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ISO Journal TitleJ Korean Inst. IIIum. Electr. Install. Eng.




Conduction, Convection, Direct sunlight, Joule’s heat, Over load

1. 서 론

1.1 연구의 배경

산업의 발달과 전력 수요의 증대로 인하여 안정적인 전력 공급이 매우 중요하다. 또한 안전에 대한 사회적인 이슈와 기존 전력설비의 노화 등의 이유로 전력설비 운영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이 중 배전반은 국내외 규격 준용[1]과 함께 전력공급에 매우 중요한 요소로 내부에는 케이블 헤드, 부스바(Bus bar), 커패시터 및 리액터 등 다양한 전력기기와 구조물이 존재하며, 전력 수요의 증대로 인하여 배전반의 수는 더욱 많아지고 내부 구조는 더 복잡해지고 있다. 실제로 산업현장을 비롯해 일상생활 주위에 많은 배전반이 운영되고 있으며, 이러한 배전반이 자칫 사고로 이어질 경우 인적, 물적, 경제적 피해가 발생한다[2, 3]. 배전반 내에 전기적 에너지를 전달하기 위해 전도체 역할을 하는 부스바는 대전류가 흐르게 되면 도체에 흐르는 전류에 의한 주울(joule) 손의 영향으로 발열현상이 발생해 온도상승의 주요 원인이다[4-6]. 배전반 내에서의 열 현상은 여러 가지 열원과 복잡한 열전달현상, 내부구조 등으로 인해 고려해야 할 요소가 많으므로 정량적으로 해석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문제이다[7-11].

본 논문에서는 외부에 설치되어 직사광선으로 인한 배전반의 온도상승을 억제할 수 있는 방안으로, 태양광의 차광에 따른 내부 온도변화를 측정하였다. 또한 건축, 환경 및 조경분야의 에너지 효율을 높이며 친환경 냉방 기법인 쿨 루프(Cool Roof) 효과 실험을 하였다. 녹색과 흰색의 옥상 바닥 색상에 따른 바닥 온도변화와 배전반 외함의 페인트 색상에 따른 표면 온도변화를 실험적인 방법으로 고찰하였다.

2. 이론 고찰

2.1 배전반 내의 열전달 특성

배전반은 매질로 볼 때 크게 유체(공기)와 고체로 구성된 시스템이며 그 내에서 전류가 흐르게 됨에 따라 에너지 손실이 일어나고 이 에너지 손실로 인해 온도가 상승하게 된다. 열에너지의 특성상 열평형 상태로 진전하려는 과정으로 활선부분(부품, 도체 등)에서 발생한 열이 외함에 전달되게 되고 이곳에서 결국은 맞닿아 있는 주변공기로 열방사가 일어나게 된다. 열전달은 온도 차에 의해 일어나는 에너지의 이동이다. 하나의 물질에서나 두 물질 사이에서 온도차가 존재하면 반드시 열전달이 일어난다. 열전달은 복사, 전도, 대류의 형태로 나타난다. 복사 열전도는 물체로부터 공간으로 전자파 형태로 에너지를 방출하는 것이고, 전도 열전달은 물체 내부에 온도 구배가 존재할 때 그 물체를 통하여 에너지가 이동하는 것이고, 대류 열전달은 물체 표면으로부터 액체나 기체로 에너지의 전달을 의미하는 것이다. 배전반을 포함한 어떠한 전력기기의 열 현상도 위의 세 가지 중의 하나로 나타나며 대부분의 기기에서는 위 세 가지 현상이 복합되어 열전달 현상이 일어난다.

2.2 실험 관련 이론 및 방법

2.2.1 차광에 따른 온도변화

배전반의 경우 구성조건이나 작동조건이 광범위하기 때문에 배전반 내부 과도한 온도상승의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으며 대표적인 것을 간추리면 ① 과도한 외부온도 상승 ② 적정 설치용량 초과 ③ 단락 또는 과부하 ④ 연결부위 느슨함 ⑤ 협소한 통전부 횡단면 ⑥ 부적절한 부품 및 배전반 내 위치배분 등이다. 이러한 요인으로 말미암아 배전반 내부온도가 과도 상승하게 되어 내부 부품의 절연열화 및 손상을 일으키고 전체 배전반 수명 및 안전성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태양광에 따른 외부온도 상승을 가정하여 직사광선에 노출된 배전반의 차광 전후의 온도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축소 모형배전반을 선정하였다. 모형배전반의 색상은 Munsell 5Y 7/1, 크기는 200mm(W)×300mm(H)×160mm(D)의 1.6T 스틸 재질이다. 하절기 외부기온이 약 31℃에서 복사열 및 축열에 의한 배전반의 내부 온도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모형배전반을 옥외에 배치하여 차광막으로 차광 전후 약 2시간 동안 온도 데이터 로거(CENTER 306)를 활용하여 관측하였다. 모형배전반 내부 중앙 지점에 온도센서를 부착하였으며, 모형배전반의 도면과 온도 데이터 로거의 성능을 Fig. 1Table 1에 나타내었다. 차광막은 폴리에틸렌 재질 차광도 95%이며, 치수는 400mm(W)×400mm(H)×400mm(D)이다.

Table 1. Specification of temperature data logger

Model

CENTER-306

온도범위

K Type: -200∼1370℃

정밀도

±0.2%+1℃

분해능

0.1℃

작동온도

0℃∼50℃(〈80%R.H)

전원

9V Alkaline Battery

제품크기

184×64×30mm

제조사

CENTER(대만)

Fig. 1. Model switchboard and test set up

../../Resources/kiiee/JIEIE.2023.37.1.027/fig1.png

2.2.2 색상에 따른 온도변화

태양 반사율은 태양에너지가 표면에 의해서 반사되는 비율을 말하며 알베도(Albedo)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태양 반사율은 흰색이 높고 흑색은 낮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열 방사율은 재질이 가지는 고유한 값으로 0에서 1까지 나타내며, 1에 가까울수록 흡수된 열을 많이 방사하게 된다. 금속을 제외한 대부분의 지붕은 1에 가까운 값을 가진다. 쿨 루프는 기존 일반적인 지붕과 표면에 비해 높은 태양 반사율과 열 방사율을 가지고 있는 지붕을 말하는 것으로 일반적인 지붕에 비해 표면온도를 낮게 유지할 수 있다[12-14]. 특히 쿨 루프는 옥상녹화와 달리 추가되는 시스템 없이 페인트칠을 통해 일반 지붕이 높은 태양 반사율과 열 방사율을 가지게 함으로써 건물의 지붕 표면온도와 실내온도가 낮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15-17]. 따라서 배전반이 설치되는 옥외, 옥상 바닥과 배전반 표면, 지붕을 상정하여 흰색, 회색, 녹색 판의 색상에 따른 온도변화를 적외선 온도계(FLUKE 561, FLUKE 62 MAX+)로 비교하였다. 색상 판의 재질과 규격은 칼라 포맥스 297mm(W)×420mm(H)×2mm(T)이며, 적외선 온도계 각각의 성능은 Table 2와 같다. 또한 일반적인 회색 배전반의 표면과 비교하여 흰색 표면 배전반의 색상에 따른 온도변화를 데이터 로거로 비교 측정하였다.

Table 2. Specification of infrared thermometer

Model

FLUKE 561

FLUKE 62Max+

온도범위

-40∼550℃

-30∼650℃

방사율

-

0.10∼1.00

IP 등급

-

IP 54(IEC 60529)

분해능

0.1℃

작동온도

0℃∼50℃

작동습도

30℃에서 10%∼90% RH 비응축

제조사

FLUKE(미국)

2.3 실험 결과

2.3.1 차광에 따른 온도변화

김해 한림면 지역에서 차광 전후 모형배전반의 내부 온도변화 측정 결과를 Table 3에 나타내었다. 직사광선에서 1시간여 동안의 내부 최고 온도는 약 46℃이었으며, 결과는 Fig. 2와 같다. 또한 차광 전후 온도변화를 비교하기 위해 차광막으로 약 1시간 차광 후 내부 최고 온도는 Fig. 3과 같이 약 34℃로 측정되었다.

특히 온도 데이터 로거를 가동 후 15분 이내 배전반 내부온도가 약 10℃ 이상 급격히 상승하였고, 점차 비교적 안정된 온도상승 분포를 나타내었다. 여름철 태양의 직사광선에 의한 배전반 내부 온도상승 저감을 위해 차광막 설치 효과에 대한 기초실험으로 Fig. 4의 온도측정 데이터 그래프를 보면 차광막이 없을 때는 평균 44℃ 차광막이 있을 때는 평균 34℃로 약 10℃ 이상의 온도 저감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Fig. 2. Temperature before shading

../../Resources/kiiee/JIEIE.2023.37.1.027/fig2.png

Fig. 3. Temperature after shading

../../Resources/kiiee/JIEIE.2023.37.1.027/fig3.png

Fig. 4. Result graph before and after shading

../../Resources/kiiee/JIEIE.2023.37.1.027/fig4.png

Table 3. Temperature change of shielding

차광 조건

차광 전

차광 후

내부 온도[℃]

45.8

34.4

측정기상

⦁일평균기온 25.7℃ ⦁최고기온 31.1℃

⦁상대습도 69.4% ⦁평균풍속 2m/s

2.3.2 색상에 따른 온도변화

부산 남부민동 지역에서 색상에 따른 적외선 온도변화를 Table 4Fig. 5∼6에 나타내었다. 배전반이 설치되는 옥외, 옥상 바닥 및 배전반 표면, 지붕을 상정한 실험으로 밝은색, 높은 태양 반사율 영향으로 흰색 40.8℃, 회색 48.2℃, 녹색 판은 47.5℃로 측정되었다. 동일한 조건에서 가장 높은 회색에 비해 흰색 판은 약 8℃가량 온도가 낮게 관측되었다.

또한 Fig. 7∼8은 바닥으로부터 약 0.6m 이하의 높이에서 녹색, 흰색 페인트 지붕을 비교한 것으로 녹색 페인트를 칠한 곳은 63℃, 흰색 페인트를 칠한 곳은 38℃로 측정되었다. 직사광선에 의한 복사열, 축열 영향으로 녹색, 회색 페인트를 칠한 지붕은 햇빛과 열을 대부분 흡수하지만, 흰색 지붕은 85% 이상을 반사시키므로 인접 건물의 지붕에서 색상 변화에 따른 온도가 무려 25℃ 차이가 발생하였다.

교육기관을 비롯하여 중·소규모 제조사업장의 옥상에 설치한 회색 일체형 배전반의 경우, 아침부터 저녁까지 낮 시간대에 태양의 직사광선에 직접 노출되어 디지털 계기, 계전기류의 액정부분 고장 및 변색과 배전반 내부온도 상승으로 구성품의 과열 사고와 내구연한 단축을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색상에 따른 배전반 온도변화에서 회색 표면온도는 51.4℃, 흰색 표면온도는 43.6℃로 약 8℃의 온도 저감효과를 Fig. 9Table 5에서 확인 할 수 있다. 흰색, 회색 판 측정결과와 동일한 약 8℃ 온도 편차를 확인할 수 있었다.

Table 4. Result of color plates temperature

색상 구분

흰색

회색

녹색

표면온도[℃]

40.8

48.2

47.5

측정기상

⦁일평균기온 28℃ ⦁최고기온 33.1℃

⦁상대습도 64.5% ⦁평균풍속 3.1m/s

Table 5. Temperature of Gray and White color

배전반 색상

회색

흰색

표면 온도[℃]

51.4

43.6

Fig. 5. Plate of White, Gray and Green color

../../Resources/kiiee/JIEIE.2023.37.1.027/fig5.png

Fig. 6. Temperature of color plate

../../Resources/kiiee/JIEIE.2023.37.1.027/fig6.png

Fig. 7. Green roof temperature

../../Resources/kiiee/JIEIE.2023.37.1.027/fig7.png

Fig. 8. White roof temperature

../../Resources/kiiee/JIEIE.2023.37.1.027/fig8.png

Fig. 9. Temperature measurement by Gray and White color

../../Resources/kiiee/JIEIE.2023.37.1.027/fig9.png

3. 결 론

본 논문에서는 직사광선에 노출되어 있는 배전반의 온도상승을 억제할 수 있는 방안으로, 배전반의 차광에 따른 내부 온도변화를 측정하였다. 또한 쿨 루프 효과 실험으로 흰색, 회색, 녹색 판과 페인트 색상에 따른 온도변화와 배전반 외함의 페인트 색상에 따른 온도변화를 실험적인 방법으로 고찰하였으며, 주요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차광에 따른 온도변화 결과, 하절기 태양의 직사광선에 의한 배전반 온도상승 저감을 위한 차광막 설치로 약 10℃ 이상의 온도 저감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2) 색상에 따른 온도변화 결과, 높은 태양 반사율 영향으로 녹색 페인트를 한 곳은 63℃, 흰색 페인트를 한 곳은 38℃로 측정되어 색상 변화에 따른 온도 편차가 25℃ 발생하였다. 또한 회색 배전반 표면온도는 51.4℃, 흰색 배전반 표면온도는 43.6℃로 약 8℃의 온도 저감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연구과제로서 모형배전반의 색상에 따른 내부 온도변화 측정 또는 실제 운영되고 있는 현장 배전반을 대상으로 도색, 색상 변화에 따른 배전반의 내부 온도변화를 실측하여 상관관계에 대해 분석 예정이다. 또한 색상 재료에 대한 배전반 내부 및 표면의 온도변화도 실험할 계획이다.

References

1 
H. S. Jung, “Study for Performance of the Low-voltage Switchgear and Controlgear Assemblies,” Journal of KIEE Summer Conference, pp. 910-911, 2017.URL
2 
C. H. Jin, et. al., “Monitoring and Diagnosis Technique in Metal-clad Switchgear by Using the Infrared Temperature Sensor,” Journal of KIEE Summer Conference, pp. 1663-1664, 2016.URL
3 
J. G. Hong, et. al.,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ectric Field and Electromagnetic Loss According to Bus Bar Size for a Cost-effective 24kV High Voltage Switchgear,” Journal of KIEE, Vol. 61P, No. 4, pp. 220-224, 2012.DOI
4 
H. M. Kim and J. Y. Choi, “Study on the Optimization of the Fan Position for Cooling of the Busbar of the Enclosed Switchboard,” Journal of Trans. Korean Soc. Mech.B, Vol. 42, No. 1, pp. 9-16, 2018.URL
5 
H. S. Jung, “Study for Temperature Rise on Busbar of the Switchgear and Controlgear Assemblies,” Journal of KIEE Summer Conference, pp. 872-873, 2015.URL
6 
Y. D. Lee, et al.,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Busbar Joint and Temperature Measurement System,” Journal of KIICE, Vol. 21, No. 2, pp. 379-385, 2017.DOI
7 
B. W. Lee, et al., “Investigations on the Thermal Phenomena in High Current Electric Switchboard,” Journal of KIEE Autumn Conference, pp. 1051-1053, 1999.URL
8 
S. I. Lee, et al., “A Simulation of Electric Fire in Power Panel,” Journal of KIEE Summer Conference, pp. 2150-2151, 2011.URL
9 
J. S. Lee, et al., “Thermal Behavior Simulation During Internal Arc Fault in Switchgear,” Journal of KSME Spring&Autumn Conference, pp. 1424-1426, 2020.URL
10 
P. Kumar, et al., “Internal Arc Fault Simulation in Medium Voltage Panel for Thermal and Structural Withstand,” 2018 IEEE Holm Conference on Electrical Contacts. IEEE, 2018.URL
11 
J. S. So, et al., “Temperature Measurement on the Switchboard of KTX Passenger Car Using a Temperature Sensor and a Thermal Imaging Camera,” Journal of KSR Spring Conference, pp. 467-472, 2014.URL
12 
S. W. Hwang, et al., “Thermal Environment Performance Evaluation of Stainless Steel Panel,” Journal of AIK Spring Conference, pp. 267-268, 2014.DOI
13 
G. P. Jang, et al., “Derivation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Inorganic Paints Mixing to Improve Electromagnetic Shielding Performance,” Journal of AIK Autumn Conference, pp. 1022-1025, 2022.URL
14 
S. U. Jo, et al., “Analysis of Summer Temperature by the Use of Shielding curtain in Plastic Green House,” Journal of AIK Autumn Conference, pp. 1223-1224, 2022.URL
15 
G. A. Kim, et al., “Analysis of Thermal Environment in Buildings according to Color Change of Roof and Applicability of Cool Roof,” Journal of KIAEBS, Vol. 10, No. 6, pp. 409-415, 2016.URL
16 
B. G. Song, et al., “Reduction in Indoor and Outdoor Temperature of Office Building with Cool Roof,” Journal of KIEAE, Vol. 16, No. 6, pp. 95-101, 2016.URL
17 
K. R. Lee, et al., “Comparison of Rooftop Surface Temperature and Indoor Temperature for the Evaluation of Cool Roof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Rooftop Colors in Summer - Using Thermal Infrared Camera Mounted on UAV,” Journal of KSGPC, Vol. 37, No. 1, pp. 9-18, 2019.DOI

Biography

Sung-Sam Kim
../../Resources/kiiee/JIEIE.2023.37.1.027/au1.png

He received his B.S., M.S. and Ph.D. degrees from Kyungnam University, Korea, in 2001, 2003 and 2007, respectively. He is an Assistant Professor in the Department of Smart Electricity at Korea Polytechnics College, Korea.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electrical safety and safety diagnost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