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ISO Journal TitleJ Korean Inst. IIIum. Electr. Install. Eng.

  1. (Ph.D. course, Department of Electrical Engineering, Hanyang University, Korea )



Dual-winding, EPS(Electrical power steering) motor, Mutual inductance, Winding arrangement

1. 서 론

1.1 연구의 배경

자동차의 조향 시스템은 주행 안전성에 가장 많이 기여하는 부분으로 이를 구성하는 조향용 전동기 및 제어기 등의 부품들은 최상의 자동차 안전 등급인 ASIL (automotive safety integrity level)-D에 해당되며 엄격한 신뢰성과 안전 사항이 요구된다[1, 2]. 최근 능동 안전 조향(active safety), 자동 주차(automated parking)와 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ADAS,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등의 기술이 상용화되어 운전자의 편의와 안전에 도움을 주고 있다[2].

전동식 조향(electric power steering) 시스템의 도입 초기에는 소형차 위주로 채용되어 시스템 결함 발생되는 경우 시스템의 전원 공급 차단되어 조향 보조 기능의 상실되더라도 운전자의 힘으로 수동 조향이 가능하였다. 하지만 전동식 조향 시스템의 적용이 확대됨에 따라 중대형 차량에서는 결함발생시 전동기로부터의 조향 보조기능이 상실되면 운전자에게는 조향이 매우 어려운 상황이 된다. 이로 인해 현재에는 결함이 발생되더라도 주기능인 조향 보조 기능을 유지할 수 있는 fault-tolerant 또는 fault-operation system이 요구되며 Fig. 1의 기능 중복 개념의 redundancy 시스템 설계가 필요하다. 이러한 강화된 조향시스템의 안전 규격을 만족시키기 위해 Fig. 2와 같이 2개의 3상 권선을 가지는 이중 권선 전동기의 채용이 증가되고 있다[3].

Fig. 1. Redundancy design system

../../Resources/kiiee/JIEIE.2024.38.1.074/fig1.png

Fig. 2. Configuration of dual winding motor

../../Resources/kiiee/JIEIE.2024.38.1.074/fig2.png

1.2 연구의 목적 및 방법

이중 권선은 다양한 극-슬롯 조합의 전동기에 적용될 수 있으며 동일한 극-슬롯 전동기에서도 여러 경우의 권선을 배치할 수 있다. 두개의 3상 권선에 전원이 공급되어 정상적으로 동작되는 이중 권선 전동기는 동일한 극-슬롯을 가지는 일반 3상 전동기와 동일한 특성을 가진다. 하지만 하나의 3상 권선에서 결함 발생되어 나머지 하나의 3상 권선으로만 운전될 때에는 권선 배치 방법에 따라 전동기의 특성 차이가 발생 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많은 선행 연구들이 존재하지만[4-9], 이중 권선 배치에 따른 전동기 특성 차이에 대한 원인을 분석한 연구 자료는 없는 상태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8극 12슬롯 영구자석 표면부착형 동기전동기를 대상으로 이중 권선 배치별 하나의 3상 권선으로만 구동시 전동기의 토크 특성에 대한 원인을 규명하였다. 이를 위해 권선 배치별 쇄교자속의 분포로부터 인덕턴스를 정의하였고 하나의 3상 권선으로만 구동시 전압방정식으로부터 토크식을 도출하여 수학적 모델을 제시하였다. 각 권선 배치별 정의된 인덕턴스를 수학적 모델에 대입하여 토크 특성을 비교하였으며 수학적 모델에 의한 결과는 유한요소 해석 통한 결과와 비교하여 본 논문의 타당성을 입증하였다.

2. 권선 배치별 쇄교자속 및 인덕턴스

2.1 정상 시 인덕턴스

8극 12슬롯 전동기에 이중 권선을 시행할 경우 Fig. 3과 같이 4가지 조합의 권선 배치를 고려할 수 있다. Fig. 3에서 a1, b1, c1로 표현된 첫 번째 3상 권선은 Motor1의 역할을 하고, a2, b2, c2는 두 번째 3상 권선으로 Motor2 역할을 한다. winding case1의 경우는 두 개의 3상 권선이 기계각 180도 간격으로 배치된 경우이며, winding case2는 90도 간격, winding case3과 winding case4는 각각 1개 슬롯과 2개 슬롯 간격으로 구성된 경우이다.

Fig. 3. Dual winding arrangement of 8pole 12slot (a) winding case1 (b) winding case2 (c) winding case3 (d) winding case4

../../Resources/kiiee/JIEIE.2024.38.1.074/fig3.png

Fig. 4는 왼쪽부터 각각 a상, b상, c상 전류가 여자된 경우의 자속분포를 나타낸다. 2개의 3상 권선에 전류가 인가되는 정상적인 경우 Fig. 3에서 정의한 4가지 권선 배치별 자속의 분포는 Fig. 4와 같이 동일하게 나타난다. Fig. 4에서 각 상 권선에 의해 발생된 자속은 양옆의 인접한 고정자 치로 1/2씩 분배되어 흐르게 된다. 이 경우의 각 권선에 쇄교되는 자속은 d축과 q축 자속이 동일한 영구자석 표면 부착형 전동기에서 누설 자속이 없다고 가정한다면 식 (1)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식 (1)에서와 같이 상호 인덕턴스는 자기 인덕턴스의 크기에 1/2이 되며 모든 상호 인덕턴스 항은 동일한 값을 가진다[10].

(1)
$ \lambda_{abc}^{ss}=L_{s}i_{abc}=\begin{bmatrix}L_{a}&M_{ab}&M_{ac}\\M_{ba}&L_{b}&M_{bc}\\M_{ca}&M_{cb}&L_{c}\end{bmatrix}\begin{bmatrix}i_{a}\\i_{b}\\i_{c}\end{bmatrix}\\ =L_{0}\begin{bmatrix}1&-\dfrac{1}{2}&-\dfrac{1}{2}\\-\dfrac{1}{2}&1&-\dfrac{1}{2}\\-\dfrac{1}{2}&-\dfrac{1}{2}&1\end{bmatrix}\begin{bmatrix}i_{a}\\i_{b}\\i_{c}\end{bmatrix} $

여기서,

$\lambda_{abc}^{ss}$ : 고정자 3상 권선의 쇄교자속,

$L_{s}$ : 고정자 3상 권선의 인덕턴스,

$i_{abc}$ : 3상 전류,

$L_{0}$ : 누설 자속이 없고 d축과 q축 인덕턴스가 동일한 조건에서의 자기 인덕턴스 항이다.

Fig. 4. Magnetic flux distribution at healthy condition (a) only $i_{a}\ne 0$ (b) only $i_{b}\ne 0$ (c) only $i_{c}\ne 0$

../../Resources/kiiee/JIEIE.2024.38.1.074/fig4.png

2.2 권선 배치별 하나의 3상 권선의 인덕턴스

Fig. 3에서 Motor2의 3상 권선(a2, b2, c2)에서 결함이 발생되어 Motor1의 3상 권선(a1, b1, c1)으로만 구동되어야 하는 경우 winding case1의 각 상 권선에 의한 자속 분포는 Fig. 5와 같다. Fig. 5(b)는 b1상만 여자 시켰을 때 자속 선도를 나타내며 b1상에서 발생된 자속은 균일하게 1/2씩 나뉘어져 a1상과 c1상에 쇄교된다. 앞서 2.1절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호인덕턴스는 자기인덕턴스 크기의 1/2이 된다. 하지만 a1상만 여자된 Fig. 5(a)의 경우 두 개의 c1상 권선 중에 1시 방향 권선에만 자속이 쇄교하고 10시 방향의 c1상 권선에는 쇄교자속이 매우 작다. 이때, 여자된 권선의 자속이 양 옆의 인접한 고정자 치로만 쇄교한다고 가정하면 10시 방향의 c1상에는 쇄교되는 자속이 없다고 볼 수 있다. c1상만 여자된 Fig. 5(c)의 경우 두 개의 a1상 권선 중 하나의 권선은 c1상에서 발생한 자속이 쇄교하나 나머지 하나의 3시 방향의 a1권선은 c1상에서 발생한 자속이 없다. 따라서 하나의 3상 권선에 의한 자속 분포는 정상시와 다르게 나타나며 이를 인덕턴스 형태로 표현시 식 (2)와 같이 상호 인덕턴스의 값이 서로 달라지게 된다.

Fig. 5. Magnetic flux distribution by only motor1 at winding case1 (a) only $i_{a}\ne 0$ (b) only $i_{b}\ne 0$ (c) only $i_{c}\ne 0$

../../Resources/kiiee/JIEIE.2024.38.1.074/fig5.png
(2)
$ L_{case1}=\begin{bmatrix}L_{a1}&M_{a1b1}&\dfrac{1}{2}M_{a1c1}\\M_{b1a1}&L_{b1}&M_{b1c1}\\\dfrac{1}{2}M_{c1a1}&M_{c1b1}&L_{c1}\end{bmatrix}\\ =2L_{0}\begin{bmatrix}1&-\dfrac{1}{2}&-\dfrac{1}{4}\\-\dfrac{1}{2}&1&-\dfrac{1}{2}\\-\dfrac{1}{4}&-\dfrac{1}{2}&1\end{bmatrix} $

Fig. 6. Magnetic flux distribution by only motor1 at winding case2 (a) only $i_{a}\ne 0$ (b) only $i_{b}\ne 0$ (c) only $i_{c}\ne 0$

../../Resources/kiiee/JIEIE.2024.38.1.074/fig6.png

동일한 방법으로 winding case2에 대한 자속 분포는 Fig. 6과 같으며 a1상 권선 여자시에는 Fig. 6(a)와 같이 두 c1상 권선 모두 쇄교 자속이 존재하지 않으며 Fig. 6(c)에서는 두 a1 권선 모두 쇄교 자속이 없다. 이 관계를 인덕턴스 식으로 표현하면 식 (3)와 같으며 case1과 마찬가지로 상호 인덕턴스 값들이 서로 다르게 나타난다.

(3)
$ L_{case2}=\begin{bmatrix}L_{a1}&M_{a1b1}&0\\M_{b1a1}&L_{b1}&M_{b1c1}\\0&M_{c1b1}&L_{c1}\end{bmatrix}\\ =2L_{0}\begin{bmatrix}1&-\dfrac{1}{2}&0\\-\dfrac{1}{2}&1&-\dfrac{1}{2}\\0&-\dfrac{1}{2}&1\end{bmatrix} $

winding case3의 경우에는 하나의 3상 권선이 한 슬롯 간격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Fig. 7과 같이 여자된 고정자 치에 인접한 권선에는 쇄교되는 자속이 존재하지 않게 되고 식 (4)와 같이 모든 상호 인덕턴스의 항들이 0으로 표현된다.

Fig. 7. Magnetic flux distribution by only motor1 at winding case3 (a) only $i_{a}\ne 0$ (b) only $i_{b}\ne 0$ (c) only $i_{c}\ne 0$

../../Resources/kiiee/JIEIE.2024.38.1.074/fig7.png
(4)
$L_{case3}=\begin{bmatrix}L_{a1}&0&0\\0&L_{b1}&0\\0&0&L_{c1}\end{bmatrix}=2L_{0}\begin{bmatrix}1&0&0\\0&1&0\\0&0&1\end{bmatrix}$

또한 winding case4에서는 Fig. 8과 같이 여자된 상 권선 자속에 쇄교되지 못하는 다른 상 권선이 하나씩 존재하기 때문에 모든 상호 인덕턴스의 크기가 기존의 1/2배가 되어 최종 1/4로 식 (5)와 같이 표현된다.

Fig. 8. Magnetic flux distribution by only motor1 at winding case4 (a) only $i_{a}\ne 0$ (b) only $i_{b}\ne 0$ (c) only $i_{c}\ne 0$

../../Resources/kiiee/JIEIE.2024.38.1.074/fig8.png
(5)
$ L_{case4}=\begin{bmatrix}L_{a1}&\dfrac{1}{2}M_{a1b1}&\dfrac{1}{2}M_{a1c1}\\\dfrac{1}{2}M_{b1a1}&L_{b1}&\dfrac{1}{2}M_{b1c1}\\\dfrac{1}{2}M_{c1a1}&\dfrac{1}{2}M_{c1b1}&L_{c1}\end{bmatrix}\\ =2L_{0}\begin{bmatrix}1&-\dfrac{1}{4}&-\dfrac{1}{4}\\-\dfrac{1}{4}&1&-\dfrac{1}{4}\\-\dfrac{1}{4}&-\dfrac{1}{4}&1\end{bmatrix} $

3. 하나의 3상 권선으로 구동시의 수학적 모델

앞서 살펴 본 이중 권선 전동기에서 권선 배치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상호 인덕턴스에 의한 전동기 특성을 검토하기 위해, 두 3상 권선간 상호 인덕턴스가 존재한다고 가정하면 두 권선간 인덕턴스는 식 (6)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6)
$\begin{bmatrix}L_{dq11}&L_{dq12}\\L_{dq21}&L_{qq11}\end{bmatrix}\\ =\begin{bmatrix}C_{dq}^{abc}&0\\0&C_{dq}^{abc}\end{bmatrix}\begin{bmatrix}L_{abc11}&L_{abc12}\\L_{abc21}&L_{abc22}\end{bmatrix}\begin{bmatrix}C_{abc}^{dq}&0\\0&C_{abc}^{dq}\end{bmatrix}$

여기서,

$L_{dq11}$ , $L_{dq22}$: 두 권선의 dq 인덕턴스,

$L_{dq12}$ , $L_{dq21}$: 두 dq축간 상호 인덕턴스,

$L_{abc11}$ , $L_{abc22}$: 두 3상의 인덕턴스,

$L_{abc12}$ , $L_{abc21}$: 두 3상간 상호 인덕턴스,

$C_{dq}^{abc}$ , $C_{abc}^{dq}$ : 좌표변환행렬과 역변환행렬로써 각각 아래와 같다[10, 11].

(7)
$C_{dq}^{abc}=\dfrac{2}{3}\begin{bmatrix}\cos\theta_{e}&\cos\left(\theta_{e}-\dfrac{2}{3}\pi\right)&\cos\left(\theta_{e}+\dfrac{2}{3}\pi\right)\\\sin\theta_{e}&\sin\left(\theta_{e}-\dfrac{2}{3}\pi\right)&\sin\left(\theta_{e}+\dfrac{2}{3}\pi\right)\end{bmatrix}$
(8)
$C_{abc}^{dq}=C_{dq}^{abc^{-1}}\\ =\begin{bmatrix}\cos\theta_{e}&-\sin\theta_{e}\\\cos\left(\theta_{e}-\dfrac{2}{3}\pi\right)& -\sin\left(\theta_{e}-\dfrac{2}{3}\pi\right)\\\cos\left(\theta_{e}+\dfrac{2}{3}\pi\right)&-\sin\left(\theta_{e}+\dfrac{2}{3}\pi\right)\end{bmatrix}$

이때 두 번째 3상 권선(a2, b, c2)의 전원이 차단되어 첫 번째 3상 권선(a1, b1, c1)으로만 구동시에는 식 (6)에서 첫 번째 권선에 대한 인덕턴스 성분인 $L_{dq11}$만 존재하게 되어 식 (9)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9)
$L_{dq11}=\begin{bmatrix}L_{dd}&L_{dq}\\L_{qd}&L_{qq}\end{bmatrix}=C_{dq}^{abc}\begin{bmatrix}L&M_{1}&M_{2}\\M_{1}&L&M_{3}\\M_{2}&M_{3}&L\end{bmatrix}C_{abc}^{dq}$

그리고 각 dq인덕턴스를 구하면 식 (10)에서 부터 (13)까지 나타낼 수 있다.

(10)
$ L_{dd}=L-\dfrac{M_{1}+M_{2}+M_{3}}{3}\\ +\dfrac{2}{3}\left[\begin{aligned}M_{1}\cos\left(2\theta_{e}-\dfrac{2}{3}\pi\right)\\ +M_{2}\cos\left(2\theta_{e}+\dfrac{2}{3}\pi\right)+M_{3}\cos 2\theta_{e}\end{aligned}\right] $
(11)
$ L_{dq}=\\ -\dfrac{2}{3}\left[\begin{aligned}M_{1}\sin\left(2\theta_{e}-\dfrac{2}{3}\pi\right)\\ +M_{2}\sin\left(2\theta_{e}+\dfrac{2}{3}\pi\right)+M_{3}\sin 2\theta_{e}\end{aligned}\right] $
(12)
$ L_{qd}=\\ -\dfrac{2}{3}\left[\begin{aligned}M_{1}\sin\left(2\theta_{e}-\dfrac{2}{3}\pi\right)\\ +M_{2}\sin\left(2\theta_{e}+\dfrac{2}{3}\pi\right)+M_{3}\sin 2\theta_{e}\end{aligned}\right] $
(13)
$ L_{qq}=L-\dfrac{M_{1}+M_{2}+M_{3}}{3}\\ -\dfrac{2}{3}\left[\begin{aligned}M_{1}\cos\left(2\theta_{e}-\dfrac{2}{3}\pi\right)\\ +M_{2}\cos\left(2\theta_{e}+\dfrac{2}{3}\pi\right)+M_{3}\cos 2\theta_{e}\end{aligned}\right] $

상호 인덕턴스(M1, M2, M3)의 크기가 서로 다른 경우 각각 식 (10)의 Ldd와 식 (13)의 Lqq의 3번째 항이 0이 되지 않아 d축과 q축 인덕턴스의 크기가 서로 달라지며 일정하지 않은 형태가 된다. 마찬가지로, 상호 인덕턴스의 크기가 서로 다른 경우 식 (11)과 식 (12)로부터 Ldq와 Lqd도 0이 되지 않아 d축과 q축간의 상호 인덕턴스항이 존재하게 된다. 이는 앞서 2.2절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권선 배치 방식에 따라 상호 인덕턴스의 크기가 서로 다른 경우(winding case1과 winding case2)가 존재하므로 dq축 인덕턴스가 회전자 위치에 따라 일정하지 않는 특성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하나의 3상 권선으로만 구동시의 전압방정식은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14)
$ V_{d}=R_{a}i_{d}+p\lambda_{d}-\omega_{e}\lambda_{q}\\ V_{q}=R_{a}i_{q}+p\lambda_{q}+\omega_{e}\lambda_{d} $

여기서,

$V_{d}$, $V_{q}$ : d축과 q축 전압,

$i_{d}$, $i_{q}$ : d축과 q축 전류,

$R_{a}$ : 권선 저항, $p$ : 미분연산자, $\omega_{e}$ : 전기각속도,

$\lambda_{d}$, $\lambda_{q}$ : d축과 q축 쇄교 자속으로 각각 아래와 같다.

(15)
$ \lambda_{d}=L_{dd}i_{d}+L_{dq}i_{q}+\lambda_{m}\\ \lambda_{q}=L_{qd}i_{d}+L_{qq}i_{q} $

여기서,

$L_{dd}$, $L_{qq}$ : d축과 q축 인덕턴스,

$L_{dq}$, $L_{qd}$ : d축과 q축 상호 인덕턴스,

$\lambda_{m}$ : 영구자석에 의한 쇄교자속

(15)을 이용하여 식 (14)의 전압방정식에 대입하면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16)
$ V_{d}=R_{a}i_{d}+p L_{dd}i_{d}+p L_{dq}i_{q}\\ -\omega_{e}L_{qq}i_{q}-\omega_{e}L_{qd}i_{d}\\ V_{q}=R_{a}i_{q}+p L_{qq}i_{q}+p L_{qd}i_{d}\\ +\omega_{e}L_{dd}i_{d}+\omega_{e}L_{dq}i_{q}+\omega_{e}\lambda_{m} $

그리고 이 전압방정식을 이용하여 전력식으로 전개하면 다음과 같다.

(17)
$ P=\dfrac{3}{2}\left(V_{d}i_{d}+V_{q}i_{q}\right)=\dfrac{3}{2}\left(R_{a}i_{d}^{2}+R_{a}i_{q}^{2}\right)\\ +\dfrac{3}{2}\dfrac{d W_{m}}{dt}+\dfrac{3}{2}\dfrac{1}{2}\omega_{e}\left(\begin{aligned}G_{dd}i_{d}^{2}+G_{dq}i_{q}i_{d}\\ +G_{qd}i_{q}i_{d}+G_{qq}i_{q}^{2}\end{aligned}\right)\\ +\dfrac{3}{2}\omega_{e}\left(\begin{aligned}L_{dd}i_{q}i_{d}-L_{qq}i_{q}i_{d}+L_{dq}i_{q}^{2}\\ -L_{qd}i_{d}^{2}+\lambda_{m}i_{q}\end{aligned}\right) $

여기서, 각 인덕턴스의 위치에 대한 함수로 표현된 아래 4개항은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18)
$ G_{dd}=\dfrac{d L_{dd}}{d\theta e},\: G_{dq}=\dfrac{d L_{dq}}{d\theta e}\\ G_{qd}=\dfrac{d L_{qd}}{d\theta e},\: G_{qq}=\dfrac{d L_{qq}}{d\theta e} $

그리고 식 (17)의 우변의 두 번째 항인 자기 에너지의 시간적 변화율은 다음과 같다.

(19)
$ \dfrac{d W_{m}}{dt}=\dfrac{1}{2}\dfrac{d L_{dd}}{dt}i_{d}^{2}+\dfrac{1}{2}\dfrac{d L_{dq}}{dt}i_{d}i_{q}\\ +\dfrac{1}{2}\dfrac{d L_{qd}}{dt}i_{d}i_{q}+\dfrac{1}{2}\dfrac{d L_{qq}}{dt}i_{q}^{2} $

(17)의 세 번째와 네 번째 항을 이용하여 출력 토크를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20)
$ T=\dfrac{P_{m}}{\omega_{m}}=\dfrac{3}{2}\dfrac{P}{2}\lambda_{m}i_{q}+ \\ \dfrac{3}{2}\dfrac{P}{2}\left(\begin{aligned}\dfrac{1}{2}G_{dd}i_{d}^{2}+\dfrac{1}{2}G_{dq}i_{d}i_{q}+\dfrac{1}{2}G_{qd}i_{d}i_{q}\\ +\dfrac{1}{2}G_{qq}i_{q}^{2}+L_{dd}i_{d}i_{q}-L_{qq}i_{d}i_{q}\\ +L_{dq}i_{q}^{2}-L_{qd}i_{d}^{2}\end{aligned}\right)\\ $

(20)에서 q축 전류($i_{q}$)만 고려시 토크식은 다음과 같이 간략히 나타낼 수 있다.

(21)
$ T=\dfrac{P_{m}}{\omega_{m}}=\dfrac{3}{2}\dfrac{P}{2}\lambda_{m}i_{q}\\ +\dfrac{3}{2}\dfrac{P}{2}\left(\dfrac{1}{2}G_{qq}+L_{dq}\right)i_{q}^{2} $

여기서 첫 번째 항은 평균 토크를 나타내며 두 번째 항은 토크 리플로 작용하는 성분이다. 이로부터 토크 리플은 dq축 상호 인덕턴스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식 (18)을 대입하여 토크 리플을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22)
$ T_{ripp\le}=\dfrac{3}{2}\dfrac{P}{2}\left(\dfrac{1}{2}G_{qq}+L_{dq}\right)i_{q}^{2}\\ = P\left[\begin{aligned}M_{1}\sin\left(2\theta_{e}-\dfrac{2}{3}\pi\right)\\ +M_{2}\sin\left(2\theta_{e}+\dfrac{2}{3}\pi\right)+M_{3}\sin 2\theta_{e}\end{aligned}\right]\\ =PM\sin(2\theta_{e}-\alpha)i_{q}^{2} $

여기서,

(23)
$M=\sqrt{\begin{aligned}\left(-\dfrac{1}{2}M_{1}-\dfrac{1}{2}M_{2}+M_{3}\right)^{2}\\ +\left(-\dfrac{\sqrt{3}}{2}M_{1}+\dfrac{\sqrt{3}}{2}M_{2}\right)^{2}\end{aligned}}$
(24)
$\alpha =\tan\left(\dfrac{-\dfrac{\sqrt{3}}{2}M_{1}+\dfrac{\sqrt{3}}{2}M_{2}}{-\dfrac{1}{2}M_{1}--\dfrac{1}{2}M_{2}+M_{3}}\right)$

(22)와 식 (23)로부터 상호인덕턴스의 불균일성이 존재할 때 전기각 2차 성분의 토크 리플이 발생되고, 상호 인덕턴스의 불균일성이 클수록 토크 리플도 증가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앞서 계산된 4가지 winding case별 인덕턴스의 결과를 식 (23)에 대입하게 되면 Table 1과 같이 토크 리플에 비례하는 M의 크기를 계산 할 수 있다.

Table 1. Torque ripple calculation result

Case

M1

M2

M3

M

Winding case1

-0.5

-0.25

-0.5

0.25

Winding case2

-0.5

0

-0.5

0.5

Winding case3

0

0

0

0

Winding case4

-0.25

-0.25

-0.25

0

수학적 모델에 의한 계산결과 상호 인덕턴스의 불균일성이 가장 큰 winding case2에서 가장 큰 토크 리플이 발생되고 winding case1이 다음으로 높은 경향을 보인다. 그리고 상호 인덕턴스의 크기가 같은 winding case3과 winding case4에서는 토크 리플이 나타나지 않게 된다.

4. 유한 요소 해석 통한 검증

수학적 모델에 의한 계산 결과를 검증하기 위해 2차원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하였으며 Table 2Fig. 9는 해석모델에 대한 제원 및 형상을 나타낸다.

Fig. 9. Analysis model

../../Resources/kiiee/JIEIE.2024.38.1.074/fig9.png

Table 2. Parameters for analysis model

Parameters

Unit

Value

Stator OD

mm

85

Stack length

mm

52.5

Rotor OD

mm

39.2

Winding turns

-

Series 18turns

9turns/tooth

Coil diameter

mm

2.1

Br of permanent magnet

Tesla

1.37

jHc of permanent magnet

kA/m

1273

L-L resistance

mOhm

28.2

L-L inductance

uH

75

Back-emf constant

Vrms/ph

2.34

하나의 3상 전원으로만 구동되는 조건에서 각 권선 배치별 전동기의 특성 해석 결과는 Fig. 10Fig. 11과 같다. 두 그림에 표현된 토크의 크기는 2개의 3상 권선으로 구동되는 정상상태의 토크를 기준으로 비교한 것이며 4가지 winding case 모두 정상 대비 50% 수준으로 저감되어 나타나게 된다. 그러나 토크 리플은 Fig. 11과 같이 각 winding case별로 큰 차이가 발생된다. 여기서 토크 리플의 크기도 두 3상 권선에 의한 정상적인 운전시 발생되는 토크 리플을 기준으로 비교한 것으로 winding case2에서 가장 크게 나타난다. 그리고 각각의 토크 리플을 차수 분석을 한 결과는 Fig. 12와 같다. 그림의 x축에 표현된 1부터 6까지는 토크 리플의 전기각 차수 성분을 의미하며 아래의 네 줄의 각 값은 각 winding case별 토크 리플 차수 성분의 크기를 나타낸다.

Fig. 10. Torque calculation result

../../Resources/kiiee/JIEIE.2024.38.1.074/fig10.png

Fig. 11. Torque and torque ripple comparison

../../Resources/kiiee/JIEIE.2024.38.1.074/fig11.png

Fig. 12. Harmonic analysis of torque ripple

../../Resources/kiiee/JIEIE.2024.38.1.074/fig12.png

Fig. 12에서 전기각 2차 성분의 토크 리플 결과를 Table 1의 수학적 모델에 의한 계산 결과와 비교하기 위해 토크 리플이 가장 큰 winding case2의 값을 기준으로 Table 3과 같이 두 계산 결과의 값의 거의 일치함을 확인 할 수 있다. 여기서 발생된 미소한 차이에 대한 원인은 수학적 모델 검토시 기본파 성분의 자속과 전류만 존재하는 것으로 가정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Table 3. Torque ripple calculation comparison for 2nd electrical order

Mathematical result

FEM result

Winding case1

0.5

0.49

Winding case2

1

1

Winding case3

0

0.04

Winding case4

0

0.04

5. 결 론

본 논문에서는 이중 권선의 전동기에서 하나의 3상 권선으로만 구동시 권선 배치에 따른 자속의 분포로부터 인덕턴스를 정의하였고, 상호 인덕턴스의 크기가 불균일한 조건의 권선 배치가 존재한다는 것을 확인했다. 그리고 하나의 3상 권선으로만 운전되는 경우의 전압방정식을 이용하여 토크식까지 도출하여 수학적 모델을 설계하였으며 각 권선 배치별 정의된 인덕턴스를 이용하여 전동기의 토크를 계산하였다. 상호 인덕턴스이 불균일성이 존재하는 권선 배치 방식에서는 전기각 2차 성분의 토크 리플이 발생하게 되며, 상호 인덕턴스의 불균형이 클수록 전기각 2차 성분의 토크 리플도 증가한다는 것을 수학적 모델 통해 계산하였다. 이 결과는 유한 요소 해석에 의한 결과와 일치함을 확인했으며 본 논문에서 제시한 수학적 모델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이중 권선 전동기에서 하나의 3상 전동기로만 운전되는 경우 토크 리플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본 논문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상호 인덕턴스의 불균형성이 존재하지 않는 이중 권선 배치로 선정해야 한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8극 12슬롯 전동기를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으나 다양한 극-슬롯 조합의 전동기에서도 동일한 방법으로 토크 리플 최소화 할 수 있는 이중 권선 조합을 선정할 수 있을 것이다.

References

1 
S. o. A. Engineers, “Taxonomy and definitions for terms related to driving automation system for on-road motor vehicles (J3016_201806),” SAE International, 2018.URL
2 
Smart and Company, “Autobahn for ADAS safety, convenience and environment,” Automotive Electronic Magazine, vol. 7, 2012. [online]. Available : https://www.autoelectronics.co.kr/article/articleView.asp?idx=840 (Accessed July 2012)URL
3 
M. Hiramine, Y. Hayashi, and T. Suzuki, “2-drive motor control unit for electric power steering,” SAE International Journal of Passenger Cars-Electronic and Electrical Systems, vol. 10, no. 2017-01-1485, pp. 337-344, 2017.DOI
4 
M. Barcaro, N. Bianchi, and F. Magnussen, “Faulty operations of a PM fractional-slot machine with a dual three-phase winding,” in IEEE Transactions on Industrial Electronics, vol. 58, no. 9, pp. 3825-3832, 2011.DOI
5 
N. Bianchi, M. D. Pre, and S. Bolognani, “Design of a fault-tolerant IPM motor for electric power steering,” in IEEE Transactions on Vehicular Technology, vol. 55, no. 4, pp. 1102-1111, 2006.DOI
6 
B. -K. Song, J. -H. Kim, K. -Y. Hwang, and M. -S. Lim, “Electro-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dual-winding motor according to winding arrangement for brake systems in highly automated driving vehicles,” in IEEE Transactions on Vehicular Technology, vol. 72, no. 10, pp. 12524- 12539, Oct. 2023.DOI
7 
L. Alberti and N. Bianchi, “Impact of winding arrangement in dual 3-phase induction motor for fault tolerant applications,” The XIX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lectrical Machines – ICEM, pp. 1-6, 2010.DOI
8 
S. Wang, et al., “Comparison of different winding configurations for dual three-phase interior PM machines in electric vehicles,” World Electric Vehicle Journal, vol. 13, no. 3:51, 2022.DOI
9 
M. Barcaro, N. Bianchi, and F. Magnussen, “Analysis and tests of a dual three-phase 12-slot 10-pole permanent magnet motor,” in IEEE Transactions on Industry Applications, vol. 46, no. 6, pp. 2355-2362, 2010.DOI
10 
J. N. Bae, “Permanent magnet synchronous machine design through an automatic selection of the specific loadings,” Ph.D. Thesis, Department of Electrical Engineering, Hanyang University, 2010.URL
11 
H. W. Kim, “Design of line-start synchronous reluctance motor considering the synchronization capability,” Ph.D. Thesis, Department of Electrical Engineering, Hanyang University, 2022.URL

Biography

Yongchul Kim
../../Resources/kiiee/JIEIE.2024.38.1.074/au1.png

He received B.S. and M.S.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South Korea in 2001 and 2003. He is currently pursuing the Ph.D.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with Hanyang University, Seoul, South Korea. He has been researching an automotive motor design engineering and is currently working as a Senior Research Engineer at LG Innotek since 2004. His research interests are electromagnetic design and optimization on electrical motor.

Youngwoo Noh
../../Resources/kiiee/JIEIE.2024.38.1.074/au2.png

He received M.S. degree in electrical and computer engineering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South Korea in 2005 and the Ph.D.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Hanyang University, Seoul, South Korea. in 2022. Since 2005, He has been researching in an automotive motor drive engineering and is currently working as a professional engineer at LG Innotek R&D Center.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electric motor control, power electronics,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ler design, fault-tolerant design, functional safety design and hybrid electric vehi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