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성민
(Sung-Min Ma*)
1iD
김철수
(Chul-Soo Kim†)
†iD
-
(Ph.D. Candidate, Pukyong National University, Korea)
Copyright ©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Engineers(KIIEE)
Key words
CMF, Design archive, Generative AI, Lighting products, Midjourney, Product modeling language, Space modeling language, User experience
1. 서 론
1.1 연구의 배경
전통적인 의미의 조형 언어는 조명의 형태, 색상, 질감 등을 통해 제품이 사용자에게 전하고자 하는 기호, 의미, 구조 등을 전달하는 수단이 된다.
즉, 조형의 요소인 형태, 색상, 질감 등이 기호에 해당하고 각 조형 요소에 담긴 뜻이 의미가 된다. 또한 조형 요소가 구성된 상태는 구조가 된다.
그리고 조형 언어는 디자인 용어의 하나로서 시각언어라는 용어에 비해 좀 더 제품 디자인 영역에 초점이 맞추어진 용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조형
언어는 자기의 생각과 의미를 표현할 수 있는 조형 기호를 찾고 이 조형 기호를 구성하여 자신의 의도를 전달하며 구체적인 정보보다는 정서를 전달하는
수단으로 사용된다. 하지만 우리나라 조명업계에서는 위와 같은 개념의 조형언어에 대한 사용이 미흡하며 단순한 용어로서가 아닌 구체적인 사용 방법론이
적용된 조형 언어 구축 체계가 부재한 상황이다.
조명 산업은 타 산업, 즉 예를 들어 생활 가전이나 주방용품, 생활용품 등의 다른 제품 디자인의 영역과는 다르게 폼펙터가 매우 다양하다. 여기서 폼펙터가
다르다는 뜻은 스마트폰, TV, 세탁기 냉장고 등의 제품의 경우는 직사각형이라는 폼안에서 구현되지만 조명제품은 실로 다양한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그래서 조명은 조형 언어를 특정한 스타일로 정형화, 표준화하기 어려운 산업 분야이기도 하다. 그렇게 때문에 조명 제품 산업의 발전을 위해서는 표준화되고
시스템화된 조명 언어 방법론을 수립하고 이를 데이터화한 아카이빙 활용 시스템이 필요하다. 이 조형 언어들을 체계화하여 향후 생성형 AI 디자인 Tool인
미드저니, 어도비 파이어플라이와 같은 디자인 프로그램에 활용할 수 있는 프롬프트 데이터 베이스를 만든다면 국내 조명 디자인 연구 및 조명 산업 발전에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1.2 연구의 목적 및 방법
통상 조명제품 조형 언어 혹은 조명 디자인이라고 하면 빛을 이용하여 공간을 연출하는 조명 제품의 디자인 언어를 의미하였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 말하는
조명 제품의 조형 언어는 다양한 폼펙터와 CMF(Color, Material, Finishing)를 보유한 조명 제품의 형상과 소재, 마감 및 기구적
측면에서의 조형언어를 다루는 것이다. 그리고 그에 대한 목적은 다양한 디자인 전개가 가능한 조명 제품의 디자인을 개선하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조형 요소를 찾고 AI디자인 프롬프트에 활용하기 위함이다. 이를 통해 조명 제품의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고, 브랜드 이미지를 강화하는데 있어
조형 언어를 활용하고 기존 조명 산업에서의 제품의 디자인 프로세스 상의 기술적 한계를 극복하고, 새로운 기술을 개발하고, 사용자의 니즈와 트렌드를
선도하여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조명 제품을 개발하는데 활용하기 위함이다.
또한, 조명 제품의 조형 언어 AI 프롬프트 아카이브 구축을 위한 연구 추진 방법으로서는 첫째, 아래 Table 1의 50가지 조형확장 키워드를 조형언어 데이터 베이스에 활용하여 AI 디자인 작업시 프롬프트로 활용한다[1].
둘째, 아래 Table 2의 문제 해결시 발생되는 모순을 해결하는데 사용하는 40가지 TRIZ원리를 조형언어 데이터 베이스에 활용하고 AI디자인 작업시 프롬프트로 활용해 볼
것이다[2].
Table 1. 50 Product modeling expansion keywords
50가지 조형 확장 키워드
|
짚기
Pinch
|
당기기
Stretch
|
각 늘리기
Add to Angle
|
자르기
Cutting
|
잘라
내기
Snip off
|
비정형
겹치기
Overtype
|
대칭
하기
Symmetry
|
합치기
Combine
|
축 다르게
하기
Different to axis
|
구부
리기
Flexion
|
접기
Fold
|
비틀기
Twist
|
쌓기
Pile up
|
나란히
겹치기
Super
imposing
|
늘리기
Expand
|
줄이기
Curtail
|
펼치기
Spread
|
좁히기
Narrow
|
옵셋
하기
Offset
|
비중
다르게
하기
Dissimilar to weight
|
표면변경
Surface
type
|
결합방식변경
Union
type
|
압출하기
Extrusion
|
나누기
Split
|
휘기
Banding
|
휘기
Sweep
|
곡선처리
Wave
|
휘기
Pleots
|
주름
꼬집어
내기
Pinch
|
종이접기
공예방식
Origami
|
물체에 부착하기
Parasitic
object
|
터트리기
통풍구
형식
Vent
|
꼬으다
Kink
|
엮어짜다
Weaving
|
외부따라
구부리기
Outside banding
|
테 두르기
Framing
|
견고함
Solid type
|
회전시켜
올리기
Loft &
revolve
|
이종요소
결합
Half & half
|
다각형
분위기
Polygon
mood
|
단위부품
조합하기
Module
type
|
이랑
등성이
표현
Ridge
|
조합하여
혼합하기
Blending
|
형태잡아
잘라내기
Snipping
|
구멍내기
Punching
|
껍데기
덮개변경
Cover type (Shell)
|
베열하기
Seriation
|
입체패턴 적용하기
3D Pattern
|
삽입하기
Insert
|
동작하기
Move-
ment
|
(Yoonilsup, Learn product design sense through 50 formative languages, Coloso, 2023)
Table 2. 40 TRIZ principles
40가지 TRIZ 원리
|
분할
Division
|
추출
Taking out
|
국소적 성질 Local quality
|
비대칭 Asymmetry
|
통합
Merging
|
범용성
Universality
|
포개기 Embeded
structures
|
평형추
Anti-weight
|
선행반대조치 Pre- eliminary anti-action
|
선행조치 Pre- eliminary
action
|
사전예방 Beforehand
cushioning
|
높이 맞추기 Equipoten-
tiality
|
반대로 하기
Inversion
(Upside down)
|
구형화
Spheroid
ality
curvatures
|
역동성
Dynamics
|
과부족조치
Excessive
(Orpartial)
action
|
차원 바꾸기
Another
dimension
|
기계적 진동
Mechanical self-induced
vibrations
|
주기적 작동
Periodical action or
pulsed action
|
유익한
작용의 지속
Continuity
action of useful action
|
고속처리 Skipping,
quick mode,
or pace of
realization
|
전화위복 Blessing in disguise
|
피드백 Feedback
principle
|
매개체 Intermediate means,
fitting principle
|
셀프서비스 Self-service
principle
|
복제
Copying,
imaging
principle
|
일회용품
Inexpensive short-lived objects
|
기계시스템의 대체
Principle of
substituting
of mechanical System
|
공압식/ 유압식구조물 Pneumatic
& hydraulics
|
유연한 필름 또는 얇은 막
Flexible film, foils, membranes
|
다공질재료 Porous material
|
색깔변경 Color changing
(Alternating)
|
동종성 Homogeneity
|
폐기 및 재생 Discarding
& recovering
|
속성변환 Changing
State,
parameters
properties of
materials
|
상전이
Phase transition
|
열팽창 Thermal expansion
|
산화가속
Strong oxidants
|
불활성환경 Neutral
atmospheres
inert
environ-
ments
|
복합재료 Composite materials
|
2. 이론고찰
2.1 조형언어의 개요
AI디자인 프롬프트의 명확성과 다양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50가지 조형확장 키워드와 40가지 TRIZ원리이외에 조형언어의 기본적인 구성요소라고 할 수
있는 조형의 요소와 원리의 언어를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조형언어는 메시지를 전달하고, 디자인의 목적을 달성하는 데 사용되며 크게 조형의 요소와
조형의 원리로 구성이 된다[3].
첫째, 조형의 요소는 디자인에서 사용되는 색상, 형태, 크기, 질감, 패턴 등을 말하는데 이러한 요소들은 서로 결합하여 디자인을 구성하며, 각각의
요소는 고유한 특성과 의미를 가지게 된다.
둘째, 조형의 원리는 시각적 요소를 조합하고 배치하는 데 적용되는 균형, 비례, 강조, 대비, 조화 등을 말하는데 이러한 원리는 디자인의 일관성을
유지하고, 디자인의 완성도를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조형 언어는 디자인의 목적과 대상에 따라 다르게 사용된다[4]. 예를 들어, 제품 디자인에서는 기능과 사용성을 고려하여 조형 언어를 사용하고, 패션 디자인에서는 유행과 스타일을 고려하여 조형 언어를 사용한다.
또, 광고 디자인에서는 메시지 전달과 브랜드 이미지 구축을 고려하여 조형언어를 사용한다[5].
조형 언어는 디자인의 기초이자 핵심이며 디자이너는 조형언어를 이해하고 활용하여 디자인을 창조하고, 이를 통해 고객의 요구를 충족시키고,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는데 활용한다. 본 논문에서는 조형언어의 목적과 대상을 조명 제품의 디자인에 한정하여 AI 디자인을 할 수 있는 조형 언어를 정의하고 그 방법론을
구축하여 아카이빙 하도록 하여 폼펙터가 다양한 조명제품을 원활하게 디자인 하는데 활용하도록 한다.
2.2 조형의 11가지 요소
조형의 요소는 조형언어를 이해하고 프롬프트 아카이빙을 하는데 매우 중요한 디자인을 구성하는 기본적인 요소이며 다음의 8가지 요소를 가지고 있으며 여기에
저자가 생각하는 추가적인 3가지 요소를 포함한 11가지 요소를 들 수 있다.
점(Point)은 위치만을 가진 가장 작은 단위이며 점은 방향성, 크기, 밀도 등을 표현하는 데 사용된다. 선(Line)은 점이 이동한 자취로 길이와
방향을 가지고 있다. 직선, 곡선, 대각선 등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며 디형태를 구성하고, 방향성을 표현하는 데 사용된다. 면(Surface)은 선이
이동하면서 만들어진 넓이를 가진 평면이다. 면은 형태를 구성하고, 공간을 분할하며, 질감과 색상을 표현하는 데 사용된다. 형태(Form)는 면이 모여
만들어진 입체적인 모양이다. 디자인의 성격과 특징을 결정한다. 크기(Size)는 형태의 상대적인 크기를 말한다. 크기는 디자인에서 균형과 비례를 조절하고,
강조와 대비를 표현하는 데 사용된다. 색상(Color)은 빛의 스펙트럼에서 특정한 파장을 가진 색을 말한다. 색상은 디자인에서 감정과 분위기를 표현하고,
강조와 대비를 표현하는 데 사용된다. 질감(Texture)은 물체의 표면에서 느껴지는 느낌을 말한다. 질감은 디자인에서 촉각적인 경험을 제공하고,
제품의 품질과 특성을 표현하는 데 사용한다. 패턴(Pattern)은 일정한 형태가 반복되는 것을 말한다. 패턴은 디자인에서 시각적인 흥미를 유발하고,
제품 개성과 정체성을 표현하는 데 사용된다.
여기에 추가적으로 3가지의 디자인 요소를 추가 할 수 있는데 양감과 동세 그리고 시간흐름이 있다. 양감(sense of volume)은 부피나 무게에
대한 느낌을 말하는 것으로 입체적인 형태를 표현할 때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며 양감을 표현하기 위해서는 빛과 그림자를 활용하여 형태의 밝고 어두운
부분을 표현해야 한다. 동세(motion)는 움직임의 방향이나 속도 등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형태나 자세, 동작 등을 통해 표현된다. 예를 들어, 달리는
사람을 그릴 때는 다리의 움직임과 팔의 움직임을 함께 표현해야 하는 것과 같다. 시간의 흐름은 계절의 변화, 낮과 밤의 변화 등 시간의 변화에 따른
조형 상황을 표현하는 것으로서 인터넷이 발달되고 가상세계 메타버스 시대가 발전됨에 시간의 흐름과 변화에 따라 변화되는 동적인 영상등에서 요구됨에 따라
이 또한 중요한 조형의 요소로 인식이 되고 있다[6].
이렇게 총 11가지 조형요소를 조형언어로 활용하여 AI 디자인 프롬프터에 활용할 수 있는 아카이빙을 실시하고 고찰하여 새로운 디자인 방법론을 제시한다.
2.3 조형의 10가지 원리
조형의 원리는 조형언어를 기반으로 한 AI 디자인 프롬프트 아카이빙을 하는데 매우 중요한 기본원리이며 보통 아래의 8가지 요소를 가지고 있으며 여기에
저자가 생각하는 추가적인 2가지 원리를 포함한 10가지 조형의 원리를 활용할 수 있다. 조형의 원리는 조형요소를 조합하고 배치하는 데에 적용되는
기본적인 규칙으로,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조화(Point)는 여러 가지 요소들이 서로 어울리며, 전체적으로 안정된 느낌을 주는 것을 말한다. 균형(Balance)은 요소들이 서로 대립하거나,
서로 보완하면서 안정감을 주는 것을 말한다. 비례(Proportion)는 요소들의 크기나 간격 등이 서로 조화롭게 어울리는 것을 말한다. 대비(Contrast)는
요소들의 색상, 크기, 형태 등이 서로 대조되면서 강한 인상을 주는 것을 말한다. 강조(Emphasis)는 특정한 요소를 부각시켜 시선을 집중시키는
것을 말한다. 통일(Unification)은 여러 가지 요소들이 하나의 일관된 흐름이나 체계를 이루는 것을 말한다. 변화(Transition)는 요소들의
형태, 색상, 크기 등을 다양하게 변화시켜 생동감과 흥미를 유발하는 것을 말한다. 율동(Rhythm)은 요소들의 반복과 변화를 통해 리듬감을 주는
것을 말한다[7].
여기에 추가적으로 2가지의 디자인 조형 원리를 추가 할 수 있는데 대칭과 점층이 있다. 대칭(Symmetry)은 축을 중심으로 접었을 때 완전하게
겹쳐지는 원리로서 안정된 느낌을 줄 수 있다. 점층(Gradation)은 기본적으로 유사한 요소를 가지고 단계에 따라 일정한 순서와 계열을 가지고
구성되는 요소로서 서로 다른 두 색이나 형태가 점차적으로 변화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원리를 바탕으로 더 나은 디자인과 조형 언어를 활용한 조명
디자인 및 조명 제품을 창조할 수 있다.
2.4 AI 디자인 프롬프트 작성의 원리
위와 같이 50가지 조형확장 키워드와 40가지 TRIZ원리 및 조형의 요소와 원리에 대한 언어들을 정리하였다 하더라도 AI 디자인 프롬프트의 작성원리를
이해하지 않으면 얻고자 하는 디자인을 얻기 힘들기에 이에 대해 고찰한다. 첫째, 명확한 목표 설정을 해야 한다. 원하는 작업의 목적과 원하는 결과를
먼저 정의하는 것이 중요하다. 둘째, 맥락과 배경 정보 제공을 해야 한다. AI는 주어진 맥락에서 최선의 응답 생성을 지향하므로 충분한 맥락과 배경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셋째, 아이디어 제공, 즉 AI는 사용자가 무엇을 원하는지 또는 무엇을 찾고 있는지에 대한 충분한 정보를 받아야만
그에 따른 결과물을 생성할 수 있다. 넷째, 구체적인 프롬프트 사용을 통해 모호하거나 너무 일반적인 프롬프트는 지극히 일반적인 결과물을 초래한다.
다섯째, AI에게 의견 물어보기는 AI가 사용자로부터 받은 정보와 배운 패턴을 바탕으로 아이디어나 제안을 생성하는데 뛰어나므로 이를 잘 활용해야 하고
여섯째, 질문하고 답변하기를 통해 AI와 같은 생성형 인공지능과의 대화는 단방향이 아닌 양방향 과정으로 해야 한다. 일곱째, AI가 생성한 콘텐츠를
주기적으로 검토하고, 그것이 사용자의 목표와 일치하는지 또는 정확하고 관련성이 있는지를 확인해야 한다. 여덟째, 대화 정리를 통해 AI와 대화한 내용의
중요한 부분을 간단하게 요약하거나, 주요 아이디어나 정보를 표나 불릿 포인트 형식으로 정리하는 것은 매우 효과적인 방법이다. 아홉째 초안 작성 요청을
통해 사용자가 수집하고 정리한 정보를 바탕으로, AI에게 초안을 작성하도록 요청해야 한다. 이러한 원칙들은 AI 프롬프트 엔지니어가 되기 위한 주요
기술 중 일부이다. AI 프롬프트 엔지니어는 대형 언어 모델과 생성형 AI 도구가 해석하고 이해할 수 있는 텍스트 기반 프롬프트를 만드는 전문가로서.
AI 시스템의 특이성을 파악하고, AI 도구를 훈련하고 조정하여 사람들의 질문에 정확하고 관련성 있는 답변을 제공하도록 해야 한다.
3. 연구방법 및 결과
3.1 50가지 조형확장 키워드 이미지 연구
조명 제품의 조형 언어 아카이브 구축을 위한 연구 추진 방법으로서 조명 제품의 조형 언어 아카이브 구축을 위한 조형확장 키워드를 조형언어 데이터 베이스에
활용할 수 있도록 아래 Table 3의 ‘50가지 조형확장 키워드 첨부 이미지 사례’의 이미지화 작업을 사례형식으로 제작하여 AI 디자인 프롬프트 참조 이미지로 활용한다.
Table 3. Attached image examples of 50 product modeling expansion keywords
50가지 조형확장 키워드 이미지
|
짚기
Pinch
|
|
당기기
Stretch
|
|
각 늘리기
Add to Angle
|
|
자르기
Cutting
|
|
잘라내기
Snip off
|
|
(Yoonilsup, Learn product design sense through 50 formative languages, Coloso, 2023)
3.2 40가지 TRIZ 원리 이미지 연구
조명 제품의 조형 언어 아카이브 구축을 위한 연구 추진 방법으로서 조명 제품의 조형 언어 아카이브 구축을 위한 TRIZ 원리 키워드를 조형언어 데이터
베이스에 활용할 수 있도록 아래 Table 4의 ‘40가지 TRIZ 원리 첨부 이미지 사례’의 이미지화 작업을 사례 형식으로 제작하여 AI 디자인 프롬프트 참조 이미지로 활용한다.
Table 4. Attached image examples of 40 TRIZ principles
40가지 TRIZ 원리 키워드 이미지
|
분할
segment
ation
|
|
추출 extraction
|
|
국소적 성질 local quality
|
|
비대칭 asymmetry
|
|
(40 TRIZ principles, Wikipedia)
3.3 AI DESIGN 적용 결과
조명 제품의 조형를 활용하여 조형의 요소와 원리 및 50가지 조형 언어와 40가지 TRIZ 키워드를ADOBE Firefry에 적용하여 아래와 Fig. 1과 같이 제너레이팅 1단계 진행을 하였다.
Fig. 1. Results of generative AI design v.1
프롬프트 작성시 기본적으로 적용하는 세부적인 이미지 묘사는 다음과 같다. 대상, 즉 person, animal, character, location,
object 등을 표기하고 매체라고 할 수 있는 photo, painting, illustration, sculpture, doodle, tapestry등을
표기하고 환경의 요소인 indoors, outdoors, on the moon, in Narnia, underwater, the Emerald City
등의 요소를 표기하였다[8]. 거기에 조명에 대한 요소인 soft, ambient, overcast, neon, studio lights 등과 색상 요소인 vibrant, muted,
bright, monochromatic, colorful, black and white, pastel 등과 분위기 요소인 Sedate, calm,
raucous, energetic와 구도의 요소인 Portrait, headshot, closeup, birds-eye view 등의 요소를 매개변수를
사용하여 이미지 크기, 품질, 이미지 비율, AI 버전 등을 설정하고 원하는 스타일에 맞게 조절하였다[9]. 더불어 본 논문에서 제시한 조형언어요소와 트리즈 요소 및 조형의 원리 및 요소에 해당하는 용어를 함께 적절히 사용하여 아래의 Fig. 2와 같이 2단계 제너레이팅을 미드저니를 통해 영문으로 진행해 보았다.
Fig. 2. Results of generative AI design v.2
4. 결 론
본 연구는 50가지 조형확장 키워드와 조합함으로서 다양한 조형언어의 프롬프트를 생성시킬수 있으며 이를 통해 다양한 조명제품의 조형언어 결과를 도출할
수 있게 된다.
다만 아직 AI 기술의 한계, 이미지 인식의 한계에 따라 뜻밖의 이미지가 도출 되는 경우가 많고 전혀 연관성이 없거나 의도하지 않은 이미지가 제너레이팅
되는 경우도 허다하다[10]. 특히 본 논문에서 제시한 조형언어들을 적용하더라도 아직 그 의도를 정확히 인지하고 적용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하지만 AI기술 및 LLM 기술이
급속히 발전하고 있으며 다양한 AI디자인 TOOL이 등장하고 있기 때문에 본 논문에서 도출된 언어들을 적절히 아카이빙 하여 조명디자인 작업에 활용하고
그 데이터들이 어느 정도 구축이 된다면 새로운 조명을 디자인 할 때 의외의 영감과 컨셉을 제공하는 아주 좋은 TOOL로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References
Yoonilsup, “Learn product design sense through 50 formative languages,” Coloso, 2023.
Altshuller, “40 principles of TRIZ method,” Intervision, 2012.
Gery Gorden, “Interior lighting for designer,” Kyomoonsa, 2013.
Sobyungmoon, “Lighting designer,” Passmaker, 2015.
Jung Su Kang, “Generative ChatGPT,” The Quest, 2023.
H. J. Kim, “ChatGPT Prompt Design,” Vintage House, 2023.
Generative AI Research Group, “Generative AI prompt design,” Kangmoongak Media, 2023.
Korea Design Society, “Basic design textbook,” An Graphics, 2015.
In Ho Cha, “Lighting design,” Sungkyunkwan University Press, 2013.
Se Ok Hwang, “Lighting design,” Mijinsa, 2002.
Biography
He received a master’s degree from the Department of Industrial Design at Pukyong
National University. He is Ph.D. Candidate in Industrial designat at Pukyong National
University. His research interests are lighting design. His main career was working
as a designer at DAEWOO Group, and then he started his own business and ran a design
company called MACO for 21 years.
He is Professor and Ph.D. Advisor, Department of Industrial Design, Pukyong National
University and Dean, Graduate School of Industrial Design, Pukyong National University
and Director, University Library, Pukyong National University. His Research Fields
is Interior Design, Industrial Design, Environmental Design, Urban Landscape Design,
Marine Design
His Education and Professional Experience is Graduated with a Bachelor's degree
in Industrial Design, College of Fine Arts, Hongik University, South Korea and Graduated
with a Master's degree in Industrial Design, Graduate School of Fine Arts, Hongik
University, South Korea and Chief Researcher, Design Division, Daewoo Telecom, South
Korea and Chief Researcher, INNO DESIGN, California, USA and Lecturer, Graduate School
of Information Industry, Myongji University, South Korea and Lecturer, Industrial
Design Department, Dongduk Women's University, South Korea and Full Professor and
Ph.D. Advisor, Department of Industrial Design, Pukyong National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