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재원
(Jai-Won Chung)
†iD
박상수
(Sangsu Park)
1iD
방석오
(Seok-Oh Bang)
1iD
유성식
(Seong-Sik Yoo)
1iD
최현석
(Hyun-Seok Choi)
1iD
노진성
(Jin-Sung Rho)
2iD
-
(Senior Researcher, Digital Convergence Research Headquarters, KIEL Institute, Korea)
-
(Center Manager, Digital Convergence Research Headquarters, KIEL Institute, Korea)
Copyright ©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Engineers(KIIEE)
Key words
Classification model, Dimming level, LED lighting, Random forest, Usage environment data
1. 서 론
스마트 조명 시스템은 LED 조명에 ICT 기술을 융합한 시스템이다. 최근 IoT(Internet of Things), AI(Artificial Intelligence),
네트워크 등의 ICT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서 스마트 조명 시스템에 대한 필요성과 관심도 함께 증가하고 있다. LED는 낮은 전력 소비와 높은 에너지
효율성으로 인해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으며, 수명이 길고, 수은을 함유하지 않아 환경친화적이며, 디지털 제어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1-3]. 또한, IoT, AI 등의 ICT 기술을 LED에 융합할 경우, 단순히 특정 장소를 밝게 하는 기능만 있던 기존 조명과는 다르게 센서, 공공 데이터
등을 활용해 사용기기, 사용환경, 사용패턴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활용하며 다양한 지능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에너지 절감,
사용자 만족도 향상, 수면의 질 향상 등을 위한 다양한 스마트 조명 시스템이 제안되고 있다[4-6].
최근 일광 같은 환경적 요인 외에도 사용자의 행동과 같은 개인적인 요인도 고려하여 시각적, 생물학적, 정서적 측면에서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조명 환경을
제공하는 HCL(Human Centric Lighting) 기술이 주목받고 있다[7]. HCL 기술이 적용된 스마트 조명 시스템에 관한 다양한 연구들도 제안되었다[8-10]. Choi 등은 조명의 색온도가 초등학생의 성적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 집중, 표준, 휴식 상황에 최적화된 조명 환경을 제공하는 시스템을 제안했다[8]. Cupkova 등은 IP 카메라를 사용해 조명 사용자의 감정을 감지하여, 감지 결과에 따라서 조명을 제어하는 시스템을 제안했다[9]. Yoon 등은 카메라를 사용하여 실내의 주광, 점유 여부, 점유 유형별 감정 상태를 예측하고, 예측 결과를 활용해 사용자 맞춤형으로 조명을 제어하는
시스템을 제안했다[10].
하지만, 각 사용자에 따라서 고유한 특성이나, 편안함과 쾌적함을 느끼는 조명 조건은 다를 수 있다[11, 12]. 사용자의 개인 특성에 대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맞춤형 조명 환경을 제공할 경우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어, 사용자 개인의 조명 선호도도 고려할
수 있는 스마트 조명 시스템에 대한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13]. 때문에, 조명 사용 시의 시각, 요일, 기온 등과 같은 사용환경 정보와 기계학습방법을 사용하여 특정 상황에서 사용자가 선호한 디밍 단계를 예측하는
방법이 개발될 경우, 사용자 개인의 조명 선호도를 고려하며 에너지도 절감시키는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다. 하지만, 사용환경 정보와 랜덤 포레스트를
사용해 조명 사용자의 선호 디밍 단계를 예측하는 방법을 알아본 연구는 거의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환경 정보를 사용해 조명 사용자의 선호 디밍 단계를 예측하는 랜덤 포레스트 모델을 제안한다. 구현한 LED 조명 장치와 제어기를
사용한 총 312시간의 실험을 통해서 기온, 상대습도, 강수량, 풍속, 시각, 오전/오후 여부, 요일, 주말/평일 여부, 조명 사용 여부, 디밍 단계를
1시간 간격으로 수집했다. 수집된 데이터 중 조명을 사용한 171시간 동안 수집된 데이터를 추출해 사용했고, 데이터의 특성과 상관성을 분석해 모델의
입력변수를 선정했다. 랜덤 포레스트 모델은 전체 데이터의 약 70%인 트레이닝 셋을 대상으로 3차 교차검증(3-fold cross validation)을
사용하여 최적의 모델을 구축했다. 구축한 모델의 성능은 전체 데이터의 약 30%인 테스트 셋을 대상으로 정확도, RCI(Relative Classifier
Information), 카파 인덱스(kappa index)를 계산하여 평가했다.
2. 실험 방법 및 측정 결과
2.1 실험 방법
Wi-Fi로 연동하는 LED 조명 장치와 제어기로 구성되어, 제어부를 통해 LED 조명의 디밍을 설정하고 제어하며, 조명 사용 시의 날짜, 기상,
조명 설정값 등의 정보를 수집하는 장치를 구현하여 사용했다(Fig. 1). LED 조명 장치는 광원부, SMPS(Switching Mode Power Supply), MCU(Micro Controller Unit),
Wi-Fi 모듈로 구성된다. SMPS는 IRM-03-5(MEAN WELL USA Inc., USA)를, MCU는 STM8L151(STMicro electronics,
Suisse)를 사용하였다. Wi-Fi 모듈로는 ESP32 Espressif Systems, China)를 사용했다. LED 조명 장치는 소비전력을
기준으로 총 6단계(5W, 15W, 25W, 35W, 40W, 50W)로 디밍을 제어하며, 색온도가 약 4500K로 광원의 색상이 백색이 되도록 구현했다.
제어기는 GUI(Graphical User Interface), 데이터 수집부, Wi-Fi 통신부, 메모리로 구성되며, Raspberry Pi 3와
파이썬을 사용해 구현했다. GUI는 LED 조명 장치의 전원과 색온도를 설정하기 위해 구현했다. 데이터 수집부는 조명 사용 시의 기온, 상대습도,
강수량, 풍속, 시각, 오전/오후 여부, 요일, 주말/평일 여부, 조명 사용 여부, 디밍 단계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자 구현했다. 수집 정보 중 기상
정보인 기온, 상대습도, 강수량, 풍속은 Open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사용해 기상청의 초단기실황
데이터에서 수집했다[14]. Wi-Fi 통신부는 LED 조명 장치와 Wi-Fi로 연동하며 설정한 전원과 색온도 설정값을 LED 조명 장치로 전송하고, LED 조명 장치의 상태값을
전송받고자 구현했다. 메모리에는 수집한 데이터를 CSV 파일로 저장했다.
Fig. 1. Block diagram of LED lighting device and controller
LED 조명 장치와 제어기의 디밍 단계 설정 기능을 확인하고, 디밍 단계에 따른 LED 조명 장치의 조도와 색온도의 변화를 측정했다. 암실에 LED
조명 장치와 제어기를 설치한 후, 디밍 단계를 변경하며 LED 조명 장치의 조도(lux), 색온도(K)를 측정했다(Fig. 2). LED 조명 장치의 조도와 색온도는 수평면을 기준으로 1.4m 거리에서 CL-200A(KONICA MINOLTA, Japan)를 사용해 측정했다.
Table 1은 디밍 단계별 조도와 색온도 측정 결과이다. LED 조명의 조도는 단계가 하나 증가할 때마다 평균 17.3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LED 조명의
색온도는 모든 디밍 단계에서 4000K에서 4500K 사이의 색온도가 측정되어, 디밍 단계가 변해도 광원의 색온도는 4500K의 색온도 범주 내에
있는 것을 확인했다.
Fig. 2. LED lighting device
Table 1. Measurement results of illuminance and color temperature for each dimming
level
Dimming setting
|
Power consumption
(W)
|
Illuminance
(lux)
|
Color temperature
(K)
|
Level 1
|
5
|
99.0
|
4439
|
Level 2
|
15
|
270.3
|
4482
|
Level 3
|
25
|
392.0
|
4458
|
Level 4
|
35
|
548.0
|
4409
|
Level 5
|
40
|
654.0
|
4472
|
Level 6
|
50
|
755.7
|
4479
|
실험은 가로 412cm, 세로 308cm, 높이 295cm의 직사각형 형태의 주거공간에 구현한 LED 조명 장치와 제어기를 설치하고 총 312시간
동안 실시했다(Fig. 3). LED 조명 장치는 실험 장소 중앙의 천장부에 설치했고, 조명의 전원과 디밍 단계는 Wi-Fi로 연결된 제어기의 GUI를 통해 설정했다. 실험
중의 기온, 상대습도, 강수량, 풍속, 시각, 오전/오후 여부, 요일, 주말/평일 여부, 조명 사용 여부, 디밍 단계에 대한 정보는 1시간 간격으로
제어기를 통해 수집했다. 디밍 단계는 총 6가지의 디밍 단계 중 측정 간격인 1시간 동안 가장 많이 설정한 디밍 단계를 대푯값으로 기록했다.
Fig. 3. Experiment place and equipment setup
2.2 측정 결과 분석
데이터 특성분석과 랜덤 포레스트 모델의 구축 및 평가에는 총 312시간의 실험 중 조명을 사용한 171시간 동안 수집된 기온, 상대습도, 강수량,
풍속, 시각, 오전/오후 여부, 요일, 주말/평일 여부, 디밍 단계에 대한 데이터를 사용했다. Table 2는 연속형 변수들인 기온, 상대습도, 강수량, 풍속 데이터의 특성을 나타낸다. Fig. 4는 범주형 변수들인 요일, 주말/평일 여부, 시각, 오전/오후 여부, 디밍 단계에 대한 빈도수를 나타낸다.
연속형 변수(기온, 상대습도, 강수량, 풍속) 및 범주형 변수(시각, 오전/오후 여부, 요일, 주말/평일 여부)와 디밍 단계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PhiK 상관계수(correlation coefficient)를 계산했다[15]. Table 3은 각 변수들과 디밍 단계 간의 PhiK 상관계수를 나타낸다. 상관계수 값을 기준으로 시각, 온도, 오전/오후 여부, 상대습도, 풍속, 강수량, 요일,
평일/주말 여부 순으로 디밍 단계와 상관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시각, 온도, 오전/오후 여부, 상대습도, 풍속의 경우 모두 0.001보다 작은
P-값이 나타나 디밍 단계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강수량, 요일, 평일/주말 여부는 모두 0.05보다 큰 P-값이
나타나 디밍 단계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랜덤 포레스트 모델 구축 시에는 전체 변수 중 강수량, 요일, 평일/주말 여부를
제외한 총 5가지 변수(시각, 온도, 오전/오후 여부, 상대습도, 풍속)를 사용했다.
Table 2. Characteristics of temperature, relative humidity, precipitation, and wind
speed data measured for a total of 171 hours
Variable
|
n
|
Mean ± SD
|
Min.
|
Max.
|
Temperature (°C)
|
171
|
19.49 ± 2.57
|
14.0
|
27.2
|
Relative humidity (%)
|
171
|
80.41 ± 13.81
|
36.0
|
96.0
|
Precipitation (mm)
|
171
|
0.03 ± 0.21
|
0.0
|
2.0
|
Wind speed (m/s)
|
171
|
0.71 ± 0.47
|
0.0
|
2.4
|
Fig. 4. Frequency of day of the week, weekday/ weekend, hour, AM/PM, and dimming setting
data measured for a total of 171 hours
Table 3. PhiK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each variable and dimming level
Ranking
|
Variable
|
R
|
P-value
|
1
|
Hour
|
0.783
|
< 0.001
|
2
|
Temperature
|
0.736
|
< 0.001
|
3
|
AM/PM
|
0.652
|
< 0.001
|
4
|
Relative humidity
|
0.529
|
< 0.001
|
5
|
Wind speed
|
0.425
|
< 0.001
|
6
|
Precipitation
|
0.121
|
0.538
|
7
|
Day of the week
|
0.083
|
0.595
|
8
|
Weekday/weekend
|
0.055
|
0.775
|
3. 랜덤 포레스트 모델 구축 및 평가
3.1 랜덤 포레스트 모델
랜덤 포레스트 모델은 부트스트랩(bootstrap) 방식을 이용해 다수의 표본을 생성하고 의사결정나무 모델을 적용하여 그 결과를 종합하는 방법이다[16]. 랜덤 포레스트 모델은 다수의 변수 이용 시 예측력이 뛰어나고 안정적인 모델을 제공하며, 각 입력변수에 대한 변수중요도(variable importance)를
계산할 수 있어 주요변수 탐색에도 활용할 수 있다[17]. 하지만, 생성된 모델의 내부는 관찰할 수 없기에, 예측 결과 이외의 정보는 얻을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18]. 랜덤 포레스트 모델은 지정한 수만큼의 독립적인 의사결정나무들로 구성된다. 의사결정나무를 생성하기 위한 데이터는 전체 데이터로부터 각각 무작위하게
배정받으며, 각 의사결정나무는 배정받은 데이터가 노드로 들어가 조건을 형성하고 조건에 따라 다시 가지를 확장하는 과정을 반복한다. 최종 분류 결과는
각 의사결정나무들의 결과를 종합해 다수결 원칙에 의해 결정된다. 본 논문에서는 시각, 온도, 오전/오후 여부, 상대습도, 풍속을 입력변수로 사용해
디밍 단계 예측을 위한 랜덤 포레스트 모델을 구축했다.
3.2 모델 구축 및 평가 방법
전체 데이터(n = 171) 중 약 70%의 데이터(n = 119)는 모델 구축을 위한 트레이닝 셋으로, 약 30%의 데이터(n = 52)는 성능
평가를 위한 테스트 셋으로 사용했다[19, 20]. 데이터 분류 시 디밍 단에 따른 데이터의 비율이 트레이닝 셋과 테스트 셋 모두 동일하도록 무작위하게
분류했다[18]. Table 4는 디밍 단계에 따른 트레이닝 셋과 테스트 셋의 수를 나타낸다. Fig. 5는 랜덤 포레스트 모델의 구축 및 평가 방법을 나타낸다. 랜덤 포레스트 모델은 의사결정나무의 수와 최대 입력변수의 수가 모델의 예측 성능에 영향을
줄 수 있다[17, 21]. 최적의 의사결정나무의 수와 최대 입력변수의 수를 도출하고자, 랜덤 포레스트 모델 구축 시 3차 교차검증(3-fold cross validation)을
실시했다. 교차검증 시 의사결정나무의 수는 10개, 100개, 200개, 300개, 400개, 500개로 변경하고, 각 노드에서 무작위로 선택되는
변수의 수는 최소 1개에서부터 최대 입력변수의 수까지 변경하며 정확도를 기준으로 최적의 값들을 격자 검색(grid search)했다. 또한, 사용한
입력변수도 모델의 예측 성능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사용변수에 따른 랜덤 포레스트 모델의 성능 변화를 알아보고자, 변수중요도를 계산하고 후진제거법을
적용해 변수중요도가 낮은 입력변수부터 하나씩 제거하며 최소 1개의 변수가 사용될 때까지 각각의 모형을 구축한 후, 교차검증 시 도출되는 정확도를 기준으로
최적의 입력변수를 선정해 모델을 구축했다[22]. 구축한 모델의 성능은 테스트 셋을 대상으로 정확도, RCI, 카파 인덱스를 계산해 평가했다[23]. 모델의 구축 및 평가에는 Python을 사용했다.
Table 4. Number of training and test set according to dimming level
Group
|
Training set (n)
|
Test set
(n)
|
Total
(n)
|
Dimming level 1
|
4
|
2
|
6
|
Dimming level 2
|
16
|
7
|
23
|
Dimming level 3
|
46
|
20
|
66
|
Dimming level 4
|
8
|
4
|
12
|
Dimming level 5
|
23
|
10
|
33
|
Dimming level 6
|
22
|
9
|
31
|
Total
|
119
|
52
|
171
|
Fig. 5. Construction and evaluation method of the random forest model
3.3 모델 구축 및 성능평가 결과
Table 5는 랜덤 포레스트의 변수중요도를 나타낸다. 시각, 온도, 상대습도, 풍속, 오전/오후 여부 순으로 변수중요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6은 랜덤 포레스트 모델의 교차검증 결과이다. 입력변수로 시각, 온도를 사용하고 의사결정나무의 수를 200개로, 노드에서 선택되는 변수는 1개로 설정했을
경우가 디밍 단계 예측을 위한 최적의 모델인 것으로 나타나, 해당 조건으로 랜덤 포레스트 모델을 구축했다. 추가로, 최적의 입력변수로 선정된 시각과
온도를 모두 사용한 모델과 입력변수로 시각이나 온도 중 하나의 변수만을 사용한 모델의 성능 차이를 비교해 보고자 입력변수로 시각이나 온도만을 사용한
모델을 교차검증을 통해서 각각 구축했다. 시각만을 사용한 모델은 의사결정나무의 수는 200개로, 노드에서 선택되는 변수는 1개로 설정했을 때 최적의
모델인 것으로 나타났다. 온도만을 사용한 모델은 의사결정나무의 수는 200개로, 노드에서 선택되는 변수는 1개로 설정했을 때 최적의 모델인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5. Variable importance of random forest
Ranking
|
Variable
|
Variable importance (%)
|
1
|
Hour
|
35.2
|
2
|
Temperature
|
33.1
|
3
|
Relative humidity
|
17.2
|
4
|
Wind speed
|
13.3
|
5
|
AM/PM
|
1.1
|
Table 6. Results of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random forest model using the test
set
Input variables
|
Number
of trees
|
Number of features selected in the node
|
Hour, Temperature
|
200
|
1
|
Hour
|
500
|
1
|
Temperature
|
100
|
1
|
Table 7은 구축한 랜덤 포레스트 모델의 성능을 테스트 셋을 사용해 평가한 결과를 나타낸다. 교차검증 시 최적의 모델로 선정되었던 랜덤 포레스트 모델은 총
2개의 변수(시각, 온도)를 사용해 78.85%의 정확도로 사용자의 선호 디밍 설정값을 예측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델의 RCI와 카파 인덱스는
각각 0.651과 0.714인 것으로 나타났다. 시각이나 온도 중 하나의 변수만을 사용한 모델들은 시각과 온도 모두를 사용한 모델보다는 낮은 성능을
보였다. 시각만을 사용한 모델은 63.46%의 정확도로, 온도만을 사용한 모델은 55.77%의 정확도로 사용자의 선호 디밍 설정값을 예측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7. Results of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logistic regression and random forest
models using the test set
Input variables
|
Accuracy (%)
|
RCI
|
Kappa
|
Hour, Temperature
|
78.85
|
0.651
|
0.714
|
Hour
|
63.46
|
0.481
|
0.519
|
Temperature
|
55.77
|
0.407
|
0.416
|
4. 결 론
본 논문에서는 사용시각, 온도 등의 사용환경 정보를 사용해 조명 사용자의 선호 디밍 단계를 예측하는 랜덤 포레스트 모델을 구축한 후 성능을 평가했다.
총 8가지 변수(기온, 상대습도, 강수량, 풍속, 시각, 오전/오후 여부, 요일, 주말/평일 여부)와 디밍 단계 간의 상관관계를 상관계수와 랜덤 포레스트의
변수중요도로 알아봤다. 상관계수를 기준으로는 시각, 온도, 오전/오후 여부, 상대습도, 풍속 순으로 디밍 단계와 유의한 상관성이 있으며, 강수량,
요일, 평일/주말 여부는 디밍 단계와 유의한 상관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랜덤 포레스트의 변수중요도의 경우, 시각, 온도, 상대습도, 풍속, 오전/오후
여부 순으로 디밍 단계와 상관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시각과 온도의 경우 상관계수와 변수중요도 모두에서 디밍 단계와 상관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변수중요도가 낮은 입력변수부터 하나씩 제거하며 각각 랜덤 포레스트 모델을 구축해본 결과에서도 시각과 온도를 사용한 모델의
성능이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에서 테스트 셋을 사용해 모델의 성능을 알아본 결과 랜덤 포레스트 모델은 시각, 온도 데이터를 사용해 주거공간에서
1시간 간격으로 조명 사용자의 선호 디밍 단계를 약 79%의 정확도로 예측할 수 있었다. 또한, 시각만을 사용한 모델은 약 63%의 정확도로, 온도만을
사용한 모델은 약 56%의 정확도로 조명 사용자의 선호 디밍 단계를 예측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사용환경 정보와 랜덤 포레스트를 활용한 사용자의 선호 디밍 단계 예측 방법에 대한 가능성 여부는 확인했다. 제안하는 방법은 네트워크가
연결되어 있으면 수집 가능한 정보(사용시각, 기온 등)를 사용해 사용자 개인의 조명 선호도를 고려하며 에너지도 절감시키는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다.
하지만, 랜덤 포레스트 이외에 SVM, ANN 등의 모델을 사용하거나, 추가적인 센서를 활용한 측정값을 활용할 경우 더 좋은 성능의 선호 디밍 단계
예측 모델이 구축될 수도 있다. 하지만, 이와 관련된 연구는 거의 조사되지 않았기에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제안하는 방법을
스마트 조명 시스템에 활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도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Acknowledgement
이 연구는 산업통상자원부 및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KEIT)의 연구비 지원을 받아 수행하였음. (No. 20018805)
References
I. Chew, D. Karunatilaka, C.P. Tan, and V. Kalavally, “Smart lighting: The way forward?
Reviewing the past to shape the future,” Energy and Buildings, vol. 149, pp. 180-191,
2017.
T. Labeodan, C. D. Bakker, A. Rosemann, and W. Zeiler, “On the application of wireless
sensors and actuators network in existing buildings for occupancy detection and occupancy-driven
lighting control,” Energy and Buildings, vol. 127, pp. 75-83, 2016.
H. Zou, et al., “WinLight: A WiFi-based occupancy-driven lighting control system for
smart building,” Energy and Buildings, vol. 158, pp. 924-938, 2018.
P. R. Boyce, N. H. Eklund, and S. N. Simpson, “Individual lighting control: Task performance,
mood, and illuminance,” Journal of the Illuminating Engineering Society, vol. 29,
no. 1, pp. 131-142, 2000.
S. W. Cain, et al., “Evening home lighting adversely impacts the circadian system
and sleep,” Scientific Reports, vol. 10, no. 1, pp. 1-10, 2000.
A. Pandharipande and G. R. Newsham, “Lighting controls: Evolution and revolution,”
Lighting Research & Technology, vol. 50, no. 1, pp. 115-128, 2018.
A. Zarindast and J. Wood, “A data-driven personalized smart lighting recommender system,”
Front. in Big Data, vol. 14, no. 4, p. 706117, 2021.
K. Choi and H. J. Suk, “Dynamic lighting system for the learning environment: Performance
of elementary students,” Optics Express, vol. 24, no. 10, pp. A907-16, 2016.
D. Cupkova, et al., “Intelligent human-centric lighting for mental wellbeing improve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Distributed Sensor Networks, vol. 15, no. 9, 2019.
S. H. Yoon, et al., “Indoor surveillance camera based human centric lighting control
for smart building lighting manage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vol. 8, no. 1, pp. 207-212, 2020.
S. R. Lim, D. Kang, O. A. Ogunseitan, and J. M. Schoenung, “Potential environmental
impacts of light-emitting diodes (LEDs): Metallic resources, toxicity, and hazardous
waste classification,” Environmental Science & Technology, vol. 45, no. 1, pp. 320-327,
2011.
S. Suresh, et al., “Automatic lighting and control system for classroom,” 2016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CT in Business Industry & Government (ICTBIG), pp. 1-6, 2016.
A. Pandharipande and G. R. Newsham, “Lighting controls: Evolution and revolution,”
Lighting Research & Technology, vol. 50, no. 1, pp. 115-128, 2018.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Open MET data portal,” [online] Available:http://www.data.kma.go.kr
(Accessed 9 JAN 2024)
M. Rodionova, A. Skhvediani, and T. Kudryavtseva, “Prediction of crash severity as
a way of road safety improvement: The case of Saint Petersburg,” Russia. Sustainability,
vol. 14, no. 16, p. 9840, 2022.
J. K. Kim, K. B. Lee, and S. G. Hong, “ECG-based biometric authentication using random
forest,”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and Information Engineers, vol. 54,
no. 6, pp. 100-105, 2017.
J. D. Suh, “Foreign exchange rate forecasting using the GARCH extended random forest
model,” Journal of Industrial Economics and Business, vol. 29, no. 5, pp. 1607-1628,
2016.
A. M. Prasad, L. R. Iverson, and A. Liaw, “Newer classification and regression tree
techniques: Bagging and random forests for ecological prediction,” Ecosystems, vol.
9, pp. 181-199, 2006.
M. Tan and P. Shao, “Prediction of student dropout in e-Learning program through the
use of machine learning method,” International Journal of Emerging Technologies in
Learning, vol. 10, no. 1, pp. 11-17, 2015.
C. Sitaula and M. B. Hossain, “Attention-based VGG-16 model for COVID-19 chest X-ray
image classification,” Applied Intelligence, vol. 51, pp. 2850-2863, 2021.
J. Y. Choi, S. K. Kim, J. M. Koo, and D. W. Kim, “A survival prediction model of rats
in uncontrolled acute hemorrhagic shock using the random forest classifier,” Annu
Int Conf IEEE Eng Med Biol Soc., pp. 5570-5573, 2012.
H. S. Shin and C. S. Park, “Development of a machine learning model for a chiller
using random forest algorithm and data pre-processing,”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Structure & Construction, vol. 33. no. 9, pp. 67-74, 2017.
S. B. Choi, J. Y. Choi, J. S. Park, and D. W. Kim, “ATLS hypovolemic shock classification
by prediction of blood loss in rats using regression models,” Shock, vol. 46, no.
1, pp. 92-98, 2016.
Biography
He received the Ph.D. degrees in electrical and computer engineering from University
of Seoul, Korea, in 2020. From 2019 to 2022, he was a researcher in the Department
of Information and Media Research Center at Korea Electronics Technology Institute,
Korea. Since 2022, he has been a senior researcher in the Digital Convergence Research
Headquarters at KIEL Institute, Korea.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sensor measurement,
machine learning modeling, and intelligent system.
He received the B.S. degrees in computer engineering from Tech University of Korea,
Korea, in 2022. Since 2022, he has been a senior researcher in the Digital Convergence
Research Headquarters at KIEL Institute, Korea.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IoT
network, cloud computing, and image processing.
He received the M.S.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University of Chonnam,
Korea, in 2022. Since 2022, he has been a researcher in the Digital Convergence Research
Headquarters at KIEL Institute, Korea.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sensor measurement,
power conversion system, and intelligent system.
He received the M.S.(2014) degree in the Electrical & Electronics Engineering and
Ph.D. (2021) degree in BIT Medical Convergence, from Kangwon National University.
His research interests are road ligting, tunnel lighting and light pollution. He is
currently working as a senior research engineer at KIEL Institute.
He received a master’s degree in electrical and electronic engineering from Kangwon
University in 2013. The main research interests are road lighting design and tunnel
lighting design, and he is currently working as a senior researcher at Kiel Research
Institute.
He received the M.S. degrees in business administration from Soongsil University,
Korea, in 2012. Since 2021, he has been a center manager in the Digital Convergence
Research Headquarters at KIEL Institute, Korea.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IoT
network, intelligent system, and human centric light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