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ISO Journal TitleJ Korean Inst. IIIum. Electr. Install. Eng.

  1. (Ph.D. student, Department of Electrical Engineering, Mokpo National University, Korea.)



Intermittent, Partition, Variable frequency transformer (VFT), Voltage sensitivity

1. 서 론

기후 위기의 문제가 증가함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들이 추진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라 신재생 발전량 비중은 ‘30년 21.6%, ‘36년 30.6%로 전망하고 있다[1]. 재생에너지원의 보급 및 확대는 재생에너지원의 간헐적 특성으로 인하여 전력계통의 안정도 및 신뢰성에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이러한 전력계통의 간헐성으로 인한 전력공급의 불안정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HVDC 멀티포트 계통연계를 통해 최적의 조류 제어 및 전력공급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2, 3]. 또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은 SoC를 기반으로 충/방전 제어하여 일정한 전력을 확보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4, 5]. Back to Back HVDC는 전력전달이 쉽고, 유연해서 계통연계를 위한 가장 일반적인 방법으로 사용하지만, 시스템 설계가 매우 복잡하고 비용이 비싸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에너지 저장 시스템은 피크 수요 저감, 주파수 조정, 재생에너지 출력 안정화 등의 장점을 갖고 있지만, 위치 선정, 높은 초기 투자 비용, 낮은 수명의 단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전력공급의 불안정을 해소하기 위하여 VFT(Variable Frequency Transformer)를 전력계통에 적용하고자 한다. VFT는 비동기 계통연계가 가능한 양방향 전력기기이며, 권선형 유도전동기의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로터 측과 스테이터 측에 각각 두 개의 비동기 계통을 연결하고, 주파수 차이에 따라 로터를 회전시켜 이 차이를 보정한다[6-8]. 전력계통의 간헐성에 대한 안정적인 전력공급을 위한 VFT의 설치 위치를 선정하기 위하여 전압 민감도를 근간으로 전력계통을 분할하였다. 분할된 전력계통의 지역간 사이에 VFT를 설치하고 재생에너지의 간헐적인 발전 특성에 따른 모선별 전력공급의 안전성을 분석하여 최적의 설치 위치를 선정하였다. 제안된 방식은 IEEE 39 bus system을 이용했으며, MATLAB을 통해 VFT를 적용하였을 경우의 전력공급 안정도 및 영향을 검증하였다.

2. 회전형 변압기

2.1 VFT 구성 및 원리

VFT 구조는 Fig. 1과 같이 회전형 변압기, 모터 드라이브, 콜렉터 시스템으로 이루어져 있다. 회전형 변압기는 전력교환에 사용되고, 모터 드라이브는 회전형 변압기에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회전형 변압기에 토크를 인가하고, 고정자에 상대적 회전자 위치를 조정한다. 이를 통해 전력전송의 크기와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콜렉터 시스템은 회전자 권선과 연결된 모선 사이에 전류를 전도한다[8].

Fig. 1. VFT Core components[8]

../../Resources/kiiee/JIEIE.2024.38.1.067/fig1.png

Fig. 2는 VFT의 동작원리를 나타낸 그림이다. 전력계통 1이 스테이터 측에 연결된 상태에서 드라이브 모터를 $\omega_{m}$의 속도로 회전하여 로터 측에 연결된 전력계통 2의 주파수를 제어함으로써 비동기 계통연계가 가능하다. 로터 측에서 출력되는 전력은 스테이터 측 전력과 로터의 회전속도 및 회전방향에 상대적이다. 전력계통 1 및 전력계통 2의 주파수가 60Hz로 동일한 주파수이면, 드라이브 모터가 고정되어 변압기와 유사하게 동작한다. 전력계통 2의 주파수가 55Hz로 변동하게 되면, 드라이브 모터는 5Hz로 회전한다.

Fig. 2. VFT operating principle

../../Resources/kiiee/JIEIE.2024.38.1.067/fig2.png

2.2 VFT 모델링

Fig. 3은 VFT를 통한 계통연계의 개념도로 Power System #1은 고정자, Power System #2는 회전자에 연결되어 두 개의 전력계통을 연결하게 된다.

Fig. 3. Conceptual diagram of grid connection through VFT

../../Resources/kiiee/JIEIE.2024.38.1.067/fig3.png

VFT를 통한 출력전력은 회전자 및 고정자에서의 전력과 모터 드라이브로 표현할 수 있어, 식 (1)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1)
$P_{D}=P_{s}+P_{r}$

여기서, $P_{D}$는 모터 드라이브의 토크를 통한 기계력, $P_{s}$는 고정자 전력, $P_{r}$는 회전자 전력이다.

고정자와 회전자의 권선은 동일한 자속을 연결하지만, 주파수에 따라 전압도 동일한 비율로 변화하게 되며, 식 (2)-(4)로 표현할 수 있다.

(2)
$V_{s}=N_{s}f_{s}\psi_{a}$
(3)
$V_{r}=N_{r}f_{r}\psi_{a}$
(4)
$V_{r}/N_{r}=V_{s}/N_{s}\times f_{r}/f_{s}$

여기서, $N_{s}$, $f_{s}$, $\psi_{a}$는 고정자 권선, 고정자 주파수, 에어갭 자속이며, $N_{r}$, $f_{r}$는 회전자 권선, 회전자 주파수이다. 회전자속도는 고정자와 회전자의 주파수 차이와 비례하여 회전한다.

(5)
$f_{m}=f_{s}-f_{r}$
(6)
$\omega_{m}=f_{m}\times 120/P$

여기서, $f_{m}$는 회전자 [Hz]속도, $\omega_{m}$는 회전자의 각속도, $P$는 VFT의 극수이다. 고정자에서 회전자로 전력을 전달될 때, 모터 드라이브의 구동전력은 식 (7)로 표현할 수 있다.

(7)
$P_{D}=V_{r}I_{r}(1-f_{s}/f_{r})=P_{r}(1-f_{s}/f_{r})$

여기서, $I_{r}$은 회전자 전류 크기이다. 회전자 전력은 모터 드라이브 기계력과 비례하고, 고정자 및 회전자 주파수에 영향을 받게 된다. 따라서, 모터 드라이브의 구동 토크는 식 (8)로 표현할 수 있다.

(8)
$T_{D}=P_{D}/f_{rs}=N_{r}\psi_{a}I_{r}$

송전을 위한 VFT의 경우, 거의 일정한 자속을 유지하며 동작하기 때문에, 구동 토크의 크기는 회전자 전류에만 비례한다.

3. 전력계통 분할

3.1 전기적 거리 계산

분할 기법은 네트워크를 가중치 또는 비가중 네트워크로 구분한다. 가중치 네트워크에서 선로의 가중치는 모선 간의 유사성 또는 거리를 의미한다. 본 논문에서는 전압-무효전력 민감도 행렬을 이용하여 전기적 거리를 계산한다. 전압 민감도를 전기적 거리로 선정하며, 이를 통해 전압제어 지역으로 분할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9].

전압제어 지역을 설정하기 위하여 쟈코비안 행렬에서 전압-무효전력 민감도를 사용한다. 쟈코비안 행렬은 식 (9)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9)
$ \begin{align*} [\begin{aligned}\triangle P\\\triangle Q\end{aligned}]=\left[\begin{matrix}J_{11}&J_{12}\\J_{21}&J_{22}\end{matrix}\right][\begin{aligned}\triangle\theta \\\triangle V\end{aligned}] \end{align*}$

여기서, $P,\: Q,\: \theta ,\: V$는 각각 유효전력, 무효전력, 위상각, 전압의 크기를 의미한다. 전압과 무효전력 간의 민감도는 식 (9)의 $J_{22}$으로 구할 수 있다. 따라서, $i$번째 모선과 $j$번째 모선 간의 전기적 거리는 식 (10)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10)
$e_{i,\: j}=\dfrac{(J_{22})_{i,\: j}+(J_{22})_{j,\: i}}{2}$

송전선로의 임피던스가 매우 작을 때, 두 모선 간의 전기적 가중치는 일반적으로 매우 크게 되며, 이는 두 모선 간의 연결이 매우 가깝다는 것을 의미한다.

Table 1 및 2는 본 논문에서 이용한 IEEE 39 Bus system의 발전용량 및 부하에 관한 사양을 나타내며, Table 3은 모선과 모선 사이의 전기적 거리를 전압 민감도를 통하여 계산한 값이다.

Table 1. Generator data from IEEE 39 bus system

Bus

$P_{g}(MW)$ $Q_{g}(Mvar)$

Bus

$P_{g}(MW)$ $Q_{g}(Mvar)$

30

250

162

35

650

210

31

520

221

36

560

100

32

650

207

37

540

-1.37

33

632

108

38

830

21.7

34

508

167

39

1000

78.5

Table 2. Load data of IEEE 39 bus system

Bus

$P_{L}(MW)$ $Q_{L}(Mvar)$

Bus

$P_{L}(MW)$ $Q_{L}(Mvar)$

1

97.6

44.2

21

274

115

3

322

2.4

23

247.5

84.6

4

500

184

24

308.6

-92.2

7

233.8

84

25

224

47.2

8

522

176.6

26

139

17

9

6.5

-66.6

27

281

75.5

12

8.53

88

28

206

27.6

15

320

153

29

283.5

26.9

16

329

32.3

31

9.2

4.6

18

158

30

39

1104

250

20

680

103

Table 3. Electrical distance between bus

Bus

Electrical distance

Bus

Electrical distance

1-2

2.2370

14-15

3.9052

1-39

1.7099

15-16

10.5872

2-3

6.1105

16-17

9.3774

2-25

63.1136

16-19

4.5170

2-30

2.5000

16-21

4.6583

3-4

2.9555

16-24

9.2128

3-18

6.5669

17-18

11.0252

4-5

4.9133

17-27

4.6383

4-14

4.8669

19-20

3.5983

5-6

29.8290

19-33

6.2514

5-8

6.3653

20-34

4.9842

6-7

7.0995

21-22

5.9826

6-11

10.5562

22-23

7.1177

6-31

6.6867

22-35

6.5000

7-8

18.6908

23-24

3.5124

8-9

1.8011

23-36

5.5797

9-39

1.7084

25-26

3.3809

10-11

22.1207

25-37

5.3967

10-13

22.1542

26-27

7.0132

10-32

6.5000

26-28

2.0947

11-12

0.8513

26-29

1.9152

12-13

0.8526

28-29

6.7071

13-14

8.9889

29-38

8.2671

3.2 스펙트럼 클러스터링을 통한 분할

전력계통 분할 방식은 주로 내부 구조적 연결을 무시하고 운영자의 경험을 기반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모선 간의 관계를 얻기 위해서 그래프 모델을 구축한다. 모선은 $v_{i}$, 모선 간의 사이의 송전선로를 $e_{ij}$으로 하며, 무방향 그래프 $G=(V,\: E)$로 단순화 한다. 여기서, $V$는 모선 $v_{i}$의 집합이고 $E$는 송전선로 $e_{ij}$의 집합이다. 그래프 인접행렬 $A$와 차수행렬 $D$의 요소는 식 (11), (12)로 나타낼 수 있다[10, 11].

(11)
$w_{ij}=\begin{cases} 1& e_{ij}\in E\\ 0& e_{i}\notin E \end{cases}$
(12)
$d_{ij}=\begin{cases} \sum_{j}w_{ij}& i=j\\ 0& i\ne j \end{cases}$

여기서 $w_{ij}$는 인접행렬 $W$의 행렬 요소를 나타내고, $d_{ij}$는 차수행렬 $D$의 행렬 요소를 나타낸다. 무방향 그래프에서 인접행렬은 $w_{ij}=w_{ji}$이다. Fig. 4은 전력계통의 그래프 이론의 개념도를 나타낸다.

Fig. 4. Graph theory concept of power system

../../Resources/kiiee/JIEIE.2024.38.1.067/fig4.png

스펙트럼 클러스터링 알고리즘은 정규화되지 않은 클러스터링과 정규화된 스펙트럼 클러스터링의 두가지 유형으로 구분된다. 두 유형의 주요 차이점은 라플라시안 행렬이 어느 정도 정규화되었는지의 여부이다. 대칭 라플라시안 행렬을 기반으로 한 정규화된 라플라시안 클러스터링 알고리즘은 다음과 같다.

Input : $n$샘플 포인트 $X=\left\{x_{1},\: x_{2},\: ...,\: x_{n}\right\}$, 클러스터 수 $k$.

$n\times n$차 유사성 행렬 $S$를 계산한다.

차수 행렬 $D$를 계산한다.

정규화된 라플라시안 행렬$L_{sym}$을 계산한다.

$L_{sym}=D^{-1/2}LD^{-1/2}(D-S)D^{-1/2}$

$L_{sym}$의 고유값을 계산하고 행렬 $L_{rw}$의 초기 k개의 고유벡터를 열로 하는 행렬 $u_{1,\:}u_{2,\: ...,\: }u_{k}$로 가져온다.

위의 $k$개 열 벡터를 행렬 $U=\left\{u_{1},\: u_{2},\: ...,\: u_{k}\right\}$, $U\in R^{n\times k}$으로 구성한다.

$y_{i}\in R^{k}$는 $U$의 $i$번째 행에 있는 벡터를 나타낸다. $i=1,\: 2,\: ...,\: n$

$y_{i}\in R^{k}$를 $\left | y_{i}^{*}\right | =1$가 되도록 정규화 한다.

k-means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새 샘플 포인트 $Y^{*}=\left\{y_{1}^{*},\: y_{2}^{*},\: ...,\: y_{n}^{*}\right\}$를 클러스터 $C_{1},\: C_{2},\: ...,\: C_{k}$로 클러스터링 한다.

Output : 클러스터 $A_{1},\: A_{2},\: ...,\: A_{k}A_{i}=\left\{j vert y_{i}\in C_{i}\right\}$.

인접행렬에 전기적 거리를 가중치로 적용하여 유사성 $s_{ij}=s(v_{i},\: v_{j})$을 구할 수 있으며, 유사성 행렬 $S=(s_{ij})_{i,\: j=1,\: ...,\: n}$으로 나타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39개의 모선의 데이터를 사용하였기 때문에 39개의 샘플 포인트를 입력하였으며, $k$는 3으로 지정하였다. Table 4는 전압 민감도를 가중치로 하여 스펙트럼 클러스터링한 것으로 모선을 3개의 구역으로 분할하였다.

Table 4. Partition according to voltage sensitivity

Partition

Bus

1

1, 2, 3, 18, 25, 26, 27, 28,

29, 30, 37, 38, 39

2

4, 5, 6, 7, 8, 9, 10, 11,

12, 13, 14, 31, 32

3

15, 16, 17, 19, 20, 21, 22, 23,

24, 33, 34, 35, 36

Fig. 5는 3개의 구역으로 분할한 IEEE 39 Bus system을 도식화한 것이다. 각 구역은 서로 연결된 선로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모선별 전력공급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연결된 선로에 VFT를 설치하는 것이 타당하다. 따라서, 모선 3-4, 9-39, 14-15, 17-18, 17-27의 사이의 선로를 VFT 설치 위치로 선정하였으며,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최적 위치를 선정하고자 한다.

Fig. 5. Partition applied to IEEE 39 bus system

../../Resources/kiiee/JIEIE.2024.38.1.067/fig5.png

4. 시뮬레이션

본 논문은 간할적인 전력공급의 안전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발전기의 출력을 제한하는 모의시험을 수행하였으며, 이에 따라 모선에 공급되는 전력의 변동률을 MATLAB으로 분석하였다. 전력변동률은 전력변동 전과 전력변동 후의 차를 전력변동 전으로 나눈 값으로, 전력변동이 일어나기 직전의 전력대비 전력변동 후의 전력이 얼마나 변했는지를 측정한 것이다[12]. VFT 설치 위치는 계통분할을 통하여 선정한 모선 3-4, 9-39, 14-15, 17-18, 17-27의 사이이며, Point A, B, C, D, E로 지정한다. Fig. 6은 계통분할을 통한 VFT 설치 위치를 표현한 것이다. Table 5는 VFT 파라미터를 나타낸 것이다.

Fig. 6. VFT installation location point through power system partition

../../Resources/kiiee/JIEIE.2024.38.1.067/fig6.png

Table 5. VFT Parameter

Parameter

Values

Parameter

Values

Stator resistance

0.5968 [Ohms]

Stator leakage inductance

0.00035 [H]

Rotor resistance

0.6258 [Ohms]

Rotor leakage inductance

0.00547 [H]

Turn ratio

1

Mutual inductance

0.0354 [H]

모의시험은 정상상태에서 발전기 G1의 출력을 50%로 제한해 진행하였으며, 제한된 발전기는 10개의 발전기 중 발전용량이 가장 큰 G1 발전기로 선정하였다.

Fig. 7은 VFT 설치 위치에 따른 모의시험 결과이다. 연한색 막대 그래프는 VFT를 설치하지 않을 때의 전력변동률이고, 진한색 막대 그래프는 VFT를 설치하였을 때의 전력변동률이다. (a)-(e)는 Point A, B, C, D, E에 각각 설치하였을 경우 전력변동률을 나타내는 그림이다. (a)에서 모선 9, 6, 24은 53.11%, 27.59%, 19.87%의 순서로 감소하였고, 모선 1, 5, 15는 48.05%, 12.82%, 9.24%의 순서로 증가하였다. (b)에서 모선 6, 24, 9는 75.40%, 64.92%, 38.85%의 순서로 감소하였고, 모선 1, 5, 26은 56.39%, 17.01%, 15.45%의 순서로 증가하였다. (c)에서 모선 24, 9, 4는 73.59%, 9.63%, 6.12%의 순서로 감소하였고, 모선 1, 3, 12은 7.23%, 2.99%, 2.48%의 순서로 증가하였다. (d)에서 모선 24, 6, 9는 62.89%, 59.13%, 56.90%의 순서로 감소하였고, 모선 4, 21, 30은 1916%, 294.43%, 157.29%의 순서로 증가하였다. (e)에서 모선 24, 6, 9는 69.01%, 56.96%, 52.23%의 순서로 감소하였고, 모선 26, 30, 2는 499%, 193%, 94.70%의 순서로 증가하였다. 이때, 일부 모선은 정상상태 보다 전력의 유입 및 유출이 급격히 증가하는 특이점을 확인하였으며, Point B에서 VFT 설치 유무에 따른 전력변동률이 가장 크게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전력공급의 안정성을 위하여 VFT를 설치하기에 가장 효과적인 위치는 Points B가 가장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Fig. 7. Power variability according to VFT installation status (a) VFT installation at point A, (b) VFT Installation at point B, (c) VFT Installation at point C, (d) VFT Installation at point D, (e) VFT Installation at point E

../../Resources/kiiee/JIEIE.2024.38.1.067/fig7-1.png

../../Resources/kiiee/JIEIE.2024.38.1.067/fig7-2.png

../../Resources/kiiee/JIEIE.2024.38.1.067/fig7-3.png

../../Resources/kiiee/JIEIE.2024.38.1.067/fig7-4.png

../../Resources/kiiee/JIEIE.2024.38.1.067/fig7-5.png

5. 결 론

본 논문에서는 VFT를 이용하여 간헐성이 있는 재생에너지원이 포함된 전력계통의 전력공급 안정도 향상 방안에 대해 연구하였다. VFT를 적용하기 위해 전압 민감도를 근간으로 전력계통을 분할하여 최적의 설치 위치를 선정하였고, MATLAB을 통해 VFT를 적용하였을 경우의 전력공급 안정도 및 영향을 검증하였다. 모의시험을 통한 시뮬레이션 결과, 출력이 제한된 발전기가 VFT 설치 위치에 가까울수록 전력변동률의 감소 효과가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으며, 전력계통의 간헐성에 대해 안정적인 전력공급 성능을 검증하였다.

Acknowledgement

본 연구는 한국전력공사의 2022년 착수 사외공모 기초연구 사업에 의해 지원되었음. (과제번호: R22XO02-20) 또한, 이 성과는 정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No.NRF-2022R1A2C101 3445)

References

1 
Ministry of Trade, “10th basic electricity supply and demand plan,” 2023.URL
2 
Fazel Mohammadi, “Power management and protection in MT-HVDC systems with the integration of high-voltage charging stations,” University of Windsor, 2019.URL
3 
Weixing Lin and D. Jovcic, “High reliability multiport multiphase DC hub,” 2013 IEEE Industry Applications Society Annual Meeting, pp. 1-8, 2013.DOI
4 
Bo-Seok Sim, Jun-Hyeok Kim, Soon-Jeong Lee, and Chul-Hwan Kim, “Development of EV charging scheme considering distributed generation and energy storage system,”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conference, pp. 521-522, 2015.URL
5 
Bo-Seok Sim, “A study on SoC-based ESS coordinated control for stabilizing renewable energy output,” Sungkyunkwan University, 2017.URL
6 
Jeonghyo Lee, “VFT (Variable Frequency Transformer) grid connection method,” The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vol. 33, no. 5, pp. 21-28, 2019.URL
7 
D. Nadeau, “A 100-MW variable frequency transformer (VFT) on the hydro-québec transÉnergie network - The behavior during disturbance,” 2007 IEEE Power Engineering Society General Meeting, pp. 1-5, 2007.DOI
8 
R. J. Piwko, E. V. Larsen, and C. A. Wegner, “Variable frequency transformer - A new alternative for asynchronous power transfer,” 2005 IEEE Power Engineering Society Inaugural Conference and Exposition in Africa, pp. 393-398, 2005.DOI
9 
Y. Yang, et al., “Fast power grid partition for voltage control with balanced-depth-based community detection algorithm,” in IEEE Transactions on Power Systems, vol. 37, no. 2, pp. 1612-1622, 2022.DOI
10 
H. Gu, X. Chu, and Y. Liu, “Partitioning active distribution networks by using spectral clustering,” 2020 IEEE Sustainable Power and Energy Conference (iSPEC), pp. 510-515, 2020.DOI
11 
L. Ding, F. M. Gonzalez-Longatt, P. Wall, and V. Terzija, “Two-step spectral clustering controlled islanding algorithm,” in IEEE Transactions on Power Systems, vol. 28, no. 1, pp. 75-84, 2013.DOI
12 
J. Xu, et al., “CVR-based real-time power fluctuation smoothing control for distribution systems with high penetration of PV and experimental demonstration,” in IEEE Transactions on Smart Grid, vol. 13, no. 5, pp. 3619- 3635, 2022.DOI

Biography

Jae-Deok Park
../../Resources/kiiee/JIEIE.2024.38.1.067/au1.png

He received his BSEE in 2019 and MSEE in 2021 at Mokpo National University. He is currently a Ph.D. cours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the Mokpo National University of Korea. His primary work is in the areas of Power grid connection and Power Conversion device design.

Tae-Hun Kim
../../Resources/kiiee/JIEIE.2024.38.1.067/au2.png

He received his B.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the Mokpo National University of Korea, in 2017. He has M.S.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the Mokpo National University of Korea, in 2020. He is currently a Ph.D. cours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the Mokpo National University of Korea.

Byeong-Hyeon An
../../Resources/kiiee/JIEIE.2024.38.1.067/au3.png

He received a BSEE and MSEE from Mokpo National University of Korea and he is currently Ph.D. cours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the Mokpo National University of Korea since 2021. His primary work is in the areas of Power grid connection and Power Conversion device design.

Jun-Soo Che
../../Resources/kiiee/JIEIE.2024.38.1.067/au4.png

He received his B.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the Mokpo National University of Korea, in 2019. He has M.S.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the Mokpo National University of Korea, in 2021. He is currently a Ph.D. cours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the Mokpo National University of Korea.

Tae-Sik Park
../../Resources/kiiee/JIEIE.2024.38.1.067/au5.png

He received the Ph.D. degree from Korea University, in 2000, in electrical engineering. He was with Samsung Advanced Institute of Technology as a Senior Research Engineer in 2000. From 2005 to 2013, he was an administrative official at Korea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Daejeon, Korea. In 2011, he was a Research Fellow at the University of Michigan-Dearborn. In 2013, he joined the Department of Electrical and Control Engineering, Mokpo National University, Chonnam, Korea, where he is currently Professor.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power electronics, Power Systems, and Power Equip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