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ISO Journal TitleJ Korean Inst. IIIum. Electr. Install. Eng.

  1. (Ph.D. course, Department of Electrical Engineering, Mokpo National University, Korea)



AC-DC hybrid grid, Grid-connection, HVDC(high voltage DC), MVDC(medium voltage DC), VFT(variable frequency transformer)

1. 서 론

세계적으로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기 위해 재생에너지 비중을 늘리는 방향으로 에너지 전환 정책을 펼치고 있다. 이러한 추세는 국내도 마찬가지로, 제9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르면 국내의 재생에너지 비율을 2034년 기준 총발전량의 26.3%, 총설비 77.8GW로 확대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1]. 이러한 에너지 전환의 핵심은 환경오염을 줄이는 동시에 합리적인 가격으로 지속적인 전기 생산의 대책을 찾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기존 발전원을 대체할 재생에너지원은 간헐전원이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어 기저 발전원으로 사용하기 힘들며 분산전원의 지리적 요건에 따라 발전원과 부하의 불균형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대용량의 재생에너지를 계통에 연계하기 위해서는 출력 변동을 감당하기 위한 계통의 유연 자원 및 제어가 필요하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HVDC, HVAC 등 장거리 대용량 전력 전송기술 기반 비동기 계통연계, AC/DC 하이브리드 계통 등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2-5]. 특히, 발전량을 증가시키거나 새로운 발전설비를 설치하는 방식이 아닌 계통연계를 통해 국가 간 전력망을 구축하여 전력을 수급할 수 있는 슈퍼 그리드에 관한 연구가 주목받고 있다. Fig 1은 해외 슈퍼그리드의 예시로 북유럽의 슈퍼그리드를 나타낸다. 북유럽 슈퍼그리드는 북해연안의 해상풍력이 주가 되어 2050년까지 총 500GW를 유럽 전력시장에 공급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6].

Fig. 1. Nord EU super grid plan[6]

../../Resources/kiiee/JIEIE.2023.37.2.054/fig1.png

국가 간 계통연계를 고려할 때 각 지역의 계통 운영방식에 따라서 전압과 주파수가 일치하지 않아 비동기 계통연계 기술의 적용이 필수적이다. 기존의 방식으로는 AC 전력을 DC 전력으로 변환하여 송전 후 다시 원하는 AC 전력으로 변환하여 사용하는 DC 방식의 비동기 계통연계 기술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DC 방식은 비동기 계통연계가 가능하며 장거리 송전 효율, 사고 시 단락 전류에서의 장점이 있으나 반도체 스위칭 소자를 사용함으로써 고조파가 발생하게 되고 용량에 따라 증가하는 전력변환 스테이션의 크기와 비용이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다[7, 8].

이에 2000년대 후반부터 ABB, Simens 등에서 회전형 변압기를 이용한 비동기 계통연계 기술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관련 프로젝트 계통연계 실증단지가 운영되고 있다. 회전형 변압기는 권선형 유도전동기와 같은 구조로 회전자 권선과 고정자 권선에 각각 계통이 연결되어 계통 간 주파수의 차이만큼 회전자를 회전하여 연계를 수행하는 기기이다. 회전자의 회전 방향과 위치에 따라서 원하는 주파수로의 가변 및 양방향 전력 전송이 가능하며, 회전형 기기를 사용하기 때문에 고조파가 발생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구조적으로 리액터에 의한 무효전력이 발생하게 되며 캐패시터 뱅크와 같은 무효전력 보상 장치 설치가 필요로 한다[9-12]. Fig 2는 DC 방식과 회전형 변압기 방식의 비동기 계통연계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Fig. 2. DC and VFT asynchronous grid-connection structure (a) DC (b) VFT

../../Resources/kiiee/JIEIE.2023.37.2.054/fig2.png

회전형 변압기의 회전자 회전 방향과 속도 및 위치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통상적으로 속도 제어에 편이성이 있는 DC 모터를 사용한다. 회전자 축과 연결된 DC 모터는 구조적으로 DC 계통에 회전형 변압기를 통한 AC 부하가 연결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구조를 활용하여 회전형 변압기를 이용한 비동기 AC-DC 하이브리드 계통연계 시스템을 제안한다. 국가 간 계통연계는 계통 구조와 국가 간 거리에 따라서 DC 라인이 길어지거나 Back to Back 형식을 취하기도 하며 여러 가지 구조를 취한다. 제안하는 3 계통연계 시스템은 두 개의 비동기 AC 계통과 하나의 DC 계통을 연결함으로써 계통연계의 효율성과 활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제안하는 방식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해서 Matlab Simulink를 사용하여 비동기 계통연계 시스템을 모의하였다. 또한, 전력 조류 방향에 따른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제안된 계통연계 시스템의 성능을 표현하였다.

2. 회전형 변압기 동작원리 및 모델링

2.1 회전형 변압기 구조 및 동작원리

회전형 변압기의 구조는 권선형 유도전동기와 매우 유사하며, 고정자 권선에는 1차 계통이 연결되고 회전자 권선에는 2차 계통이 연결된다. 앞서 언급하였듯이 회전자의 축은 회전형 변압기 구동용 모터와 연결되어 모터의 회전속도로 회전함으로써 1차 계통과 2차 계통의 비동기 계통연계를 수행한다. Fig 3은 회전형 변압기를 이용한 비동기 AC 계통연계 시스템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구조적으로 권선형 유도전동기와 유사한 회전형 변압기의 동작 원리는 Fig 4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고정자 측에 연결된 1차 계통을 통해 고정자의 회전자계가 형성되며, 회전자를 $\omega_{m}$의 속도로 회전시키면 회전자 측 회전자계는 고정자 회전자계와 상대적으로 형성되게 된다. 예를 들어 1차 계통의 주파수가 60Hz이며 회전자가 고정되어 있으면 변압기와 같이 동작하여 입력 주파수와 출력 주파수가 같게 된다. 또한, 같은 방향으로 10Hz 회전한다면 출력되는 주파수는 50Hz, 반대 방향으로 10Hz 회전한다면 출력되는 주파수는 70Hz가 된다. 이러한 특성을 바탕으로 DC 모터를 제어함으로써 회전자 측에 연결된 2차 계통의 주파수와 위상을 제어할 수 있다[13].

Fig. 3. Asynchronous grid connection structure of VFT

../../Resources/kiiee/JIEIE.2023.37.2.054/fig3.png

Fig. 4. Operating principle of VFT

../../Resources/kiiee/JIEIE.2023.37.2.054/fig4.png

2.2 회전형 변압기 모델링

Fig 3과 같은 구조에서 회전형 변압기를 통해 1차 및 2차 계통에 전달되는 전력과 구동용 모터를 통해 발생하는 기계적인 힘과의 관계를 표현하면 식 (1)과 같다.

(1)
$P_{D}=P_{s}+P_{r}$

여기서, $P_{s}$, $P_{r}$, $P_{D}$는 각각 고정자, 회전자 권선의 전력과 드라이브 시스템의 기계적인 힘이다.

회전형 변압기는 구조적으로 1차와 2차 리액턴스로 구성된 전력용 변압기와 같은 법칙을 따른다. 이상적일 때 고정자와 회전자 사이에 다음과 같은 관계식이 성립한다.

(2)
$N_{s}I_{s}=-N_{r}I_{r}$

여기서, $N_{s}$, $N_{r}$, $I_{s}$, $I_{r}$은 각각 고정자와 회전자의 권수 및 전류를 나타낸다. 고정자와 회전자는 모두 동일한 자속을 연결하기 때문에 주파수에 따라서 전압도 동일한 비율로 변화한다. 이를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3)
$ \begin{align*} V_{s}=N_{s}f_{s}\psi_{a}\\ V_{r}=N_{r}f_{r}\psi_{a} \end{align*} $

여기서, $V_{s}$, $V_{r}$, $f_{s}$, $f_{r}$, $\psi_{a}$는 각각 고정자와 회전자의 전압, 주파수, 공극 자속을 나타낸다. 식 (3)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4)
$\dfrac{V_{r}}{N_{r}}=\dfrac{V_{s}}{N_{s}}\times\dfrac{f_{r}}{f_{s}}$

회전형 변압기의 동작 원리에서 설명했듯이 구동용 모터의 주파수는 고정자 주파수와 회전자 주파수 차이 $f_{m}$으로 표현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수식을 얻을 수 있다.

(5)
$ \begin{align*} f_{m}=f_{s}-f_{r}\\ \omega_{m}=f_{m}\dfrac{120}{P} \end{align*} $

여기서, $P$, $f_{m}$, $\omega_{m}$는 각각 회전형 변압기의 극 수, 회전자의 전기적 속도와 각속도를 나타낸다.

(6)
$ \begin{align*} P_{D}=P_{s}+P_{r}=V_{s}I_{s}+V_{r}I_{r}\\ =V_{s}I_{s}-\left(N_{r}\dfrac{V_{s}}{N_{s}}\dfrac{f_{r}}{f_{s}}\right)\left(N_{s}\dfrac{I_{s}}{N_{r}}\right)\\ =V_{s}I_{s}\left(1-\dfrac{f_{r}}{f_{s}}\right)=P_{s}\left(1-\dfrac{f_{r}}{f_{s}}\right) \end{align*} $
(7)
$ \begin{align*} P_{D}=P_{s}+P_{r}=V_{s}I_{s}+V_{r}I_{r}\\ =-\left(N_{s}\dfrac{V_{r}}{N_{r}}\dfrac{f_{s}}{f_{r}}\right)\left(N_{r}\dfrac{I_{r}}{N_{s}}\right)+V_{r}I_{r}\\ =V_{r}I_{r}\left(1-\dfrac{f_{s}}{f_{r}}\right)=P_{r}\left(1-\dfrac{f_{s}}{f_{r}}\right) \end{align*} $

(1)(4)를 이용하여 식을 정리하면 구동용 모터의 기계적인 힘과 회전형 변압기를 통해 계통에 전달되는 전력에 관한 관계식을 식 (6)(7)로 정의할 수 있다. 다음과 같은 수식으로 알 수 있듯이 구동용 모터의 전력은 고정자와 회전자에 흐르는 전류와 관계가 있으며, 최종적으로 구동용 모터를 통해 인가되는 토크를 나타내면 식 (8)로 나타낼 수 있다. 즉, 구동용 모터에 인가하는 토크의 크기와 방향을 제어함으로써 AC 계통의 전력을 제어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8)
$ \begin{align*} T_{D}=\dfrac{P_{D}}{f_{m}}=V_{s}I_{s}\dfrac{\left(f_{s}-f_{r}\right)/f_{s}}{f_{s}-f_{r}}\\ =V_{s}\dfrac{I_{s}}{f_{s}}=N_{s}f_{s}\psi_{s}\dfrac{I_{s}}{f_{s}}=N_{s}I_{s}\psi_{s} \end{align*} $

여기서, $T_{D}$는 DC drive의 토크를 나타낸다.

2.3 회전형 변압기 계통연계 제어기 설계

회전형 변압기를 이용한 비동기 계통연계를 위해서는 1차 계통과 2차 계통 사이의 주파수 차이만큼 구동용 모터의 회전속도를 제어하여야 한다. 회전형 변압기의 구동용 모터로는 속도 제어와 토크 제어에 편이성이 있어 통상적으로 DC 모터를 많이 사용한다. Fig 5는 DC 모터 속도 제어기의 구조를 보여준다.

Fig. 5. Structure of VFT speed controller

../../Resources/kiiee/JIEIE.2023.37.2.054/fig5.png

여기서, $\omega_{m,\: ref}$, $I_{a,\: ref}$는 각속도와 전기자 전류의 기준값을 나타내며 $T_{e}$와 $T_{L}$은 전기적 토크와 부하 토크, $K_{T}$, $J$, $L_{a}$, $R_{a}$는 DC 모터의 파라미터로 토크 상수, 관성 상수, 전기자 인덕턴스, 전기자 저항이다.

DC 모터의 속도 제어기는 Fig 5와 같이 내부 루프에 전류 제어기가 존재하고 바깥 루프에 속도 제어기를 위치시켜 사용하며 이런 경우 전류 제어기의 대역폭을 충분히 크게 선정하여 전류 제어기가 속도 제어기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해야 속도 제어의 응답성이나 안정성이 향상된다.

회전형 변압기의 속도 제어는 회전자 속도와 속도 지령치를 비교하여 전기자 전류 지령치를 산출, 실제 전기자 전류와 비교하고 DC 모터 시스템을 통과하여 전기적 토크를 구하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최종적으로 회전형 변압기에 인가되는 부하 토크와 기계적인 관성을 통해 실제 속도가 나오게 되고 폐루프 제어시스템으로 원하는 속도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속도 제어기 설계에는 범용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비례적분 제어기를 사용하였다. 전류 제어기와 속도 제어기의 비례 및 적분 이득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14].

(10)
$ \begin{align*} K_{pc}=L_{a}\omega_{cc}\\ \\ K_{ic}=R_{a}\omega_{cc} \end{align*} $
(11)
$ \begin{align*} K_{ps}=\dfrac{J\omega_{cs}}{K_{T}}\\ K_{is}=K_{ps}\omega_{p i}=K_{ps}\dfrac{\omega_{cs}}{5}=\dfrac{J\omega_{cs}^{2}}{5K_{T}} \end{align*} $

여기서, $K_{pc}$, $K_{ic}$, $\omega_{cc}$는 각각 전류 제어기의 비례 이득, 적분 이득, 교차각 주파수이며, $K_{ps}$, $K_{is}$, $\omega_{cs}$는 속도 제어기의 비례 이득, 적분 이득, 교차각 주파수이다.

3. 회전형 변압기를 이용한 비동기 AC-DC 하이브리드 계통연계 시스템 시뮬레이션

3.1 회전형 변압기 비동기 AC-DC 하이브리드 계통연계 시스템

앞서 언급했듯이 회전형 변압기의 구동부는 통상적으로 속도 및 토크 제어에 편이성이 있는 DC 모터를 사용하며 DC 모터를 구동하기 위해 고정자 측 계통에 AC-DC 컨버터를 사용하여 전원을 공급한다. 즉, 한쪽 AC 계통에서 회전자의 속도를 조절함으로써 전력 조류 제어가 수행된다. 여기서, AC-DC 컨버터의 DC 링크와 DC 모터를 DC 계통과 연결한다면 DC 계통에서 회전형 변압기를 통해 전력 조류 제어와 전력 전송이 가능하며 AC 계통에서 AC-DC 컨버터를 통해 DC 계통으로 전력을 보낼 수 있다.

Fig. 6. Structure of asynchronous AC-DC hybrid power grid connection system using VFT

../../Resources/kiiee/JIEIE.2023.37.2.054/fig6.png

Fig 6은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회전형 변압기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계통연계 시스템의 개략도로 주파수 등 계통 운영방법이 다른 두 개의 비동기 AC 계통 사이에 회전형 변압기를 설치하여 비동기 계통연계를 수행하였으며 DC 계통이 DC link에 연결되어있는 형태로 하이브리드 계통연계 시스템을 표현하였다.

Fig. 7. Power flow of asynchronous AC-DC hybrid power grid connection system using VFT

../../Resources/kiiee/JIEIE.2023.37.2.054/fig7.png

비동기 AC-DC 하이브리드 계통연계 성능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시스템의 전력 조류 제어가 필수적이다. Fig 7은 제안하는 시스템에 나타날 수 있는 전력 조류 방향을 표현한 것으로 두 개의 비동기 AC 계통인 AC #1과 AC #2가 서로 전력을 주고받는 상황과 AC-DC 컨버터와 DC 모터를 통해 AC 계통과 DC 계통 간 전력을 주고받는 상황을 나타낸다.

3.2 3 계통연계 및 전력제어 시뮬레이션

제안하는 회전형 변압기 비동기 AC-DC 하이브리드 계통연계 시스템의 계통연계 성능을 검증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Matlab Simulink를 통한 시뮬레이션을 진행하였다. Fig 8은 제안된 방식의 시뮬레이션 모델을 나타낸다.

Fig. 8. Simulation model of asynchronous AC-DC hybrid power grid connection system using VFT

../../Resources/kiiee/JIEIE.2023.37.2.054/fig8.png

회전형 변압기를 이용한 두 개의 비동기 AC 계통과 하나의 DC 계통의 연계를 모의하기 위해 주파수가 60Hz인 AC #1과 주파수가 57Hz인 AC #2 사이에 회전형 변압기를 설치하여 비동기 AC 계통연계를 수행하였다. 또한, AC #1측에 AC-DC 컨버터를 설치하여 회전형 변압기의 DC 모터 구동부 구성하였으며 DC link에 3 계통연계를 위한 DC 계통를 연결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AC #1, AC 연계지점, AC #2, AC-DC 컨버터, DC 계통에 각각 P1, P2, P3, Pconverter, Pdc를 구성하여 전압 및 전류를 나타내었다.

시뮬레이션은 60Hz 계통과 57Hz 계통의 연계를 위해 회전형 변압기 2차측의 주파수와 위상을 57Hz와 동기화한 후 2초에 차단기가 투입되는 순서로 진행되며 이후 DC 모터의 토크와 DC 부하 변화를 가정함으로써 3 계통연계 성능을 확인하였다.

Fig 9는 회전형 변압기 비동기 AC 계통연계 시뮬레이션 파형으로 계통연계 지점인 P2의 주파수(a)와 위상(b)을 나타내고 있다. 시뮬레이션 결과를 살펴보면 회전형 변압기와 AC #2 사이의 차단기가 투입되는 시점인 2초 이전에 회전형 변압기를 통해 계통이 동기화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Fig 10은 DC 모터 토크 제어를 통한 비동기 AC-DC 하이브리드 계통의 전력 제어 시뮬레이션 결과 파형이다. Fig (a)는 회전형 변압기와 AC #2의 연계지점인 P2의 전력을 나타내고 있는 파형으로 2초에 AC 계통연계가 시작된 시점에서는 AC #1에서 AC #2 방향으로 전력 조류가 형성되고 있으며 4초에 DC 모터의 토크를 제어함으로써 AC #2에서 AC #1 방향으로 전력 조류를 변경하였다. 또한, 6초에 다시 역방향 토크를 인가함으로써 전력 조류의 방향을 AC #1에서 AC #2로 제어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DC 모터의 토크 제어를 통해 두 개의 비동기 AC 계통의 전력 조류 제어가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Fig. 9. Asynchronous AC grid connection simulation result using VFT (a) Frequency (b) Phase

../../Resources/kiiee/JIEIE.2023.37.2.054/fig9.png

Fig. 10. Power flow control result of asynchronous AC-DC hybrid power grid connection using VFT (a) P2 (b) converter

../../Resources/kiiee/JIEIE.2023.37.2.054/fig10.png

Fig 10의 (b)는 AC #1측에 연결된 컨버터의 전력(Pconverter)로 기존 DC 링크의 전압을 유지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하고 있으며, AC 계통과 DC 계통의 전력 조류 제어 성능을 검증하기 위해 8초에 500kW의 DC 부하 증가를 가정하였다. 그 결과 DC 전원이 제한된 상태에서 DC 부하가 증가하였을 때 AC #1측에서 컨버터를 통해 DC 계통으로 공급되는 전력량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Fig 11은 DC 링크 전압(a)과 DC 전원의 출력 전력(b), DC 부하 전력(c)을 나타낸다.

Fig. 11. Power flow control result of asynchronous AC-DC hybrid power grid connection using VFT (a) DC link voltage (b) DC load power (c) DC source power

../../Resources/kiiee/JIEIE.2023.37.2.054/fig11.png

4. 결 론

회전형 변압기는 전기기기형 전력변환설비로 비동기 계통연계를 통해 국가 간 계통연계 또는 마이크로 그리드 간 계통연계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회전형 변압기를 이용한 비동기 AC-DC 하이브리드 계통연계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식은 Matlab Simulink 시뮬레이션을 통해 성능을 검증하였으며 이를 통해 비동기 계통연계 및 AC-DC 하이브리드 전력 조류제어 성능을 확인하였다.

제안하는 방식은 회전형 변압기의 구동부를 DC 모터로 구성함으로써 가지는 구조를 통해 비동기 AC-DC 하이브리드 계통연계를 수행한다. 이와 같은 구조는 DC 계통과 연결된 DC 모터에 회전형 변압기라는 부하가 연결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즉, DC 모터의 부하 토크를 제어함으로써 회전형 변압기 양측에 연결된 AC 계통으로 전력을 전송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은 두 개의 비동기 AC 계통과 하나의 DC 계통을 연계할 수 있어, 국가 간 계통연계 및 AC-DC 하이브리드 계통을 구성할 때 활용될 수 있다. 동일한 계통 구조로 Back to Back 컨버터 방식과 비교한다면 컨버터 스테이션 개수를 줄일 수 있어 경제적으로 장점이 있다. 또한, 비교적 단순한 DC 모터의 토크 제어를 통해 AC-DC 하이브리드 계통의 전력 조류를 제어할 수 있다. 특히, 회전형 변압기는 회전형 전력변환장치로 고조파 생성이 적으며 회전 관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특징은 주파수 특성이 다른 다 계통연계 시 필수적으로 고려해야 하는 계통의 소신호 안정도 측면에서도 장점이 있다. 추후 국가 간 계통연계 및 AC-DC 하이브리드 계통 구성에서 장거리 DC 송전라인과 AC 계통 간의 연계, 비동기 AC 계통과 DC 마이The 9th Basic Electricity Supply and Demand Plan크로 그리드 간 연계 등 다양한 곳에서 계통연계 방식 중 하나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cknowledgement

본 과제(결과물)는 2022년도 교육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 혁신 사업의 결과임. (2021RIS-002)

또한, 본 연구는 한국전력공사의 2022년 착수 사외공모 기초연구 사업에 의해 지원되었음. (과제번호:R22XO02-20)

References

1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The 9th Basic Electricity Supply and Demand,” 2020.URL
2 
Yun-Sik Oh, “Smart Inverter Modeling for Voltage Regulation in Distribution Lines with Distributed Generations Using MATLAB/Simulink,”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II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Vol. 33, No. 10, pp. 12-18, 2019.DOI
3 
Min-Sung Kim, et al., “A Study on Development of Installation Procedure Considering the Capacity and Location of DER,”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II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Vol. 31, No. 7, pp. 92-99, 2017.DOI
4 
Jeong-Ho Kim, Byoung-Wook Kang, Hyeng-Jin Lee, and Jae-Chul Kim, “Control Strategies of Offshore Wind Farms Connected Voltage Source Converter HVDC under Grid Fault,”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II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Vol. 30, No. 5, pp. 18-24, 2016.URL
5 
Hyun-Ok Lee, Jae-Sun Huh, Chan-Hyeok Kim, and Jae-Chul Kim, “A Study on the SVR Optimal Placement in Distribution System with Distrbuted Generator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II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Vol. 27, No. 11, pp. 69-75, 2013.DOI
6 
Korea Energy Information & Culture Foundation, “A World Changed to Energy: For a Sustainable Future,” 2019.URL
7 
Su-Young Han, Do-Hun Gwon, Il-Yop Chung, and Jae-Bong Lim, “A Study on the Impact of HVDC Transmission System to Interconnect Large-scale Power Generation Plants to Power Grid in Korea,”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62, No. 12, pp. 1647-1656, 2013.DOI
8 
Hong Rao, et al., “The On-site Verification of Key Technologies for Kunbei-Liuzhou-Longmen Hybrid Multi-terminal Ultra HVDC Project,” CSEE Journal of Power and Energy Systems, Vol. 8, No. 5, 2022.DOI
9 
Elizabeth R. Pratico, Carl Wegner, Paul E. Marken, and John J. Marczewski, “First Multi-Channel VFT Application - The Linden Project,” IEEE PES T&D 2010, 2010.DOI
10 
Denis Nadeau, “A 100-MW Variable Frequency Transformer (VFT) on the Hydro-Quebec TransEnergie Network - The Behavior during Disturbance,” 2007 IEEE Power Engineering Society General Meeting, pp. 1-5, 2007.DOI
11 
Piwko and Larsen, “Variable Frequency Transformer - FACTS Technology for Asynchronous Power Transfer,” 2005/2006 IEEE/PES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Conference and Exhibition, pp. 1426-1428, 2006.DOI
12 
B. Bagen, D. Jacobson, G. Lane, and H. M. Turanli, “Evaluation of the Performance of Back-to-Back HVDC Converter and Variable Frequency Transformer for Power Flow Control in a Weak Interconnection,” 2007 IEEE Power Engineering Society General Meeting, pp. 1-6, 2007.DOI
13 
Byeonghyeon-An, et al., “A Study on Speed Control of Variable Frequency Transformer for Suppressing Power System Low Frequency Oscillation,”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cial Engineers, Vol. 71, No. 5, pp. 675-684, 2022.DOI
14 
Sang-Hoon Kim, “Motor Control : DC, AC, BLDC,” Bukdu Publishing House, 2016.URL

Biography

Byeong-Hyeon An
../../Resources/kiiee/JIEIE.2023.37.2.054/au1.png

He received a B.S. and M.S. from Mokpo National University of Korea and he is currently Ph.D. cours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the Mokpo National University of Korea since 2021. His primary work is in the areas of Power grid connection and Power Conversion device design.

Jae-Deok Park
../../Resources/kiiee/JIEIE.2023.37.2.054/au2.png

He received B.S. in 2019 and M.S. in 2021 at Mokpo National University. He is currently a Ph.D. cours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the Mokpo National University of Korea. His primary work is in the areas of Power grid connection and Power Conversion device design.

Jun-Soo Che
../../Resources/kiiee/JIEIE.2023.37.2.054/au3.png

He received B.S. in 2019 and M.S. n 2021 at Mokpo National University. He is currently a Ph.D. cours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the Mokpo National University of Korea. His primary work is in the areas of Power grid and power electronics.

Tae-Hun Kim
../../Resources/kiiee/JIEIE.2023.37.2.054/au4.png

He received B.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the Mokpo National University of Korea, in 2017. He Has M.S.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the Mokpo National University of Korea, in 2020. He is currently a Ph.D. cours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the Mokpo National University of Korea.

Tae-Sik Park
../../Resources/kiiee/JIEIE.2023.37.2.054/au5.png

He received the Ph.D. degree from Korea University, in 2000, in electrical engineering. He was with Samsung Advanced Institute of Technology as a Senior Research Engineer in 2000. From 2005 to 2013, he was an Administrative Official at Korea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Daejeon, Korea. In 2011, he was a Research Fellow at the University of Michigan-Dearborn. In 2013, He joined the Department of Electrical and Control Engineer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