{2}+(i_{qs}^{s})^{2}}}$
(6)
$ \begin{align*} i_{as_{-}N}= -\sin\theta_{e}\\ i_{bs_{-}N}= -\sin(\theta_{e}-\dfrac{2\pi}{3})\\ i_{cs_{-}N}= -\sin(\theta_{e}+\dfrac{2\pi}{3}) \end{align*}$

또한 상전류에 포함된 직류 옵셋 성분의 영향에 의한 적분값의 포화를 방지하기 위해 차단 주파수 가변형 고역통과필터(HPF)를 적용하여 검출의 정확도를 높이고자 한다. 전동기의 운전 속도가 고속으로 갈수록 고역통과필터의 시정수가 증가함에 따라 고속 영역에서의 옵셋 감쇄를 위해 전동기의 운전 주파수에 비례하여 고역통과필터의 차단 주파수가 가변되도록 식 (7)과 같이 설계하였다.

(7)
$G(s)=\dfrac{1}{s}\times\dfrac{s}{s+\omega_{c}}=\dfrac{1}{s+\omega_{c}}$

여기서, $\omega_{c}$는 전동기 운전 주파수에 따른 고역통과필터의 차단 주파수이다.

Fig. 5는 제안한 스위치 개방 고장 검출 기법의 안정적인 고장 검출을 위해 전기각을 기준으로 일정 주기마다 초기화하는 블록도를 보여주고 있다. 제안한 검출 기법은 알고리즘이 간단하며 별도의 추가적인 회로없이 구현이 가능하다. 또한 단일 스위치 고장이 아닌 2개 이상의 스위치 동시 고장 시에도 적용이 가능하며 정상상태 및 과도상태에서도 안정적인 검출이 가능하다.

Fig. 5. Block diagram of the proposed switch open detection algorithm

../../Resources/kiiee/JIEIE.2022.36.11.009/fig5.png

2.4 실험 및 결과

제안한 고장 검출 알고리즘의 성능과 효용성을 확인하기 위해 중성점이 분리되고 2조의 3상 권선 및 30° 의 위상차를 갖는 비대칭 6상 영구자석 동기전동기와 3상 듀얼 인버터로 Fig. 6과 같은 구동 시스템을 구현하였으며 주요 사양은 Table 1과 같다.

비대칭 6상 영구자석 동기전동기의 기동을 위해 듀얼 dq축 동기 좌표계 전류 제어 기법을 적용하였으며 프롭 다이나모를 부착하여 시험을 진행하였다.

Table 1. Specifications of experimental setup

Asymmetric 6-phase PMSM

Motor drive systems

Poles

42

Switching Frequency

20[kHz]

Propeller

40[inch]

$V_{dc}$

48[V]

Stator Resistance

0.01845[$ohm$]

Switching Device

650[V]/

300[A]

Stator

Inductance

0.0125[mH]

back-EMF Constant

7.7654

[V/krpm]

Fig. 6. Experimental setup

../../Resources/kiiee/JIEIE.2022.36.11.009/fig6.png

Fig. 7(a)Fig. 7(b)는 비대칭 6상 영구자석 동기전동기를 1,500rpm으로 운전하는 도중에 각 상의 상단 및 하단 스위치를 개방하였을 때의 실험 결과 파형을 보여주고 있다. Fig. 7(a)는 a상 상단 스위치를 개방한 경우로 상단 스위치 개방 시 양의 반주기에 해당되는 전류가 발생되지 않고 음의 반주기에 해당되는 전류 성분만이 존재를 하게 된다. 그 결과, Fig. 7(a)에서 볼 수 있듯이 음의 전류만 존재를 하게 되고 이에 검출 알고리즘을 적용하면 음으로 전류가 지속적으로 증가됨을 알 수 있다.

반면, 하단 스위치가 개방되면 양의 전류 성분만 존재하기에 Fig. 5의 고장 검출 알고리즘을 적용한 결과 적분값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전기각 3주기 이후 고장 검출이 발생됨을 확인할 수 있다.

Fig. 8(a)는 b상의 상단 스위치 개방 시의 실험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Fig. 8(a)에서 볼 수 있듯이 Fig. 7(a)와 마찬가지로 음의 전류 성분만 나타나기에 가변형 고역통과필터의 출력값은 음으로 발산하고 전기각 3주기 내에 고장 검출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Fig. 8(b)는 운전 속도를 1,000rpm에서 1,500rpm으로 가변하는 과도상태에서의 a상 상단 스위치 개방 고장에 따른 실험 결과를 보여준다. Fig. 8(b)에서 알 수 있듯이 정상상태뿐만 아니라 가변속 운전하는 과도상태에서도 제안된 고장검출 알고리즘이 정상적으로 동작함을 알 수 있다.

Fig. 7. Experimental results. (a) a-phase top open fault, (b) a-phase bottom open fault

../../Resources/kiiee/JIEIE.2022.36.11.009/fig7.png

Fig. 8. Experimental results. (a) b-phase top open fault under steady state, (b) a-phase top open fault under transient state

../../Resources/kiiee/JIEIE.2022.36.11.009/fig8.png

3. 결 론

본 논문에서는 비대칭 6상 영구자석 동기전동기를 구동함에 있어 3상 듀얼 인버터의 상단 및 하단 스위치 개방 고장을 검출할 수 있는 기법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고장 검출 기법은 정지 좌표계를 이용해 상전류를 정규화하고 개별 상전류를 적분하여 고장을 검출한다. 이 과정에서 상전류에 포함된 직류 옵셋 성분을 제거하고 스위치 개방 고장을 정확히 검출할 수 있도록 전동기의 운전 주파수에 따라 고역통과필터의 차단 주파수가 변경되도록 설계하였다. 이를 통해 스위치 개방 고장을 추가적인 하드웨어 및 복잡한 알고리즘 구현하지 않더라도 용이하게 검출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제안한 고장검출 알고리즘은 정상상태 및 과도상태 실험을 통해 효용성을 검증하였다.

Acknowledgement

본 연구는 산업통상자원부(MOTIE)와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KEIT)의 “자동차산업기술개발(그린카)”(20018558)(NTIS 1415181048)으로 수행된 연구결과임.

References

1 
Zhu J., Zhang H., Tang R., 2008, The Study and Modeling of Multi-Phase PMSM Variety Speed System with High Fault-Tolerant, Proc. of 2008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lectrical Machines and Systems, pp. 3102-3107URL
2 
Kastha D., Bose B. K., 1994, Investigation of Fault Modes of Voltage-Fed Inverter System for Induction Motor Drive, IEEE Transactions on Industry Applications, Vol. 30, No. 2, pp. 1028-1038DOI
3 
Hu Y., Zhu Z. Q., Odavic M., 2017, Comparison of Two-Individual Current Control for Dual Three-Phase PMSM, IEEE Transactions on Industry Applications, Vol. 53, No. 5, pp. 4483-4492DOI
4 
Awadallah M. A., morcos M. M., Copalakrishnan S., Nehl T. W., 2006, Detection of Stator Short Circuits in VSI-Fed Brushless DC Motors Using Wavelet Transform, IEEE Trans. Ener. Conv., Vol. 21, No. 1, pp. 1-8DOI
5 
Ribeiro R. LA., et al , 2003., Fault Detection of Open-Switch Damage in Voltage-Fed PWM Motor Drive Systems, IEEE Transactions of Power Electronics, Vol. 18, No. 2DOI
6 
Khlaief A., Boussak M., Gossa M., 2010, Open Phase Faults Detection in PMSM Drives Based on Current Signature Analysis, Proc. of The XIX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lectrical Machines - ICEM 2010, pp. 1-6DOI
7 
Bhole N., Ghodke S., 2021, Motor Current Signature Analysis for Fault Detection of Induction Machine - A Review, Proc. of 2021 4th Biennial International Conference on Nascent Technologies in Engineering(ICNTE), pp. 1-6DOI
8 
Shao M., Yang G., Su J., Sun G., 2019, A Method of Open Circuit Fault Diagnosis for Five-phase Permanent Magnet Synchronous Motor Based on Wavelet Analysis, Proc. of 2019 22n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lectrical Machines and Systems (ICEMS), pp. 1-6DOI

Biography

Han-Eol Kim
../../Resources/kiiee/JIEIE.2022.36.11.009/au1.png

He was born in Korea in 1996. He received his B.S.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Kyungnam University, in 2021. At present, he is studying for a Master’s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at Kyungnam University.

Ki-Chang Lee
../../Resources/kiiee/JIEIE.2022.36.11.009/au2.png

He was born in Korea in 1973. He received his B.S.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Pusan National University, in 1998. He received the M.S.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the Pohang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in 2000. He received the Ph.D. degrees in School of Mechanical Engineering, Pusan National University in 2014.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new control system design in high speed motor, magnetic levitation system and active magnetic bearings. At present, he has worked in the KERI.

Kyung-yup Kim
../../Resources/kiiee/JIEIE.2022.36.11.009/au3.png

He was born in Korea in 1977. He received his B.S. degrees in Mechanical Engineering from Ulsan University in 2004. From 2004 to 2008 he was an Senior Researcher, R&D Center, JICO Co., LTD. Asan-City, Chungnam, South Korea. From 2008 to 2011 he was an Senior Researcher, R&D Center, MYUNGHWA Ind. Co., LTD. Ansan-City. At present, he is a senior Researcher, R&D Center, GMB Korea Corp., Changwon-City, Gyeongnam, South Korea.

Jong-won Park
../../Resources/kiiee/JIEIE.2022.36.11.009/au4.png

He was born in Korea in 1975. He received his B.S. degrees in Control Sensor Engineering, Pukyong National University in 2001. He received the M.S. degrees in Mechanical Designing Engineering, Pukyong National University in 2003. From 2003 to 2005 he was a Researcher, Atomic Energy R&D Center, 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KAERI) Daejyeon-city, South Korea. From 2005 to 2008 he was Senior Researcher, R&D Center, Hyoseong Electric Co., LTD. Busan-City, South Korea. At present, he is Managing director, R&D Center, GMB Korea Corp., Changwon-City, Gyeongnam, South Korea.

Seon-Hwan Hwang
../../Resources/kiiee/JIEIE.2022.36.11.009/au5.png

He was born in Korea in 1978. He received his B.S., M.S. and Ph.D.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Pusan National University, in 2004, 2006, and 2011, respectively. From 2011 to 2012 he was an Postdoctoral Researcher at Center for Advanced Power Systems(CAPS), Florida State University at Tallahassee.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power electronics applications for electric motor drives. At present, he is a professor in the Department of Electrical Engineering at Kyungnam University, since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