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ISO Journal TitleJ Korean Inst. IIIum. Electr. Install. Eng.

  1. (Professor, Dept. of Electrical and Electonic Engineering, Yonam Institute of Technology, Korea)
  2. (CTO, Next Square, Korea)



EMTP, Fault current, LVDC distribution system, Protection, Tie switch

1. 서 론

세계 각국은 2050 탄소중립을 선언하고 이를 위하여 신재생에너지의 보급, 직류배전 등 다양한 기술 개발 및 상용화를 하고 있다. 태양광 발전의 경우 직류를 출력하므로 직류부하에 바로 연결하여 사용한다면 전력 변환으로 인한 손실에 대책이 될 수 있다. 따라서, 가정 내 부하 및 전기자동차 등 많은 직류 부하들이 존재하므로 태양광 발전이 연계된 저압 직류 배전계통을 구성하여 운전한다면 손실, 효율성 측면에서 매우 유리하다. 하지만, 안정적인 계통 운영을 위해서는 보호시스템 분석 및 대책이 요구된다.

저압 직류배전계통의 보호시스템 관련하여 다양한 연구들이 수행되어 왔다. [1]에서는 LVDC 마이크로그리드의 보호 전략의 설계를 더욱 직관적으로 하기 위한 단계별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2]에서는 방사상 형태의 LVDC 계통에 대하여 빠른 상승률은 갖는 고장전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전류 폐루프 제어 기반의 전류 제한 전략을 나타내었다. [3]에서는 저압 DC 피더의 잔략 전류에 대하여 전력용 컨버터의 제어 능력을 활용은 two-layer 보호 기법을 제안하였다. [4]에서는 링 모선 형태의 LVDC 마이크로그리드에 대하여 지능형 전자 장비 및 solid-state 차단기를 적용한 보호 방법을 제안하였다. [5]에서는 고장 전류의 1차 및 2차 미분을 활용한 고장 특성 기반의 보호 방법이 제안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에서는 상시 개방 환상식 배전계통을 고려하지 않고 있다. [6]에서는 태양광 연계 LVDC 배전계통에서 고장 영역을 고려한 보호 방법을 제안하였다. [7]에서는 태양광 발전이 연계된 Closed 루프 형태의 LVDC 계통에 대한 고장 특성이 분석되고 고장 영역 추정 기반의 새로운 보호 방법이 제안되었다. [8]에서는 hybrid AC/DC LV distribution system의 과도반응을 해석하고 각 시스템을 위한 보호 방법을 제안하였다. [9]에서는 DC 고장을 검출하고 위치를 찾기 위하여 DC 전류 방향을 기반으로 하며, 제어 가능한 solid-state circuit breakers와 결합한 여러 지능형 계전기를 사용한 방법을 제안하였다. [10]에서는 인덕터와 커패시터, one current and one voltage transducer로 구성된 Hybrid passive- overcurrent relay를 제안하였다. [11]에서는 커패시터 방전 특성을 갖춘 고장전류 혹은 고저항 사고로부터 특징을 추출하기 위하여 mathematical morphology 기반의 보호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와 같이 다양한 연구가 시행되었으나, 타이스위치로 연결된 태양광 발전이 연계된 저압직류 배전계통에서 고장복구까지 포함하는 보호시스템 관련 연구는 진행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타이스위치로 연결된 태양광 발전이 연계된 저압직류 배전계통에서 새로운 보호 방법을 제안하였다. 2장에서는 대상 계통에서 고장특성을 분석하였다. 3장에서는 새로운 보호시스템 구성 및 보호 방식을 제안하였다. 4장에서는 제안하는 방법의 검증을 위하여 EMTP/ATPDraw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내었다. 5장에서는 본 논문의 결론을 나타내었다.

2. 타이스위치로 연결된 저압직류 배전계통에서 고장특성 분석

Fig. 1은 타이스위치로 연결된 태양광 발전이 연계된 저압직류 배전계통 모델을 나타낸다. 계통 모델은 tie switch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으며, tie switch는 상시 개방되어 있는 형태이다. 태양광은 각 부하단에 연결되어 있다. Fig. 1에는 Distribution line1에 고장 발생 시 고장전류 흐름도 표시되어 있다. AC/DC 컨버터 측으로부터 CB1을 통하여 고장전류가 공급될 수 있다. 또한, Distribution line2에 연결된 DC/DC 컨버터의 커패시터 방전전류, PV로부터의 고장전류가 고장점에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CB1에는 매우 큰 고장전류가 흐르게 된다. 그 뿐만 아니라 DC/DC 컨버터가 연결된 LVDC 배전선로의 특성으로 인하여 Distribution line1에 연결된 DC/DC 컨버터의 커패시터 방전전류, PV로부터의 고장전류가 고장점에 공급될 수 있다. Distribution line2에서 고장이 발생한 경우도 Distribution line1의 경우와 마찬가지의 고장전류 흐름을 보이며, 방향만 반대가 된다.

고장발생 선로에 연결된 부하의 경우, 주 전원으로부터 전류 공급이 차단되며, 부하단에 연결된 PV 및 DC/ DC 컨버터의 커패시터 방전전류도 고장전류를 주입하므로 정상전류 공급이 불가능하다. CB1이 동작하여 고장점을 분리시키더라도 고장이 남아있다면 PV 및 DC/DC 컨버터의 커패시터 방전전류가 고장점으로 전류 주입을 계속할 수 있어 이 경우에도 정상전류 공급이 불가능하다. 즉, 고장선로에 연결된 부하의 경우 완전한 복구 이전에는 정상전류 공급이 불가능하고 정전을 경험하게 된다. 고장이 발생하지 않은 선로에 연결된 부하의 경우, 차단기 동작 이전에는 주 전원이 고장전류를 공급하고 PV 및 DC/DC컨버터의 커패시터 방전전류가 고장전류를 주입하므로 부하에 정상전류 공급은 불가능하다. 차단기 동작 이후에는 정상전류 공급은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장이 발생한 선로에 연결된 부하에도 정전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보호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Fig. 1. Direction of fault current at fault condition

../../Resources/kiiee/JIEIE.2024.38.2.111/fig1.png

3. 타이스위치로 연결된 저압직류배전계통의 새로운 보호 방법

3.1 보호시스템 구성

2장에서 분석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기존의 radial 배전계통 구성과는 달리 선로 양단에 차단기 설치를 제안한다. 기존의 radial 배전계통에서는 한 방향으로 고장전류가 흐르며 개폐기가 설치되어 있어 고장의 분리 및 전환이 가능하다. 그렇지만 본 계통에서는 PV 측 및 DC/DC 컨버터의 커패시터 방전전류로 인하여 역방향으로 고장전류가 주입되므로 고장전류 차단 기능이 없는 개폐기의 활용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추가 차단기 설치가 필요하다.

Fig. 2는 본 연구에서 제안한 새로운 보호시스템의 구성도이다. Fig. 2에서처럼 각 선로 양단에 차단기를 설치한다. 보호계전기는 각 선로의 차단기에 흐르는 전류를 입력으로 받으며, 정해진 연산 후 각 차단기의 동작신호 및 tie switch의 동작신호를 전송한다. 각 차단기에 흐르는 전류를 받고, 동작 신호를 전송하기 위하여 통신이 추가되어야 한다. 저압직류배전계통이라는 특성으로 인하여 선로 거리는 일반 특고압 배전계통 보다 매우 짧기 때문에 통신으로 인한 시간 지연도 매우 짧다. 또한, 직류 계통에서는 주파수의 간섭이 없기 때문에 통신 시 데이터 손실도 거의 없어 신뢰도도 매우 높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통신으로 인한 시간 지연 및 데이터 신뢰도는 고려하지 않았다.

Fig. 3은 새로운 보호시스템 적용 시 전류 흐름을 나타낸다. 양단에 차단기를 설치함으로써 Distribution line1 고장의 경우 CB1 개방 시 CB2도 동시에 개방함으로써 차단기 동작 이후에는 PV로부터 정상전류 공급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시 개방되어 있는 tie switch도 close하여 고장이 나지 않은 선로로부터 전류 공급도 가능하도록 한다.

새로운 보호시스템을 적용하지 않는 경우 정상복구 시에는 일정 시간 후 차단기 close 동작만 수행하면 된다. 그렇지만,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바와 같이 양단에 차단기를 설치하고, tie switch도 동작할 경우 고장제거 후 정상복구 절차는 기존의 방법을 적용할 수 없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정상복구까지 고려한 보호계전기 동작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Fig. 2. Configuration of new protection system

../../Resources/kiiee/JIEIE.2024.38.2.111/fig2.png

Fig. 3. Current direction by new protection system

../../Resources/kiiee/JIEIE.2024.38.2.111/fig3.png

3.2 보호 계전기 동작 흐름도

3.1절에 설명한 바와 같이 양단 차단기 동작, tie switch 동작, 고장제거 이후 정상복구 동작까지 포함하는 보호계전기의 동작 흐름도는 Fig. 4와 같다. Fig.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차단기에 흐르는 전류를 입력으로 받고, CB2에 흐르는 전류(i2), CB4에 흐르는 전류(i4)의 절대값을 구한다. 고장발생 판단은 과전류를 이용하여 판단한다. CB1에 흐르는 전류(i1) 혹은 CB3에 흐르는 전류(i3)가 고장판단을 위한 threshold 값 보다 크면 고장으로 판단한다. Fig. 4에 α1과 α2는 각각 Distribution line1과 line2의 고장 판단을 위한 threshold value이다. Distribution line1 고장으로 판단 시, CB1과 CB2는 동시에 open하며, tie switch는 close한다. Distribution line2 고장으로 판단 시, CB3과 CB4는 동시에 open하며, tie switch는 close한다. 이렇게 동작함으로써 고장구간은 완전히 분리되어 각 부하에는 정상전류 공급이 가능해진다.

고장제거 후에는 정상복구 동작을 수행해야 한다. 고장제거 판단을 위하여 일정 시간(Fig. 4에서 Tset)이 지난 후 우선 tie switch를 다시 open하고, 고장이 발생한 선로의 부하단 차단기(CB2 혹은 CB4)를 close한다. 만약 고장이 남아있다면 PV로부터의 전류는 부하로 흐르지 않고, 고장점으로 흐르게 된다. 따라서 고장이 남아 있다면 부하단 차단기(CB2 혹은 CB4)에 흐르는 전류는 0이 아닌 큰 값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고장제거 여부 판단을 위하여 CB2에 흐르는 전류의 절대값(abs(i2)), CB4에 흐르는 전류(abs(i4))의 절대값을 β1 혹은 β2 와 비교한다. abs(i2) > β1 혹은 abs(i4) > β2 이 성립한다면, sam1을 계속 더하고, 이 값이 Sampleclear보다 크면 고장이 남아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따라서, CB2 혹은 CB4를 다시 open하고, tie switch는 close하여 각 부하에 정상전류 공급이 가능해지도록 한다. abs(i2) > β1 혹은 abs(i4) > β2 이 성립하지 않는다면, sam2를 계속 증가시키고, 이 값이 Sampleclear보다 크면 고장이 완전히 제거된 것으로 판단한다. 따라서, 최종 복구를 위하여 CB1 혹은 CB3를 close한다. 여기서, sam1과 sam2는 sample 수이며, Sampleclear 는 고장제거 여부 판단을 위한 sample 수의 threshold 값이다. Sample_ clear를 설정한 이유는 고장제거 판단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함이다. 만약, Sample_clear를 설정이 없다면 Tset 시간 후 고장제거 판단을 위하여 차단기를 닫았을 때 발생할 수 있는 과도현상 등 여러 가지 원인으로 고장제거 판단에 오동작을 유발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법은 고장 차단은 기존의 과전류 계전 방식을 적용하는 점은 동일하다. 하지만, 기존의 과전류 계전 방식과는 달리 고장 복구를 위한 절차까지도 포함되어 있는 점이 차이점이다.

Fig. 4. Flow chart of protection relay

../../Resources/kiiee/JIEIE.2024.38.2.111/fig4.png

4. 시뮬레이션

4.1 계통모델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법을 검증하기 위한 계통모델은 Fig. 2와 같다. 각 부하에 연결된 태양광 용량은 3kW이며, 부하 용량은 각각 5kW이다. 또한, 각 배전선로 길이는 2km로 동일하게 설정하였다. AC/DC 컨버터를 거친 후 모선 전압은 1500V이며, DC/DC 컨버터를 거쳐 부하에 380V 전압이 걸리도록 모델링 하였다.

계통 모델은 EMTP/ATPDraw를 이용하여 구현하였다. 보호계전기 알고리즘은 EMTP/MODELS를 이용하여 구현하였으며, AC 60Hz를 기준으로 120samples/cycle로 동작하도록 모델링하였다. 차단기 동작은 TACS controlled type 13 switch 모델을 이용하여 EMTP/MODELS의 출력에 따라 open/close 동작을 수행하도록 모델링을 하였다. PV 모델링, AC/DC 컨버터 모델링, DC/DC 컨버터 모델링 또한 EMTP/MODELS 이용하여 동작 세부사항을 구현하였다[6, 7].

4.2 시뮬레이션 조건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법의 검증을 위한 시뮬레이션 조건은 아래 Table 1과 같다. 각 선로에서 순간고장(고장발생 0.1s초 후에 고장제거)과 영구고장을 시뮬레이션하였다. 고장종류는 pole-to-pole 고장을 시뮬레이션하였으며, 고장저항은 1Ω을 설정하였다. 고장발생 시간은 1.2s로 설정하였다.

고장제거 판단을 위한 threshold 값인 α1, α2는 계통의 고장전류를 기반으로 설정된다. 계통의 고장전류는 계통의 구성, 고장위치, 고장저항, 부하크기 등 다양한 요소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으며,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요소를 고려하여 시뮬레이션 시 α1과 α2는 200으로 설정하였으며 계통 구성에 따라 조정할 수 있다. β1 와 β2는 50으로 설정하였으며, Tset, Sampleclear 는 각각 0.3초, 60으로 설정하였다. 시뮬레이션 시 보호계전기가 교류기준 1cycle 당 120samples를 받도록 모델링하였다. 따라서, 60samples는 교류의 0.5cycle 정도의 지속시간을 뜻하며, 이 지속시간만큼 조건이 만족되어야 고장제거 판단을 하도록 설정한 것이다.

Table 1. Simulation conditions

Case

Faulted line

Fault clearing time

Case1

Line1

0.1s after fault occurrence

Case2

Line1

permanent fault

Case3

Line2

0.1s after fault occurrence

Case4

Line2

permanent fault

4.3 시뮬레이션 결과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법을 검증하기 위하여 CB1에 흐르는 전류(i1)와 CB3에 흐르는 전류(i3), abs(i2) 혹은 abs(i4), 각 차단기 및 tie switch 동작을 보여주었다. 차단기 및 tie switch 동작 그래프에서 ‘1’은 close, ‘0’은 open을 의미한다. Fig. 5는 Case1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낸다. Fig. 5(a)에서 i1값이 고장판단을 위한 threshold α1값인 200 이상을 나타내므로 고장으로 판단하고 CB1과 CB2를 open하고, tie switch,는 close 한다. 고장 복구를 위하여 우선, 1.55초에 CB2는 close, tie switch는 open 하며, 이때 abs(i2) 값은 Fig. 5(c)에서와 같이 고장제거 판단을 위한 threshold 값 β1(50)보다 작으므로 고장제거로 판단하고, 최종적으로 CB1을 close 한다. 고장복구 이후 i1과 i3 파형의 값은 Fig. 5(a)와 같이 정상전류 파형이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전체적인 차단기 및 tie switch 동작은 Fig. 5(c)에 나타나 있다.

Fig. 6은 Case 2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낸다. Fig. 6(a)에서 i1 값이 200 이상을 나타내므로 고장으로 판단하고 CB1과 CB2를 open하고, tie switch는 close 한다. Tset 경과 후 고장 복구를 위하여 CB2는 close, tie switch는 open 한다. 이때 abs(i2) 파형은 Fig. 6(b)와 같이 threshold보다 큰 값을 나타내므로 고장이 지속되고 있음을 판단하고, CB2는 open, tie switch는 close 동작을 수행한다. Fig. 6(a)에서 i3 전류를 보면 CB1과 CB2 open 이후 정상전류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복구시도 시점에 고장이 남아있음을 인지하고, CB2는 open, tie switch는 close 동작 이후에도 i3에 다시 정상 전류가 흐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Load 1과 Load 2의 정전은 최소화 된다고 할 수 있다. 시간대별 전체적인 차단기, tie switch 동작은 Fig. 6(c)에 나타나 있다.

Fig. 7은 Case 3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낸다. Fig. 7(a)와 같이 i3의 값이 고장판단을 위한 threshold 값인 200보다 크므로 고장발생으로 판단하고 CB3와 CB4를 open하고, tie switch는 close 한다. 고장복구를 위하여 제안된 알고리즘에 따라 1.55초에 CB4는 close, tie switch는 open 한 이후 abs(i4)의 값은 Fig. 7(b)와 같다. 이 값이 고장제거 판단을 위한 threshold 값 50보다 작으므로 고장제거로 판단하고 최종적으로 CB3를 close 함으로써 고장복구 절차까지 마무리한다. 고장복구 이후에 Fig. 7(a)와 같이 i1과 i3에 정상 전류가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전체 차단기 및 tie switch의 동작은 Fig. 7(c)에 자세히 나타나 있다.

Fig. 8은 Case 4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낸다. Fig. 8(a)와 같이 i3값이 200 이상이므로 고장으로 판단하고 CB3와 CB4를 open하고, tie switch는 close 한다. 고장복구를 위한 시도 이후 abs(i4) 값은 Fig. 8(b)와 같다. 고장제거 판단을 위한 threshold 값보다 매우 크므로 고장이 남아있다고 판단하고, CB4는 다시 open하고 tie switch는 다시 close 한다. 전체 차단기 및 tie switch의 동작은 Fig. 8(c)에 자세히 나타나 있다. Fig. 8(a)에서 보면 차단기 동작 이후에도 고장구간이 완전히 고립되므로 i1과 i3에 정상 전류가 흘러 부하 정전이 최소화 됨을 알 수 있다.

Fig. 5. Simulation result of case 1

../../Resources/kiiee/JIEIE.2024.38.2.111/fig5.png

Fig. 6. Simulation result of case 2

../../Resources/kiiee/JIEIE.2024.38.2.111/fig6.png

Fig. 7. Simulation result of case 3

../../Resources/kiiee/JIEIE.2024.38.2.111/fig7.png

Fig. 8. Simulation result of case 4

../../Resources/kiiee/JIEIE.2024.38.2.111/fig8-1.png../../Resources/kiiee/JIEIE.2024.38.2.111/fig8-2.png

5. 결 론

본 논문에서는 타이 스위치로 연결된 태양광 발전이 연계된 저압직류 배전계통에서의 새로운 보호 방법을 제안하였다. 기존 계통에서 고장발생 시 문제점을 분석하여 부하 정전이 증가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문제점 해결을 위하여 선로 양단에 차단기를 설치하는 새로운 보호시스템 구성 및 보호계전기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알고리즘에서는 고장전류의 크기를 이용하여 고장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양단 차단기를 동시에 open하며, tie switch는 close 한다. 이 동작으로 인하여 부하에는 정상전류 공급이 가능해진다. 차단기 설치로 인하여 기존 고장복구 방법의 적용이 불가능해지므로 제안된 알고리즘은 고장복구 동작도 포함하고 있다. 복구동작 시 고장제거 판단을 위하여 우선 부하단 차단기는 close, tie switch는 open하고, 부하단 차단기에 흐르는 전류를 이용하여 고장제거가 판단되면 최종적으로 전원 측의 차단기를 close하여 고장복구 절차를 마무리한다. 고장이 지속되면 다시 차단기를 open하며, tie switch는 close 한다.

제안한 방법의 검증을 위하여 EMTP/ATPDraw를 이용하여 모델링하고, 고장선로 및 고장지속시간에 따른 다양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제안된 알고리즘에 따라 고장여부를 판단하고 차단기 및 tie switch가 동작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고장복구를 위한 절차도 제안된 알고리즘에 따라 고장제거 여부를 판단하고 최종적으로 차단기를 close하여 정상전류가 공급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법은 고장전류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고저항 고장에서는 유효하지 않다. 향후에는 고저항 고장에 대한 보호 방법을 지속적으로 연구할 예정이다.

Acknowledgement

이 연구는 연암공과대학교 교비 연구비에 의해 수행됨.

References

1 
L. Hallemans, et al., “A stepwise methodology for the design and evaluation of protection strategies in LVDC microgrids,” Applied Energy, vol. 310, p. 118420, 2022.DOI
2 
J. Yang, et al., “Selective protection strategy for short-circuit faults in LVDC distribution system,” The 16th IET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C and DC Power Transmission (ACDC 2020), pp. 1576-1581, 2020.DOI
3 
J. Yang, et al.,“Control-based two-layer protection for short-circuit fault at an LVDC feeder branch,” Energies, vol. 15, no. 11, p. 4054, 2022.DOI
4 
M. Salehi, S. A. Taher, I. Sadeghkhani, and M. Shahidehpour, “A poverty severity index-based protection strategy for ring-bus low-voltage DC microgrids,” in IEEE Transactions on Smart Grid, vol. 10, no. 6, pp. 6860-6869, 2019.DOI
5 
M. Shamsoddini, B. Vahidi, R. Razani, and H. Nafisi, “Extending protection selectivity in low voltage DC microgrids using compensation gain and artificial line inductance,” Electric Power Systems Research, vol. 188, p. 106530, 2020.DOI
6 
H. C. Seo, G. H. Gwon, and K. W. Park, “New protection method considering fault section in LVDC distribution system with PV system,” Journal of Electrical Engineering & Technology, vol. 18, pp. 239-248, 2023.DOI
7 
H. C. Seo, “Protection scheme based on fault area estimation in loop-type low voltage DC distribution system with photovoltaic system using derivative of current and power at Tie Switch,” Journal of Electrical Engineering & Technology, vo.l 18, pp. 3321-3334, 2023.DOI
8 
C. H. Noh, et al., “Development of protective schemes for hybrid AC/DC low-voltage distribution system,” International Journal of Electrical Power & Energy Systems, vol. 105, pp. 521-528, 2019.DOI
9 
A. A. S. Emhemed, K. Fong, S. Fletcher, and G. M. Burt, “Validation of Fast and Selective Protection Scheme for an LVDC Distribution Network,” in IEEE Transactions on Power Delivery, vol. 32, no. 3, pp. 1432-1440, 2017.DOI
10 
K. A. Saleh, A. Hooshyar, and E. F. El-Saadany, “Hybrid Passive-Overcurrent Relay for Detection of Faults in Low- Voltage DC Grids,” in IEEE Transactions on Smart Grid, vol. 8, no. 3, pp. 1129-1138, 2017.DOI
11 
Y. S. Oh, et al., “Fault detection scheme based on mathematical morphology in last mile radial low voltage DC distribution networks,” International Journal of Electrical Power & Energy Systems, vol. 106, pp. 520-527, 2019.DOI

Biography

Hun-Chul Seo
../../Resources/kiiee/JIEIE.2024.38.2.111/au1.png

He received the B.S, M.S., and Ph.D.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Sungkyunkwan University in 2004, 2006, and 2013, respectively. He worked for Korea Electrical Engineering & Science Institute, Seoul, Korea, as a researcher in power system division from 2006 to 2009. He was Post-doctor at Yeungnam University in 2013. Since March 2014, he is an associate professor with the School of Electronic & Electrical Engineering, Yonam Institute of Technology, Korea.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power system analysis, transients, and protection.

Kwon-Woo Park
../../Resources/kiiee/JIEIE.2024.38.2.111/au2.png

He received his M.S., and Ph.D.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Sungkyunkwan University in 2007 and 2022, respectively. Since 2021, he has been a CTO in the NEXT Square Inc., Korea.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LVDC, MVDC, Smart-grid, and Power Electronics.

Gi-Hyeon Gwon
../../Resources/kiiee/JIEIE.2024.38.2.111/au3.png

He received the B.S, M.S., and Ph.D.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Sungkyunkwan University in 2012, 2014 and 2018, respectively. He is presently the assistant professor of Yonam Institute of Technology.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power system transients, power quality, protection schemes and coordination in DC distribution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