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종선
(Jong-Sun Han)
1iD
김래영
(Rae-Young Kim)
†iD
-
(Ph.D. course, Department of Electrical and Biomedical Engineering, Hanyang University,
Korea)
Copyright ©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Engineers(KIIEE)
Key words
Generator caculation, KDS 31 60 20, NEC, NFPA generator size, NEMA MG-1
1. 서 론
예비전원설비는 주로 상용전원 공급이 중단되거나 정전이 발생했을 때 시설 또는 장비가 계속해서 원활하게 운영될 수 있도록 하는 설비를 의미한다. 건축물에
설치되는 예비전원설비의 종류는 자가발전설비, 축전지 설비, 무정전전원장치(UPS) 및 전기저장장치가 있다. 예비전원설비 중에서도 자가발전설비는 산업현장
및 건축물에 많이 적용하고 있다. 자가발전설비는 상시 부하에 공급하는 일반 발전기와 법적으로 반드시 적용되는 비상 (화재 및 재난사고 발생 시) 발전기로
구분할 수 있다[1, 2].
비상 발전기는 일정 규모 이상의 건축물은 의무적으로 적용하여야 하며, 특히나 공동주택, 오피스텔, 복합건축물, 의료시설, 일반 건축물 및 산업시설에
있어 반드시 설치해야 한다. 비상 발전기 설치 관련 법령으로는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건축물의 피난, 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산업안전 보건에 관한 규칙 및 국가화재 안전기준(NFSC)” 등이 있다[1, 2].
과거 국내 엔지니어링회사 및 전기설계사무소에서 발전기용량 산정방법에 있어 PG 방식 및 RG 방식을 혼용하여 대부분 사용되고 있었으나,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어 이를 폐지하고, 2021년 6월 8일에 개정된 국가건설 설계기준 “KDS 31 60 20_예비전원설비”를 적용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최근 첨단기술과 산업의 국제화에 맞춰 국제표준의 부합화 목적으로 2022년 1월 1일부터 한국전기설비규정 KEC (Korea Electro-technical
Code)를 제정하여 시행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국제사회 기술변화 흐름에 맞춰 많은 변화를 추구하고 있으며, KEC 규정은 IEC (International
Electro technical Commission) 규정 기반으로 적용되고 있으며, 일부 NFPA (National Fire Protection
Association) “미국화재방호협회” 및 IEEE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규정을 인용되고 있다.
국내에서 통용되고 있는 일부 법령뿐 아니라 “KDS 31 60 20_예비전원설비”에서도 해외규정을 인용되고 있다. 따라서 발전기 용량계산 방법에 대해
살펴보고, 부하특성별, 전동기의 기동계수, 발전기의 운전 시, 기동 시 전 부하전류의 값 등 각종 데이터 등을 확인하여 국내방식에서 적용하고 있는
규정에 대해 부족한 부분 또는 인용할 수 있는 내용 등을 검토하였다.
“KDS 31 60 20_예비전원설비”의 발전기용량 산정에 적용되는 관련 기초자료를 살펴보면 발전기 허용 전압강하율, 발전기 정수, 전동기 용량에
따른 기동방식의 기동계수, 고조파 함유율 등의 값을 선정하고 있으나, 각각의 계수 선택의 범위가 다양하고, 명확하지 않을 시 어느 일정한 범위를 설정하여
적용하도록 유도하고 있다. 이는 같은 전동기 용량일지라도 설계회사마다 다른 계산 결과 값이 나올 수 있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며, 발전기 기동 시와
운전 시로 구분 없이 가장 큰 용량 값으로 선정하고 있다[1, 2].
반면에 NFPA의 미국방식의 발전기용량 산정방법은 각각의 전동기별 입력전압 및 전동기 마력(HP)별 전 부하전류(FLC: Full Load Current)의
표준 데이터를 제공하고 있으며, NEMA MG -1 (Motor and Generator) “미국 전기공업협회 전동기 및 발전기”에서는 전동기의 기동계급,
허용전압 강하율, 기동방식, 전동기 입력전압, 마력(HP), Service Factor (S.F) 및 주파수(50Hz / 60Hz)별 모든 전동기
데이터가 표준 값으로 나타내고 있어, 설계사마다 같은 발전기 용량선정이 가능하다[3, 4].
이뿐만 아니라 미국에서는 발전기 선정하는데 있어 가장 중요하게 다루고 있는 부분은 비상부하의 대상, 용량 선정방법, 부하의 등급 구분, 건축물 내의
중요도에 따라 연결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NFPA 101 (Life Safety Code) “인명안전기준”에서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는 것은 화재발생 시 에 대한 부하의 종류별(조명, 피난
유도등 및 건축방재 설비기기 등)용량선정 방법 및 건축물 내부의 피난동선의 계획을 다루고 있으며[5], NFPA 110 (Standard for Emergency and Standby Power System) “비상 및 예비 전원시스템 표준)”에서는
EPS (Emergency Power Supply)와 EPSS (Emergency Power Supply System)으로 구분한다. EPS는 건축물
중요도에 따라 Level 1과 Level 2로 구분되며, Level 1은 인명안전에 대한 조명설비, 화재감지, 경보장치 및 기타 방재설비에 대한 전원공급
방법을 설명하고 있으며, Level 2는 인명안전과 달리 기기장비의 고장, 정전이 발생하여도 재산피해가 최소 되는 전원설비에 대해 설명하고 있으며[6], 일반 건축물에 비상발전기 설치방법, 비상부하의 선정, 비상발전기와 자동절체 스위치와 연결방법에 대해 설명하고 있으며, 인명안전에 해당되는 비상부하의
전원동급 시간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비상부하에 연결되는 중요부하에 대해서는 발전기 기동 시 기동시간에 대해 엄격히 다루고 있다[7].
본 논문에서는 최근 국가건설기준센터에서 개정한 “KDS 31 60 20_예비전원설비”의 발전기용량 계산 적용방법에 대한 설명과 전동기의 각종 데이터,
기동방식에 따른 계수, 발전기 허용전압 강하율 등 관련 수식에 대해 검토하였다.
미국 전역에서 범용으로 적용하고 있는 NFPA 70_NEC (National Electrical Code)의 발전기용량 계산방법에서 관련 수식 산정방법에
관해 설명하고, 국내에 주둔하고 있는 주한미군 시설에 NEC 규정을 적용된 실제 준공 완료한 건축물 용도별로 구분하여 2곳을 선정하여 실 검증을 하였다.
실 검증은 개정된 KDS 31 60 20_예비전원설비 방법과 NEC 방법으로 계산하여 그 결과 값을 제시하고, 발전기용량 비교 검토 및 분석하였다.
2. 국내 발전기용량 선정 방법
2.1. 국내방식의 개요
발전기는 상용전원의 정전, 화재 및 예기치 못한 긴급 상황 발생 시 인명안전, 재산 보호 및 생명 유지를 위해 비상 전원설비에 전원공급을 위한 설비이다.
발전기용량 산정은 해당 건축물의 소방부하, 비상 부하 또는 그 밖의 정전 시에 운전이 필요한 부하 등 부하의 특성을 고려하여 산정한다. KDS 31
60 20의 발전기용량 계산방법은 식 (1)에서처럼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발전기용량 식 (1)에서처럼 $GP$는 발전기용량 (kVA)으로 표기되며, $\sum P$는 전동기 이외 부하의 입력용량 합계(kVA)로 나타내며, Table 1을 참조한다[2].
Table 1. Total input capacity of non-motor loads(kVA) [2]
입력용량 구분
|
계산식
|
고조파발생부하 제외
|
$P=\dfrac{부하용량(k W)}{부하효율\times 역률}$
|
고조파발생 부하
|
UPS 입력용량 포함
|
$P=(\dfrac{UPS출력(k VA)}{UPS효율}\times\lambda)$
$+ 축전지 충전용량$
|
UPS 입력용량 제외
|
$P=(\dfrac{부하용량(k W)}{효율\times 역률})\times\lambda$
$\lambda$는 고조파저감장치를 설치할 때는 가중치 1.25를 적용할 수 있다.
|
$\sum P_{m}$은 전동기 부하 용량의 합계 (kW)를 의미하고,$PL$은 전동기 부하 중 기동용량이 가장 큰 전동기 부하 용량 (kW)으로
사용된다. 다만, 동시에 기동 되면 이들을 더한 용량으로 계산한다. $a$는 전동기의 kW당 입력용량 계수로 전동기의 고효율은 1.38, 표준형 전동기는
1.45의 추천 값을 제시하고 있으며, 전동기 입력용량은 전동기별 효율, 역률을 적용하여 입력용량을 환산할 수 있다. c는 전동기의 기동계수를 의미하며,
그 계수는 추천 값으로 제안 하고 있다. 추천 값으로는 직입기동 방식은 6 (범위 5에서 7까지)을 적용하고, Y-△ 기동방식은 2 (범위 2에서
3까지)를 적용하고 있으며, VVVF (인버터) 기동방식은 1.5 (범위 1에서 1.5까지)로 추천 값으로 정하고 있으며, 마지막으로 리액터 기동방식의
추천 값은 리액터 탭(Tap) 전압의 50%는 기동계수는 3을 적용하고, 리액터 탭(Tap) 전압의 65%까지는 기동계수는 3.9를 적용 하고 있다.
또한, 리액터 탭(Tap) 전압의 80%에서는 4.8을 적용하는 것으로 권장하고 있다. k는 발전기 허용 전압강하 계수로 Table 2를 참조한다[2].
Table 2. Generator voltage droop factor [2]
구 분
|
발전기 정수 $x_{d}''$(%)
|
20
|
21
|
22
|
23
|
24
|
25
|
발전기 허용 전압 강하율 (%)
|
15
|
1.13
|
1.19
|
1.25
|
1.30
|
1.36
|
1.42
|
16
|
1.05
|
1.10
|
1.16
|
1.20
|
1.26
|
1.31
|
17
|
0.98
|
1.03
|
1.07
|
1.12
|
1.17
|
1.22
|
18
|
0.91
|
0.96
|
1.00
|
1.05
|
1.09
|
1.14
|
19
|
0.95
|
0.90
|
0.94
|
0.98
|
1.02
|
1.07
|
20
|
0.80
|
0.84
|
0.88
|
0.92
|
0.96
|
1.00
|
3. NFPA방식 발전기용량 선정 방법
3.1. NFPA방식의 개요
미국에서 적용하고 있는 발전기용량 산정 방식으로는 NFPA 70_NEC (National Electrical Code) “미국전기규정”을 적용하고
있다. NFPA (National Fire Protection Association) “미국화재방호협회”로 1896년부터 현재까지 전 세계 전문기술
회사에서 적용하고 있는 규정으로 오래된 역사가 있는 단체이다. 이 중에서 비상 전원 및 발전기 시스템에 적용은 NFPA 70_NEC (National
Electrical Code) “미국전기규정”과 전동기의 기동계급, 기동계수 및 전압강하 등 기술적인 내용을 포함하고 있는 NEMA MG -1 (Motor
and Generator) “미국 전기공업협회 전동기 및 발전기”에서 다루어지고 있다[3-5].
3.2. 용량산정
발전기 용량선정에 적용되는 계산식은 식 (2), (3), (4) 및 (5)와 같이 구분하여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P_{GP1}$은 운전 시 발전기용량 값을 나타내고, $I_{GP1}$은 발전기 운전 시 전 부하전류의 합산 [A]값을 의미한다. $I_{M}$은
각각의 전동기의 전 부하전류 [A], $I_{r}$은 전동기 부하를 제외한 일반부하(전열, 조명 및 기타 제어반) 부하전류의 합산을 의미하며, $V_{M}$은
정격전압 [V]이며, $I_{GP_{2}}$는 발전기 기동 시 전 부하전류의 합산 [A] 값이며, $k$는 상숫값으로 125%를 적용하나, 이는 전동기의
전 부하전류만 적용한다[3].
Table 3. Three-phases induction-type squirrel cage and wound roter full-load current
[3]
삼상 농형 교류전동기의 전 부하전류 [A]
|
마력
(HP)
|
115
[V]
|
200
[V]
|
208
[V]
|
230
[V]
|
460
[V]
|
0.5
|
4.4
|
2.5
|
2.4
|
2.2
|
1.1
|
0.75
|
6.4
|
3.7
|
3.5
|
3.2
|
1.6
|
1
|
8.4
|
4.8
|
4.6
|
4.2
|
2.1
|
1.5
|
12.0
|
6.9
|
6.6
|
6.0
|
3.0
|
2
|
13.6
|
7.8
|
7.5
|
6.8
|
3.4
|
3
|
-
|
11.0
|
10.6
|
9.6
|
4.8
|
5
|
-
|
17.5
|
16.7
|
15.2
|
7.6
|
7.5
|
-
|
25.3
|
24.2
|
22
|
11
|
10
|
-
|
32.2
|
30.8
|
28
|
14
|
15
|
-
|
48.3
|
46.2
|
42
|
21
|
20
|
-
|
62.1
|
59.4
|
54
|
27
|
25
|
-
|
78.2
|
74.8
|
68
|
34
|
30
|
-
|
92
|
88
|
80
|
40
|
40
|
-
|
120
|
114
|
104
|
52
|
50
|
-
|
150
|
143
|
130
|
65
|
60
|
-
|
177
|
169
|
154
|
77
|
75
|
-
|
221
|
211
|
192
|
96
|
100
|
-
|
285
|
273
|
248
|
124
|
125
|
-
|
359
|
343
|
312
|
156
|
3.3. 용량산정 계산식 적용방법
발전기용량 산정 시 연결되는 부하의 종류, 특성 및 운전조건에 따라 다르게 적용된다. 즉, 전동기 용량, 마력 (HP)당 기동계급, 전 부하전류(FLC
: Full-Load Current) 및 Service Factor (S.F) 등 고려되어야만 정확한 발전기용량 산정을 할 수 있다[3-5].
4. 건축물 용도별 용량계산 비교
정확한 실 검증을 위해서는 실제 국내에서 준공 완료한 2곳의 건축물을 선정하였다. 건축물의 용도별, 규모별, 면적별, 부하 (소방용 동력 부하, 급,
배수펌프, 급, 배기 FAN, 비상용 / 소방용 엘리베이터 및 전등/전열설비 등)의 구분, 부하특성에 대해 충분히 검토하였다. 또한, 건축물의 특징에
대해서는 사람이 근무하는 형태(오픈 사무용 건물), 불특정 많은 사람이 출입이 빈번한 장소(대형 쇼핑몰) 대상으로 검토가 되었다.
4.1. 국내방식 발전기용량 계산
국내에서 적용되는 KDS 31 60 20_예비전원설비 발전기용량 산정 방식으로 계산한 발전기용량을 검토하였다. 실 검증을 위한 오픈 사무실 및 대형
쇼핑몰에 대한 비상 부하 리스트는 Table 4, 5를 참조한다.
Table 4. Open office emergency load list
부하 명칭
|
용량
(kW)
|
설비
수량
(EA)
|
총 용량
(kW)
|
운전
구분
|
옥내소화전
|
18
|
1
|
18
|
Y-△
|
옥내소화전 보조펌프
|
18
|
1
|
18
|
Y-△
|
스프링클러 주 펌프
|
55
|
1
|
55
|
Y-△
|
스프링클러 보조 펌프
|
7.5
|
1
|
7.5
|
직입
|
연결 송수관 펌프
|
110
|
2
|
220
|
Y-△
|
전실 급기 제연팬
|
45
|
2
|
90
|
Y-△
|
전실 배기 제연팬
|
45
|
2
|
90
|
Y-△
|
승강기 제연 급,배기팬
|
22
|
2
|
44
|
Y-△
|
*급수가압펌프
|
15
|
4
|
60
|
인버터
|
배수, 연구 배수펌프
|
7.5
|
30
|
225
|
직입
|
*비상용 승강기
|
40
|
2
|
80
|
인버터
|
비상 조명/전열
|
300
|
1
|
300
|
-
|
합계
|
1,208
|
Table 5. Grand shopping mall emergency load list
부하 명칭
|
용량
(kW)
|
설비
수량
(EA)
|
총 용량
(kW)
|
운전
구분
|
옥내소화전
|
37
|
1
|
37
|
Y-△
|
옥내소화전 보조펌프
|
3.7
|
1
|
3.7
|
직입
|
스프링클러 주 펌프
|
55
|
6
|
330
|
Y-△
|
스프링클러 보조 펌프
|
5.5
|
3
|
16.5
|
Y-△
|
전실 급기 제연팬
|
7.5
|
6
|
45
|
직입
|
전실 배기 제연팬
|
7.5
|
6
|
45
|
직입
|
*비상용 승강기
|
22
|
2
|
44
|
인버터
|
소방용 승강기
|
15
|
4
|
60
|
Y-△
|
비상 조명/전열
|
350
|
-
|
350
|
-
|
*급수가압폄프
|
7.5
|
3
|
22.5
|
인버터
|
영구배수펌프
|
7.5
|
10
|
75
|
직입
|
배수펌프
|
5.5
|
5
|
27.5
|
직입
|
승강기피트 배수펌프
|
3.7
|
12
|
44.4
|
직입
|
합계
|
1,078
|
국내 발전기용량 계산은 식 (1)에서처럼 적용하며, 실 검증 건축물 오픈 사무실 $GP_{1}$과 대형 쇼핑몰 $GP_{2}$의 발전기용량 선정에 필요한 비상 부하 리스트 Table 4, 5를 적용하였다. 다만 객관성 검증을 위해 계산에 필요한 각종 계수 값은 KDS 31 60 20에서 제시한 추천 값과 범위를 조정 값을 구분하였다.
추천 값으로 계산 결과는 Table 6을 참조하고, 범위를 조정한 결과는 Table 7을 참조한다.
$GP_{1}=[300+(908-110)\times 1.38$
$+(110\times 1.38\times 2)]\times 1= 1,\: 819[k VA]$
$GP_{2}=[350+(728-55)\times 1.38$
$+(55\times 1.38\times 2)]\times 1=1,\: 564[k VA]$
Table 6. Generator capacity calculations result(recommended factor)
발전기용량 구분
|
각종 계수 (추천 값)
|
$GP_{1}$ 발전기
|
$\sum P$ (전동기 이외 부하 용량 합계): 300kva
|
$\sum P_{m}$ (전동기 부하 용량의 합계): 908kw
|
$PL$ (가장 큰 전동기용량): 110kw
|
$\alpha$ (고효율 입력 계수): 1.38
|
c (Y-$\triangle$ 기동계수): 2
|
k (허용전압강하/발전기 정수 25%): 1
|
$GP_{2}$ 발전기
|
$\sum P$ (전동기 이외 부하 용량 합계): 350kva
|
$\sum P_{m}$ (전동기 부하 용량의 합계): 728kw
|
$PL$ (가장 큰 전동기용량): 55kw
|
$\alpha$ (고효율 입력 계수): 1.38
|
c (Y-$\triangle$ 기동계수): 2
|
k (허용전압강하/발전기 정수 25%): 1
|
Table 7. Generator capacity calculations result(range factor)
발전기용량 구분
|
각종 계수 (범위 조정 값)
|
$GP_{1}$ 발전기
|
$\sum P$ (전동기 이외 부하 용량 합계): 300kva
|
$\sum P_{m}$ (전동기 부하 용량의 합계): 908kw
|
$PL$ (가장 큰 전동기용량): 110kW
|
$\alpha$ (고효율 입력 계수): 1.48 (표준형)
|
c (Y-$\triangle$ 기동계수): 3(범위 3 적용)
|
k (허용전압강하/발전기 정수 25%): 1
|
$GP_{2}$ 발전기
|
$\sum P$ (전동기 이외 부하 용량 합계): 350kVA
|
$\sum P_{m}$ (전동기 부하 용량의 합계): 728kW
|
$PL$ (가장 큰 전동기용량): 55kW
|
$\alpha$ (고효율 입력 계수): 1.48 (표준형)
|
c (Y-$\triangle$ 기동계수): 3(범위 3 적용)
|
k (허용전압강하/발전기 정수 20%):
1.13(불분명)
|
$GP_{1}=[300+(908-110)\times 1.48$
$+(110\times 1.48\times 3)]\times 1.13= 2,\: 177[k VA]$
$GP_{2}=[350+(728-55)\times 1.48$
$+(55\times 1.48\times 3)]\times 1.13=1,\: 786[k VA]$
KDS 31 60 20_예비전원설비에서 추천 값과 범위 조정된 값으로 적용한 결과 오픈 사무실의 발전기용량은 $GP_{1}=1,\: 819 / 2,\:
177 k VA$이며, 대형 쇼핑몰 발전기용량은 $GP_{2}=1,\: 564 / 1,\: 786 k VA$로 계산되었다. 오픈 사무실의 경우 추천
값보다 범위 조정 값으로 계산 용량이 약 358kVA가 큰 값으로 계산되었으며, 대령 쇼핑몰의 경우 약 224kVA가 큰 값으로 계산되었다.
추천 값과 범위 조정된 값으로 계산한 결과 용량 산정하는데 있어 용량의 편차가 상당히 크게 나왔다. 이 부분은 국내 설계사무실 및 엔지니어링 회사별로
용량계산 값이 다르게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계산 결과 비교는 Table 8을 참조한다.
Table 8. KDS 31 60 20 (recommended and range factor comparison)
실 검증 건축물
|
추천 값
[kVA]
|
범위 조정 값
[kVA]
|
용량 비교
(차이)
[kVA]
|
오픈 사무실
|
1,819
|
2,177
|
358
|
대형 쇼핑몰
|
1,564
|
1,786
|
224
|
4.2. NFPA 방식 용량계산
NFPA 방식으로 용량계산을 위해서는 Table 3을 참조하여 각각의 전동기별 마력 (HP), 전 부하전류 (FLC: Full-Load Current) 값을 확인하여야 한다. NEC Article
430.250에서 제시하는 460V가 아닌 객관적 수치를 비교 검토를 위해 국내 정격전압 380V으로 환산하여 계산하였다[3, 4].
국내방식에서 적용한 실 검증 비상 부하 리스트 Table 4, 5를 활용하여 NEC 규정에서 제시하는 전동기 마력(HP)별 전 부하전류 (FLC: Full-Load Current)등을 환산한 Table을 작성하였다.
NEC 규정 기준으로 환산한 Table 9, 10을 참조한다.
발전기용량 계산은 식 (2), (3), (4) 및 (5)에서처럼 계산하였다. 첫 번째로 실 검증 건축물 오픈 사무실 발전기용량 계산은 Table 9를 적용하였고, 두 번째의 대형 쇼핑몰의 발전기용량 계산은 Table 10을 적용하였다. 발전기용량 계산 결과 비교는 Table 11을 참조한다.
Table 9. Open office emergency load list (full-load current conversion) [3]
부하 명칭
|
용량
(kW)
|
설비
수량
(EA)
|
마력
(HP)
환산
|
FLC
변환
|
FLC
변환
x125%
|
옥내소화전
|
18
|
1
|
25
|
42.8
|
53.5
|
옥내소화전 보조펌프
|
18
|
1
|
25
|
42.8
|
53.5
|
스프링클러 주 펌프
|
55
|
1
|
75
|
120.9
|
151.2
|
스프링클러 보조 펌프
|
7.5
|
1
|
10
|
13.8
|
17.3
|
연결 송수관 펌프
|
110
|
2
|
150x2
|
453.6
|
567
|
전실 급기 제연팬
|
45
|
2
|
60x2
|
194
|
242.5
|
전실 배기 제연팬
|
45
|
2
|
60x2
|
194
|
242.5
|
승강기 제연 급,배기팬
|
22
|
2
|
30x2
|
100.8
|
126
|
급수가압펌프 인버터 (주1)
|
15
|
4
|
-
|
91.2
|
91.2
|
배수, 연구 배수펌프
|
7.5
|
30
|
10x30
|
414
|
519.7
|
비상용 승강기
인버터 (주1)
|
40
|
2
|
-
|
122
|
122
|
비상 조명/전열
(주1)
|
300
|
1
|
-
|
456
|
456
|
합계
|
2,246
|
2,642
|
(주1) 인버터, 전등 및 전열부하는 전동기 마력 (HP) 환산에서 제외한다.
|
Table 10. Grand shopping mall emergency load list (full-load current conversion) [3]
부하 명칭
|
용량
(kW)
|
설비
수량
(EA)
|
마력
(HP)
환산
|
FLC
변환
|
FLC
변환
x125%
|
옥내소화전
|
37
|
1
|
50
|
81.9
|
102.3
|
옥내소화전 보조펌프
|
3.7
|
1
|
5
|
9.5
|
11.8
|
스프링클러 주 펌프
|
55
|
6
|
75x6
|
725.6
|
906.7
|
스프링클러 보조 펌프
|
5.5
|
3
|
7.5x3
|
41.4
|
51.7
|
전실 급기 제연팬
|
7.5
|
6
|
10x6
|
105.6
|
132
|
전실 배기 제연팬
|
7.5
|
6
|
10x6
|
105.6
|
132
|
비상용 승강기
인버터 (주1)
|
22
|
2
|
-
|
100.8
|
126
|
소방용 승강기
인버터 (주1)
|
15
|
4
|
-
|
136
|
170
|
비상 조명/전열
(주1)
|
350
|
-
|
-
|
531.7
|
531.7
|
급수가압폄프
인버터 (주1)
|
7.5
|
3
|
-
|
52.8
|
52.8
|
영구배수펌프
|
7.5
|
10
|
10x10
|
176
|
220
|
배수펌프
|
5.5
|
5
|
7.5x5
|
69
|
86.2
|
승강기피트 배수펌프
|
3.7
|
12
|
5x12
|
114
|
142.5
|
합계
|
2,114
|
2,666
|
(주1) 인버터, 전등 및 전열부하는 전동기 마력 (HP) 환산에서 제외한다.
|
Table 11. Generator capacity calculations result (NFPA method)
실 검증 건축물
|
각종 계수
|
오픈 사무실
|
$I_{M}$ (전동기별 전 부하전류 합산): 1,577A
|
$I_{r}$ (전동기 부하 제외 부하전류): 669A
|
$V_{M}$ (정격전압): 380V
|
k (기동 시 $I_{M}$에 적용 상수): 125%
|
대형 쇼핑몰
|
$I_{M}$ (전동기별 전 부하전류 합산): 1,293A
|
$I_{r}$ (전동기 부하 제외 부하전류): 821A
|
$V_{M}$ (정격전압): 380V
|
k (기동 시 $I_{M}$에 적용 상수): 125%
|
첫 번째로 실 검증 건축물 오픈 사무실 발전기용량 계산은 아래와 같다.
$I_{GP1}=1,\: 577+669 = 2,\: 246[A]$
$P_{GP_{1}}=\sqrt{3}\times 380\times 2,\: 246\times 10^{-3}=1,\: 478[k VA]$
$I_{GP2}=(1,\: 577\times 1.25)+669 = 2,\: 640[A]$
$P_{GP2}=\sqrt{3}\times 380\times 2,\: 640\times 10^{-3}=1,\: 738[k VA]$
두 번째로 실 검증 건축물 대형 쇼핑몰 발전기용량 계산은 아래와 같다.
$I_{GP1}=1,\: 293+821 = 2,\: 114[A]$
$P_{GP_{1}}=\sqrt{3}\times 380\times 2,\: 114\times 10^{-3}=1,\: 391[k VA]$
$I_{GP2}=(1,\: 293\times 1.25)+821 = 2,\: 437[A]$
$P_{GP2}=\sqrt{3}\times 380\times 2,\: 437\times 10^{-3}=1,\: 604[k VA]$
NFPA 방식으로 실 검증 건축물 미국방식 발전기용량 계산 결과 값은 Table 12를 참조한다.
Table 12. NFPA method capacity calculation result
실 검증 건축물
|
용량 계산 결과 [kVA]
|
PGP1 (운전 시)
|
PGP2 (기동 시)
|
오픈 사무실
|
1,478
|
1,738
|
대형 쇼핑몰
|
1,391
|
1,604
|
4.3. 용량계산 비교
실 검증 건축물의 부하의 특성, 부하의 운전특성 및 다양한 부하특성별 구분하여 2가지 유형으로 KDS 31 60 20_예비전원설비의 국내방식과 NFPA
방식을 적용하여 계산하였으며, 특히나 국내방식의 경우 부하에 대한 계수 값을 추천 값과 조정 범위 값으로 구분하여 비교 검토하였다. 국내방식과 NFPA
방식의 용량 비교는 Table 13을 참조한다.
Table 13. Comparative review of capacity calculation of Korea standard (KDS 31 60
20) and NFPA method
실 검증 건축물
|
국내방식
용량 계산
[kVA]
|
NFPA 방식
용량 계산
[kVA]
|
용량 비교
(차이)
[kVA]
|
추천 값
|
범위 조정 값
|
PGP1
|
PGP2
|
오픈 사무실
|
1,819
|
2,177
|
1,478
|
1,738
|
439
|
대형 쇼핑몰
|
1,564
|
1,786
|
1,391
|
1,604
|
182
|
5. 결 론
본 연구에서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KDS 31 60 20 방식과 국내에 주둔하고 있는 주한미군 기지, 미국 전역에서 적용되는 NFPA 기준의 전동기
용량별 마력 (HP), 전동기의 특성계수 등 발전기용량 산정 시 적용되고 있는 자료를 검토하여, 실제 준공 완료된 건축물 2개소를 선정하여 실 검증을
통해 계산 및 비교 검토하였다. 실제 국내방식과 미국방식의 발전기용량 계산방법 면에서 큰 차이점이 없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발전기용량 검토
결과 국내방식으로 계산된 결과 값이 미국방식으로 계산한 값이 더 크게 계산된 부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 검증 첫 번째, 건축물 오픈 사무실의 경우 미국방식보다 $\nabla[k VA]= 2,\: 177-1,\: 738=439$kVA로 약 20%가
높게 계산되었으며, 두 번째, 대형 쇼핑몰의 경우 미국방식보다 $\nabla[k VA]=1,\: 786-1,\: 604=182$kVA로 약 10%가
높게 계산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국내방식과 미국방식의 발전기용량 계산방법은 큰 차이점은 없으나, 미국방식은 전동기의 전압별, 마력(HP)별 부하
용량이 아닌 전 부하전류 (운전 시, 기동 시) 값으로 구체적으로 적용하고 있다.
국내방식 발전기용량 계산에 적용되는 관련 기초자료, 데이터(발전기 허용 전압강하, 기동방식별 기동계수, 고조파 함유율 등) 값을 선정하는 데 있어
추천 값과 범위 조정 값의 선택 범위가 다양하여 같은 전동기 용량일지라도 설계사마다 다르게 적용될 수 있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향후 개정하는 데
있어 중점적으로 개선해야 할 필요가 있다.
References
J, S. Han, et al., “A study on the method of estimating the capacity of emergency
generator for private of US standard,” in Proceeding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on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pp. 95, 2020.
KDS 31 60 20 “Standby power system,” 2021.
NFPA 70, “National electrical code,” 2023.
NEMA “National electrical manufactures association, standards publication motor and
generator-1,” 1998.
NFPA 101, “Life safety code, emergency power supply system,” 2024.
NFPA 110, “Standard for emergency and standby power System,” 2022.
IEEE, “Recommended practice for electric power systems in commercial buildings,” 1990.
Biography
He has M.S.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Hanyang University, Korea, in
2021. He has 23 years of FED/USFK electrical and C4I design experience, and currently
runs a Splus E&C company. He is currently Ph.D. couse in Electrical and Biomedical
Engineering, Hanyang University, Korea.
He received the B.S. and M.S. degrees from the Hanyang University, Seoul, Korea,
in 1997 and 1999, respectively, and the Ph.D. degree from the Virginia Polytechnic
Institute and State University, Blacksburg, in 2009, Since 2010, he has been with
the Hanyang University, Seoul, Korea, where he is currently a Professor with the Department
of Electrical and Biomedical Engineering.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modeling
and control of power converter systems, soft switching techniques, energy management
systems in smart grid applications, power converter systems for renewable energies,
and motor drive syste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