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ISO Journal TitleJ Korean Inst. IIIum. Electr. Install. Eng.

  1. (Ph.D., Dept. of Electrical Engineering,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Korea)



First class generator IED, Identification, Impedance trajectory, Loss of excitation, Power swing, PSCAD

1. 서 론

최근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르면, 영동, 홍천, 영동 3개지점에 대용량 에너지저장장치로 1.8GW 양수발전소 건설이 확정, 추진되고 있다[1]. IRENA 전망보고서에는 2050년까지 양수설비 325GW 확보가 예상되는 등, 전세계 양수발전 설비량이 빠른 속도로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그런데 국내외 양수발전 시장확대에도 불구하고 국내 핵심기술 미확보로 주요기자재 해외수급등 산업 활성화 견인이 어려운 실정에 있다. 이에 따라 수력 기술의 국산화 및 WESS (Water ESS) 개발 전략을 통한 ENG 기술 내재화 및 설비 국산화가 필요하다[2].

한편, 수력양수발전소 주기기설비의 발전기 갑종 (A Class Protection Relay) IED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는 발전기에서 중요한 책무를 담당하는 보호제어시스템을 구성하는 핵심요소이다. 발전기 시스템 내에서 발생되는 사고 및 외란은 많은 문제를 야기한다. 발전기의 사고의 빈도는 다른 계통의 사고에 비해 자주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발전기 시스템을 포함하여 전력계통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크다. 따라서 발전기의 보호계전시스템은 높은 신뢰성과 신속성이 요구된다. 이에 국내에서는 대형발전기의 내부 사고 보호를 위한 다기능 IED 시제품 기술 개발과 IEC 61850 기반 보성강 수력발전기 보호용 갑종보호계전기 국산화를 이루었다[3, 4].

특히, 계자상실 (LOE, Loss of Excitation) 사고가 발생하면 무효전력 흐름이 감소하거나 역전되어 계통으로부터 무효전력을 흡수하게 되며, 이는 최종적으로 발전기의 영구적인 손상을 초래할 수 있다. 전력동요는 사고 및 외란으로 인해 전압원들 사이의 전압 위상각의 차이가 진동하게 된다. 그러나, 발전기의 계자상실과 전력동요 (Power Swing)는 임피던스 궤적 기반의 보호 기법을 공통적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각 현상들이 오·부동작을 유발하지 않도록 정확하게 판별되어야 한다[5].

국내 연구로는, 발전기 계자보호를 위한 계자상실에 대한 알고리즘에 관한 연구가 제안되었으며[6], DFT (Discrete Fourier Transformer) 알고리즘을 이용한 전력계통 동요모드 확인 방법이 제시되었다[7]. 또한, 발전기 계자상실 현상 분석 및 정정검토 기준에 대한 고찰[8]이 수행되었고, 동기발전기 동요 특성을 고려한 전력계통 안정화 장치가 개발되었다[9].

국외 연구로는, SVM (Support Vector Machine) 기반 빠른 패턴 분류 방법을 사용한 전력동요와 계자상실 식별 기법[10], 전력동요 동안의 정확한 페이저 추정기법[11]이 제시되었다. 또한, 전력동요로 인한 사고 구분 및 거리계전기에 의한 HIF (High Impedance Fault) 검출[12], 최근에는 전력동요 차단 계전기의 실제 시험이 수행되었다[13].

종래의 전력동요 기능은 임피던스의 급격한 변동, 즉 스윙을 감지한 후, 거리계전기의 동작을 방지 (block)하여 전력동요 현상에 따른 오동작을 방지한다. GE의 계자상실 보호 알고리즘에서는 전력동요와 보호협조를 위해, 계자상실 IED의 동작을 Zone1일 때는 0.06초, Zone2 일 때에는 0.5초 이상의 시간 지연을 통해 판단한다[4].

본 논문에서는 지능형 IED의 선도적 적용의 일환으로, 인공지능 기법을 적용하기 전에 계자상실 및 전력동요 시뮬레이션을 분석한 후, 이 두 현상을 정확하게 판별하고자 한다. 먼저, 발전기 갑종 IED를 약술한 후, 계자상실 및 전력동요에 대해 소개한다. 칠보수력발전소의 발전기 시스템을 대상으로 정정보고서 및 PSS/E 데이터[4, 14]를 근거로, 전력계통과도현상해석 프로그램인 PSCAD/EMTDC를 사용하여 발전기 제어시스템 및 보호 IED를 설계한다. 정상상태 시뮬레이션을 통해 적정성을 확인한 후, 계자상실 및 전력동요의 여러 가지 조건을 가변하면서 수행한 13가지 시뮬레이션을 통해 임피던스 궤적을 기반으로 계자상실 및 전력동요 현상을 판별하고자 한다.

2. 발전기 갑종 IED

발전기 갑종 IED는 발전기의 고장 및 비정상적인 조건인 경우 신속하고 정확하게 동작하여야 한다. 대용량 발전기는 고정자보호, 회전자보호, 비정상적인 동작 조건 및 후비보호를 통해 보호된다[3, 4].

2.1 고정자보호

발전기의 고정자에서 발생하는 고장은 매우 심각하며, 절연, 권선, 철심에 심각하고 커다란 수리 비용을 요하는 손상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회전축 및 커플링에 큰 기계적 충격을 가할 수 있다. 발전기 내부 또는 부근에서 발생하는 고장은 큰 단락전류를 유발하기 때문에, 몇 가지 형태의 고속 보호계전기가 사용되어 발전기를 최대한 신속하게 Trip 시켜 손상을 최소화해야 한다[3, 4].

2.2 회전자보호

회전자의 과열을 직접적으로 보호하는 간단한 방법은 없기때문에 다양한 간접적인 방법이 사용되며, 회전자의 온도를 대략적으로 가늠하거나 회전자의 과도한 과열징후를 보여주는 물리량들을 측정한다. 따라서, 회전자의 과열보호방식은 과열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는 잠재적인 원인을 찾아내는데 방향이 맞추어져 있다[3, 4].

2.3 비정상적인 동작 조건

비정상적인 동작 조건은 발전기의 내부고장과 꼭 연계되지 않지만 발전기가 겪을 수 있는 비정상적인 운전상태로 인한 위험을 지칭하는데, 계자 상실, 불평형 전류, 동기탈조, 과여자, 역전력, 과전압, 부족전압, 비정상 주파수 등이 있다[3, 4].

3. 계자상실 및 전력동요 현상

3.1 계자상실

계자상실은 발전기의 계자전원이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공급되지 않을 때 발생한다. 다양한 원인으로 일어나는 발전기의 계자상실은 발전기 자체뿐만 아니라 전력계통에도 심각한 운전상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Fig. 1은 Negative Mho 특성을 가진 계자상실 보호 특성곡선을 나타낸다. Fig. 1과 같이, 계자상실 보호는 Negative Mho 특성을 이용하는데, 두 개의 Zone을 갖는다. Zone 1은 발전기 과도 임피던스의 50%에서 정정되고, Zone 2는 발전기 동기 임피던스 및 과도 임피던스의 50%에서 정정된다. 식 (1)은 두 개의 Zone을 나타낸다[4].

Fig. 1. Characteristic curve of loss of excitation (Negative Mho)

../../Resources/kiiee/JIEIE.2024.38.3.218/fig1.png
(1)
${C}1 =({Z}_{{b}}+{X}'_{{d}})/2,\: {C}2 =({X}_{{d}}+{X}'_{{d}})/2$

여기서, ${C}1$은 Zone1의 중심점, ${C}2$는 Zone2의 중심점, ${Z}_{{b}}$는 발전기의 정격 임피던스, ${X}_{{d}}$는 발전기의 동기 임피던스, ${X}'_{{d}}$는 발전기의 과도 임피던스를 각각 나타낸다.

(2)는 주기당 16샘플링한 경우 전압의 기본파 추출을 위한 DFT 필터의 출력을 나타낸다.

(2)
$ {V}_{{r}1}^{16}({k})=\dfrac{2}{16}\sum_{{n}=0}^{15}{v}({k}-{n})\cos(\dfrac{2\pi{nk}}{16})\\ {V}_{{i}1}^{16}({k})=\dfrac{2}{16}\sum_{{n}=0}^{15}{v}({k}-{n})\sin(\dfrac{2\pi{nk}}{16}) $

여기서, ${V}_{{r}1}^{16}({k}),\:{V}_{{i}1}^{16}({k})$는 각각 k번째 기본파 추출을 위한 필터링 후 기본파 성분의 실수부와 허수부를 나타낸다.

(3), 식 (4)는 발전기 단자에서 측정한 임피던스를 나타낸다.

(3)
${Z}_{{a}1}=\dfrac{{V}_{{a}1}}{{I}_{{a}1}+{I}_{0}}={R}_{{a}1}+{j X}_{{a}1}$
(4)
${Z}_{{ab}1}=\dfrac{{V}_{{a}1}-{V}_{{b}1}}{{I}_{{a}1}-{I}_{{b}1}}={R}_{{ab}1}+{j X}_{{ab}1}$

여기서, ${V}_{{a}1}$과 ${V}_{{b}1}$는 각각 a상과 b상의 기본파 전압, ${I}_{{a}1}$과 ${I}_{{b}1}$은 각각 a상과 b상의 기본파 전류,${I}_{0}$는 영상분 전류, ${Z}_{{a}1}$, ${Z}_{{ab}1}$는 지락 및 단락 임피던스이고 ${R}_{{a}1}$, ${R}_{{ab}1}$와 ${X}_{{a}1}$, ${X}_{{ab}1}$는 각각 저항성분과 리액턴스성분을 나타낸다.

3.2 전력동요

전력동요는 전력계통의 사고 및 외란에 의해 각 발전기의 회전기 속도가 변화함에 따라 발전기 송전단의 전압의 위상각에 변화가 생겨, 전압원들 사이의 전압 위상각의 차이가 진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 경우, 전기적 중성점 부근에 위치한 IED는 전압을 최소, 전류는 최대로 인식하는 경우가 발생하여, 3상 단락사고로 인지하여 오동작할 수 있다. 따라서 전력계통의 IED의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하여 정확한 전력동요 판별이 요구된다.

Fig. 2는 전형적인 전력동요 검출 특성곡선을 나타낸다. Fig. 2와 같이, 단락거리계전기 Zone 3 밖에 또 하나의 PS Zone을 설정하여 전력동요를 판별한다[5].

Fig. 2. Characteristic curve of power swing

../../Resources/kiiee/JIEIE.2024.38.3.218/fig2.png

4. PSCAD를 이용한 발전기 제어 시스템의 설계, 구현 및 유효성 검증

4.1 칠보수력발전기 제어시스템의 데이터

Table 1은 칠보수력발전기 제어시스템의 발전기 데이터를 나타낸다. Table 1과 같이, 발전기의 정격 유효전력은 16MW, 선간전압은 11kV 등이었다[14].

Table 1. Data of Generator control system

Data

Value

Rated MVA

16MVA

Rated Voltage

11kV

Rated Current

0.437kA

%Xd

102.7%

%Xd'

26.8%

%Xd'

19.7%

X0

10.7%

X2

23.1%

PF

0.9

4.2 발전기 제어 시스템 모델링

Fig. 3은 PSCAD를 이용한 발전기 제어시스템의 모델링을 나타낸다. Fig. 3과 같이, 발전기 제어시스템의 모델링은 PSCAD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터빈 모델을 통해 기계적 토크를 입력받아 여자전압 조정을 위한 여자기와 조속기를 이용하여 발전기를 제어하도록 설계하였다.

Fig. 3. Modeling of generator control system

../../Resources/kiiee/JIEIE.2024.38.3.218/fig3.png

4.3 PSCAD를 이용한 계자상실 IED 구현

Fig. 4는 PSCAD를 이용한 FFT 모델 및 시퀀스 변환 모델을 나타낸다. Fig. 4와 같이, FFT 모델을 이용하여 3상 기본파 전압 및 전류와 시퀀스 변환 모델을 이용하여 정상분, 역상분 및 영상분을 추출하였다.

Fig. 4. FFT and sequence transformation model

../../Resources/kiiee/JIEIE.2024.38.3.218/fig4.png

Fig. 5. Impedance calculation and LOE IED model

../../Resources/kiiee/JIEIE.2024.38.3.218/fig5.png

Fig. 5는 PSCAD를 이용한 임피던스 계산 모델 및 계자상실 IED 모델을 나타낸다. Fig. 5의 (a)는 지락 임피던스 계산, (b)는 단락 임피던스 계산을 나타낸다. Fig. 5와 같이, 임피던스 수식에 의하여 각 상의 저항 및 리액턴스를 계산하고, 계자상실 IED 모델을 이용하여 Negative Mho 특성곡선에 의한 보호를 수행하였다.

(5)는 계자상실 IED의 정정치 계산을 나타낸다. Zone 1의 중심점 및 반지름은 4.795, 3.781이며, Zone 2의 중심점 및 반지름은 4.897, 3.883이었다.

(5)
$ {C}1 =({Z}_{{b}}+{X}'_{{d}})/2=(7.563+2.027)/2=4.795\\ {C}2 =({X}_{{d}}+{X}'_{{d}})/2=(7.767+2.027)/2=4.897\\ {R}1 ={Z}_{{b}}/2=3.781\\ {R}2 ={X}_{{d}}/2=3.883 $

4.4 정상상태 시뮬레이션

Fig. 6은 정상상태에서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낸다. Fig. 6의 (a)는 터빈의 토크, 각속도, 계자전압 및 계

Fig. 6. Simulation result signal of steady state

../../Resources/kiiee/JIEIE.2024.38.3.218/fig6.png

자전류, (b)는 전압, 전류, 유효전력 및 무효전력을 나타낸다. Fig. 6과 같이, 터빈의 토크, 각속도, 계자전압 및 계자전류는 초기 과도가 진행된 이후, 10초 이후로 안정화되어 각각 1.0pu, 376.7rad/s, 1.52pu, 1.52pu이었다. 또한, 전압, 전류, 유효전력 및 무효전력은 초기 과도가 진행된 이후, 10초 이후로 안정화되어 각각 10.94kV, 0.379kA, 7.15MW, 1.87MVar이었다. 즉, 정상상태 시뮬레이션 결과, 정확도는 99% 이상으로서 모델링의 유효성을 확인하였다.

5. 임피던스 궤적을 이용한 계자상실과 전력동요의 분석 및 판별

PSCAD 총 시뮬레이션 시간은 50초, 주기당 샘플링 수는 16s/c, 샘플링주파수는 960Hz, 사고 발생 시각은 20초로 선정하였다. 경부하 (30%), 중부하 (70%) 시 계자상실, 3상 단락사고, 3상 단락지락사고, 2선 단락사고, 2선 지락사고 및 1선 지락사고에 의한 전력동요 등의 13가지 사례연구를 통해서 계자상실 및 전력동요 현상을 판별하였다.

5.1 계자상실 시뮬레이션

여자기에서의 출력 전류를 0으로 함으로써, 계자상실 사고를 모사하였다. Fig. 7은 경부하 계자상실 시뮬레이션 시 3상 임피던스를 나타낸다. Fig. 7과 같이, 계자상실 이후, 약 21.5초 이후부터 임피던스가 크게 진동하며, 일정한 값으로 수렴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Fig. 7. Impedance during loss of excitation (light load)

../../Resources/kiiee/JIEIE.2024.38.3.218/fig7.png

Fig. 8은 경부하 계자상실 시뮬레이션 시 3상 임피던스 궤적을 나타낸다. Fig. 8에서 검정색은 A상, 빨간색은 B상, 파란색은 C상의 임피던스 궤적이다. Fig. 8과 같이, 20초에 계자상실이 발생한 후, 29.7초 이후부터 임피던스 궤적이 Zone 1과 Zone 2를 계속 통과하며 일정한 값으로 수렴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Fig. 8. Impedance trajectory during loss of excitation (light load)

../../Resources/kiiee/JIEIE.2024.38.3.218/fig8.png

Fig. 9는 경부하 계자상실 시뮬레이션 시 계자상실 IED의 Trip 및 상태판별 Counter 신호를 나타낸다. Fig. 9의 (a)는 총 시뮬레이션 시간인 전체 신호, (b)는 Trip 신호 발생 인근의 30초부터 32초까지 상세한 신호를 나타낸다. Fig. 9에서 검정색은 계자상실 IED의 Trip 신호, 빨간색은 계자상실 보호영역 Zone 1의 Counter 신호, 파란색은 계자상실 보호영역 Zone 2의 Counter 신호이다. Zone 1의 경우, 임피던스 궤적이 0.5초(상태판별 카운터 481개) 이상, Zone 1 영역 내에 유지되어야 계자상실이 판별되고, Zone 2의 경우, 임피던스 궤적이 0.06초(상태판별 카운터 58개) 이상, Zone 2 영역 내에 유지되어야 계자상실이 판별되어 Trip 신호를 차단기로 발생한다. Fig. 9와 같이, 20초에 계자상실이 발생한 후, 지락 임피던스 궤적이 31.068초에 Zone 2로 진입하였으며, Zone 2 지연시간인 0.06초를 초과한 후, 31.128초에 Trip 신호가 나타난 것을 알 수 있었다.

Fig. 9. Trip and counter signal during loss of excitation (light load)

../../Resources/kiiee/JIEIE.2024.38.3.218/fig9.png

Fig. 10은 중부하 계자상실 시뮬레이션 시 3상 임피던스를 나타낸다. Fig. 10과 같이, 계자상실 이후, 약 21.5초 이후부터 임피던스가 크게 진동하며, 일정한 값으로 수렴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Fig. 10. Impedance during loss of excitation (heavy load)

../../Resources/kiiee/JIEIE.2024.38.3.218/fig10.png

Fig. 11은 중부하 계자상실 시뮬레이션 시 3상 임피던스 궤적을 나타낸다. Fig. 11과 같이, 20초에 계자상실이 발생한 후, 29초 이후부터 지락 임피던스 궤적이 Zone 1과 Zone 2를 계속 통과하며 일정한 값으로 수렴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Fig. 11. Impedance trajectory during loss of excitation (heavy load)

../../Resources/kiiee/JIEIE.2024.38.3.218/fig11.png

Fig. 12는 중부하 계자상실 시뮬레이션 시 계자상실 IED의 Trip 및 상태판별 Counter 신호를 나타낸다. Fig. 12와 같이, 20초에 계자상실이 발생한 후, 지락 임피던스 궤적이 31.106초에 Zone 2로 진입하였으며, Zone 2 지연시간인 0.06초를 초과한 후, 31.166초에 Trip 신호가 나타난 것을 알 수 있었다.

Fig. 12. Trip and counter signal during loss of excitation (heavy load)

../../Resources/kiiee/JIEIE.2024.38.3.218/fig12.png

5.2 전력동요 시뮬레이션

3상 단락사고, 3상 단락지락사고, 2선 단락사고, 2선 지락사고 및 1선 지락사고를 통하여 전력동요 현상을 모사하였다. Fig. 13은 3상 단락사고 전력동요 시뮬레이션 시 3상 임피던스를 나타낸다. Fig. 13과 같이, 20초에 단락사고가 발생한 후, 20.02초에 임피던스가 0.73-j0.09Ω으로 수렴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Fig. 13. Impedance during power swing (ABC short)

../../Resources/kiiee/JIEIE.2024.38.3.218/fig13.png

Fig. 14는 3상 단락사고 전력동요 시뮬레이션 시 3상 임피던스 궤적을 나타낸다. Fig. 14와 같이, 20초에 전력동요가 발생한 후, 지락 임피던스 궤적이 Zone 내부에 들어가지 않았으므로, 계자상실 IED가 오동작 하지 않았다.

Fig. 14. Impedance trajectory during power swing (ABC short)

../../Resources/kiiee/JIEIE.2024.38.3.218/fig14.png

Fig. 15는 3상 단락사고 전력동요 시뮬레이션 시 계자상실 IED의 Trip 및 상태판별 Counter 신호를 나타낸다. Fig. 15와 같이, 20초에 전력동요가 발생한 후, Trip 신호가 나타나지 않은 것을 알 수 있었다.

Fig. 15. Trip signal and counter during power swing (ABC short)

../../Resources/kiiee/JIEIE.2024.38.3.218/fig15.png

Fig. 16은 2선 지락사고 전력동요 시뮬레이션 시 3상 임피던스를 나타낸다. Fig. 16과 같이, 20초에 전력동요가 발생한 후, A상 임피던스가 2.21+j0.02Ω, B상 임피던스가 2.24-j0.12Ω, C상 임피던스가 크게 진동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Fig. 16. Impedance during power swing (AB ground)

../../Resources/kiiee/JIEIE.2024.38.3.218/fig16.png

Fig. 17은 2선 지락사고 전력동요 시뮬레이션 시 3상 임피던스 궤적을 나타낸다. Fig. 17과 같이, 20초에 전력동요가 발생한 후, CA상 단락 임피던스 궤적이 Zone 1과 Zone 2 내부에 들어가므로, 계자상실 IED 오동작 우려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Fig. 18은 2선 지락사고 전력동요 시뮬레이션 시 계자상실 IED의 Trip 및 상태판별 Counter 신호를 나타낸다. Fig. 18의 (a)는 총 시뮬레이션 시간인 전체 신호, (b)는 Trip 신호 발생 인근의 21.85초부터 22.25초까지

Fig. 17. Impedance trajectory during power swing (AB ground)

../../Resources/kiiee/JIEIE.2024.38.3.218/fig17.png

상세한 신호를 나타낸다. Fig. 18과 같이, 20초에 전력 동요가 발생한 후, 21.948초에 Zone 1과 Zone 2로 진입하였으며, 21.949초에 Zone 1과 Zone 2에서 벗어났다. 이후, 1∼4 sample (0.001∼0.004초) 동안 Zone 1과 Zone 2에 머물렀으나, Zone 1 지연시간 0.5초와 Zone 2 지연시간 0.06초를 초과하지 않아, Trip 신호가 나타나지 않은 것을 알 수 있었다.

Fig. 18. Trip and counter signal during power swing (AB ground)

../../Resources/kiiee/JIEIE.2024.38.3.218/fig18.png

5.3 결과 및 고찰

Table 2는 다양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낸다. Table 2와 같이, 계자상실의 경우, Zone 1과 Zone 2 첫 진입시간이 28.911∼29.792초로 다소 늦었으나, 계자상실 IED가 모두 정동작하였다. 전력동요에서 3상 단락사고, 3상 단락지락사고의 경우, Zone 1과 Zone 2에 진입하지 않았다. 2선 단락사고, 2선 지락사고 및 A상 지락사고의 경우, Zone 1과 Zone 2에 진입하여 계자상실 IED 오동작 우려가 있었으나, 계자상실의 판단 기준에 따른 충분한 지연시간에 의해 오동작하지 않았음을 알 수 있었다.

Table 2. Results of various simulation

사고종류

위치

Zone1 첫

진입시간

Zone2 첫

진입시간

Trip 신호

발생시간

계자상실 IED

동작여부

계자상실

경부하시 (30%) 계자상실

29.898

29.792

31.128

중부하시 (70%) 계자상실

28.995

28.911

31.166

전력동요

3상 단락사고

×

×

×

×

3상 단락지락사고

×

×

×

×

2선 단락사고

A-B상

22.230

22.181

×

×

B-C상

22.235

22.185

×

×

A-C상

22.233

22.183

×

×

2선 지락사고

A-B상

21.948

21.948

×

×

B-C상

21.995

21.954

×

×

A-C상

21.992

21.951

×

×

1선 지락사고

A상

20.015

20.015

×

×

B상

×

×

×

×

C상

×

×

×

×

6. 결 론

발전기의 계자상실 및 전력동요는 공통적으로 임피던스 궤적 기반의 보호 기법을 사용하기 때문에, 오·부동작하지 않고 각 현상들의 정확한 판별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지능형 IED의 선도적 적용의 일환으로, 칠보수력발전소를 대상으로, PSCAD를 이용한 모델링과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각 현상의 임피던스 궤적을 분석하고 판별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계자상실 사고 시 IED가 정동작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2선 단락사고, 2선 지락사고 및 A상 지락사고 등 전력동요에 의해 임피던스 변화가 발생하면 Negative Offset Mho 보호영역으로 궤적이 변화하여 계자상실 IED의 오동작이 발생할 수 있었다. 이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해서, 계자상실 IED의 충분한 계자상실과 전력동요의 보호협조 시간 (delay 0.06초) 이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SVM, DNN 등의 패턴인식 기반 AI 기법을 적용한 계자상실 및 전력동요 판별 기법에 관하여 연구할 예정이다.

References

1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10th basic electricity supply and demand plan,” pp. 1-11, 2023.URL
2 
K. H. Ko, “Hydroelectric technology localization and WESS development strategy,” KHNP, pp. 1-18, 2024.DOI
3 
C. W. Park, et al., “Development of prototype multifuction IED for internal fault protection of large generator,” Ministry of Knowledge Economy, Technology Innovation Project, Final Report, pp. 1-217, 2013.URL
4 
T. P. Ahn, et al., “Localization of a class protection relay for hydro power generator based on IEC 61850,” KHNP, Final Report, pp. 1-169, 2016.URL
5 
S. N. Kim, et al, “Development of impedance locus model for protective relay dynamic test,” Trans. of KIEE, vol. 51A, no. 9, pp. 451-459, 2002.URL
6 
Y. Y. Park and C. W. Park, “A study on loss of excitation algorithm for generator field protection,” Trans. of KIEE, vol. 63P, no. 4, pp. 368-372, 2014.DOI
7 
D. J. Kim, et al., “Identification of power system oscillation using DFT algorithm,” Trans. of KIEE, vol. 50A, no. 5, pp. 218-224, 2001.URL
8 
Y. S. Lyu, et al., “A study on setting rule and analysis for loss of generator exciter,” 2008 KIEE Summer Conf., pp. 142-144, 2008.URL
9 
J. J. Kim, et al,, “A study on a power system stabilizer considering the swing characteristics of the synchronous generator,” 2021 KIEE Power System Research Society Spring Conf., pp. 43-44, 2021.URL
10 
Eli Pajuelo, Ramakrishna Gokaraju, and Mohindar S. Sachdev, “Identification of generator loss-of-excitation from power- swing conditions using a fast pattern classification method,” IET Generation, Transmission & Distribution, vol. 7, no. 1, pp. 24-36, 2013.DOI
11 
Tapas Kumar Patel, Sarat Chandra Swain, Chandra KANTA Panda, and Subodh Kumar Mohanty, “Accurate phasor estimation during power swing”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novations in Power and Advanced Computing Technologies [i-PACT2017], 978-1-5090-5682-8, pp. 1-5, 2017.URL
12 
A. Thakallapelli, R. Mehra, and H. A. Mangalvedekar, “Differentiation of faults from power swings and detection of high impedance faults by distance relays,” 2013 IEEE 1st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dition Assessment Techniques in Electrical Systems, pp. 374-377, 2013.DOI
13 
Sajad Ansari, et al., “Practical test of power swing blocking relay,” 2024 International Conference on Protection and Automation in Power Systems (IPAPS), pp. 16-21, 2024.DOI
14 
POWER TOS, “A review report on the adequacy of system analysis and protection relays for local production of the water turbine generator of the Seomjingang Hydroelectric Power Plant,” pp. 1-406, 2013.URL

Biography

Kyung-Min Lee
../../Resources/kiiee/JIEIE.2024.38.3.218/au1.png

He was born in Korea in 1990. He received his B.S., M.S. and Ph.D.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Wonju, Korea, in 2014, 2017, and 2023, respectively. He is a post-doctor at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since 2023. He is a lecturer at Myongji College, since 2024.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Smartgrid, LVDC, Microgrid, RES, PMU, AI application of power system, power system modeling & control, and power system protection. He is a member of the KIEE, KIIEE, and IEEE. Dr. Lee was awarded the Paper Prize of KIIEE in 2020, the Best Paper of the APAP in 2021, and the Best Paper of KOWEPO in 2021, 2022.

Chul-Won Park
../../Resources/kiiee/JIEIE.2024.38.3.218/au2.png

He was born in Korea. He received his B.S., M.S. and Ph.D.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Sungkyunkwan University, Seoul, Korea, in 1988, 1990, and 1996, respectively. From 1989 to 1993 he was an associate researcher at Lucky GoldStar Industrial Systems. From 1993 to 1996, he was a senior researcher at PROCOM system and lecturer at S.K.K. University. At present, he is a professor in the Department of Electrical Engineering at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since 1997.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power IT, IED, LVDC, MVDC, Microgrid, Hybrid, RES, PMU, AI application to power grid, power system modeling & control, and computer application in power system. He is a member of the KIEE, KIIEE, and IEEE. Dr. Park was awarded the Paper Prize of KIEE in 2010, 2020, the Paper Prize of the KOFST in 2017, the Best Paper of the APAP in 2021, the Best Paper of KOWEPO in 2021, 2022, and the Best Paper of KHNP in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