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ISO Journal TitleJ Korean Inst. IIIum. Electr. Install. Eng.




Copper loss, Efficiency, Iron loss, Permanent magnet motor, Slot combination

1. 서 론

영구자석형 동기 전동기는 고출력, 고토크, 고효율이 가능하여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특히 영구자석이 회전자 안에 삽입되어 있는 IPMSM (Interior Permanent Magnet Synchronous Motor)은 마그네틱 토크와 릴럭턴스 토크가 동시에 존재하기 때문에 다른 모터에 비해 높은 출력밀도를 가진다. 또한 약자속 제어 시 고속에서 릴럭턴스 토크를 활용할 수 있어 넓은 속도 영역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1-5]. 그리고 영구자석이 회전자 안에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영구자석 이탈방지를 위한 리테이너 등이 필요 없어 유효 공극을 작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장점 때문에 다양한 분야에 적용이 확대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제어용 모터 및 친환경 자동차의 구동모터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영구자석형 모터는 극수 슬롯수의 조합에 따라 토크리플 및 코깅토크 등 공간고조파에 관련된 파라미터들이 상당히 달라지기 때문에 모터 설계에 아주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극수 슬롯수 조합이 동일한 1:6 구조인 8극 48슬롯과 6극 36슬롯을 설계하였다. 같은 슬롯 조합이라 할지라도 극이 다를 경우 극당 자속량이 다르기 때문에 공간고조파가 유사 할지라도 법선방향에서의 자기력(Radial Magnetic Force)에 의한 소음/진동이 커질 수 있다. 또한 극당 자속량의 차이로 인해 고정자 및 회전자 포화레벨이 다르며 극수에 따라 주파수가 달라지기 때문에 철손이 달라진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법선방향에서의 자기력, 회전자 및 고정자 포화레벨, 철손들을 비교 분석하여 동일한 극수 슬롯 조합이라 할지라도 극수에 따라 특성이 변화될 수 있음을 연구하였다. 그리고 본 논문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설계된 8극 48슬롯과 6극 36슬롯을 각각 제작하여 평가하였다.

2. 본 론

2.1 8극 48슬롯 및 6극 36슬롯 설계

본 논문에서는 전기자동차용 구동모터를 설계하였다. 전기자동차의 부하조건이 산정되면 구동모터의 사양이 결정되고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배터리 전압 및 제어기 전류사양이 결정된다. Fig. 1은 본 논문에서 설계 된 8극 48슬롯 및 6극 36슬롯 구동모터를 보여주고 있으며 Fig. 2는 구동모터에 요구되는 속도-토크 곡선을 보여주고 있다.

먼저 8극 48슬롯 구동모터를 유한 요소법을 이용하여 상세 설계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상세설계에 대해 자세히 다루지 않겠다. Table 1은 구동모터의 사양 및 설계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6극 36슬롯은 8극 48슬롯과 상대비교를 위해 사이즈, 회전자 및 고정자의 내외경을 모두 동일하게 하여 설계하였다. 6극의 역기전력이 8극에 비해 약 3% 높게 설계하였는데 이는 6극이 동일 전류에서 출력을 만족하지 못하였기 때문이다. 그래서 전류제한 및 전압제한을 고려하여 역기전력을 산정하였으며 역기전력을 높였음에도 불구하고 전류도 약 2% 정도 높게 필요했다. 이와 같은 현상은 출력식 F=J×B를 통해 설명할 수 있다. B를 키워서 출력을 높이는 방법 중 하나가 극수를 키우는 것이다. 하지만 극수는 무조건 키우는 것이 좋은 것은 아니며 최대 속도 및 주파수 등을 고려하여 설계해야 한다. 그리고 코일 선경, 소선수, 점적률 등을 고려하여 상저항을 거의 유사하게 설계하였다.

Fig. 1. Designed permanent magnet motor

../../Resources/kiiee/JIEIE.2025.39.2.148/fig1.png

Fig. 2. T-N curve of traction motor

../../Resources/kiiee/JIEIE.2025.39.2.148/fig2.png

Table 1. Specifications and design results

항목

8극 48슬롯

6극 36슬롯

출력/토크

11kW/50Nm

전압제한

40Vdc

최대속도

4,000rpm

고정자

Φ148mm×L96mm

회전자

Φ91mm×L96mm

상당직렬 턴수

10턴

15턴

코일사양/점적률

Φ0.65/ 41%

병렬수/소선수

4병렬/18개

3병렬/24개

전류밀도(최대)

11.8A/mm2

12.1A/mm2

냉각 방식

자력공냉

상 저항

3.1mΩ

3.2mΩ

상 역기전력

5.8Vrms

6.0Vrms

2.2 법선방향에서의 가진력 분석

모터의 에너지 변환은 공극에서 이루어진다. 공극에서는 크게 접선방향 전자기력 (Tangential Magnetic Force)과 법선뱡향 전자기력 (Radial Magnetic Force)이 존재한다[6-8]. 접선방향에 의한 힘은 토크에 기여하며 법선방향의 힘은 소음/진동의 원인이 된다. 이러한 법선방향의 힘은 극수와 슬롯수의 조합에 영향을 받는다.

본 논문에서 설계된 8극 48슬롯 및 6극 36슬롯의 극수 슬롯의 조합은 1:6으로 동일하다. 극수 슬롯 조합이 동일하더라도 극수에 따라 극당 자속량이 바뀌기 때문에 법선방향에서의 힘은 다를 수 있다. 공극에 인접한 Shoe 부분에서의 법선 방향의 힘을 Fig. 3에 나타내었다. 8극 48슬롯이 6극 36슬롯에 비해 소음/진동에 영향을 주는 법선방향의 힘이 조금 더 크게 나타난 것을 볼 수 있다. 법선방향의 힘이 증가할 경우 회전자와 고정자가 서로 밀고 당기는 힘에 의해 Teeth가 떨리게 되고 이로 인해 소음/진동이 발생한다.

Fig. 3. Radial force of 8pole 48slot and 6pole 36slot

../../Resources/kiiee/JIEIE.2025.39.2.148/fig3.png

2.3 8극 48슬롯 및 6극 36슬롯 철손

자기회로의 통로가 되는 회전자와 고정자는 전기강판을 사용하기 때문에 철손이 발생한다. Fig. 4는 회전자와 고정자의 자속밀도를 보여주고 있다. Point A에 해당되는 회전자는 회전자계 속도와 같은 속도로 회전하기 때문에 자속의 변화가 작다. 이에 반해 고정자에 해당되는 Point B는 자속의 변화가 급격하게 발생되어 회전자에 비해 철손이 배우 크게 발생한다. 철손은 와전류손과 히스테리시스손의 합이다.

Fig. 56은 8극 48슬롯과 6극 36슬롯의 철손분포를 보여주고 있다. 고정자 Shoe 부분과 Teeth는 교번자계 형태에 의해 발생되며 Yoke 부분은 회전자계 형태에 의해 발생되어 철손밀도가 가장 높다. Fig. 78극 48슬롯과 6극 36슬롯의 철손을 보여주고 있다. 철손해석은 유한요소법을 이용하였다. 8극 48슬롯의 철손이 6극 36슬롯에 비해 다소 높은 것은 극수가 많아 주파수가 높기 때문이며 회전자에 비해 고정자에서 발생되는 철손이 더 큰 것을 볼 수 있다. 아래 식(1)은 히스테리시스손과 와전류손을 나타내고 있다. $\sigma_{h}$는 전기강판 재료에 따라 결정되며 $\sigma_{e}$는 전기강판의 두께 및 저항률에 따라 정해지는 정수이다. 속도가 증가할수록 와전류 손은 주파수 제곱에 비례하여 증가한다[9, 10]. 따라서 같은 극수/슬롯수 조합이라면 철손 측면에서 볼 때 극수가 작은 것이 좋다.

(1)
$p_{h}=\sigma_{h}\left(\dfrac{f}{100}\right)B_{m}^{2}[W/kg]\\ \\ p_{e}=\sigma_{e}\left(\dfrac{f}{100}B_{m}\right)^{2}[W/kg]$

Fig. 4. Magnetic flux density waveform

../../Resources/kiiee/JIEIE.2025.39.2.148/fig4.png

Fig. 5. Iron losses distribution of 8pole 48slot

../../Resources/kiiee/JIEIE.2025.39.2.148/fig5.png

Fig. 6. Iron losses distribution of 6pole 36slot

../../Resources/kiiee/JIEIE.2025.39.2.148/fig6.png

Fig. 7. Iron loss of 8pole 48slot and 6pole 36slot

../../Resources/kiiee/JIEIE.2025.39.2.148/fig7.png

2.4 8극 48슬롯 및 6극 36슬롯 특성해석

Fig. 8은 8극 48슬롯과 6극 36슬롯 특성해석 결과를 비교하여 보여주고 있다. 역기전력의 차이는 약간 존재하지만 전압제한에 도달하는 시점은 거의 유사하였다. 최대 효율은 8극 48슬롯이 94.2%, 6극 36슬롯이 93.6%로 8극 48슬롯이 다소 높았다. 역률은 전압제한에 걸리는 속도까지는 8극 48슬롯이 낮고 그 이후부터는 유사하다. 동손은 6극 36슬롯이 저항 및 전류가 커서 8극 48슬롯에 비해 크며 철손은 8극 48슬롯이 주파수가 높기 때문에 6극 36슬롯에 배해 크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동일한 극수 슬롯수 조합에서 극수가 증가 될 경우 철손이 증가하지만 동손측면에서는 유리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제어기의 열적인 측면에서 볼 때 극수가 작은 것이 유리하다.

Fig. 8. Characteristics analysis result according to speed

../../Resources/kiiee/JIEIE.2025.39.2.148/fig8.png

2.5 8극 48슬롯 및 6극 36슬롯 평가

본 논문에서 설계된 8극 48슬롯과 6극 36슬롯 구동모터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제작 후 실험하였다. Fig. 9는 본 논문에서 설계된 구동모터를 평가하기 위한 실험 세트를 보여주고 있다. Fig. 1011은 부하시험을 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최대 토크 50Nm을 위한 측정된 전류는 유한요소법에 의한 해석결과와 매우 유사하였다. 평가는 구동모터에 40Vdc를 인가하고 최대토크가 발생하는 전류와 전류위상각을 찾아 2,100rpm부터 4,000rpm까지 100rpm 단위로 측정하였다. 본 설계는 J-MAG 툴을 이용하였으며 해석 및 경계 조건 등을 Table 2에 기술하였다.

Table 2. Analysis and boundary conditions

항목

8극 48슬롯

6극 36슬롯

메쉬수

5015개

6807개

주기조건

반주기

반주기

주기각도

45

60

구동전류

283Arms

290Arms

Fig. 9. Motor experiment device

../../Resources/kiiee/JIEIE.2025.39.2.148/fig9.png

Fig. 10. Measurement result (8pole 48slot)

../../Resources/kiiee/JIEIE.2025.39.2.148/fig10.png

Fig. 11. Measurement result (6pole 36slot)

../../Resources/kiiee/JIEIE.2025.39.2.148/fig11.png

3. 결 론

전기자동차에 적용되는 구동모터는 최대 속도가 12,000rpm으로 대부분 8극 모터를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충전시간 단축을 위해 배터리 전압 사양을 높이면서 전기자동차의 구동모터 최대 속도가 점점 상승하고 있으며 현재 양산되고 있는 구동모터의 최대 속도는 19,000rpm이다. 그리고 최대속도를 25,000rpm까지 구동하는 모터를 개발 중에 있다. 본 논문에서는 극수 슬롯수 조합이 1대 6인 동일한 구조에서 극수 변화에 따른 성능을 분석하였다. 극수 슬롯수 조합이 동일하면 공간고조파에 영향을 주는 파라미터들이 거의 유사하지만 극수가 작을 경우 극당 자속량이 커지기 때문에 법선방향에서의 힘이 다소 증가되어 소음/진동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볼 수 있었다. 또한 고정자 및 회전자의 자속값을 분석하여 철손 해석하였다. 철손 해석 결과 극수가 많을 경우 주파수 증가로 인해 철손이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었으며 반대로 동일 출력을 발생하기 위해 6극 36슬롯의 경우 전류 및 상저항이 다소 높아져서 동손이 8극 48슬롯에 비해 높게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따라서 전기자동차용 구동모터 최대 속도 상승에 따른 극수 선정에 있어 유용한 자료로 이용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Acknowledgement

이 연구는 2024년도 경상국립대학교 연구년제 연구교수 연구지원비에 의하여 수행되었음.

References

1 
S. W. Seo, S. H. Hwang, and K. C. Lee “Initial rotor polarity detection of single-phase permanent magnet synchronous motor based on virtual dq-axis,” Journal of IKEEE, vol. 24, no 4, pp. 84-90, 2020.DOI
2 
H. D. Kang and S. H. Hwang “Starting algorithm based on the DQ model of single-phase PMSM using variable APF,”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vol. 42, no. 7, pp. 602-608, 2018.DOI
3 
H. D. Kang and S. H. Hwang “Starting algorithm based on the DQ model of single-phase PMSM using variable APF,”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vol. 42, no. 7, pp. 602-608, 2018.DOI
4 
Sungmin Kim, Jung-Ik Ha, and Seung-Ki Sul, “PWM switching frequency signal injection sensorless method in IPMSM,” IEEE Tans. On Industry Applications, vol. 48, no. 5, pp. 1576-1587, 2012.DOI
5 
G. Chu, R. Dutta, H. Lovatt, B. Sarlioglu, and M. F. Rahman, “Analytical calculation of maximum mechanical stress on the rotor of the interior permanent-magnet synchronous machine,” Proc. IEEE Energy Convers. Congr. Expo. (ECCE), pp. 255-261, 2018.DOI
6 
S. G. Min and B. Sarlioglu, “Modeling and investigation on electromagnetic noise in PM motors with single- and double-layer concentrated winding for EV and HEV application,” IEEE Trans. Transport. Electrific., vol. 4, no. 1, pp. 292-302, 2018.DOI
7 
H. Dhulipati, et al., “Torque performance enhancement in consequent pole PMSM based on magnet pole shape optimization for direct-drive EV,” IEEE Trans. Magn., vol. 57, no. 2, pp. 1-7, 2021.DOI
8 
Y. Li, H. Yang, and H. Lin, “Comparative study of torque production mechanisms in stator and rotor consequent-pole permanent magnet machines,” IEEE Trans. Transport. Electrific., vol. 7, no. 4, pp. 2694-2704, 2021.DOI
9 
X. Ju, et al., “AC loss analysis and measurement of a hybrid transposed hairpin winding for EV traction machines,” IEEE Trans. Ind. Electron., vol. 70, no. 4, pp. 3525-3536, 2023.DOI
10 
Tao Sun, et al., “Effect of pole and slot combination on noise and vibration in permanent magnet synchronous motor,” IEEE Tans. On Magnetics, vol. 47, no. 5, 2011.DOI

Biography

Tae Heoung Kim
../../Resources/kiiee/JIEIE.2025.39.2.148/au1.png

He received a Ph.D. degrees from the Department of Electrical Engineering, Hanyang University, Seoul, Korea, in 2005. From 1995 to 2002 he worked a researcher at LG Electronics Company. Since 2005, He has served on the faculty in the Department of Electrical Engineering,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