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 제안된 벅-부스트 컨버터 시뮬레이션 결과
본 논문에서는 제안된 벅-부스트 컨버터의 대한 모드분석과 기존 MLPE용 전력변환장치의 열해석을 통하여 전력반도체의 발열 온도를 예측하기 위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논문의 시뮬레이션 구성은 스트링 구조를 갖는 태양광 발전을 모의 시뮬레이션을 수행하기 위하여 C언어 기반의 제어기를 이용하여 모델링하였다.
태양광 모듈은 PSIM에서 제공하는 모듈을 사용하여 400W 태양전지를 모델링을 진행하였다. 또한 제어기 구성은 PSIM의 DLL과 Visual studio를
연계하여 MPPT제어, 전압제어기, 전류제어기를 수행하였다.
Table 3. System Parameters
Parameters
|
Value
|
Unit
|
System Capacity
|
3.2
|
kW
|
MLPE System Capacity
|
400
|
W
|
Switching frequency
|
100
|
kHz
|
Input Voltage(Buck Mode)
|
12.5 ∼ 40
|
V
|
Input Voltage(Boost Mode)
|
40 ∼ 60
|
V
|
inductor
|
18
|
uH
|
capacitor
|
29.41
|
uF
|
400W급 PV 모듈 8대와 제안된 벅-부스트 컨버터 8대를 스트링 구조로 구성하였다. 모의 시뮬레이션에서 PV1∼5 모듈은 일사량이 100% 조건에서
발전하고 PV6∼8 모듈은 일사량이 100%, 60%, 20%에서 음영이 발생한 조건으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Table 3은 시스템 파라미터를 나타내고 있다.
Fig. 17. Light intensity waveforms of PV 1 and 8 module
Fig. 18. The output voltage waveforms of Buck-boost converter No. 1 and No. 8
Fig. 17은 PV1과 PV8 모듈의 일사량을 보여주고 있다. PV1 모듈 일사량은 부정합손실이 없는 상태에서의 일사량을 나타내고 있으며, PV8 모듈의 경우
100% 일사량에서 부정합손실로 60%, 20% 일사량이 줄어든다. Fig. 18은 일사량에 따른 벅-부스트 컨버터의 출력전압을 보여주고 있다. PV1 모듈과 연결된 벅-부스트 컨버터는 부스트 동작에 따라 출력전압을 상승하고 부정합
손실이 발생한 PV8 모듈과 연결된 벅-부스트 컨버터는 부스트 모드에서 벅으로 동작하여 출력을 제어하고 있다. PV1 모듈과 연결된 컨버터의 전압은
60V로 출력되며 이후 일사량 변화에 따라 출력전압은 66V, 75V로 승압된다. PV8 모듈과 연결된 컨버터는 일사량 100%에서는 60V로 출력되며
이후 38V, 14V로 출력전압은 강압한다.
Fig. 19. MPPT control waveforms of buck-boost converter No. 1
Fig. 20. MPPT Control waveforms of buck-boost converter No. 8
Fig. 19와 20은 벅-부스트 컨버터의 MPPT를 나타내고 있다. Fig. 19의 시뮬레이션 결과는 부정합 손실이 없는 PV 모듈과 연결된 컨버터의 MPPT 제어를 통하여 최대전력을 추종하는 파형을 나타내고 있다. 이때 최대
전력은 394W이다. Fig. 20은 임의의 부정합 손실이 발생한 모듈과 연결된 컨버터의 MPPT 제어를 통하여 최대전력을 추종하는 파형을 나타내고 있다. 일사량 100%에서는 PV1
모듈과 동일한 전력으로 제어되며, 일사량이 60% 감소한 최대 전력은 235W 이후 72W로 제어된다. 논문에서는 최대전력점 추종을 위하여 P&O
MPPT 제어방식을 적용하였다. P&O MPPT 동작 원리는 PV
Fig. 21. Buck mode and controller output waveforms of buck-boost bonverter No. 8
Fig. 22. Output voltage and current waveforms of buck-boost converter No. 1 ~ 8
모듈의 동작점을 규정하는 PV 출력단 전류 제어시에 전압을 일정한 폭으로 변동시킨 후 출력 전력을 관측하고, 이를 이전 출력 전력과 비교하여 출력이
증가하는 방향으로 전압을 상승 혹은 하강시킴으로써 최대 전력점을 추종하는 방식이다[14].
Fig. 21은 PV8 모듈에 연결된 제안된 컨버터가 부스트 모드에서 벅 모드로 절환되는 PWM 파형을 시뮬레이션으로 확인 할 수 있었다. Fig. 22는 스트링으로 구성된 제안된 컨버터들의 부하 출력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일사량이 100% 조건에서 부하측에 공급되는 전압과 전류는 485V,
6A이며, 이후 부분 음영에 따라 440V 5.5A, 400V, 5A로 제어된다. 바이패스 모드는 부하에서 요구되는 전력과 PV 모듈의 최대전력이
일치해야 모드가 실행된다. 제안된 컨버터는 바이패스 모드 조건에 따라 모의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Fig. 23. MPPT control waveform of buck-boost converter No. 1 by bypass mode
Fig. 24. Bypass mode waveforms of multi carrier-based PWM control
Fig. 25. Bypass mode waveforms of buck-boost converter
Fig. 23은 부스트 모드에서 바이패스 모드로 전환되는 시뮬레이션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이때 제안된 컨버터의 출력전압은 38V이고 입력전력은 380W로 공급된다.
바이패스 모드에서는 스위칭을 하지 않기 때문에 PV 모듈에서 공급하는 전압과 전류를 출력측으로 전달한다. 별도의 스위치가 동작하지 않기 때문에 공급되는
전압과 전류에는 리플이 발생하지 않는다. Fig. 24는 부스트 모드에서 바이패스 모드로 전환시 멀티캐리어와 벅-부스트 컨버터의 제어기 출력값을 보여주고 있다. Fig. 25는 부스트 모드에서의 바이패스 모드로 전환시 제안된 컨버터의 MPPT 추종하는 파형을 나타내고 있다. RSD 모드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화재 및
긴급 안전 점검 발생 시 신속하게 컨버터의 출력을 차단하여 RSD 모드에서 동작에 대하여 모의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Fig. 26. Output voltage and power waveforms of Buck-Boost converter
Fig. 27. RSD mode waveforms of multi carrier-based PWM control
Fig. 26은 부스트 모드 동작에서 외부의 신호를 받아 RSD 모드로 전환시 멀티 캐리어와 제어기의 출력값을 나타내고 있다. Fig. 27은 벅-부스트 컨버터의 출력전압과 스트링 구조에서 부하에 공급되는 출력 전압을 보여주고 있다. 출력전압은 직렬 연결된 PV8 모듈의 전압이다. 제안된
컨버터의 출력 전력과 부하측에 공급되는 전압은 394W과 485V이며, 외부 신호에 따라 RSD 모드 절환되어 전력 공급이 중단된다.
본 논문에서는 제안된 컨버터와 기존 벅-부스트 컨버터의 전력반도체 소자 온도를 비교하였다. Table 4는 온도 분석을 위한 파라미터이다. 스위치의 손실을 비교하기 위하여 ROHM사의 SiC MOSFET SCT3030AR을 다이오드는 Infineon사의
Si Diode IDWD40E65E7을 적용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Table 4. System parameters
Parameters
|
Value
|
Unit
|
System Power
|
400±30
|
W
|
Switching frequency
|
100
|
kHz
|
Input Voltage
|
40
|
V
|
Buck Output Voltage
|
20
|
V
|
Boost Output Voltage
|
80
|
V
|
손실분석은 2.4장의 손실분석에 따라 전력반도체의 Juction 온도에서 Case 온도까지 열 저항 모델링을 통하여 손실분석 하였다. 열 저항 모델링은
SiC MOSFET와 SiC Diode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데이터 시트에 열 저항 곡선으로 시정수 시간과 저항값을 계산하여 등가회로 설계 하였다.
Fig. 28. MOSFET and diode temperature waveforms of the proposed converter by buck
mode
Fig. 29. MOSFET and diode temperature waveforms of the proposed converter by boost
mode
Fig. 28은 제안된 벅-부스트 컨버터의 벅 모드에 따라 소자 온도를 나타내고 있다. 입출력 전압은 각각 40V, 20V이고 부하 저항은 1Ω이다. Fig. 28의 시뮬레이션 조건은 벅 모드에서 동작하였다. 스위치 SWBuck의 PWM 동작을 하고, SWBoost는 동작을 하지 않는다. 다이오드 D1은 SWBuck와
상보 동작을 하며, 다이오드 D2는 풀 턴-온 상태로 동작한다.
Fig. 29는 제안된 벅-부스트 컨버터의 부스트 모드에 따라 소자의 온도를 나타내고 있다. 입출력 전압은 각각 40V, 80V이고 부하 저항은 14Ω이다. 제안된
컨버터의 부스트 모드의 경우 스위치의 상태에 따라 인덕터의 에너지를 축척하거나 입력 전원과 인덕터의 에너지를 출력측으로 전달한다. 또한 스위치 상태에
따라 다이오드 D2는 도통되고 D1은 동작하지 않는다.
Fig. 30. Comparative analysis of loss and temperature by proposed converter
Fig. 30은 제안된 컨버터의 SiC MOSFET와 Si Diode에서 발생한 손실과 이에 따른 온도 비교를 나타낸다. 제안된 컨버터의 경우 스위칭 손실보다
전도손실이 크게 발생하며 전체적인 손실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스위치 온도보다 다이오드 온도가 높은 온도 특성을 볼 수 있다. 벅 모드에서 D2 다이오드는
약 91.3℃를 나타내고 있으며, D2의 경우 회로 구성에 따라 연속적인 동작과 큰 전류가 흐르기 때문에 높은 온도가 발생한다. 논문에서 선정한 다이오드의
순방향 전압은 1.65V이며, 실제 회로 구현 시 D2 다이오드는 순방향 전압이 낮은 소자 선정이 필요하다.
제안된 벅-부스트 컨버터와 스위치 4개를 사용한 기존 Non-Inverting Buck-Boost Converter의 전력반도체 온도를 비교하기 위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스위치는 동일한 모델로 적용하였다. 기존 컨버터도 벅 모드와 부스트 모드로 구분되며 부스트 모드에서는 SiC MOSFET
SW1과 SW4가 턴-온되면 인덕터 에너지를 축척하는 구간으로 SW1과 SW4 에 전류가 흐르는 패스(path)로 회로가 구성된다. 이후 SW4 SiC
MOSFET가 턴 오프가 되면 스위치 SW3 턴 온이 된다. 이때 스위치 SW1과 SW3를 통하여 입력 전원과 인덕터의 에너지를 출력측으로 전달된다.
벅 모드 에서는 SW1과 SW3가 턴 온이 되면 입력전원의 에너지를 출력측으로 전달된다. 입력전원의 에너지는 인덕터의 축척되는 에너지를 포함하고 있다.이후
SiC MOSFET SW1 턴 오프가 되면 dead time 이후 스위치 SW2가 턴 온 된다. 인덕터의 축척된 에너지를 출력측으로 전달한다.
Fig. 31. MOSFET and diode temperature waveforms of the conventional converter by buck
mode
Fig. 31은 Non-Inverting Buck-Boost Converter의 부스트 모드에 따른 소자 온도를 나타내고 있다. 4 개의 스위치 중 SW3 소자의
온도가 46.4℃ 로 가장 높게 나타난다. 부스트 모드에서 입력전압과 인덕터의 에너지를 출력측으로 전달될 때 SW3는 SiC MOSFET의 바디 다이오드로
흐르는 전류가 형성되며 SCT3030AR의 바디 다이오드 순방향 전압은 3.5V로 다른 소자 비해 높은 온도 특성을 나타내는 것을 볼 수 있다.
Fig. 32. MOSFET and diode temperature waveforms of the conventional converter by boost
mode
Fig. 32는 Non-Inverting Buck-Boost Converter의 벅 모드에 따른 소자 온도를 나타내고 있다. 스위치 SW1과 SW2의 소자는 Dead
Time 구간을 제외하고 상보 동작을 한다. 이때 두 소자의 온도차가 발생하는 이유는 SiC MOSFET SW2에 흐르는 전류는 소스-드레인으로 흐르는
전류와 바디 다이오드를 통해 전류가 흐른다. 이때 바디 다이오드의 순방향 전압값이 높아 전도 손실이 크기 때문에 온도차이가 발생한다.
Fig. 33. MOSFET and diode temperature comparison between proposed and conventional
converter
Fig. 33은 제안된 벅-부스트 컨버터와 기존 벅-부스트 컨버터의 동작에 따른 전력반도체 소자 온도를 비교하였다. 제안된 컨버터의 벅 모드 동작에서 다이오드
온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풀 턴-온으로 인하여 전도손실이 크게 발생하였다. 시뮬레이션을 수행한 제안된 컨버터의 다이오드는 IDWD40E65E7 사용하였다.
IDWD40E65E7는 스위칭 손실이 작고 고속 스위칭이 가능하지만, 순방향 전압이 1.65V로 전도 손실이 크게 때문에 적절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추후 제안된 컨버터의 설계 시 순방향 전압이 작은 다이오드를 사용하거나 2개의 병렬로 다이오드를 적용하면 다이오드 온도를 적절히 낮출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