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윤재
(Yoon-Jae Heo)
1iD
이교범
(Kyo-Beum Lee)
†iD
-
(Master’s course, Department of Electronic Engineering, Ajou University, Korea)
Copyright ©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Engineers(KIIEE)
Key words
DC Grid, Dual-Active-Bridge, LVDC
1. 서 론
현재 전력 시스템은 주로 3상 교류를 기반으로 운영되고 있으나, 상업적으로 최초로 사용된 배전 시스템은 직류로 구성되었다. 토머스 에디슨의 뉴욕 맨하튼
남부에 위치한 펄 스트리트 발전소는 1882년에 24km 길이의 이선 구리 선로를 통해 110V 직류 전력을 배전하기 시작했다[1]. 낮은 전압으로 인해 높은 저항성 손실을 야기하는 직류 배전 방식은 1880년대 중반에 개발된 교류 시스템보다 효율이 낮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최초의
직류 배전 시스템이 쇠퇴한 후 100년이 넘는 시간이 지났다. 현재는 전력 반도체 소자와 케이블 기술의 급격한 발전으로 직류는 다시 주목받고 있다.
기존 교류 전력 시스템과 통합되어 그 사용 범위를 넓혀갔다[2]. 전통적으로 대부분의 배전 시스템은 발전소의 발전기를 통해 교류 전력을 생산하는 방식이었다. 그러나 분산 전원 시스템의 증가와 직류 부하의 확대로
교류 배전 시스템은 다양한 문제점이 발생한다[3]. 태양광과 에너지 저장 장치 등 직류 출력 특성을 지닌 분산 전원(Distributed Energy Resource, DER)과 LVDC (Low
Voltage Direct Current) 배전망의 연계는 변환 단계를 줄여 효율성을 높이고 신뢰성을 강화하는 등의 장점으로 인해 많은 관심과 연구가
집중된다. 이러한 LVDC 배전망의 확산을 위해서는 안정적인 보호 시스템의 연구와 개발이 필수적이다[4].
LVDC 배전망은 상위 계통에서 치명적인 사고가 발생하더라도 독립운전을 통해 독자적으로 LVDC 배전망내 수요공급의 유지가 가능하다. 이러한 LVDC
배전망의 독립운전 기능은 전통적인 전력계통에서 불가능했던 기능으로, 최근 이와 관련하여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다[5-8].
LVDC 배전망에 에너지 저장시스템과 양방향 전력 전송을 위해 사용되는 컨버터는 Dual-Active-Bridge (DAB) 컨버터가 널리 사용된다.
DAB 컨버터의 경우 1차 측과 2차 측이 풀 브리지로 구성되며, 1차 측과 2차 측의 위상 차이를 통해 양방향으로 전력을 전달한다.
본 논문에서는 DAB 컨버터의 독립운전기법을 제안한다. 분산전원에서 DC-DC 컨버터 및 DAB 컨버터의 필요성을 분석한다. 독립운전상황에서 직류
계통망의 안정적인 운영을 위한 전압 제어기법 및 소프트 스타트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된 알고리즘을 검증하기 위해 파라미터 값을 선정하고 설계를
통해 시제품을 제작한다. 실험을 통해 DAB 컨버터를 이용한 독립운전기법의 타당성을 검증한다.
2. 분산전원의 개요
최근 직류 마이크로그리드는 신재생에너지 및 에너지 저장장치를 비롯한 다양한 분산 전원을 통합하는 효과적인 솔루션으로 주목받고 있다. 전력망에 직류를
채택할 경우, 교류 대비 동일 전압에서 더 많은 전력을 동일한 전로를 통해 송배전할 수 있다. 신재생 에너지 및 분산전원의 통합이 용이해진다.
2.1 분산전원에서 DC-DC 컨버터의 필요성
직류 계통망 분야는 직류 송전에 비해 기술 발전이 상대적으로 미흡한 상태에 있다. 저전압 직류 배전 시스템인 LVDC는 현재 실증 단계에 있는 기술로서,
태양광 및 에너지 저장 시스템과의 연계가 수월한 특성을 지니고 있다. HVDC (High Voltage Direct Current) 기술에 비하여
LVDC 및 MVDC (Medium Voltage Direct Current) 배전 시스템은 현재까지 기술 개발이 미진한 상황이다. 이에 따라, DC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의 설계 및 운영 기술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필요하다.
2.2 분산전원에서 DC-DC 컨버터의 활용
기존의 교류 배전망의 분산전원은 신재생에너지와 연계할 경우 일반적으로 전력변환을 할 때 2단계 변환 손실이 발생한다. 이와 반대로 직류 계통망의 분산전원은
일반적으로 전력변환을 1단계만 되기 때문에 높은 효율의 운전이 가능하다. 또한 표피효과, 무효전력, 계통동기화, 유도장애와 같은 교류 배전망에서 발생하는
문제가 없다. Fig. 1은 직류 계통망의 구성을 보여준다. DC-DC 컨버터는 태양광, 배터리에 연결되어 직류 계통망에 전원을 공급한다. 태양광의 DC-DC 컨버터는 단방향
태양광 인버터로 직류 계통망에 전력을 전달한다. 배터리의 DC-DC 컨버터는 충전, 방전이 가능한 양방향으로 직류 계통망에 전력을 전달한다.
Fig. 1. Diagram of direct current system network
직류 계통망에서 AC-DC 컨버터는 교류 계통망과의 연계로 운영 할 때 직류 계통망의 직류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한다. DC-DC 컨버터는 교류 계통망과의
문제가 발생할 때 직류 계통망내에서 독립형 운전모드로 운영한다. 독립형 운전모드는 배터리 충전의 경우와 직류 계통망의 부하 출력의 경우가 있다. 독립형
운전모드에서 배터리 충전의 경우는 Fig. 2와 같은 순서로 운전을 수행한다. 첫번째 직류 계통망의 DC-DC 컨버터는 독립운전모드로 동작한다. 두번째 태양광의 DC-DC 컨버터는 방전을 수행한다.
세번째 배터리의 DC-DC 컨버터는 충전을 수행한다. 위의 순서로 독립형 운전모드에서 배터리 충전을 수행한다.
Fig. 2. Battery charging mode in Islanded operation
독립형 운전모드에서 직류 계통망의 부하 출력의 경우는 Fig. 3과 같은 순서로 운전을 수행한다. 첫번째 직류 계통망의 DC-DC 컨버터는 독립운전모드로 동작한다. 두번째 배터리의 DC-DC 컨버터는 방전을 수행한다.
세번째 태양광의 DC-DC 컨버터는 방전을 수행한다. 위의 순서로 독립형 운전모드에서 직류 계통망의 부하 출력을 운영한다. 독립형 운전 모드에서는
앞에 언급한 두가지 경우 외에도 다양한 경우가 있다. 직류 계통망에서 교류 계통망의 사고가 발생할 경우 DC-DC 컨버터를 활용한 독립형 운전모드는
직류 계통망에 필수적이다.
Fig. 3. Battery charging mode in Islanded operation
2.3 DAB 컨버터의 적용
DC-DC 컨버터는 전기적으로 안전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변압기가 포함된 절연형 구조를 사용한다. 주로 많이 적용되는 절연형 양방향 DC-DC 컨버터는
공진형 컨버터와 DAB 컨버터가 있다. 공진형 컨버터는 고주파수에서의 고효율 전력 변환, 소프트 스위칭을 통한 스위칭 손실 감소, 그리고 부품 스트레스
경감으로 장비의 수명을 연장하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복잡한 제어 알고리즘과 정밀한 설계가 필요하다. 높은 초기 설치 비용과 복잡한 열 관리 시스템이
필요하며 동작 전압 범위가 매우 좁은 단점이 있다. 동작 전압 범위를 넓게 사용하기 위해서는 공진 탱크를 매우 크게 설계하기 때문에 부피와 가격이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공진형 컨버터는 좁은 전압 범위에서 고효율로 동작에 적합한 소용량 가전 제품에 주로 적용된다. 반면에 DAB 컨버터는
공진형 컨버터보다는 효율이 낮다. 하지만 다른 절연형 DC-DC 컨버터 대비 양방향 전력 전송 기능, 뛰어난 효율성, 고정밀 전압 및 전류 제어 가능성,
그리고 광범위한 부하 조건에서 안정적인 작동이 가능하다. 특히 DAB 컨버터는 대용량에 적합하다. DAB 컨버터는 경부하에서 ZVS 조건이 악화하여
효율이 낮아질 수 있는 단점이 있지만, 이는 소프트 스위칭 기술 등 다양한 제어 방법을 통해 개선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DAB 컨버터가 적합하다.
2.4 DAB 컨버터의 특징
Fig. 4는 DAB 컨버터의 회로도를 나타낸다. 입력 측과 출력 측 사이에 위치한 두 개의 풀 브리지로 구성되어 있다. 전력 전송은 위상 차이를 기반으로 한
고도의 정밀한 조절 메커니즘에 의존한다. 이 방식에서 중요한 기술적 접근은 입력단과 출력단의 전압이 구형파의 형태로 합성되고, 이 두 구형파 사이의
위상차(Duty)를 조정함으로써 전력을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것이다. 이러한 접근법은 위상천이변조(PSM, Phase Shift Modulation)라고
명명되며, 전력 전송 과정에서 변압기 양단에 발생하는 전압의 위상 변화를 통해 직접적인 전력 전달을 가능하게 한다. 위상 변화로 인해 생성되는 전압
차이는 직렬 인덕터에 인가되며, 이 인덕터는 에너지를 일시적으로 저장한 뒤 필요에 따라 전달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9].
Fig. 4. Dual-active-bridge Converter Circuit
3. 독립운전을 위한 전압 제어 방법
DAB 컨버터에서 독립운전 상황이 발생할 경우 일반적인 전압 제어를 하면 과도전류가 크게 발생한다. 과도전류를 줄이기 위한 전압 제어 방법 및 소프트
스타트 알고리즘 방법을 제시한다. 독립운전 상황에서 DAB 컨버터의 과도 전류를 제어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으며, 각 방법은 고유의
장단점을 가지고 있다. 소프트 스위칭 기술은 ZVS (Zero-Voltage Switching) 또는 ZCS (Zero-Current Switching)를
통해 스위칭 손실과 과도 전류를 줄이는 제어 방식으로 높은 안정성과 효율성을 제공하지만 회로 설계가 복잡하고 조건을 맞추기 어렵다. 위상 변위 제어는
DAB 컨버터의 두 브리지 사이의 위상 차이를 조절하여 전력을 제어하는 방식으로 구현이 비교적 쉬우며, 높은 전력 밀도를 달성할 수 있으며 직관적이고
실용적인 제어가 가능하다. 위상변위제어를 적용하여 독립운전을 위한 전압 제어 방법을 제안한다.
3.1 전압 제어 방법
Fig. 5와 같이 제안하는 DAB 컨버터의 제어기 블록 다이어그램을 보여준다. 제안하는 제어기는 소프트 스타트를 위해 위상 변위를 추가로 구성한다.
Fig. 5. Block diagram of the proposed algorithm
기존의 DAB 컨버터의 경우 전압 제어기 및 전류 제어기로 구성된다. 기존의 제어기는 과도 전류가 크다. 제안하는 제어기의 경우 초기 제어할 때 위상
변이를 고정하여 과도 전류를 감소시킨다. 전압 제어에 필요한 전압까지 상승한 후 전압 제어 모드로 동작한다[10].
3.2 소프트 스타트 알고리즘
Fig. 6은 독립운전상황에서 입력 측 전압을 이용해 출력 측의 전압 제어하기 위해 구성된 소프트 스타트 알고리즘을 보여준다. DAB 컨버터의 소프트 스타트
과정은 시스템을 가동할 경우 출력 측 전압을 점진적으로 증가시킨다. 부하에 대한 갑작스러운 전압 적용을 방지하고, 위상 변이 제어 기법을 통해 전력
전송을 점진적으로 시작하여 초기에 낮은 전력을 전송한 뒤 점차 전력을 늘리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 과정에서 과도 전류 방지를 위해 전류 크기를
제한하며, 소프트 스타트가 완료되고 시스템이 안정된 후에는 컨버터가 전압 제어 모드로 전환되어 최적의 효율로 전력을 전송한다[11].
Fig. 6. Flow chart of the proposed algorithm
동작 순서는 다음과 같다. 소프트 스타트 초깃값은 동작 전에 Duty를 Fig. 7(a)와 같이 값을 정한다. 소프트 스타트가 동작할 경우 Fig. 7(b)와 같이 점진적으로 Duty를 증가 및 감소하여 0.5에 고정하여 동작한다. 소프트 스타트 완료 후 일정 전압이 상승하면 Fig. 7(c)와 같이 Theta에 의한 전압 제어로 동작한다. Theta 값을 아래 실험에 의한 파라미터 설계에 의한 값을 따른다[12].
Fig. 7. Proposed soft start algorithms (a) initial status, (b) soft start control,
(c) phase shift control
4. 실험
본 장에서는 제안하는 독립운전을 위한 전압 제어 방법의 타당성과 실현 가능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실험 결과를 제시한다. 실험 환경을 구축하여 직류 계통망에서
DAB 컨버터의 독립운전기법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4.1 파라미터 설계
실험을 위한 파라미터 값은 설계 식에 의해 도출하였다. Table 1과 같이 나타낸다. 위상 변조에서 1차 및 2차 브리지는 인덕터를 통해 고정 주파수의 50\% 듀티 비율 사각파 전압을 생성하도록 스위칭된다. 스위칭
주기 Ts동안 DAB가 위상 변조 모드에서 작동한다. 식(1)과 같이 DAB 컨버터에서 양의 이득 M을 구한다.
V1, V2, n은 각각 입력 전압, 출력 전압 및 변압기 권선비를 나타낸다. 스위칭 순간에서 인덕터 전류를 나타내면 식(2)와 식(3)과 같다.
Theta($D =\dfrac{\Phi}{\Pi}$)이고 L은 DAB의 인덕턴스이다.
식(4)는 변압기 1차 측에 해당하는 피크 전류의 산출식이다.
변압기 2차 측에 해당하는 피크 전류 값은 식(5)와 같다.
식(6)과 같이 변압기 1차 측에 해당하는 RMS 전류를 구한다.
변압기 2차 측에 해당하는 RMS 전류를 나타내면 식(7)과 같다.
이상적인 DAB 컨버터가 처리하는 유효 전력 P 값은 식(8)과 같이 구할 수 있다.
DAB 컨버터의 변압기가 처리하는 피상 전력 S와 무효 전력 Q를 나타내면 식(9)와 식(10)과 같다.
DAB 컨버터의 입력 및 출력 전압을 고정된 형태로 설계한 이유는 효율성 극대화, 제어의 단순화, 안정성 향상, 특정 응용 분야의 요구사항 충족 및
소프트 스위칭 조건 구현의 용이성을 위해서이다. 본 논문의 DAB 컨버터는 470V의 입력 전압과 750V의 출력 전압을 고정으로 설정하여 최적의
성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13-16].
Table 1. Dual-active-bridge converter parameters
Parameter
|
Value
|
정격부하
|
50 kW
|
Input Voltage
|
470 V
|
Output Voltage
|
750 V
|
C1
|
2,200 uF
|
C2
|
1,220 uF
|
L1
|
17.6 uH
|
Switch Frequency
|
20 kHz
|
Theta
|
0.22 (40°)
|
Fig. 8의 제어부는 DSP (TMS320C28346)를 이용한 제어보드와 제어부 전력 공급을 위한 SMPS로 구성된다. DAB 컨버터의 스위치 모듈은 Cree
사의 CAS300M12BM2이며, 스위치 동작을 위해 사용된 게이트 드라이버는 Cree 사의 CGD1200HB2P-BM2가 사용되었다.
Fig. 8. Prototype of 50 kW Dual-active-bridge for experimental evaluation
4.2 실험 결과
제안하는 DAB 컨버터의 독립운전기법을 실험적으로 검증하였다. 실험에 적용한 파라미터는 Table 1에 나타내었다. 입력전압 470V, 출력전압 750V의 정격전압기준으로 실험을 수행하였고 입력 전압 조건을 430V와 500V로 변경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소프트 스타트를 시작하여 출력전압을 500V까지 점진적으로 증가시킨 후 750V로 전압 제어를 수행하였다. 정격부하 50kW 및 출력 전압 750V를
기준으로 할 때, 출력 정격전류 67A의 1.25배로 설계 허용 전류는 83A이다.
Fig. 9(a)는 설계 파라미터의 정격전압에서 실험 결과이다. 입력 전압은 470V로 설정하였고 출력 전압은 750V로 제어를 수행하였다. 입력전류 및 출력전류를
포함한 파형은 Fig. 9(b)와 같다. 소프트 스타트를 적용하여 출력의 과도 전류가 60A로 측정되었다. 설계 허용전류 이내에서 안정적으로 동작하였다.
Fig. 9. Waveform of the proposed voltage control (Input voltage 470V)
Fig. 10(a)는 입력정격전압 430V일 때의 실험 결과를 나타낸다. Fig. 10(b)는 전압 및 전류를 포함한 실험 결과이다. 출력의 과도 전류는 50A였고 설계 파라미터를 기준으로 한 실험인 Fig. 9(b)와 비교하였을 때 더 낮은 과도 전류가 측정 되었다.
Fig. 10. Waveform of the proposed voltage control (Input voltage 430V)
입력정격전압 500V의 실험 결과는 Fig. 11(a)와 같다. Fig. 11(b)는 전압 및 전류를 포함한 실험 파형이다. 출력의 과도 전류는 67A였다. Fig. 9(b)와 같이 설계 파라미터를 기준으로 한 실험과 비교하였을 때 더 높은 과도 전류가 측정되었다. 그러나 설계 허용전류 이내에 전압 제어를 수행하였다.
Fig. 11. Waveform of the proposed voltage control (Input voltage 500V)
5. 결 론
본 논문에서는 DAB 컨버터의 독립운전기법을 제안하였다. 분산전원에서 DC-DC 컨버터 및 DAB 컨버터의 필요성을 분석하였다. 독립운전상황에서 직류
계통망의 안정적인 운영을 위한 전압 제어기법 및 소프트 스타트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알고리즘을 검증하기 위해 파라미터 값을 선정하고 설계를
통해 시제품을 제작하였다. 실험을 통해 DAB 컨버터를 이용한 독립운전기법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References
K.-B. Lee, “Advanced power electronics,” Munundang, 2019.
S.-H. U. Choi, “FCL operation plan for protection cooperation in LVDC distribution
network,”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pp. 189-190, 2022.
S.-Y. Lee, “Unit commitment of a microgrid considering islanded operation scenarios,”
The Transactions of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67, no. 1, pp. 708-714,
2018.
B.-W. Kwak, “Inrush current reduction technology of dual active bridge converter for
low voltage battery system for DC micro grid,”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pp. 4-5, 2019.
K.-W. Park, “Current status and prospects of low voltage DC power distribution technology,”
Journal of Electrical World Monthly Magazine, pp. 61-67, 2014.
S.-Y Lee, “Korea electric power corporation’s efforts in promoting DC distribution
for exploring new markets in the power industry,” Journal of Electrical World Monthly
Magazine, pp. 38-43, 2015.
I.-S Jung, et al., “Electric vehicle and DC distribution technology trend for carbon
neutrality,”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pp. 13-20, 2016.
S.-G Song, “Technological trends in direct current distribution systems,”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pp. 22-35, 2022.
C.-W. Choi, “Analysis of output characteristics of DAB converter according to phase
shift,” The Transactions of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Electrical Appliances
and Energy Conversion Systems Division, pp. 99-100, 2022.
S.-J. Oh, “DAB series inductance design with minimum peak current considering ZVS
condition,” Master thesis, Dept. of Electronic Engineering, Hanyang University, 2020.
B.-K. Kwak, “Inrush current reduction technology of DAB converter for low-voltage
battery systems and DC bus connections in DC microgrids,” The Institution of Engineering
and Technology, vol. 13, Iss. 8, pp. 1528-1536, 2020.
V. M. Iyer, “Optimal design methodology for dual active bridge converter under wide
voltage variation,” IEEE Transportation Electrification Conference and Expo (ITEC),
2017.
J.-S. Hwang, “Voltage control of a modular DAB converter with serial input parallel
output using energy control,” Master thesis, Department of Electronic Engineering,
Hanyang University, 2021.
J.-T. Kim, “Power circuit and controller design of DAB converter for battery charger,”
Master thesis, Department of Electrical Engineering, Pukyong National University,
2021.
S.-H. Park, “Controller design of DAB converter for battery charger/discharger and
simulator,” Master thesis, Department of Electrical Engineering, Pukyong National
University, 2022.
M.-K. Kim, “A ZVS DC/DC converter with a resonant inductor,” Master thesis, Electrical
Engineering, Ajou University, 2016.
Biography
He received his B.S. degree from the School of Electrical Engineering, Inha University,
Incheon, South Korea, in Feb. 2014. He is pursuing the master’s degree in electronic
engineering the Ajou University, Suwon, Korea His research interest is DC grid for
power conversion system.
He received the B.S. and M.S. degrees in electrical and electronic engineering
from the Ajou University, Suwon, Korea, in 1997 and 1999, respectively. He received
the Ph.D.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the Korea University, Seoul, Korea,
in 2003. From 2003 to 2006, he was with the Institute of Energy Technology, Aalborg
University, Aalborg, Denmark. From 2006 to 2007, he was with the Division of Electronics
and Information Engineering, Jeonbuk National University, Jeonju, Korea. In 2007,
he joined the Department of Electrical and Computer Engineering, Ajou University,
Suwon, Korea. He is an Editor-in-Chief of the Journal of Power Electronics. He is
an associated editor of the IEEE Transactions on Power Electronics.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electric machine drives, renewable power generations, and electric vehicle
applic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