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호빈
(Hobin Lee)
1iD
구본혁
(Bonhyuk Ku)
1iD
강형구
(Hyoungku Kang)
†iD
-
(Master course, Dept. of Electrical Eng.,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Korea)
Copyright ©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Engineers(KIIEE)
Key words
Corona discharge, Hydrophobicity, Insulator, Multiple needle-to-plane electrode, Polymer
1. 서 론
1.1 개요
송전망에서 애자는 전선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절연내력을 보장하는 핵심 구성요소이다. 초기에는 유리나 자기 소재를 주로 사용했으나, 충격에 대한 취약성과
고중량, 그리고 고비용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로부터 자유롭고, 발수성 특성을 가진 고분자 절연재료인 폴리머 애자가 선호되고
있다[1].
옥외에서 사용되는 폴리머 애자는 염분, 안개, 지속적인 강우, 자외선 조사 및 코로나 방전과 같은 여러 조건에 노출된다. 이로 인해 폴리머 애자의
발수성이 일시적으로 감소하여 애자 표면에 수분 결로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분 결로가 형성되면 애자 표면에 흡착된 오염물질이 용해되어 이온화가
발생하고, 누설전류가 흘러 열이 발생한다. 열에 의해 결로가 국부적으로 증발하면 건조대(Dry Band)가 형성되어 애자 표면을 열화시키고 트래킹이나
기중 방전을 유발한다[2, 3]. 따라서 폴리머 애자의 발수성 특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1.2 연구의 배경
발수성은 수분이 표면에 결로를 형성하지 않도록 방해하는 특성을 의미하며, 이러한 발수성은 Fig. 1과 같이 크게 정적 발수성과 동적 발수성으로 분류된다. 정적 발수성은 외부 환경에 영향을 받지 않는 상태에서 폴리머 표면 위 물방울의 접촉각이 90°
이상인 성질을 의미한다. 동적 발수성은 외부 환경에 의해 접촉각이 변화하는 특성으로 발수성 전이, 유지, 회복이 있다[4, 5].
발수성이 회복되는 주요 이유 중 하나는 폴리머 내부의 저분자량(Low Molecular Weight, LMW)에 의해 발생한다. 폴리머 내부의 LMW는
온도에 의해 에너지를 얻어 폴리머 표면으로 확산해, 수분 결로 형성을 방해한다[6]. 따라서, 코로나 방전이나 자외선 및 폭우 등으로 인해 발수성이 일시적으로 감소하더라도 해당 외부 요인이 없어지면, 폴리머 내부의 LMW가 표면으로
확산하여 발수성을 회복하는 메커니즘을 가진다. 이는 장기간 신뢰성 확보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최근 동적 발수성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옥외용 폴리머 소재 관련 표준 IEC TR 62039가 2021년에 개정되었다. 이에 따라 발수성 전이에
대한 시험 항목이 새롭게 도입되었으며, 발수성 유지와 회복에 대한 항목도 반영될 예정이다[7]. 발수성 전이 시험은 폴리머 샘플 위에 인공 오염층을 도포하여 LMW의 전이 특성을 고려한 것으로, 실제 환경과 거리가 멀다. 반면에 발수성 회복
시험은 실제 전기장에 의한 스트레스 상황을 모의한 특성 평가로 실제 환경에 대한 재현성이 높아 반드시 고려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발수성 회복 시험을 위한 다중 침-대-평판 전극을 설계하였다. 다중 침-대-평판 전극은 샘플 표면에서 코로나 방전을 발생시켜 발수성을
일시적으로 감소시킨 후, 시간의 경과에 따른 발수성 회복 특성 시험을 위한 것으로 구성은 Fig. 2와 같다[8].
기존에 타 기관에서 설계되었던 다중 침-대-평판 전극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8]. 침 말단부가 날카로워 시험 중에 고전압에 의해 발생하는 힘의 영향으로 침 말단부가 변형되거나 파손되기 쉬웠으며, 코로나 방전이 폴리머 샘플 가운데에서
집중적으로 발생해 접촉각 측정 위치에 따라 발수성 회복 시간이 상이하게 나타났다[9]. 본 연구에서는 위와 같은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다중 침-대-평판 전극 설계를 위해 침 말단부 반경, 상부 전극 직경, 침 말단부와 폴리머 샘플
표면 사이의 갭과 같은 여러 Parameter를 고려하였다.
Fig. 1. Classification of hydrophobicity
Fig. 2. Schematic diagram of multiple needle-to-plane electrode
2. 다중 침-대-평판 전극 설계
2.1 참고 모델
기존에 타 기관에서 설계한 다중 침-대-평판 전극을 참고 모델로 삼았으며, 참고 모델의 구조는 하부 평판 전극 위에 유리판, 폴리머 샘플 순서로 위치한다.
상부 전극에 AC 10kV 전압을 인가하였고, 하부 전극은 접지하였다. 참고 모델의 설계 Parameter는 Table 1과 같으며, 해석에 사용된 매질의 Parameter는 Table 2와 같다.
상부 전극의 침전극 배열은 Fig. 3(a)와 같다. 침전극간 이격거리는 동일하고 전체 침전극의 개수는 31개이다. 안쪽 7개의 침전극 길이는 12mm이며, 중간 12개의 침전극 길이가 11mm,
최외각 12개의 침전극 길이는 9mm이다.
Fig. 3. Structure of the multiple needle-to-plane electrode
Table 1. Parameters of the design reference model
Parameter
|
Length[mm]
|
Needle tip radius
|
0.05
|
Upper electrode diameter
|
87
|
Lower electrode diameter
|
140
|
Gap
|
40
|
Table 2. FEM parameters for multiple needle-to-plane electrode
Material
|
Relative permittivity
|
Diameter
[mm]
|
Air
|
1
|
-
|
Stainless steel
|
1
|
-
|
Glass plane
|
4.2
|
120
|
Polymer
|
2.75
|
110
|
2.2 전극 설계
침 말단부 반경은 침전극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핵심 요소로 설계 시 가장 먼저 고려하였고, 상부 전극의 직경은 폴리머 샘플 표면의 전계균일도를 향상해
시험 결과 값의 신뢰도를 위한 요소로 두 번째로 설계하였다. 침 말단부 반경과 상부 전극 직경 설계 시에는 갭을 40mm로 동일하게 적용하였다. 침
말단부와 폴리머 샘플 표면 사이 갭은 시험 시 조절 가능한 요소이므로, 마지막에 설계하였다. 또한, 폴리머 샘플 표면에서 코로나 방전을 균일하게 발생시키기
위해 Fig. 3(b)와 같이 라인 그래프 기능을 활용하여 폴리머 표면의 전계균일도를 확인하였다. 또한, 다중 침-대-평판 전극 설계 시 코로나 방전이 발생 가능한 모델
선정을 위해 침 말단부에서 샘플 표면까지의 수직선에서 최대전계와 평균전계를 통해 이용률을 계산하였다. 이용률은 전계평등도를 나타내는 척도로 사용되며,
일반적으로 0.3 이하일 때 불평등 전계로 분류한다. 코로나 방전은 불평등 전계에서 발생하므로, 각 Parameter에 대한 해석 시 이용률이 0.3
이하인 모델을 선택하였다. 이용률 도출 식은 (1)과 같다.
2.3 침 말단부 반경에 따른 해석
기존에 타 기관에서 설계한 참고 모델의 경우, 침 말단부 반경이 50μm로 매우 날카로워 전압을 인가한 반복 시험 시 고전압에 의해 발생하는 힘의
영향으로 침 말단부가 변형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최소화하여 시험의 재현성 향상을 위해 Fig. 4와 같이 침 말단부 반경을 50μm에서 250μm, 500μm로 증가시키며 해석을 진행하였다.
폴리머 샘플 표면의 전계균일도는 세 가지 모델에서 거의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각 모델의 이용률은 Table 3과 같다. 침 말단부 반경은 폴리머 샘플 표면의 전계균일도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침 말단부에 집중되는 최대 전계가 달라져 이용률이 변화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최종 모델의 침 말단부 반경은 변형이 발생할 가능성이 낮은 500μm로 선정하였다.
Fig. 4. Electric field analysis results according to tip radius of needle electrode
Table 3. Utilization factor according to tip radius
Tip radius[μm]
|
Utilization factor
|
50
|
0.11
|
250
|
0.17
|
500
|
0.21
|
2.4 상부 전극 직경에 따른 해석
기존에 타 기관에서 설계한 참고 모델의 상부 전극 직경은 폴리머 샘플 직경인 140mm보다 작은 87mm이다. 이로 인해 폴리머 샘플 표면 중앙에
전계가 집중되어 접촉각 측정 위치에 따라 발수성 회복 시간이 상이하였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부 전극 직경을 105mm, 120mm, 160mm,
200mm까지 증가시키며, 폴리머 샘플 표면의 전계가 균일하게 형성되는 모델을 선정하였다.
Fig. 5와 같이 상부 전극 직경에 따른 폴리머 샘플 표면의 전계균일도를 동일한 범위로 확인한 결과, 상부 전극 직경이 160mm일 때 폴리머 샘플 가운데
전계가 집중되지 않아 전계균일도가 가장 우수했으며, 이용률은 거의 동일했다. 따라서, 최종 모델의 상부 전극 직경은 폴리머 샘플 표면의 전계균일도가
가장 우수한 160mm로 선정하였다.
Fig. 5. Electric field homogeneity according to the upper electrode diameter
2.5 침 말단부와 샘플 표면 사이 갭에 따른 해석
기존에 타 기관에서 설계한 참고 모델의 침 말단부와 샘플 표면 사이 갭은 40mm이다. 시험 시 폴리머 샘플 표면에 코로나 방전을 균일하게 발생시킬
수 있는 적정 갭 선정을 위해 Fig. 6과 같이 40mm에서 10mm씩 줄여가며 폴리머 샘플 표면의 전계균일도와 이용률을 확인하였다.
Fig. 7과 Table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폴리머 샘플 표면의 전계균일도는 갭 30mm와 40mm인 모델에서 우수하게 나타났으며, 각각의 이용률은 0.2, 0.21이었다.
따라서 시험 시 적정 갭은 40mm에서 30mm 사이로 선정하였다.
Fig. 6. Electric field analysis results according to the gap
Fig. 7. Electric field homogeneity according to gap
Table 4. Utilization factor of tip radius
Gap[mm]
|
Utilization factor
|
40
|
0.20
|
30
|
0.21
|
20
|
0.23
|
10
|
0.27
|
3. 최종 모델 비교 분석
기존에 타 기관에서 설계한 다중 침-대-평판 전극은 침 말단부 반경이 50μm로 매우 작아 반복 시험 시 고전압에 의해 발생하는 힘의 영향으로 침
말단부가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상부 전극의 직경이 하부 전극의 직경보다 작아 폴리머 샘플 표면 가운데 코로나 방전이 집중적으로 발생하였다.
이는 폴리머 샘플 표면에서 접촉각 측정 위치에 따라 발수성 회복 시간을 상이하게 만들어, 시험 결과 값에 대한 신뢰도를 저하시켰다. 이를 개선한 다중
침-대-평판 전극을 설계하기 위해 침 말단부 반경, 상부 전극 직경, 침 말단부와 폴리머 샘플 표면 사이 갭과 같은 여러 Parameter를 고려하였다.
최종 설계한 모델과 참고 모델을 비교 분석한 결과, 침 말단부 반경이 50μm에서 500μm로 10배 증가함에 따라 고전압에 의해 발생하는 힘에 대한
내성이 향상되었으며, Fig. 8에서 확인한 바와 같이 폴리머 샘플 표면에 집중되는 전계가 더욱 균일하여 접촉각 측정 위치에 따라 발수성 회복 시간이 상이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아
시험의 재현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타 기관에서 설계한 참고 모델과 최종 설계 모델의 Parameter는 Table 5와 같으며, 각 모델의 폴리머 샘플 표면의 전계균일도는 Fig. 8과 같다.
Fig. 8. FEM results of reference model and final model
Table 5. Design parameters of basis model and final model
Parameter
|
Reference Model
|
Final Model
|
침 말단부 반경[μm]
|
50
|
500
|
상부 전극 직경[mm]
|
87
|
160
|
갭[mm]
|
40
|
30-40
|
4. 결 론
본 연구에서는 폴리머 애자의 발수성 회복 특성 연구를 위해, 샘플 표면에 코로나 방전을 발생시키는 다중 침-대-평판 전극을 설계하였다. 기존 타 기관에서
설계한 참고 모델은 여러 문제점이 있었고, 이를 극복한 다중 침-대-평판 전극 설계를 위해 침 말단부 반경, 상부 전극 직경, 침 말단부와 폴리머
샘플 표면 사이 갭과 같은 여러 Parameter를 고려하였다. 이를 통해 설계한 최종 모델은 고전압에 의해 발생하는 힘에 대한 내성과 폴리머 샘플
표면의 전계균일도가 우수해 시험의 재현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에는 최종 설계된 다중 침-대-평판 전극을 사용하여, 온도와 절연체 두께에 따른 발수성 회복 특성을 연구할 계획이며, 공동 연구기관인 한국전기연구원에서는
옥외용 폴리머 애자의 발수성 회복 특성을 평가하기 위한 시험 환경을 구축 예정이다. 이러한 연구는 동적 발수성 종류 중 하나인 발수성 회복 특성에
대한 이해와 평가 시스템 구축에 기여하여, 옥외용 폴리머 애자의 절연 성능과 장기 신뢰성 향상에 도움이 될 것이다.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23년도 정부(산업통상자원부)의 재원으로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20222A10100020, 송배전
전력기기용 친환경 및 직류 절연소재·부품의 성능평가 시험기술 및 표준개발).
References
J. H. Pee and Y. G. Choi, “Insulator industry trends and outlook,” Ceramist, vol.
19, no. 2, pp. 15-22, 2016.
Y. Liu, B. X. Du, and M. Farzaneh, “Self-normalizing multivariate analysis of polymer
insulator leakage current under severe fog conditions,” in IEEE Transactions on Power
Delivery, vol. 32, no. 3, pp. 1279-1286, 2017.
M. S. Kalimurugan, S. A. Sankar, and M. W. Iruthayarajan, “Investigation of electric
field distribution on AC composite 230kV insulator using corona ring,” 2014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ircuits, Power and Computing Technologies [ICCPCT-2014], pp. 142-147,
2014.
Daehee Kwon, Unyoung Ko, and Sangmin Lee, “Water-repellency and anisotropic wettability
of micro-grooved polymer surfac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vol. 37, no. 2, pp. 133-138, 2020.
Seung-Hyun Kim, Yo-Han Noh, Jong-Hun Cheong, and Han-Goo Cho, “Surface performance
of housing materials and profiles in AC tracking wheel test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vol. 33, no. 2, pp. 135-140,
2020.
Z. Yan, X. Liang, Y. Gao, and Y. Liu, “Aging and self-healing properties of superhydrophobic
silicone rubber,” in IEEE Transactions on Dielectrics and Electrical Insulation, vol.
23, no. 6, pp. 3531-3538, 2016.
IEC 62039, “Selection guidelines for polymeric materials for outdoor use under HV
stress,” 2021.
H. Hillborg, “Loss and recovery of hydrophobicity of polydimethylsiloxane after exposure
to electrical discharges,” Ph.D. Thesis, School of Polymer Technology, KTH Royal Institute
of Technology, 2001.
V. S. Gamaleev, M. N. Hiramatsu, and A. M. Hatta, “Analysis of the preheating phase
of micro-arc discharge in Seawater, operated using a needle-to-plane electrode with
variation in the tip shape,” Plasma 2019, vol. 2, no. 3, pp. 303-315, 2019.
Biography
He received bachelor’s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in 2023. He is currently a master’s course in Dept. of electrical
engineering,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His research interests are
high voltage engineering, power asset management, and applied superconductivity.
He received bachelor’s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in 2023. He is currently a master’s course in Dept. of electrical
engineering,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His research interests are
high voltage engineering, power asset management, and applied superconductivity.
He received doctor’s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Yonsei University in
2005. He is currently a professor in Dept. of electrical engineering,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His research interests are high voltage engineering,
power asset management, and applied superconductiv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