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ISO Journal TitleJ Korean Inst. IIIum. Electr. Install. Eng.




Active peak detection method, Output voltage and input voltage, Sensorless control, Three-phase PWM controlled rectifier

1. 서 론

일반적으로 전력전자변환기는 교류로부터 직류 전압을 얻기 위하여 3상 PWM제어 정류기가 적용되어 오고 있다. 3상 PWM 제어 정류기는 고속 스위칭 디바이스에 의해 직류 출력 전압의 제어가 가능하고 입력 전류를 정현파로 제어할 수 있어 PWM정류기를 단위 입력 역률로 운전가능하다[1-3]. 또한 직류측 전력이 교류측으로 역류할 수 있으므로 양방향 전력 제어도 가능하다[4]. 그러나 제어에 필요한 입력 전압과 전류 및 출력 전압과 전류 센서 수가 많아서 시스템의 크기와 비용이 증가한다[5]. 또한 센서부의 고장이나 노이즈는 전체 시스템의 안정도를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어서 센서의 수를 줄이는 센서리스 제어의 연구[6-13]가 진행되어 왔다.

일반적으로 입력 전류 센서는 PWM 제어 정류기의 과전류 보호를 겸하고 있으므로 입력 전류 검출에 의한 입력 전압 및 출력 전압의 센서리스 제어[6-11]가 주로 연구된다. 그러나 이 방법은 관측기에 의한 복잡한 샘플링 수식[6-11]을 이해해야 하고 구현에 어려운 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보편적으로 연구되는 입력 전류 검출에 의한 전압의 센서리스 제어를 위한 쉬운 수식과 회로적 접근법으로 이상의 문제점을 해결한다. 이를 위해서 PWM제어 정류기의 출력 전압은 능동피크검출기(Active peak detector)[14, 15]에 의하여 센서리스 예측하고, 입력 전압의 예측치는 입력 전류와 스위칭 함수[13] 그리고 직류 전압의 예측치 [11]에 의하여 구한다. 제안한 방법은 어렵고 복잡한 관측기의 샘플링 수식이 필요 없으며, 쉬운 수식[13]과 회로적인 방법[14]만으로 센서리스 제어를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연구의 타당성을 입증하기 위하여 PSIM시뮬레이션을 수행하고, 220V/60Hz전원과 일정 부하 조건 하에서 출력 전압이 3단계로 급변하는 경우, 입력 전압과 출력 전압을 예측하고, 동시에 직접전류제어(DCC:Direct current control)[16, 17]에 의하여 입력 전압 예측치와 입력 전류를 동상으로 한다. 끝으로 부하의 변동에 대한 단위 입력 역률$(p.f)$의 제어와 입력 전류 및 입력 전압의 예측치의 총고조파왜형률(%THD)를 비교 평가한다.

2. 제안된 방법

2.1 3상 PWM 제어 정류 시스템

Fig. 1은 $S_{(1\sim 6)}$의 6개 스위치를 갖는 일반적인 3상 PWM 제어 정류 시스템을 나타낸다. 입력 전류 $i_{abc}$에 의해서 입력 전압 $V_{abc}$과 출력 전압 $V_{dc}$을 센서리스 검출하는 기법이 본 연구의 주안점이며, 동작 모드는 일반적으로 잘 알려져 있으므로 다루지 않기로 한다.

Fig. 1. Configuration of three-phase PWM controlled rectifier

../../Resources/kiiee/JIEIE.2023.37.3.008/fig1.png

각 상이 $\dfrac{2}{3}\pi$ 위상차가 나는 3상 PWM 제어 정류기의 입력 전압 $V_{abc}$를 abc/dq변환하는 과정은 (1)과 같다.

(1)
$ \begin{align*} \left[\begin{aligned}V_{d}\\V_{q}\end{aligned}\right]=\dfrac{2}{3}\left[\begin{aligned}1\\0\end{aligned}\begin{aligned}-\dfrac{1}{2}\\-\dfrac{\sqrt{3}}{2}\end{aligned}\begin{aligned}-\dfrac{1}{2}\\\dfrac{\sqrt{3}}{2}\end{aligned}\right]\begin{bmatrix}\cos\theta &-\sin\theta \\\sin\theta &\cos\theta\end{bmatrix}\left[\begin{aligned}\begin{aligned}V_{a}\\ V_{b}\end{aligned}\\V_{c}\end{aligned}\right] \end{align*} $

d축 성분은 위상을, q축 성분은 크기를 나타내며, (1)을 dq/abc역변환하고 각 출력 성분을 q축 성분으로 나누면, 단위 크기의 입력 전압 $V_{abc*}$이 (2)로 구해진다.

(2)
$ \begin{align*} \left[\begin{aligned}\begin{aligned}V_{a*}\\ V_{b*}\end{aligned}\\V_{c*}\end{aligned}\right]=\dfrac{1}{V_{q}}\dfrac{2}{3}\left[\begin{aligned}1\\0\end{aligned}\begin{aligned}-\dfrac{1}{2}\\-\dfrac{\sqrt{3}}{2}\end{aligned}\begin{aligned}-\dfrac{1}{2}\\\dfrac{\sqrt{3}}{2}\end{aligned}\right]\\\begin{bmatrix}\cos\theta &-\sin\theta \\\sin\theta &\cos\theta\end{bmatrix}^{-1}\left[\begin{aligned}V_{d\\V_{q}}\end{aligned}\right] \end{align*} $

단, 여기서 $V_{a*}=\sin\theta$, $V_{b*}=\sin(\theta -\dfrac{2}{3}\pi)$, $V_{c*}=\sin(\theta -\dfrac{3}{4}\pi)$이다.

3상 PWM 제어 정류기의 출력 전압의 기준치$V_{dc*}$와 출력 전압$V_{dc}$와의 PI제어에 의하여 $V_{abc}$과 동상인 입력 전류의 제어 기준치 $i_{abc*}$가 (3)(4)로 연산된다.

(3)
$G = K_{p}(V_{dc*}-V_{dc})+K_{i}\int(V_{dc*}-V_{dc})dt$
(4)
$i_{abc*}=G V_{abc*}$

이 $i_{abc*}$으로 PWM 제어 정류기를 동작시키면, 입력 역률을 1로 제어가 가능하다.

(5)
$V_{kabc=}K_{p}(i_{abc*}-i_{abc})+K_{i}\int(i_{abc*}-i_{abc})dt$

이와 같이 입력 전류$i_{abc}$의 고조파 성분을 추출하지 않고 $V_{abc}$와 동상인 $i_{abc}$를 직접 연산하여 3상 PWM 정류기의 입력 역률을 1로 제어하는 기법을 직접전류제어(DCC : Direct current control)기법이라 한다.

DCC에 의한 3상 PWM정류기의 이득 $k_{pwm}$은 (6)으로 표현된다.

(6)
$k_{pwm}=\dfrac{V_{k abc}}{V_{tri_{peak}}}$

여기서 $V_{tri_{peak}}$는 삼각파 캐리어의 피크치를 나타낸다.

2.2 입력 전압의 센서리스 검출

$V_{(abc)}$는 3상 PWM 제어 정류기의 입력 전압으로서 각 $\dfrac{2}{3}\pi$의 위상차를 가지고 있으며, $V_{dc}$는 출력 전압이다. 본 연구는 $i_{abc}$를 직접 측정하여 $V_{abc}$와 $V_{dc}$을 센서리스로 예측하는 것이 주안점이다. 스위칭 함수$f_{(abc)}$와 $V_{dc}$에 의하여 $V_{abc}$의 센서리스 검출치 $e_{abc}$는 (7)과 같다[13].

(7)
$e_{(abc)}=f_{(abc)}V_{dc}$

여기서 스위칭 함수$f_{(abc)}$는 (8)과 같으며, $S_{(abc)}$는 0, ±⅓, ±⅔로 가정한다[13].

(8)

$f_{a}=\dfrac{2S_{a}-(S_{b}+S_{c})}{3}$

$f_{b}=\dfrac{2S_{b}-(S_{a}+S_{c})}{3}$

$f_{c}=\dfrac{2S_{c}-(S_{a}+S_{b})}{3}$

Fig. 2는 $V_{abc}$의 센서리스 검출치 $e_{abc}$를 예측하는 블록선도를 나타낸다. 여기서 스위칭 함수 $S_{abc}$와 곱하는 출력 전압은 측정치$V_{dc}$ 또는 센서리스 예측치$V_{dc-est}$모두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능동피크검출기로 예측된 $V_{dc-est}$을 사용하여 $e_{abc}$를 예측하기로 한다.

Fig. 2. Block diagram of input voltage sensorless estimation ($e_{abc}$)

../../Resources/kiiee/JIEIE.2023.37.3.008/fig2.png

2.3 능동피크검출기에 의한 직류 출력 전압의 센서리스 검출

측정된 입력 전류 $i_{(abc)}$에 의하여 3상 PWM 제어 정류기의 브리지의 각 암 전압 $V_{Cabc}$는 (9)로 표현된다.

(9)
$V_{Cabc}=i_{abc}(k_{4}+k_{5} s T)$

여기서 $s T$는 $i_{abc}$의 시간에 대한 미분이고, $k_{4}$과 $k_{5}$은 각각 저항과 인덕턴스 값을 나타낸다.

이상에 의하여 브리지의 각 암에 나타나는 스위칭 리플이 있는 출력 전압 $V_{dcrp}$는 (10)으로 예측 가능하다[11].

(10)
$V_{dcrp}= k_{6}\sum_{i=a}^{c}\left | e_{abc}-V_{Cabc}\right |$

그런데 (10)으로 표현된 $V_{dc rp}$에는 $V_{dc}$의 피크치를 따르는 스위칭 리플이 많이 포함되어있다. 이 경우 $V_{dc rp}$의 피크치는 능동 피크 검출기(Active peak detector)로 검출이 가능하다. Fig. 3은 연산 증폭기(O.P Amp), 다이오드 D 및 커패시터 C로 구성된 능동 피크 검출기의 기본형 나타낸다.

연산 증폭기의 비반전 입력은 $V_{i}$이고 출력은 $V_{o}$이다. 입력 파형 $V_{i}$의 피크치는 커패시터 C 양단의 전압 $V_{c}$으로 충전되며, $V_{i}$가 $V_{c}$ 보다 클 때마다 D는 온 되고, 이떄 전압은 C로 충전된다. $V_{c}$는 $V_{i}$가 최대 전압 이상이 될 때까지 유지된다. $V_{i}$가 $V_{c}$보다 작으면 D는 오프되고 이때 연산 증폭기는 오픈 루프가 된다.

Fig. 4는 능동피크검출기의 입 출력 파형을 나타낸다. Fig. 4(a)는 입력 전압 $V_{i}$이고 Fig. 4(b)는 커패시터 전압 $V_{c}$ 또는 출력 전압 $V_{o}$의 파형을 나타낸다. $V_{c}$($V_{c}$ =$V_{o}$)가 초기에 0이라고 가정하고, 비반전 단자에 $V_{i}$가 인가되면, D는 온 상태로 되고 $V_{c}$는 $t_{2}$까지 $V_{i}$을 따르게 된다. 이때 $V_{i}$=$V_{2}$이므로 $V_{o}$= $V_{c}$= $V_{2}$ 관계가 성립된다. $t_{2}$ 이후에 $V_{i}$가 감소하기 시작하고, 음극 전압이 양극 전압보다 크면 D는 오프된다. C는 $V_{i}$가 $V_{c}$보다 클 때까지(시간 $t_{3}$까지) 최대 전압을 유지한다.

시간 $t_{3}$ 이후에 $V_{c}$는 다시 시간 $t_{4}$까지 $V_{i}$를 따르게 된다. 이때 $V_{i}$=$V_{3}$이며 $V_{o}$= $V_{c}$= $V_{3}$가 성립된다. 시간 $t_{4}$ 이후에 $V_{i}$가 감소하기 시작한다. 음극 전압이 양극 전압보다 크면 D는 오프 된다. C는 $V_{i}$가 $V_{c}$보다 클 때까지(시간 $t_{5}$까지) 최대 전압을 유지한다. 시간 $t_{5}$ 이후에 $V_{c}$는 다시 $t_{6}$까지 $V_{i}$를 따른다. 이때 $V_{i}$=$V_{4}$이며 C는 최대 전압 $V_{5}$까지 충전하고 다음 피크치 또는 최대 전압 상태까지 이 전압을 유지한다.

Fig. 3의 기본형 능동 피크 검출기가 고주파 스위칭에서도 안정적으로 동작하도록 연산 증폭기와 2차 LPF를 추가한 회로를 Fig. 5에 나타낸다. 피크 검출기의 출력 전압$V_{dc-est}$은 (11)과 같이 표현된다.

(11)
$V_{dc-est}$ = $V_{dc-rp}(t)$ $e^{(-t/\tau)}$

단, 여기서$V_{dc-est}$는 피크 검출기의 출력 전압, $V_{dc-rp}(t)$는 시간 t에서 입력 신호의 피크 값, τ = R$C_{pk}$이며 커패시터와 저항에 의해 결정되는 피크 검출기의 시정수, t는 피크가 감지된 후 경과된 시간을 나타낸다. 시정수 τ는 피크가 감지된 후 $V_{dc-est}$이 감소하는 속도를 결정한다. 시정수가 작을수록 출력 전압이 빨리 감소하고, 시정수가 클수록 천천히 감소하므로 설계 목표에 적합한 시정수에 따라 R과 $C_{pk}$값의 설계가 가능하다.

출력 전압의 정확한 센서리스 예측치$V_{dc-est}$를 위하여 커패시터 $C_{pk}$와 2차 LPF의 컷 오프 주파수 f는 중요하다. Fig. 6과 같이 $C_{pk}$가 작으면 응답 속도가 빠르나 출력 전압에는 스위칭 리플이 존재한다. LPF의 컷 오프 주파수 f는 낮을수록 스위칭 리플이 저감하나 응답도가 저하된다. Fig. 6은 능동피크검출기의 커패시터 $C_{pk}$에 대한 입력 신호의 주파수 (50kHz, 0.5kHz, 5.5kHz)에 따른 출력 응답을 나타낸 것이다. 먼저 $C_{pk}$=0.005uF의 경우, 입력$V_{i n}$에 대한 출력$V_{out}$은 0.5kHz를 제외하고는 신호 지연이 있거나 이득이 낮다. 그러나 $C_{pk}$=0.5uF의 경우, 전 주파수에서 지연 요소가 없고 이득은 거의 일정하다.

본 연구에서 피크치 검출 회로 조건을 고려하여 $C_{pk}$와 f의 값을 Table 1과 같이 설정하였다.

Table 1. Key parameters of active peak detector

Item

Parameters

$C_{pk}$

0.5uF

R

100KΩ

LPF

k=1.02, f=100Hz

Fig. 7은 본 연구에서 제안한 3상 PWM정류기의 출력 전압의 센서리스 검출법을 나타낸다.

본 연구에서는 Fig. 8과 같이 입력 전압의 예측치 $e_{abc}$는 출력 전압 예측치 $V_{d-est}$에 의하거나 또는 측정한 $V_{dc}$에 의하는 2가지 방법으로 연산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기본적으로 $V_{dc-est}$를 활용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Fig. 8은 입력 전류의 고조파 성분을 추출하지 않고 입력 전압 예측치$e_{abc}$와 동상인 입력 전류의 제어치$i_{abc*}$를 연산하여 3상 PWM 제어 정류기를 단위 입력 역률로 제어하는 DCC기법[16, 17]을 나타낸다.

Fig. 3. Basic type active peak detector

../../Resources/kiiee/JIEIE.2023.37.3.008/fig3.png

Fig. 4. Input($V_{i}$) and output($V_{o}$) of active peak detector

../../Resources/kiiee/JIEIE.2023.37.3.008/fig4.png

Fig. 5. Active peak detector for stable operation

../../Resources/kiiee/JIEIE.2023.37.3.008/fig5.png

Fig. 6. Response of output signal($V_{out}$) according to capacitor($C_{pk}$) and input signal ($V_{i n}$) frequency

../../Resources/kiiee/JIEIE.2023.37.3.008/fig6.png

Fig. 7. Sensorless detection method of output voltage by active peak detector

../../Resources/kiiee/JIEIE.2023.37.3.008/fig7.png

Fig. 8. Block diagram of DCC(Direct current control)

../../Resources/kiiee/JIEIE.2023.37.3.008/fig8.png

3. 결과 및 고찰

Fig. 9는 본 연구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한 3상 PWM정류기의 제어 시스템을 나타낸다. PSIM시뮬레이션 제어시스템은 입력 전류 $i_{abc}$, 스위칭 함수 $S_{abc}$ 및 출력 전압$V_{dc}$ (또는 $V_{dc-est}$)으로 부터 입력 전압$V_{abc}$의 센서리스 전압 $e_{abc}$를 검출하는 부분, 3상 PWM 제어 정류기를 단위 입력 역률로 제어하는 입력 전류 기준치 $e_{123*}$연산과 $V_{dc*}$와 $V_{dc}$(또는 $V_{dc-est}$)의 PI 제어 이득에 $e_{123*}$를 곱하여 실질적인 입력 전류 기준치 $i_{abc*}$를 연산하고 제어하는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추가적으로 $i_{abc}$에 의해 브리지 암 전압 $V_{Cabc}$를 구하고 출력 전압의 센서리스 전압$V_{dc-est}$을 예측하는 부분으로 구성된다.

Table 2는 본 연구의 타당성 검토를 위해서 사용된 회로 파라미터를 나타낸다.

Table 2. System parameters

Item

Parameters

$V_{abc}$

220V/60Hz

$L_{123}$

2mH, 0.5Ω

$C_{dc}$

1000uF

Load R

10∼100Ω

$i_{abc}$ controller

DCC, P=2, I=0.00001

$V_{dc}$ controller

P=9, I=0.02

$V_{dc}$ reference

450V,510V,420V

PWM

Sinusoidal PWM

$f_{s}$

5.5kHz

Active peak detector

$C_{pk}$

0.5uF

R

100KΩ

LPF

k=1.02, f=100Hz

Fig. 10은 입력 전압 $V_{a}$와 예측 전압$e_{a}$를 위상각$\theta$에 대하여 비교한 것이다. 예측 전압 $e_{a}$의 위상각 $\theta$은 잘 $V_{a}$와 일치하고 있다. 그러나 $\theta$는 $e_{a}$을 이용하여 연산되므로 노이즈 성분이 미소하게 포함되어있다.

Fig. 11은 3상 PWM정류기의 출력 전압$V_{dc}$가 450V인 경우, 입력 전압$V_{abc}$와 예측 전압$e_{abc}$와 입력 전류$i_{a}$를 나타낸다. $e_{abc}$는 노이즈 성분을 제외하고 $V_{abc}$와 일치한다. 또한 $e_{a}$와 $i_{a}$는 서로 동상이며 PWM정류기는 단위 입력 역률로 제어되고 있다.

Fig. 12는 실측치$V_{a}$와 예측치$e_{a}$의 FFT 스펙트럼을분석한 결과이다. 예측치$e_{a}$는 미세한 스위칭 주파수 노이즈를 제외하고는 $V_{a}$와 동일한 60Hz 기본파 주파수만 존재한다.

Fig. 13은 3상 PWM정류기의 출력 전압 기준치를 450V→ 510V→ 420V와 같이 3단계로 변화시킬 때, 출력 전압 $V_{dc}$와 예측 전압$V_{dc-est}$의 파형을 나타낸다. $V_{dc-est}$는 과도 상태에서 $V_{dc}$보다 약간 지연되지만 정상 상태에서는 잘 추종하고 있다. 일반 PI제어기의 비례 적분 변수를 좀 더 조절하거나 퍼지 PI제어기를 적용하면 과도 상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Fig. 14는 3상 PWM정류기의 출력 전압의 3단계 기준치 450V→ 510V→ 420V에서 측정된 능동피크검출기의 입력 전압$V_{dc-rp}$와 출력 전압 $V_{dc}$와 예측 전압$V_{dc-est}$의 파형을 나타낸다. $V_{dc-rp}$은 능동피크검출기 입력 파형으로서 (10)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V_{dcrp}= k_{6}\sum_{i=a}^{c}\left | e_{abc}-V_{Cabc}\right |$이므로 파형에는 스위칭 노이즈가 많이 포함되어 있다. 능동피크검출기를 거치면 예측 전압 $V_{dc-est}$가 구해진다.

Fig. 15는 측정된 전압$V_{dc}$와 예측 전압$V_{dc-rp}$와 $V_{dc-est}$의 일부분 파형을 확대한 것이다.

Fig. 16은 출력 전압이 450V→ 510V→ 420V의 3단계로 제어될때 입력 전압의 예측치 $e_{abc}$와 출력 전압의 예측치 $V_{dc-est}$의 파형을 나타낸다. 출력 전압이 3단계로 급변하여도 $e_{abc}$의 최대치는 일정하고 $V_{dc-est}$는 $V_{dc}$를 잘 추종하고 있다.

Fig. 17Fig. 16의 조건에서 단위 입력 역률로 제어되는 3상 PWM정류기의 동작을 나타내며, $e_{a}$를 기준으로 입력 전류 $i_{abc}$와의 위상을 보여준다.

Fig. 18Fig. 16과 동일한 조건에서 예측 전압 $e_{a}$와 입력 전류 $i_{abc}$ 파형을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다. 제안된 방법으로 $e_{abc}$와 $V_{dc-est}$를 센서리스 예측하고 이 값을 이용하여 $i_{abc*}$를 연산하고, DCC에 의하여 3상 PWM정류기의 입력 역률을 1로 제어 가능하다. 기준치 450V→ 510V→ 420V변화에 비례하여 입력 전류 $i_{abc}$의 크기가 변화됨을 볼 수 있다.

Fig. 19는 센서를 사용한 방법과 제안된 방법에 대하여 부하$R_{L}$에 상응하는 3상 PWM정류기의 입력 역률 $p.f$과 입력 전류의 총고조파왜형률$THD_{i}$ 그리고 입력 전압 예측치의 $THD_{e}$를 각각 비교한 것이다.

제안된 방법은 부하의 변동에 대하여 $p.f$는 0.997, $THD_{i}$는 10%, 그리고 $THD_{e}$는 2%미만으로 유지되고 있다. 그러나 센서를 사용한 방법은 부하가 감소되는 조건에서 $THD_{i}$는 1.37%에서 9.74%로 급증하나, $p.f$는 0.999에서 0.993으로 약간 감소된다. $THD_{e}$는 센서를 사용하므로 모든 부하에서 0%를 유지하고 있다.

Fig. 9. Configuration of three-phase PWM rectifier control system

../../Resources/kiiee/JIEIE.2023.37.3.008/fig9.png

Fig. 10. Input voltage $V_{a}$ and estimated volatge $e_{a}$ and phase angle θ ($R_{L}$=40Ω)

../../Resources/kiiee/JIEIE.2023.37.3.008/fig10.png

Fig. 11. Input voltage $V_{abc}$ and estimated voltage $e_{abc}$ and input current $i_{a}$($V_{dc}$=450V,$R_{L}$=40Ω)

../../Resources/kiiee/JIEIE.2023.37.3.008/fig11.png

Fig. 12. FFT spectra of $V_{a}$ and $e_{a}$

../../Resources/kiiee/JIEIE.2023.37.3.008/fig12.png

Fig. 13. Output voltage $V_{dc}$ and estimated voltage $V_{dc-est}$ ($R_{L}$=40Ω)

../../Resources/kiiee/JIEIE.2023.37.3.008/fig13.png

Fig. 14. Output voltage $V_{dc}$ and estimated voltage $V_{dc-est}$ and input voltage $V_{dc-rp}$of active peak detector ($R_{L}$=40Ω)

../../Resources/kiiee/JIEIE.2023.37.3.008/fig14.png

Fig. 15. Enlarged output voltage waveform

../../Resources/kiiee/JIEIE.2023.37.3.008/fig15.png

Fig. 16. When the output voltage is controlled in 3 steps (450V→ 510V→ 420V), the waveforms of the estimated value $e_{abc}$ and $V_{dc-est}$($R_{L}$=40Ω)

../../Resources/kiiee/JIEIE.2023.37.3.008/fig16.png

Fig. 17. When the output voltage is controlled in 3 steps (450V→ 510V→ 420V), the waveforms of the estimated value $e_{a}$ and $i_{abc}$($R_{L}$=40Ω)

../../Resources/kiiee/JIEIE.2023.37.3.008/fig17.png

Fig. 18. When the output voltage is controlled in 3 steps(450V→ 510V→ 420V), enlarged $i_{abc}$ waveform($R_{L}$=40Ω)

../../Resources/kiiee/JIEIE.2023.37.3.008/fig18.png

Fig. 19. Input power factor(p.f) and $THD_{i}$ and $THD_{e}$ corresponding to the load $R_{L}$

../../Resources/kiiee/JIEIE.2023.37.3.008/fig19.png

4. 결 론

본 연구에서는 3상 PWM제어 정류기의 입력 전류$i_{abc}$ 를 측정하여 입력 전압$v_{abc}$과 출력 전압$V_{dc-est}$을 센서리스 예측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능동피크검출기법에 의하여 $V_{dc-est}$을 센서리스 예측하고, 입력 전류 $i_{abc}$와 스위칭 함수 그리고 직류 전압의 예측치$V_{dc-est}$를 활용하여 입력 전압 $e_{abc}$을 예측하였다. 제안한 방법은 어렵고 복잡한 샘플링 수식이 필요 없으며, 쉬운 수식과 회로적인 방법으로 구성되어 이해가 쉽다는 장점이 있다.

본 연구의 타당성을 입증하기 위하여 PSIM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220V/60Hz전원과 부하$R_{L}$=40Ω 및 출력 전압이 450V→ 510V→ 420V로 급변하는 조건 하에서 $e_{abc}$과 $V_{dc-est}$을 예측하였으며, 동시에 $e_{abc}$와 $i_{abc}$를 동상 제어를 할 수 있었다. 끝으로 부하 변동에 대해 입력 역률 $p.f$는 1이며, 입력 전류의 $THD_{i}$와 입력 전압 예측치의 $THD_{e}$를 각각 10%, 2% 미만으로 일정 제어가 가능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방법은 고조파 보상장치나 무정전전원시스템(UPS), 모터 구동장치, 신재생에너지시스템 등 3상 PWM정류기가 적용되는 경우에 효과적으로 활용되리라 사료된다.

References

1 
T. Song, et al., “Power model free voltage ripple suppression method of three-phase PWM rectifier under unbalanced grid,” IEEE Transactions on Power Electronics, vol. 37, no. 11, pp. 13799-13807, 2022.DOI
2 
Y. Li, et al., “Stability analysis of three-phase PWM rectifier,” in Proc. of 18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C and DC Power Transmission (ACDC 2022), pp. 359-363, 2022.DOI
3 
T. Ohnuki, O. Miyashita, T. Haneyoshi, and E. Ohtsuji, “High power factor PWM rectifiers with an analog pulsewidth prediction controller,” IEEE Transactions on Power Electronics, vol. 11, no. 3, pp. 460-465, 1996.DOI
4 
D. C. Lee, G. M. Lee, and D. S. Lim, “A novel control scheme of three-phase PWM rectifiers eliminating AC-side sensors,”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Power Electronics, vol. 5 no. 6, pp. 592-600, 2000.URL
5 
W. C. Lee, D. S. H, and T. K. Lee, “Comparison of three-phase voltage-source PWM converters using a single current sensor,”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50B, no. 4, pp. 188-200, 2001.URL
6 
D. Mukherjee and D. Kastha, “Voltage sensorless control of the three-level three-switch vienna rectifier with programmable input power factor,” IET Power Electronics, vol. 8, no. 8, pp. 1349-1357, 2015.DOI
7 
A. Mallik, W. Ding, C. Shi, and A. Khaligh, “Input voltage sensorless duty compensation control for a three-phase boost PFC converter,” IEEE Transactions on Industry Applications, vol. 53, no. 2, pp. 1527-1537, 2017.DOI
8 
A. Bechouche, D. O. Abdeslam, and H. Seddiki, “AC voltage sensorless control of three-phase PWM rectifiers,” in Proc. of International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Conference (IRSEC), 2015.DOI
9 
Y. Zhang, Z. Wang, J. Jiao, and J. Liu, “Grid-voltage sensorless model predictive control of three-phase PWM rectifier under unbalanced and distorted grid voltages,” IEEE Transactions on Power Electronics, vol. 35, no. 8, pp. 8663-8672, 2020.DOI
10 
K. Upamanyu, C. Ameta, and G. Narayanan, “Simplified input voltage sensorless vector control for PWM rectifiers,” in Proc. of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Power Electronics, Drives and Energy Systems (PEDES), 2018.DOI
11 
T. Ohnuki, O. Miyashita, P. Lataire, and G. Maggetto, “Control of a three-phase PWM rectfier using estimated AC-side and DC-side voltages,” IEEE Transactions on Power Electronics, vol. 14, no. 2, pp. 222-226, 1999.DOI
12 
R. W. Reese, L. Wei, and R. A. Lukaszewski, “An indirect method of measuring DC bus capacitor current,” in Proc. IEEE APEC’05, pp. 971-978, 2005.DOI
13 
Y. G. Jung, “Sensorless measurement method of the DC link ripple current of three-phase active power,”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II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vol. 32, no. 4, pp. 32-41, 2018.URL
14 
G. Volpe, “Non-Linear analysis of an active peak detector,” in Proc. of Nineteeth Asilomar Conference on Circuits, Systems and Computers, (Pacific Grove, CA, USA), 1985.DOI
15 
S. Li, H. Xue, X. Zhang, and S. Ren, “A low power CMOS amplitude peak detector for on-chip self-calibration applications,” in Proc. of IEEE National Aerospace and Electronics Conference (NAECON), 2017.DOI
16 
A. Bouhouta, S. Moulahoum, N. Kabache, and I. Colak, “Simplicity and performance of direct current control DCC compared with other identification algorithms for shunt active power filter,” in Proc. of International Conference on Renewable Energy Research and Applications (ICRERA), 2018.DOI
17 
C. V. Suru, M. Dobriceanu, and G. E. Subtirelu, “Direct current control by constant frequency hysteresis controller in active filtering systems,” In Proc. of International Symposium on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ing (ISEEE), 2017.DOI

Biography

Young-Gook Jung
../../Resources/kiiee/JIEIE.2023.37.3.008/au1.png

He received the B.S., the M.S. and Ph.D.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Korea, in 1986, 1988 and 1996, respectively. He is currently an Associate Professor, Department of Technology Education, Sehan University, Youngam-Geun, Chonnam, Korea. His current research interests include system design of Z-source inverter and converters, random PWM scheme based electric drives, control theory of active power filters and dynamic voltage restorers, power quality problems and solutions. Dr. Jung received several Prize Paper Awards from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the Korean Institute of Power Electronics, and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of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