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ISO Journal TitleJ Korean Inst. IIIum. Electr. Install. Eng.

  1. (Ph.D. Dept. of Electrical Engineering,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Korea)



Hybrid power network, Load flow, MATLAB, Newton-raphson, Steady state analysis

1. 서 론

최근, 탄소 중립을 위하여 가변형 재생에너지 (VRE, Variable Renewable Energy)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에너지 전환이 가속화됨에 따라 송배전망이 확충되고 분산형 에너지 부하시스템의 접속이 증대되면서, 종래의 AC 전력망은 복잡한 하이브리드 전력 네트워크로 변화되고 있다. AC/DC 및 DC/AC 전력변환기를 기반으로 하는 이 네트워크는 전압 품질 개선, 전력손실 감소, 용량 및 부하 수용성 증대 등의 이점을 가지면서, 유연하게 전력 네트워크를 운영할 수 있는 미래형 전력망이다[1, 2].

한편, 전력 네트워크의 설계 및 운영 계획 단계에서 필수적으로 전력조류 또는 부하조류 계산이 필요하다. 그런데 현재 VRE 연계 하이브리드 전력 네트워크를 위한 부하조류 기법에 관한 국내의 기술은 초기 단계수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3-6].

국내 연구 동향으로는, 뉴턴-랩슨법 (NR, Newton- Raphson)을 기반으로 연속부하조류계산 기법을 보완한 교류 전력 네트워크 부하조류 기법이 발표되었다[7]. 이는 기존의 연속 조류 계산보다 계산시간이 좀 더 빠르다는 것이 확인되었으나, 하이브리드 전력네트워크에 적용할 수 없다. 근래, 전류원컨버터(LCC, Line Commutated Converter)와 전압원컨버터(VSC, Voltage Source Converter)를 고려한 다단자망 직류(MTDC, Multi-terminal DC) 전력 네트워크 구조가 연계된 하이브리드 전력 네트워크의 순차적 부하조류 기법이 연구되었다[8]. 이는 하이브리드 전력 네트워크에 적용할 경우 신뢰성이 부족하였다.

해외 연구 동향으로는, 직류 및 교류 전력 네트워크 등가화 기법을 적용한 하이브리드 전력 네트워크의 일반화 모델이 발표되었다[9]. 이는 하이브리드 전력 네트워크를 하나의 AC 전력망으로 간주하고, DC 전력망은 AC 등가회로로 표현하여 계산하고 있다. 최근, 확률적 분석기법인 Joint Raw Moment를 적용한 부하조류 기법이 제시되었다[10]. 그런데, 이는 모선 수가 증가할수록 해석 시간이 길어지는 단점이 존재하였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교류, 직류 및 하이브리드 종류에 상관없이 부하조류 계산과 해석을 할 수 있도록 뉴턴-랩슨법 기반의 수정된 부하조류 기법을 제안한다. 컨버터의 변환 지수와 듀티비를 고려하여 모선의 종류를 7가지로 확대하고, 컨버터 유형, 순서 및 유무에 따라 5가지 선로 연결 유형을 반영함으로써, 수정된 자코비안 기반의 전력방정식을 이용하여 부하조류를 산정한다. 제시한 기법은 MATLAB으로 설계, 구현한다. IEEE의 AC 9 Bus, DC 5 Bus 및 하이브리드 13 Bus 모델을 선정한 후, 교류 부하조류 기법, 직류 부하조류 기법 및 PSCAD와 비교 시뮬레이션을 통해 성능을 비교하고자 한다.

2. 부하조류 기법

2.1 교류 부하조류 기법

뉴턴-랩슨 기반 교류 부하조류 기법은 비선형 연립 방정식을 반복 계산법으로 해결한다. 이 기법은 선형화 단계에서 변화량의 계수로 구성된 자코비안 행렬을 사용하고 자코비안 역행렬과의 계산을 통해 모든 변수값을 수정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3].

2.2 직류 부하조류 기법

뉴턴-랩슨 기반의 직류 부하조류 기법은 교류 부하조류 기법과 유사하지만, 양극형 직류 전력 네트워크, 연계용 컨버터 및 DC/DC 컨버터 등 직류 전력 네트워크의 요소들이 고려한다. 즉, 저항분만 고려한 선로 데이터를 통해 인덕턴스 행렬을 산정하고, 무효 전력과 위상각을 무시한다[5].

3. 하이브리드 부하조류 기법

제안된 하이브리드 부하조류 기법은 뉴턴-랩슨 기반으로 교류, 직류 및 하이브리드 전력 네트워크 모두에서 부하조류 해석이 가능하도록 고려한 전력방정식을 구성하여 사용하였다.

3.1 모선의 종류

기존의 교류 부하조류 기법에서는 모선이 Slack, AC Load, 및 AC Gen으로 3개만 존재하였지만, 제안된 기법은 Slack, AC Load, AC Gen, AC Converter, DC Gen, DC Load 및 DC Converter 등, 하이브리드 전력 네트워크에 존재할 수 있는 7가지의 모선을 고려하였다[11].

3.2 선로 연결 유형별 전력 방정식

Fig. 1은 제안된 기법의 5가지 선로 연결 유형을 나타낸다. 해당 모선들과 선로의 컨버터 종류 및 유무에 따라 총 5가지의 선로 연결 유형으로 확대하여 부하조류 기법을 설계하였다.

Fig. 1. Line connection type of the proposed technique

../../Resources/kiiee/JIEIE.2023.37.5.039/fig1.png

유형 1의 유효전력 및 무효전력은 일반적인 교류 전력방정식과 같으며 식 (1)과 같이 계산된다.

(1)
$ \begin{align*} P_{nm}=V_{n}^{2}g_{nm}-V_{n}V_{m}\left(g_{nm}\cos\theta_{nm}+b_{nm}\sin\theta_{nm}\right)\\ Q_{nm}=-V_{n}^{2}b_{nm}-V_{n}V_{m}\left(g_{nm}\sin\theta_{nm}-b_{nm}\cos\theta_{nm}\right) \end{align*} $

여기서, $P_{nm}$은 교류 선로에서의 $n$과 $m$ 모선 사이의 유효전력, $Q_{nm}$은 교류 선로에서의 $n$과 $m$ 모선 사이의 무효전력, $V_{n}$은 $n$ 모선에서의 전압 크기, $V_{m}$은 $m$ 모선에서의 전압 크기, $g_{nm}$은 $n$과 $m$ 모선 사이의 컨덕턴스, $b_{nm}$은 $n$과 $m$ 모선 사이의 서셉턴스, 및 $\theta_{nm}$은 $n$과 $m$ 모선 사이의 전압 위상 차이를 의미한다.

유형 2의 유효전력은 전력변환기의 영향을 받아 전압에 변환효율 M을 반영하며, 직류 선로이므로 저항분만 고려하여 식 (2)와 같이 계산된다.

(2)
$P_{nm}^{DC}=M_{nm}^{-1}V_{n}g_{nm}\left(M_{nm}^{-1}V_{n}-M_{mn}^{-1}V_{m}\right)$

여기서, $P_{nm}^{DC}$는 직류 선로에서의 $n$과 $m$ 모선 사이의 유효전력, $M_{nm}^{-1}$은 $n$과 $m$ 모선 사이에 연결된 전력변환기의 변환 지수의 역수를 의미한다.

유형 3과 유형 4의 유효전력은 전력변환기의 영향을 받아 전압에 변환효율 M을 반영하여 식 (3) 및 식 (4)와 같이 계산된다.

(3)
$P_{nm}^{DC}=M_{nm}^{-1}V_{n}g_{nm}\left(M_{nm}^{-1}V_{n}-V_{m}\right)$
(4)
$P_{nm}^{DC}=g_{nm}\left(V_{n}^{2}-M_{mn}^{-1}V_{n}V_{m}\right)$

유형 5의 유효전력은 두 직류 모선이 직류 선로를 통해 연결되었으므로, 선로의 저항분만 고려하여 식 (5)와 같이 계산된다.

(5)
$P_{nm}=g_{nm}\left(V_{n}^{2}-V_{n}V_{m}\right)$

3.3 미지값 벡터 및 전력 불일치 벡터

미지값 벡터 $x$는 식 (6)과 같이 열벡터로 계산된다. 이는 각 모선의 미지값인 위상각 $\theta$, 모선 전압의 크기 $V$, 컨버터의 변환 지수 $M$, 및 듀티비 $D$를 모선의 번호에 따라 차례로 나열된다. 그런데, DC Gen 모선은 미지값이 없고, Slack 모선의 미지값 유효전력과 무효전력은 전력 및 전력손실의 합계를 거쳐 계산된다.

(6)
$$ x=\left[\begin{array}{c} \theta_n \\ \vdots \\ V_h \\ \vdots \\ V_i \\ \vdots \\ M_p \\ \vdots \\ D_r \\ \vdots \end{array}\right] \;for\; \begin{aligned} & \forall n \in A C G e n, A C L o a d, A C C o n v \\ \\ \\ & \forall h \in A C \text { Load } \\ \\ \\ & \forall i \in D C L o a d \\ \\ \\ & \forall p \in A C C o n v \\ \\ \\ & \forall r \in D C \text { Conv } \end{aligned} $$

여기서, $n,\: h,\: i,\: p,\: r$은 각 해당 모선의 번호를 의미한다.

전력 불일치 (Power mismatch) 벡터 F(x)는 식 (7)과 같이 열벡터로 계산된다.

(7)
$$ \left[\begin{array}{c} \Delta P_n \\ \vdots \\ \Delta Q_h \\ \vdots \\ \Delta P_i \\ \vdots \\ \Delta Q_p \\ \vdots \\ \Delta P_r \\ \vdots \end{array}\right]= \left[\begin{array}{llll} J^1 & J^2 & J^5 & J^{10} \\ J^3 & J^4 & J^6 & J^{11} \\ J^7 & J^8 & J^9 & J^{12} \\ J^{13} & J^{14} & J^{15} & J^{16} \end{array}\right] \left[\begin{array}{c}\Delta \theta_n \\ \vdots \\ \Delta V_h \\ \vdots \\ \Delta V_i \\ \vdots \\ \Delta M_p \\ \vdots \\ \Delta D_r \\ \vdots\end{array}\right]$$

(6)과 식 (7)을 이용하여 자코비안 행렬은 식 (8)과 같이 계산된다.

(8)
$\begin{bmatrix}\Delta P_{n}\\\vdots \\\Delta Q_{h}\\\vdots \\\Delta P_{i}\\\vdots \\\Delta Q_{p}\\\vdots \\\Delta P_{r}\\\vdots\end{bmatrix}=\begin{bmatrix}J^{1}&J^{2}&J^{5}&J^{10}\\J^{3}&J^{4}&J^{6}&J^{11}\\J^{7}&J^{8}&J^{9}&J^{12}\\J^{13}&J^{14}&J^{15}&J^{16}\end{bmatrix}\begin{bmatrix}\Delta\theta_{n}\\\vdots \\\Delta V_{h}\\\vdots \\\Delta V_{i}\\\vdots \\\Delta M_{p}\\\vdots \\\Delta D_{r}\\\vdots\end{bmatrix}$

3.4 설계 및 구현

Fig. 2는 제안된 기법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제안된 하이브리드 부하조류 기법은 첫째, 교류, 직류 모선 및 선로 데이터를 읽는다. 둘째, 미지값들 (전압, 위상각, 변환지수, 듀티비)을 1로 모두 초기화하고, 허용오차 $\epsilon$, 총 반복횟수 $k$를 적절하게 설정한다. 셋째, 어드미턴스 행렬을 계산한다. 넷째, 각 모선의 유효전력 및 무효전력을 계산한다. 다섯째, 발전기의 한계값을 확인하여, 한계를 초과할 경우에는 발전기 전력값을 업데이트한다. 여섯째, 유효전력 및 무효전력 변화량을 계산한다. 일곱째, 계산된 유효 및 무효전력의 변화량을 벡터 형태로 변경하기 위하여, 전력 불일치 벡터 F(x)를 계산한다. 여덟째, 만약 전력 변화량의 최대값이 허용오차보다 클 경우, 자코비안 행렬을 계산한다. 자코비안 행렬을 위하여, 미지값들을 계산하고 업데이트한다. 유효 및 무효전력의 계산을 반복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 허용오차보다 작을 경우, 전력조류 값들과 전력 손실 등을 계산하여 출력하고 종료한다.

Fig. 2. Flow chart of the proposed technique

../../Resources/kiiee/JIEIE.2023.37.5.039/fig2.png

Fig. 3은 제안된 기법의 설계 블럭도를 나타낸다. 6개의 사용자 정의 함수로 계산된 데이터를 제안된 하이브리드 부하조류 기법을 통해서 대상의 조류해석을 위한 계산을 수행하게 된다. 제안된 기법은 MATLAB을 이용하여 구현하였다.

Fig. 3. Design block diagram of the proposed technique

../../Resources/kiiee/JIEIE.2023.37.5.039/fig3.png

4. 사례연구 및 성능평가

4.1 사례연구

제안된 하이브리드 부하조류 기법은 IEEE의 AC 9 Bus, DC 5 Bus 및 하이브리드 13 Bus 모델을 대상으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총 반복횟수는 100회, 허용오차는 10$e^{-7}$으로 동일하게 설정하였다.

Fig. 4는 AC 9 Bus 모델의 교류 부하조류 기법 결과를 나타낸다. 총 반복횟수는 4회, 실행시간은 0.080s, 유효전력 손실 4.641MW, 무효전력 손실 48.38MVar로 나타났다.

Fig. 4. Result of AC load flow technique in AC 9 Bus model

../../Resources/kiiee/JIEIE.2023.37.5.039/fig4.png

Fig. 5는 AC 9 Bus 모델의 제안된 부하조류 기법 결과를 나타낸다. 총 반복횟수는 4회, 허용오차는 6.86$e^{-7}$, 실행시간은 0.107s, 유효전력 손실 4.641MW, 무효전력 손실 58.33MVar로 나타났다.

Fig. 5. Result of Hybrid load flow technique in AC 9 Bus model

../../Resources/kiiee/JIEIE.2023.37.5.039/fig5.png

Fig. 6은 DC 5 Bus 모델의 직류 부하조류 기법 결과를 나타낸다. 총 반복횟수는 4회, 허용오차는 1.51$e^{-10}$, 실행시간은 0.021s, 유효전력 손실 4.517MW로 나타났다.

Fig. 6. Result of DC load flow technique in DC 5 Bus model

../../Resources/kiiee/JIEIE.2023.37.5.039/fig6.png

Fig. 7은 DC 5 Bus 모델의 제안된 부하조류 기법 결과를 나타낸다. 총 반복횟수는 4회, 허용오차는 1.74$e^{-11}$, 실행시간은 0.071s, 유효전력 손실 4.575MW로 나타났다.

Fig. 7. Result of Hybrid load flow technique in DC 5 Bus model

../../Resources/kiiee/JIEIE.2023.37.5.039/fig7.png

Fig. 8은 하이브리드 13 Bus 모델의 제안된 부하조류 기법 결과를 나타낸다. 총 반복횟수는 5회, 허용오차는 2.06$e^{-7}$, 실행시간은 0.11s, 유효전력 손실 1.843MW, 무효전력 손실 0.42MVar로 나타났다.

Fig. 8. Result of Hybrid load flow technique in Hybrid 13 Bus model

../../Resources/kiiee/JIEIE.2023.37.5.039/fig8.png

Fig. 9는 하이브리드 13 Bus 모델을 대상으로 제안된 하이브리드 부하조류 기법의 부하조류 결과를 나타낸다. 각 모선 사이에 흐르는 전력을 확인할 수 있다. 가장 큰 손실은 선로 6-13에서 1.1858MW이며, 손실이 가장 작은 선로는 선로 7-13의 경우 0.0003MW이다.

Fig. 9. Result of load flow in Hybrid 13 Bus model

../../Resources/kiiee/JIEIE.2023.37.5.039/fig9.png

4.2 성능 비교

제안된 하이브리드 부하조류 기법의 비교를 위한 정확도는 식 (8)과 같이 계산된다.

(8)
$ 정확도= \left(1-\dfrac{|제안된 기법의 전압-종래기법의 전압|}{기준전압}\right)\times 100 $

Table 1은 AC 9 Bus 모델에 대한 종래의 교류 부하조류 기법과 하이브리드 부하조류 기법의 결과의 비교를 나타낸다. 제안된 기법과 교류 부하조류 기법의 전압 및 위상이 모두 일치하여 100%의 정확도가 나타났다. 그러나 종래의 교류 부하조류 기법의 계산시간은 0.080s, 제안된 기법의 계산시간은 0.107s로 다소 길었다.

Table 1. Comparison of results of AC load flow and hybrid load flow technique in AC 9 Bus model

모선번호

모선종류

교류

부하조류 기법

하이브리드 부하조류 기법

전압

위상

전압

위상

1

Slack

1.040

0

1.040

0

2

AC Gen

1.025

9.280

1.025

9.280

3

AC Gen

1.025

4.665

1.025

4.665

4

AC Load

1.026

-2.217

1.026

-2.217

5

AC Load

1.013

-3.687

1.013

-3.687

6

AC Load

1.032

1.967

1.032

1.967

7

AC Load

1.016

0.728

1.016

0.727

8

AC Load

1.026

3.720

1.026

3.720

9

AC Load

0.996

-3.989

0.996

-3.989

Table 2는 DC 5 Bus 모델에 대한 종래의 직류 부하조류 기법과 하이브리드 부하조류 기법의 결과의 비교를 나타낸다. 제안된 기법과 직류 부하조류 기법의 전압 및 위상이 모두 일치하여 100%의 정확도가 나타났다. 그러나 종래의 직류 부하조류 기법의 계산시간은 0.021s, 제안된 기법의 계산시간은 0.071s로 다소 길었다.

Table 2. Comparison of results of DC load flow and hybrid load flow technique in DC 5 Bus model

모선번호

모선종류

직류

부하조류 기법

하이브리드 부하조류 기법

전압

위상

전압

위상

1

Slack

1.060

0

1.060

0

2

DC Gen

1.043

0

1.043

0

3

DC Load

1.029

0

1.029

0

4

DC Load

1.027

0

1.027

0

5

DC Load

1.022

0

1.022

0

Table 3은 하이브리드 13 Bus 모델의 시간영역 해석 기법인 PSCAD와 페이저 영역 해석 기법인 본 하이브리드 부하조류 기법의 결과의 비교를 나타낸다. 전압은 최소 0.0004P.U.에서 최대 0.001P.U.의 차이, 위상은 최소 0.0165°에서 최대 0.4024°의 차이이다. 제안된 기법의 전압과 위상의 정확도 최소값은 각각 99.90%, 99.78%로 나타났다.

Table 3. Comparison of results of AC load flow and hybrid load flow technique in Hybrid 13 Bus model

모선번호

모선종류

PSCAD

하이브리드 부하조류 기법

전압

위상

전압

위상

1

Slack

1.05

0

1.05

0

2

AC Load

1.013

-2.0772

1.0126

-2.0202

3

AC Gen

1

-2.4637

1

-2.1684

4

DC Load

0.9974

-

0.9974

-

5

DC Gen

1

-

1

-

6

DC Load

0.9938

-

0.9938

-

7

AC Load

0.9456

-6.6396

0.946

-6.5639

8

AC Gen

1

-2.9794

1

-2.9287

9

AC Load

1.004

-2.656

1.0044

-2.6395

10

AC Load

0.9878

-4.1068

0.9888

-3.7044

11

AC Load

0.9919

-3.6274

0.9917

-3.315

12

AC Load

0.9561

-4.9876

0.9571

-4.8383

13

AC Load

0.9508

-5.8398

0.9513

-5.7517

5. 결 론

현재까지 하이브리드 전력 네트워크에 대한 부하조류 기법은 완벽하게 개발되지 않았다.

본 논문에서는 하이브리드 전력 네트워크의 최적의 설계·운영 연구의 일환으로, 5가지 선로 연결 유형을 고려한 전력방정식을 수정하여 교류, 직류 및 하이브리드 전력 네트워크의 부하조류를 모두 계산하고 해석할 수 있는 뉴턴-랩슨법 기반의 수정된 부하조류 기법을 제안하였다. 이는 MATLAB으로 구현하였으며, IEEE의 AC 9 Bus, DC 5 Bus 및 하이브리드 13 Bus 모델을 대상으로 종래의 교류 부하조류 기법, 직류 부하조류 기법 및 PSCAD와 비교 시뮬레이션을 통해 성능을 검증하였다. 따라서 제안된 기법은 전력 네트워크 유형에 관계없이 부하조류를 정확하게 계산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References

1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The 3rd smart grid master plan,” pp. 1-27, 2023.URL
2 
Presidential Commission on Carbon Neutrality and Green Growth, “The 1st national carbon neutral green growth master plan,” pp. 1-216, 2023.URL
3 
C. W. Park, et. al., “Fundamental study on analysis modeling, and fault current calculation algorithm for hybrid AC-DC distribution grid,” KEPRI Final Report, pp. 1-189, 2023.URL
4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Institute, “Next-generation AC/DC hybrid distribution network technology development project,” pp. 1-221, 2021.URL
5 
K. M. Lee, et al., “A comparison of DC power flow algorithms,” The 9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dvanced Power System Automation and Protection, vol. 1, no. 0778, pp. 1-3, 2021.URL
6 
J. M. Ham, et al., “DC power flow algorithm based on NR in hybrid power system with DERs,” in Proc. of the 2021 KIEE PES Autumn Conference, pp. 259-260, 2021.URL
7 
C. H. Oh, S. J. Ahn, and J. H. Choi, “Continuation power flow using simplified Newton-Raphson method,” in Proceedings of KIIEE Annual Conference, p. 157, 2016.URL
8 
J. G. Seo, Y. K. Kim, G. S. Lee, and S. I. Moon, “A study on the sequential power flow calculation for hybrid MTDC,”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pp. 461-462, 2020.URL
9 
M. M. Rezvani and S. Mehraeen, “A generalized model for unified Ac-Dc load flow analysis,” in Proc. of the 2021 IEEE Texas Power and Energy Conference (TPEC), pp. 1-6, 2021.URL
10 
X. Lin, et al., “Application of joint raw moments-based probabilistic power flow analysis for hybrid AC/VSC-MTDC power systems,” in IEEE Transactions on Power Systems, vol. 37, no. 2, pp. 1399-1412, 2022.DOI
11 
K. M. Lee, et. al., “Performance validation of advanced power flow algorithm considering various bus for hybrid distribution system,” in Proc. of the 2023 KIEE Power System Research Society Spring Conference, pp. 397-398, 2023.URL

Biography

Kyung-Min Lee
../../Resources/kiiee/JIEIE.2023.37.5.039/au1.png

He was born in Korea in 1990. He received his B.S., M.S. and Ph.D.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Wonju, Korea, in 2014, 2017, and 2023, respectively. He is a teaching assistant at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since 2018.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Smartgrid, LVDC, Microgrid, RES, PMU, AI application of power system, power system modeling & control, and power system protection. He is a member of the KIEE, KIIEE, and IEEE. Dr. Lee was awarded the Paper Prize of KIIEE in 2020, the Best Paper of the APAP in 2021, and the Best Paper of KOWEPO in 2021, 2022.

Chul-Won Park
../../Resources/kiiee/JIEIE.2023.37.5.039/au2.png

He was born in Korea. He received his B.S., M.S. and Ph.D.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Sungkyunkwan University, Seoul, Korea, in 1988, 1990, and 1996, respectively. From 1989 to 1993 he was an associate researcher at Lucky GoldStar Industrial Systems. From 1993 to 1996, he was a senior researcher at PROCOM system and lecturer at S.K.K. University. At present, he is a professor in the Department of Electrical Engineering at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since 1997.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power IT, IED, LVDC, MVDC, Microgrid, Hybrid, RES, PMU, AI application to power grid, power system modeling & control, and computer application in power system. He is a member of the KIEE, KIIEE, and IEEE. Dr. Park was awarded the Paper Prize of KIEE in 2010, 2020, the Paper Prize of the KOFST in 2017, the Best Paper of the APAP in 2021, and the Best Paper of KOWEPO in 2021,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