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ISO Journal TitleJ Korean Inst. IIIum. Electr. Install. Eng.

  1. (Professor, Dept. of Semiconductor Engineering, Jungwon University, Korea)
  2. (Professor,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Foundation and Regional-Industrial Application Research Institute, Kongju National University, Korea)



Three-phase transformer type superconducting fault current limiter(SFCL), Superconducting modules (SCMs), Fault current limiting operations, Non-isolation, Unsymmetrical ground fault

1. 서 론

전력수요가 증가하고 전력계통이 확대되면서 단락으로 인한 고장전류는 전력 시스템의 안정성, 신뢰성등 심각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고장전류의 저감 대책 중 하나인 초전도한류기(superconducting fault current limiter, SFCL)는 별도의 검출장치 없이 고장전류를 제한할 수 있고 시스템의 신뢰성과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전력계통 실용화를 위해 지속적으로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다[1-4].

초전도한류기는 퀜치형, 비퀜치형, 복합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5]. 퀜치형중에서 변압기형 초전도한류기는 1차 권선이 계통 선로에 직렬로 연결되고 2차 권선에 초전도 소자가 연결되어 있어 고장전류가 초전도소자로 직접적으로 도통되지 않아 기계적 및 전기적 충격이 낮은 구조를 갖는다. 또한, 1차와 2차 권선의 권선비와 권선방향을 조절하여 제한 임피던스를 조절하여 고장전류를 제한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6-9].

이를 활용하기 위해 C-C형 철심에 결선된 2차권선에 초전도모듈(SCMs)이 삼상으로 절연된 구조를 갖는 삼상자속구속형 초전도한류기가 보고된 바 있으며, 최근에는 2개의 초전도모듈을 회로적으로 연결하여 고장형태에 따라 이중 퀜치를 이용한 삼상 변압기형 초전도한류기의 고장전류제한특성에 대해 보고된 바 있다[10-12]. 본 논문에서는 E-I 삼상철심에 삼상의 1차와 2차권선이 결선되고 각 상의 2차권선에 초전도모듈(SCMs)이 비절연으로 연결된 구성을 갖는 삼상 변압기형 초전도한류기를 제안하고 삼상고장 종류에 따른 고장전류 제한 및 초전도모듈의 전력부담을 비교 분석하였다.

2. 구조와 모의실험

2.1 구조와 동작원리

Fig. 1은 비절연된 2차측 삼상 변압기형 초전도한류기의 구성을 보여준다. Fig. 1에 표시한 각 상의 1차권선(N1) 단자들(A-A', B-B', C-C')은 직렬로 전력계통 선로에 연결되며, 2차 권선 (N2)의 양쪽 (a-a', b-b', c-c')에 초전도모듈이 각각 연결된다.

i1sta, i1stb, i1stc은 a상, b상, c상의 1차측 권선전류를, v1sta, v1stb, v1stc는 1차측 권선전압을 나타내며, 2차측 권선전류는 i2a, i2b, i2c로 표기하였다. 또한, 초전도모듈의 전류는 isca, iscb, iscc로, 퀜치시 발생하는 저항은 RSCa, RSCb, RSCc로 나타내었다.

Fig. 1. Schematic structure of three-phase transformer type SFCL using secondary windings with non-isolation

../../Resources/kiiee/JIEIE.2023.37.5.062/fig1.png

2.2 모의실험

Fig. 2는 비절연된 2차측 삼상변압기형 초전도한류기의 모의계통 실험회로도를 보여준다. 모의계통 구성은 삼상전원(Ea, Eb, Ec), 선로(Zline), 부하저항(Rload)으로 구성되며, 삼상 변압기형 초전도한류기의 1차측이 모의계통에 직렬로 연결된다.

모의계통 실험회로는 3상 교류 전원(선전압 480V)과 선로임피던스 (Zline=0.097+j0.686Ω) 및 부하저항 (Rload = 5.2Ω)으로 구성된다. 삼상변압기형 초전도한류기를 구성하는 1차권선과 2차권선의 권선비(n=N1/N2)는 3으로 설계하였다. 이와 함께, 비절연된 2차측 삼상 변압기형 초전도한류기에 포함된 초전도모듈의 형태와 세부사양은 참고문헌[13, 14]에 설명되어 있다.

일선지락 모의실험은 SW1을 투입한 후 SW2을 고장각 30o에서 12주기 동안 투입하여 삼상 초전도한류기 1차권선의 단자 (A-A’)를 단락하여 고장을 모의한 후 다시 SW2을 개방하여 진행하였다. 이선지락 모의실험은 초전도한류기의 1차권선의 단자 (A-A’, B-B’)를 동시에 단락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삼선지락 모의실험은 1차권선의 단자(A-A’, B-B’, C-C’)를 동시에 단락하여 순차적으로 모의실험을 진행하였다.

삼상지락고장을 모의함과 동시에 측정한 전압 및 전류를 기반으로 비절연된 2차측 삼상 변압기형 초전도한류기의 고장전류제한 특성을 분석하였다.

Fig. 2. Experimental circuit diagram of three-phase transformer type SFCL using secondary windings with non-isolation

../../Resources/kiiee/JIEIE.2023.37.5.062/fig2.png

3. 결과 및 분석

3.1 고장전류제한 동작 분석

Fig. 3은 a상에서 일선지락 고장이 발생한 경우 비절연 구조를 갖는 삼상변압기형 초전도한류기의 고장전류제한 동작 파형을 보여준다. 고장발생과 동시에 선로전류 (i2a)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이에 따라 고장상에 해당되는 초전도모듈의 전류(iSCa)도 임계전류 27 A를 초과하여 퀜치가 발생한 것을 알 수 있다. a상에서 일선지락 고장 발생 후 0.6025s에서 퀜치가 발생하여 초전도모듈에서 전압 (vsca)이 유기되었다. 또한, 건전선로인 c상에서 선로전류 (i2c)가 증가하고 있고 c상에 해당되는 초전도모듈도 0.6042s에서 퀜치가 발생하여 초전도모듈의 전압 (vscc)이 유기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2차권선의 초전도모듈(RSCa)에서 저항발생으로 a상의 초전도모듈전류 (iSCa)가 감소되고 비절연된 선로를 통해 전류가 유입됨에 따라 c상의 초전도모듈 전류(iSCc)가 증가되어 퀜치가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이선지락(a상, b상) 고장이 발생한 경우, 고장전류제한 동작 파형을 Fig. 4에 도시하였다. a상과 b상에서 고장발생으로 2차측에 연결된 a, b상의 초전도모듈의전류(iSCa, iSCb)가 임계전류를 초과하여 각각 0.6019s, 0.6010s에서 퀜치가 발생하여 고장상에 해당되는 초전도모듈의 전압(vSCa, vSCb)이 유기되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a상과 b상의 초전도모듈에서 퀜치발생으로 2차권선간에 비절연된 선로를 통해 유입된 전류로 인해 2차측 c상의 초전도모듈의 전류(iSCc)도 증가되어 0.6054s에서 퀜치가 발생하여 c상의 초전도모듈에서도 전압(vSCc)이 유기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결과 이선지락 고장발생으로 비절연된 3개의 초전도모듈 모두에서 퀜치가 발생하고 고장 발생 1주기 이내에 2차측 선로전류가 감소하는 것을 Fig. 4에서 분석할 수 있다.

Fig. 3. Fault current limiting operational waveforms of three-phase transformer type SFCL using secondary windings with non-isolation in case that single (a-phase) line ground fault happens

../../Resources/kiiee/JIEIE.2023.37.5.062/fig3.png

Fig. 4. Fault current limiting operational waveforms of three-phase transformer type SFCL using secondary windings with non-isolation in case that double (a-phase, b-phase) line ground fault happens

../../Resources/kiiee/JIEIE.2023.37.5.062/fig4.png

삼선지락(a상, b상, c상) 고장이 발생한 경우, 고장전류제한 동작 파형을 Fig. 5에 도시하였다. 고장발생 후 a상 초전도모듈은 0.6020s, b상 초전도모듈은 0.6006s, c상 초전도모듈은 0.6051s에서 퀜치가 발생함을 확인할 수 있다. 삼선지락고장의 경우에는 a, b, c상의 초전도모듈이 고장직후 모두 퀜치가 발생함에 따라 2차측 전류(i2a, i2b, i2c)와 초전도모듈의 전류(iSCa, iSCb, iSCc)간의 차이가 없는 것을 볼 수 있다.

Fig. 6은 a상에서 일선지락 고장이 발생한 경우, 비절연 구조를 갖는 삼상 변압기형 초전도한류기의 1차측 선로의 전류와 전압파형을 보여준다. 고장전류제한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초전도한류기를 적용하지 않은 경우의 선로전류(i1sta(w/o))를 Fig. 6에 포함하였다.

a상의 일선지락 고장으로 1차측 선로전류(i1sta)는 급격하게 증가하였고, a상과 c상 초전도모듈의 퀜치발생으로 1차측 선로 전압(v1sta, v1stc)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건전상인 c상의 초전도모듈에서 퀜치가 발생함에 따라 c상의 1차측 선로 전류(i1stc)는 고장전보다 보다 감소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이선지락(a상, b상) 고장이 발생한 경우, 1차측 선로 전류와 전압파형을 Fig. 7에 도시하였다. 이선지락 고장과 동시에 고장전류는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으며 퀜치발생으로 1/2주기에서 고장전류(i1sta, i1stb)가 감소되는 것을 알 수 있다. Fig. 4에서 분석한 것처럼, 이선지락 고장으로 건전상인 c상의 초전도모듈에서도 퀜치가 발생함에 따라 1차측 선로전압(v1stc)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1차 선로전류(i1stc)도 감소되는 것을 Fig. 7에서 볼 수 있다.

삼선지락(a상, b상, c상) 고장이 발생한 경우, 1차측 선로전류와 전압파형을 Fig. 8에 도시하였다. Fig. 8에서도 초전도한류기를 적용하지 않은 경우의 선로전류(i1sta(w/o), i1stb(w/o), i1stc(w/o))도 함께 도시하였다. 삼선지락고장 발생과 동시에 고장전류가 급격히 증가하여 고장발생 1/2주기이내에서 3상의 초전도모듈에서 퀜치발생에 의해 1차권선의 전압(v1sta, v1stb, v1stc)이 유기되고 1차 선로전류(i1sta, i1stb, i1stc)가 제한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Fig. 5. Fault current limiting operational waveforms of three-phase transformer type SFCL using secondary windings with non-isolation in case that triple (a-phase, b-phase, c-phase) line ground fault happens

../../Resources/kiiee/JIEIE.2023.37.5.062/fig5.png

Fig. 6. Current and voltage waveforms of three-phase transformer type SFCL using secondary windings with non-isolation in case that single (a-phase) line ground fault happens

../../Resources/kiiee/JIEIE.2023.37.5.062/fig6.png

Fig. 7. Current and voltage waveforms of three-phase transformer type SFCL using secondary windings with non-isolation in case that double (a-phase, b-phase) line ground fault happens

../../Resources/kiiee/JIEIE.2023.37.5.062/fig7.png

Fig. 8. Current and voltage waveforms of three-phase transformer type SFCL using secondary windings with non-isolation in case that triple (a-phase, b-phase, c-phase) line ground fault happens

../../Resources/kiiee/JIEIE.2023.37.5.062/fig8.png

3.2 전력분담 분석

Fig. 9는 a상에서 일선지락 고장이 발생한 경우, 초전도모듈의 순시전력(pSCa, pSCb, pSCc)과 초전도한류기의 순시전력(pSFCLa, pSFCLb, pSFCLc)을 보여준다. pSCabc와 pSFCLabc는 전체 순시전력을 나타낸다.

Fig. 9(a)는 a상에서 일선지락이 발생한 경우이며, 건전상인 c상의 초전도모듈에서도 퀜치가 발생되어 초전도모듈 a와 초전도모듈 c의 순시전력전력부담(pSCa, pSCc)은 거의 동일한 크기로 발생하였다. 전체 초전도모듈의 순시전력(pSCabc)의 최대크기는 고장발생 1주기 이후 2kW보다 조금 작은 값으로 수렴되고 있다.

Fig. 9(b)는 a상에서 일선지락이 발생한 경우 초전도한류기의 순시전력파형을 보여주고 있다. 고장상인 a상의 순시전력(pSFCLa)은 크게 발생하지만, 건전상인 c상의 순시전력(pSFCLc)은 작게 발생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전체 초전도한류기의 순시전력(pSFCLabc)의 최대값은 2kW에 수렴되는 것을 볼 수 있다.

Fig. 9. Power waveforms of three-phase transformer type SFCL using secondary windings with non-isolation in case that single (a-phase) line ground fault happens. (a) Power waveforms of superconducting modules (b) Power waveforms of SFCLs

../../Resources/kiiee/JIEIE.2023.37.5.062/fig9.png

이선지락(a상, b상) 고장이 발생한 경우, 초전도모듈과 초전도한류기의 순시전력을 Fig. 10에 도시하였다. Fig. 10(a)는 각 상의 초전도모듈의소비전력을 나타냈다. 과도성분이 큰 a상의 초전도모듈에서 순시전력(pSCa)이 가장 크게 나타나고 있고, 건전상인 c상에서 순시전력(pSCc)은 작게 나타났다. 고장발생 1주기 이후 전체 초전도모듈의 순시전력(pSCabc)의 최대값은 2.1kW로 수렴되는 것을 볼 수 있다. Fig. 10(b)는 초전도한류기의 순시전력을 보여주며, 1주기 이후 고장기간 동안 전체 초전도한류기 순시전력(pSFCLabc)의 최대값은 2.2kW로 수렴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앞에서 분석한 일선지락과 이선지락의 경우 초전도모듈의 순시전력(pSCabc)과 초전도한류기의 순시전력(pSFCLabc)의 차이는 삼상변압기 철심과 1차 및 2차권선에서 소모되는 전력으로 분석할 수 있지만, 일선지락과 이선지락 모두 비슷한 값을 갖는 것을 볼 수 있다.

Fig. 10. Power waveforms of three-phase transformer type SFCL using secondary windings with non-isolation in case that double (a-phase, b-phase) line ground fault happens. (a) Power waveforms of superconducting modules (b) Power waveforms of SFCLs

../../Resources/kiiee/JIEIE.2023.37.5.062/fig10.png

Fig. 11은 삼선지락 고장이 발생한 경우, 초전도모듈과 초전도한류기의 순시전력을 보여준다.

Fig. 11. Power waveforms of three-phase transformer type SFCL using secondary windings with non-isolation in case that triple (a-phase, b-phase, c-phase) line ground fault happens. (a) Power waveforms of superconducting modules (b) Power waveforms of SFCLs

../../Resources/kiiee/JIEIE.2023.37.5.062/fig11.png

삼선지락 고장이 발생한 경우 각 상의 초전도모듈에서 모두 퀜치가 동시에 발생하였고 고장초기에 과도성분이 큰 a상에서 순시전력(pSCa, pSFCLa)이 가장 크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다. 앞선 일선지락과 이선지락보다 삼선지락고장의 경우 전체 초전도모듈의 순시전력(pSCabc)과 초전도한류기의 순시전력(pSFCLabc) 피크가 가장 크게 발생할 뿐 아니라 변화폭은 감소되는 것을 볼 수 있으며, 이는 대칭고장의 경우가 비대칭고장의 경우보다 초전도모듈과 초전도한류기의 부담이 가장 크게 되는 것에 기인하는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본문에서 분석한 일선지락, 이선지락, 삼선지락 고장에 따른 퀜치 발생시간을 정리하여 Table 1에 나타내었다. 이와 함께, 앞에서 검토한 고장종류별 초전도모듈의 전압, 전류와 초전도한류기 1차측 선로전류 및 전압으로부터 삼상지락고장발생에 따른 초전도모듈과 초전도한류기의 전력분담을 Table 2Table 3에 정리하여 나타내었다.

Table 1. Quench time of three-phase transformer type SFCL using secondary windings with non-isolation

고장종류

a상

b상

c상

1선지락

0.0025 [s]

-

0.0042 [s]

2선지락

0.0019 [s]

0.0010 [s]

0.0054 [s]

3선지락

0.0020 [s]

0.0006 [s]

0.0051 [s]

Table 2. Power of superconducting modules of three-phase transformer type SFCL using secondary windings with non-isolation

[kW]

고장

종류

a상

b상

c상

전체

(a,b,c)

1선지락

1.00

-

0.93

1.93

2선지락

1.31

0.95

0.67

2.07

3선지락

1.44

1.16

1.22

2.14

Table 3. Power of SFCL of three-phase transformer type SFCL using secondary windings with non-isolation

[kW]

고장

종류

a상

b상

c상

전체

(a,b,c)

1선지락

1.69

-

0.46

2.09

2선지락

1.29

1.40

0.52

2.23

3선지락

1.50

1.30

1.33

2.30

4. 결 론

본 논문에서는 비절연 2차권선을 이용한 삼상 변압기형 초전도한류기를 제안하였고, 평형 및 불평형 지락고장에 따른 고장전류 제한 특성을 모의실험을 통해 비교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일선지락 고장의 경우 고장상인 a상에서 과도성분이 크게 발생하여 a상의 초전도모듈을 포함한 건전상인 c상의 초전도모듈에서 퀜치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일선지락의 경우 비대칭 고장의 대표적인 고장으로 고장각과 같은 과도성분에 영향을 주는 고장조건에서는 비절연된 2차측에 연결된 초전도모듈구성으로 건전상에 해당되는 상의 초전도모듈에서도 퀜치를 발생시킬 수 있음을 분석할 수 있었다.

이선지락 고장의 경우, 고장상인 a상과 b상에서 퀜치가 발생하였고, 2차권선들간의 비절연 구성으로 건전상인 c상의 초전도모듈에서도 전류유입에 따른 전류증가로 퀜치가 발생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평형고장인 삼선지락 고장의 경우에는 a상, b상, c상의 초전도모듈 모두에서 고장발생과 거의 동시에 퀜치가 발생하였다. 2차측이 비절연구성을 갖는 삼상변압기형 초전도한류기의 삼상지락 모의실험을 통해 고장상뿐 아니라 고장발생직후 비절연된 전류유입을 통해 건전상의 초전도모듈에서도 퀜치를 유도하는 것을 분석할 수 있었다. 이와 함께, 삼상지락고장과 같은 대칭고장의 경우 각상의 초전도모듈과 각상에 해당되는 초전도한류기의 균일한 전력분담과 전체 전력부담이 비대칭고장보다 가장 크게 발생하는 것을 분석할 수 있었다. 본 논문을 바탕으로 고장전류제한 및 전력부담 분석을 통해 임피던스를 증가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구조와 E-I 철심 설계에 따른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Acknowledgement

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NRF) grant funded by the Korea government(MOE). (No. 2020R1F1A1077206)

References

1 
L. Ye, L. Z. Lin, and K. P. Juengst, “Application studies of superconducting fault current limiters in electric power systems,” in IEEE Transactions on Applied Superconductivity, vol. 12, no. 1, pp. 900-903, 2002.DOI
2 
Antonio Morandi, “State of the art of SFCL and their application to the electric power system,” Physica C: Superconductivity, vol. 484, pp. 242-247, 2013.DOI
3 
G. Didier and J. Leveque, “Influence of fault type on the optimal location of SFCL in electrical power grid,” International Journal of Electrical Power & Energy Systems, vol. 56, pp. 279-285, 2014.DOI
4 
M. S. Alam, M. A. Y. Abido, and I. El-Amin, “Fault current limiters in power systems: A comprehensive review,” Energies, vol. 11, no. 5, pp. 1025, 2018.DOI
5 
M. R. Barzegar-Bafrooei, A. A. Foroud, J. D. Ashkezan, and M. Miasati, “On the advance of SFCL: A comprehensive review,” IET Gener. Transm. Distrib., vol. 13, no. 17, pp. 3745-3759, 2019.DOI
6 
S. H. Lim, S. C. Ko, and T. H. Han, “Analysis on current limiting characteristics of a transformer type SFCL with two triggering current levels,” Physica C: Superconductivity, vol. 484, pp. 253-257, 2013.DOI
7 
Y. Shirai, et al., “Current limiting performance of three-phase concentric transformer type SFCL at unbalanced fault conditions,” in IEEE Transactions on Applied Superconductivity, vol. 23, no. 3, 2013.DOI
8 
Y. Shirai, et al., “Current limiting performance test of 3-phase tri-axial transformer-type SFCL with re-wound structure at 3-line-to-ground fault in lab-scale transmission system,” Physica C: Superconductivity, vol. 484, pp. 248-252, 2013.DOI
9 
K. Yamabe, N. Yonemura, Y. Shirai, and J. Baba, “Current limiting and recovery tests under load of three-phase transformer type coaxial SFCL in a model power system,” in IEEE Transactions on Applied Superconductivity, vol. 24, no. 3, pp. 1-5, 2013.DOI
10 
S. H. Lim, H. S. Choi, and B. S. Han, “Current limiting characteristics of integrated three-phase flux-lock type SFCL,” in IEEE Transactions on Applied Superconductivity, vol. 16, no. 2, pp. 715-718, 2006.DOI
11 
S. H. Lim, et al., “Quench characteristics of HTSC elements in integrated three-phase flux-lock type SFCL according to ground-fault types,” Physica C: Superconductivity and its Applications, vol. 463-465, pp. 1198-1203, 2007.DOI
12 
T. H. Han, S. C. Ko, and S. H. Lim, “Analysis on three-phase ground fault current limiting operations of three-phase transformer type SFCL using two superconducting modules,” in IEEE Transactions on Applied Superconductivity, vol. 32, no. 6, pp. 1-7, 2022.DOI
13 
S. H. Lim, “Analysis on current limiting characteristics of a flux-lock type SFCL with two triggering current levels,” Physica C: Superconductivity and its Applications, vol. 471, no. 21-22, pp. 1354-1357, 2011.DOI
14 
S. H. Lim, I. K. You, and J. C. Kim, “Study on peak current limiting characteristics of a flux-lock type SFCL using its third winding,” in IEEE Transactions on Applied Superconductivity, vol. 21, no. 3, pp. 1275-1279, 2011.DOI

Biography

Tae-Hee Han
../../Resources/kiiee/JIEIE.2023.37.5.062/au1.png

He received his M.S., and Ph.D. degrees from Chonbuk National Univ., Korea in 1994 and 1999, respectively. Currently, he is a professor in the Dept. of Semiconductor Engineering at Jungwon Univ., Korea.

Seok-Cheol Ko
../../Resources/kiiee/JIEIE.2023.37.5.062/au2.png

He received his B.S., M.S., and Ph.D. degrees from Chonbuk National Univ., Korea in 1996, 2002, and 2005, respectively. Currently, he is a professor in the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Foundation at Kongju National Univ., Korea.

Sung-Hun Lim
../../Resources/kiiee/JIEIE.2023.37.5.062/au3.png

He received his B.S., M.S., and Ph.D. degrees from Chonbuk National Univ., Korea in 1996, 1998, and 2003, respectively. Currently, he is a professor in Dept. of Electrical Engineering at Soongsil Univ.,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