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ISO Journal TitleJ Korean Inst. IIIum. Electr. Install. Eng.

  1. (Ph.D. course, Dept. of Electrical Railway System Woosong University, Korea)
  2. (Ph.D. course, Dept. of Electrical Eng.,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Korea)
  3. (Professor, Dept. of Electrical Eng.,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Korea)



Electrical breakdown test, Electric field analysis, Glass insulator, Polymer insulator, Porcelain insulator

1. 서 론

애자 (Insulator)는 전차선로와 가공선 등에 사용되어 전선과 철탑 간의 절연체 역할을 하거나 전선을 지지물에 고정시키는 지지물 역할을 하는 대표적인 송배전 설비로서 전력설비의 절연을 유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지지물이다. 일반적으로 절연물의 재질에 따라 유리애자 (Glass Insulator)와 자기애자 (Porcelain Insulator), 그리고 폴리머애자 (Polymer Insulator) 등으로 분류되며, 애자에 이상이 발생할 경우 큰 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전기적 특성뿐만 아니라 기계적 안정성이 확보되어야 한다[1]. 이 중에서 유리애자는 프랑스를 비롯한 일부 유럽 국가와 러시아 등지에서 한정적으로 적용이 되고 있으며, 우리나라를 비롯한 많은 나라에서는 자기애자와 비교적 최근에 개발된 폴리머애자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2004년에 처음으로 운영을 시작한 한국형 초고속 열차인 KTX는 프랑스의 초고속 열차인 TGV의 기술을 적용함에 따라 국내에서는 적용 사례가 적은 유리애자를 전차선로에 설치하여 전차선의 지지와 진동방지 등의 역할을 하고 있다. KTX 전차선로에 설치된 유리애자는 설치된 지 약 20여 년이 경과하여 교체주기를 맞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KTX 전차선로에 설치되어 있는 유리애자를 대체하기 위하여 자기애자와 폴리머애자의 전기적 특성을 실험을 통하여 확인하고 유한요소해석을 통하여 분석함으로써 대체재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2].

일반적으로 애자는 전기적 절연내력 특성과 기계적 강도가 우수해야 하며, 누설전류가 적으며 온도 변화에 잘 견디고 발수성이 뛰어나고 저렴할 뿐만 아니라 작업성이 좋아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건조섬락과 주수섬락 실험을 통하여 애자의 절연재질에 따른 전기적 절연내력특성을 분석하고 비교하였다. 또한 유한요소해석을 진행하여 절연파괴 시 전계특성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유리애자의 대체 가능성을 확인하였다[3].

2. 본 론

2.1 유리애자 (Glass Insulator)

유리애자는 깨지기 쉬운 특성을 보강하기 위하여 일반 강화유리가 아닌 물을 냉매로 사용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강도를 가진다. 현장에 설치된 유리애자의 경우, 사용으로 인한 피로 누적보다는 외부에서 인가되는 충격으로 인하여 파손될 가능성이 크다. 유리는 외부로부터 물리적인 힘이나 순간적인 충격이 가해지면 아주 작은 양의 탄성 변형을 일으키며, 탄성 영역 이상의 큰 외력이 가해지면 유리 표면에 존재하는 상당수의 미세균열이 성장하여 파손된다. 그러나 강화유리를 사용하는 유리애자는 표면에 작용하는 영구적 압축응력이 유리 표면상의 보이지 않는 미세균열을 억제하므로, 압축응력과 유리의 강도를 합한 값보다 큰 응력이 외부에서 걸리지 않으면 깨지지 않기 때문에 비교적 안정된 특성을 가진다. 다만, 국내에 유리애자를 생산하는 제조업체가 없을 뿐만 아니라 수입된 제품 중에서도 제조사에 따라 품질 차이가 크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으며 내오손특성에 열등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2.2 자기애자 (Porcelain Insulator)

자기애자는 대표적인 전기 절연체로서 무겁고 충격에 약하기 때문에 취급이 어려운 단점을 가지고 있다. 우리나라 송전선로에 대부분 비용을 차지하고 있는 자기애자는 Fig. 1과 같은 형상이며 제조 원료에 따라 장석질 애자, 크리스토발라이트 (Cristobalite)질 애자, 알루미나 (Alumina)질 애자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초기 제품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었던 장석질 애자는 장석, 점토, 규석으로 구성되어지며 보통 1,200~1,250℃에서 소결되지만, 기계적 강도가 낮은 단점을 가지고 있다. 크리스토발라이트질 애자는 1,250~1,300℃의 소결온도를 가지며 장석질 애자와 비교하여 높은 기계적 강도를 가진다. 그러나 열팽창률이 높고 220℃ 온도 영역에서 팽창의 굴곡점이 있어 열충격에 대한 저항이 다른 자기애자와 비교하여 낮은 단점이 있다. 또한 알루미나질 애자는 장석질 애자의 기계적 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알루미나를 10~40% 추가하여 제조한다.

Fig. 1. Structure of porcelain insulator

../../Resources/kiiee/JIEIE.2022.36.11.031/fig1.png

2.3 폴리머애자 (Polymer Insulator)

폴리머애자는 자기애자의 무거운 중량과 외부 충격에 약한 단점을 보완하려는 방안으로 개발되었다. 폴리머애자는 가벼우며 외부 충격에 강한 특성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내오손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최근 전 세계적으로 사용량이 증가하고 있다. 국내의 경우에도 실리콘 계열의 폴리머애자가 현재 배전급 선로에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Fig. 2. Structure of polymer insulator

../../Resources/kiiee/JIEIE.2022.36.11.031/fig2.png

폴리머애자는 Fig. 2 와 같이 기본적으로 코어 역할을 하는 FRP (Fiber Reinforced Plastics) rod와 갓 역할을 하는 폴리머 재질의 하우징인 shed, 그리고 각종 금구류로 구성되어 있다. FRP rod는 우수한 인장강도 특성을 가지고 있다. 금구와 FRP rod와의 압력, 양쪽 금구의 밀봉 (Sealing) 및 FRP rod와 하우징 사이 계면에서의 접착력과 같은 모든 공정이 완벽해야 수분 침투를 억제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수분 침투로 인한 트래킹 (Tracking)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하여, 표면의 발수성 (Hydrophobicity)을 높이기 위하여 원료를 혼합할 때부터 첨가제를 첨부하지만, 태양광으로부터 발생하는 자외선과 대기 환경오염 등으로 인하여 시간이 지남에 따라 표면의 발수성이 감소할 뿐만 아니라 전기적 스트레스로 인한 열화현상으로 절연파괴가 발생할 수 있다.

Table 1. Properties comparison of insulators

물리적 특성

유 리

자 기

폴리머

밀도 [g/㎤]

2.5

2.3~3.9

0.9

인장강도 [MPa]

100~120

30~100

5.17

압축강도 [MPa]

210~300

240~820

7.8~41.2

열전도도 [W/m‧K]

1.0

1.0~4.0

0.25

팽창율@20℃[×10$^{-6}$K]

8.0~9.5

3.5~9.1

-

비유전율@60㎐

7.3

5.0~7.5

2.4

tanδ [×10$^{-3}$]

15~50

20~40

0.0006

Table 1은 실험에 사용되는 애자에 대한 물리적 특성을 비교하여 나타내었으며, 각각의 장점들로 인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다[4-6].

3. 절연파괴 실험

본 연구에서는 애자의 절연 재질별 절연내력 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앞서 설명한 3가지 종류의 애자에 대한 건조섬락과 주수섬락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제 고압선로의 가혹한 환경에서 사용되는 조건을 모의하기 위하여 유리애자와 자기애자는 4련으로 연결하여 시험하였으며 고속전철용 고분자 장간애자 (KRS PW 0055) 시료로 선택하였다.

Fig. 3. Schematic diagram of flashover experiments

../../Resources/kiiee/JIEIE.2022.36.11.031/fig3.png

Fig. 4. Wet flashover experiment scene

../../Resources/kiiee/JIEIE.2022.36.11.031/fig4.png

Fig. 3는 절연파괴 실험 구성도를 나타내었으며 Fig. 4에는 실제 주수섬락 실험 장면을 나타내었다. 건조섬락 실험은 Fig. 3에 보인 바와 같이 애자의 하부에 고전압을 인가하고 상부는 접지한 상태로 절연파괴 실험을 수행하였다. 이때 전원공급기의 전압 상승속도는 5kV/s로 설정하였으며, 절연파괴가 발생하는 순간의 평균값을 절연파괴 전압값으로 기록하였다. 주수섬락 실험은 건조섬락 실험과 동일한 실험구성을 준비한 상태에서 45° 하방으로 애자에 3mm/min 양의 물을 뿌려 충분히 젖게 한 후에 건조섬락 실험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3.1 유리애자에 대한 절연파괴 실험

본 연구에서 사용된 유리애자의 크기는 직경이 254mm이고 길이는 650mm이며 상용주파 내전압 특성 전압은 70kV이다. Fig. 5(a)에는 실험에 사용된 유리애자의 모습을 나타내었으며, Fig. 5(b)에는 건조섬락 실험, Fig. 5(c)에는 주수섬락 실험 중 절연파괴가 발생하는 순간을 나타내었다.

Fig. 5. Flashover experiment of glass insulator

../../Resources/kiiee/JIEIE.2022.36.11.031/fig5.png

절연파괴 실험을 통하여 확인한 유리애자의 건조섬락 실험에 대한 절연파괴 전압은 209.5kV이었으며, 주수섬락 실험에 대한 절연파괴 전압은 126.7kV로 측정되었다. 즉, 건조한 상태에 비해서 비에 의해서 애자가 젖은 경우를 모사한 주수 조건에서의 절연파괴 전압은 약 39.5%가 감소하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3.2 자기애자에 대한 절연파괴 실험

본 실험에 사용된 자기애자의 직경은 191mm이고 길이는 640mm이며 정격전압은 65kV이다. Fig. 6(a)는 본 연구에 사용된 자기애자의 모습을 나타내고 있으며, Fig. 6(b)는 건조섬락 실험, Fig. 6(c)는 주수섬락 실험 중 절연파괴가 발생하는 순간을 나타내고 있다.

절연파괴 실험을 통하여 확인한 자기애자의 건조섬락 실험에 대한 절연파괴 전압은 225.4kV이었으며, 주수섬락 실험에 대한 절연파괴 전압은 114.9kV로 측정되었다. 실험 결과, 자기애자는 건조섬락 실험 대비 주수섬락 실험의 경우에 절연내력 특성이 약 49%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Fig. 6. Flashover experiment of porecelain insulator

../../Resources/kiiee/JIEIE.2022.36.11.031/fig6.png

3.3 폴리머애자

절연파괴 실험에 사용된 실리콘 고무 계열의 폴리머애자의 직경은 170mm이고 길이는 580mm이며 상용주파 내전압 특성 전압은 145kV이다. Fig. 7(a)는 본 연구에 사용된 폴리머애자의 모습을 나타내고 있으며, Fig. 7(b)는 건조섬락 실험, Fig. 7(c)는 주수섬락 실험 중 절연파괴가 발생하는 순간을 나타내고 있다. 폴리머애자도 다른 애자와 동일한 방식으로 절연파괴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건조섬락 실험에 대한 절연파괴 전압은 177.1kV이고 주수섬락에 대한 절연파괴 전압은 130.0kV로 측정되었다. 폴리머애자에 대한 주수섬락 실험의 절연파괴 전압은 건조섬락 대비 약 26.6%로 감소하였고 이는 3가지의 애자 중에서 가장 적은 변화임을 알 수 있었다.

Fig. 7. Flashover experiment of polymer insulator

../../Resources/kiiee/JIEIE.2022.36.11.031/fig7.png

3.4 실험 결과

본 연구에서는 애자의 절연재질 종류에 따른 절연파괴 특성 변화를 건조섬락과 주수섬락으로 구분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절연파괴 실험 결과, 애자의 표면에 물을 분사하여 젖은 상태에서 애자의 절연내력 특성을 확인하는 주수섬락의 경우에 표면이 건조한 상태에서 실험을 수행하는 건조섬락 조건에 비하여 26.6%에서 49%까지 감소하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이때 유리애자의 감소 비율은 39.5%이고 자기애자의 감소 비율은 49%이며, 폴리머애자의 감소 비율은 26.6%로 폴리머애자가 수분에 의한 절연내력 특성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건조 조건 대비 주수 조건에서의 절연내력 실험 결과를 Fig. 8에 나타내었다.

Fig. 8. Experimental results of electrical breakdown

../../Resources/kiiee/JIEIE.2022.36.11.031/fig8.png

4. 유한요소해석

애자의 절연재질에 따른 절연파괴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절연파괴 실험과 더불어 유한요소해석을 실시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다만, 자기애자의 경우에는 정확한 내부 구조에 대한 설계 파라미터를 확보하지 못하여 해석에서는 제외하였으며 설계도면이 존재하는 유리애자와 폴리머애자에 대한 전계해석을 수행하였다. 전계해석을 위하여 유한요소해석 프로그램인 ANSYS를 이용하였으며, 해석 시에 유리애자용 유리의 비유전율은 7.3, 폴리머애자용 폴리머의 비유전율은 2.4로 설정하였다. 상부측 금구에 인가되는 전압은 유리애자의 경우에는 209.5kV, 폴리머애자의 경우에는 177.1kV의 건조섬락 시 절연파괴 전압을 각각 입력하였다.

Fig. 9Fig. 10에는 건조섬락 시 절연파괴 전압값을 입력했을 때 유리애자와 폴리머애자의 구조에서 유도되는 전계분포를 나타내었으며, 해석 결과와 같이 금구류의 끝부분에서 최대전계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최대전계의 세기는 약 3kV/mm로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공기의 절연파괴 기준전계와 동일한 것을 확인하였다[7, 8].

Fig. 9. Electric field analysis of glass insulator

../../Resources/kiiee/JIEIE.2022.36.11.031/fig9.png

Fig. 10. Electric field analysis of polymer insulator

../../Resources/kiiee/JIEIE.2022.36.11.031/fig10.png

전계해석을 통하여 유리애자와 폴리머애자 모두 건조섬락 실험 조건에서 공기 중 최대전계가 3kV/mm일 때 절연파괴가 발생하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주수섬락 실험의 경우에는 각 재질의 연면 절연파괴 특성으로 인하여 건조섬락 절연파괴 특성과 비교하여 각각 39.5%와 26.6%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9]. 본 연구를 통하여 폴리머 재질은 유리 재질에 비하여 수분에 대한 연면 절연파괴 전계특성이 우수하므로 실계통에 적용될 경우 상대적으로 신뢰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5. 결 론

본 논문에서는 애자의 절연 재질에 따른 특성 분석을 위해 건조섬락과 주수섬락 실험 그리고 유한요소 해석을 진행하였다. 실험 결과, 주수섬락의 경우 건조섬락 조건에 비하여 애자의 절연파괴 전압값이 26.6%에서 49%까지 감소하는 사실을 확인하였고, 유한요소 해석 결과, 유리애자와 폴리머애자 모두 건조섬락 실험 조건에서 공기 중 최대전계가 3kV/mm일 때 절연파괴가 발생하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논문에 따르면 폴리머 재질은 유리 재질과 비교하여 수분에 대한 연면 절연파괴 전계특성이 우수하며 실 계통에 적용할 경우, 절연 측면에서의 안전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다양한 특고압 환경의 후속 연구를 수행한 폴리머애자의 실적용 가능성 확장이 기대된다.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22년도 정부(산업통상자원부)의 재원으로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20222A10100020, 송·배전 전력기기용 친환경 및 직류 절연소재·부품의 성능평가 시험기술 및 표준 개발).

References

1 
Vosloo W. L., Holzhausen J. P., 1999, A Comparison of Glass Cap and Pin, Silicone Rubber and EPDM Rubber Insulators Over a Four Day Period at Koeberg Insulator Pollution Test Station, IEEEDOI
2 
Lee Gi-Chun, Jeon Yong-Joo, Lee Jong Woo, 2009, The Suitability of Toughened Glass Stem Insulator for Korea High Speed Catenary System,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Vol. 12, No. 2, pp. 243-248URL
3 
Yafeng Chao, et al. , 2020, Analysis and Suggestion on String Breakage Failure of Glass Insulator in 500kV Transmission Line, IEEEDOI
4 
Jung Jong-Wook, Jung Jin-Soo, Kim Young-Seok, 2008, The Electrical Breakdown Characteristics of Broken Toughened Glass Stem Insulator,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57, No. 8, pp. 1398-1406URL
5 
Lee Chul Ho, Kim Sang Wook, 1998, EPDM Compounds for Electrical Insulation Applications, The Polymer Society of Korea, Vol. 9, No. 5, pp. 389-393URL
6 
Matmatch , Ethylene Propylene Diene Rubber (EPDM), https://matmatch.com/materials/mbas121-ethylene-propylene-diene-rubber-epdm-(Accessed 1 JAN 2022)URL
7 
Kim Tae-Hoon, 2020, An Analysis of the Electrical Breakdown Strength According to the Separation Distance of the Cable,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Google Search
8 
Kang JongO, et al. , 2014, A Study on the Electrical Breakdown Characteristics of Air according to Electrode Gap,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63P, No. 4, pp. 301-306DOI
9 
Othman N. A., et al. , 2013, Simulation of Voltage and Electric-Field Distribution for Contaminated Glass Insulator, IEEEDOI

Biography

Daegu Kim
../../Resources/kiiee/JIEIE.2022.36.11.031/au1.png

He received a master’s degree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from Pai Chai University in 2000. He has been working for LG Uplus since 1993. Currently, attending a Ph.D. in the Department of Electric Railway Systems at Woosong University since 2020. His research interests are communication system, Internet of Things, air quality monitoring, and artificial intelligence.

Minkyung Jeong
../../Resources/kiiee/JIEIE.2022.36.11.031/au2.png

She received a master’s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in 2020. Currently, attending a Ph.D. course in electrical engineering,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Her research interests are high voltage engineering, power asset.

Hyoungku Kang
../../Resources/kiiee/JIEIE.2022.36.11.031/au3.png

He received doctor’s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Yonsei University in 2005. He is currently a professor in Dept. of electrical engineering,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His research interests are high voltage engineering, power asset management, and applied superconductivity.

Kibum Suh
../../Resources/kiiee/JIEIE.2022.36.11.031/au4.png

He received doctor’s degree in electronic engineering from Hanyang University in 2000. He has worked at the Korea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from 2000 to 2002. He has been working as a professor of electrical railway system at Woosong University since 2002. His research interests are ASIC design, video compression, electronic circuit, and direct circuit desig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