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ISO Journal TitleJ Korean Inst. IIIum. Electr. Install. Eng.

  1. (M..S. Student, Department of Architecture Engineering, Sejong University, Korea)



Chronological evolution, Facade lighting, Integrated function, Security, Social perception, Symbolism

1. 서 론

1970년대 이후 급격한 도시화와 국민의 주거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우리나라에서 시행된 택지개발 촉진법 등의 주택정책은 경제 및 개발정책의 논리에 의해 공동주택의 고밀도 개발을 유도함으로 공동주택의 당위적 가치인 커뮤니티 형성 및 교류가 부족한 오직 거주생활의 목적으로만 인식되어 왔다[1]. 하지만 현대사회에 들어 거주에 대한 개념은 과거의 쉘터(Shelter)로서의 목적을 넘어 가치(Property) 개념과 복합적인 접근이 필요해 졌다. 이에 따라 좋은 아파트에 대한 기준도 내부공간의 효율성뿐만 아니라 외부환경과 커뮤니티 형성의 중요성으로 확대되고 있다[2].

아파트 분양가 자율화 시대와 건설시장의 개방 등 여러 가지 여건을 바탕으로 대기업 건설사들이 주도하는 주택품질 향상과 단지 외부공간의 조경 및 커뮤니티 강화는 현대 아파트 개발의 핵심 트렌드로 자리 잡았으며, 이는 주거지의 가치를 극대화하고 상징화할 수 있는 설계 방안이 대두되고 있다.

수도권 중심으로 아파트 주 출입구와 단지 경계부의 역할, 사회적 인식 변화, 브랜드화 과정 등이 연구되었으나[3-6], 대구시의 지역적 특성이 반영된 주 출입구의 시대적 흐름을 분석한 사례는 없었다. 또한, 다양한 요소를 종합적으로 다루는 데 집중했으나, 특정 요소에 초점을 맞춘 심층적 연구, 특히 야간 경관조명 활용에 대한 분석은 부족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한계를 보완하고자 대구시의 다양한 주거 형태를 포함하며, 주 출입구의 주요 구성요소인 문주 디자인과 야간 경관조명의 상징적 요소에 초점을 맞춰 기존 연구와 차별화된 분석을 시도하였다.

대구시 중심부에 위치한 달서구의 300세대 이상의 공동주택을 대상으로, 총 11곳의 공동주택 단지(주상복합 포함)가 조사되었다. 1990년대부터 2020년대까지 10년 단위로 단지를 선정하여 단지 주 출입구 공간의 구성과 야간 경관조명 계획을 분석하고, 향후 발전 방향과 목표를 제시하고자 한다. 각 10년 단위의 공동주택 단지중 1990년대는 2곳, 2000년대는 3곳, 2010년대 2곳, 2020년대 4곳이 조사되었는데, 그 중 2020년대를 제외하고는 대표적인 하나의 단지씩이 정리되었고, 2020년대는 4곳 모두가 정리되었다. 2000년대 이전에는 야간 경관조명의 요소가 별로 없었고, 2020년대는 최신 트랜드를 분석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모든 단지가 분석되었다.

2. 주 출입구의 변화

1980~1990년대 공동주택 초기에는 경제성과 실용성을 강조한 단순한 형태의 주 출입구가 설계되었으며, 주로 사생활 보호와 안전을 위한 최소한의 물리적 경계 역할에 중점을 두었다. 이 시기의 대표적 문주형태를 보여주는 주 출입구의 개념도는 Fig. 1에 표현되었다. 특별한 디자인 의미의 주 출입구 개념이 아니었다.

2000년대 이후, 공동주택 시장의 경쟁 심화로 주 출입구는 단지의 고급스러움을 표현하는 중요한 설계 요소로 발전되었으며, 다양한 규모와 구성, 건축 양식, 재료, 조경 요소 등이 결합된 형태로 구조화되었다. 이 시기의 대표적 문주형태를 보여주는 주 출입구의 개념도는 Fig. 2에 나타내었다. 주 출입구의 구조물이 구체화되었으며 조경적인 요소들이 추가되기 시작하였다.

2010대 이후에는 브랜드 고급화와 함께 주 출입구 디자인이 편의성과 심미성을 동시에 추구하며, 사회적 요구와 라이프스타일 변화를 반영해 조형성을 강조하고 있다. LED 기술 발전으로 야간경관에서 다양한 색상과 패턴을 활용해 단지의 미관과 정체성을 강화하고 보행자 안전을 확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Fig. 3). 특히, 이 시대부터는 주 출입구에 경관조명 요소들이 추가되어 야간경관의 중요한 역할이 부여되었다.

Fig. 1. Concept diagram of apartment main entrances from the 1980s to 1990s

../../Resources/kiiee/JIEIE.2025.39.3.182/fig1.png

Fig. 2. Concept diagram of apartment main entrances from the 1990s to 2000s

../../Resources/kiiee/JIEIE.2025.39.3.182/fig2.png

Fig. 3. Concept diagram of apartment main Entrances from the 2010s Onwards

../../Resources/kiiee/JIEIE.2025.39.3.182/fig3.png

3. 주 출입구에 대한 조사 및 분석

본 연구에서는 1990년대를 시점으로 10년 단위의 기간으로 대구시 달서구에 준공된 공동주택(300세대 이상아파트) 단지들이 조사되었다.

조사는 주간과 야간으로 구분되어 진행되었다. 주간 분석에서는 주 출입구의 조경, 문주, 경비실 등의 구성 요소와 문주의 재질, 사용 색상(먼셀 표색계)이 조사되었다. 야간 분석에서는 휘도값이 측정되었고, 조명기구의 종류, 조명방식, 상관색온도(CCT) 등이 분석되었다. 인터넷 포털 지도맵을 통해 대상지를 특정하고, 현장 답사를 통해 촬영한 사진과 관리사무소 인터뷰로 수집되었다. 휘도값 측정은 DSLR 대면휘도계가 사용되었으며, 평균 휘도값은 대면휘도계의 소프트웨어를 통해 분석되었다. 주 출입구의 주변 상관색온도는 주로 보안등이나 가로등에 의한 상관색온도를 의미한다.

3.1 1990년대 공동주택 주 출입구

1991년 8월 달서구 월곡로 94길 30에 준공된 월성주공1단지가 분석되었다. 주 출입구에 대한 주간경관 분석은 Table 1, 야간경관 분석은 Table 2, 휘도값 분석은 Table 3에 정리되었다. DSLR 대면휘도계의 상세 사양은 Table 3에 나타내었다.

월성 주공1단지 아파트의 주출입구는 북서측에 위치하며, 왕복 4차로 도로와 연결되어 있다. 적벽돌로 구성된 기둥식 문주는 내부와 외부를 물리적으로 구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되었고, 경비실과의 연계성이 부족해 보였다. RED 계열 색상은 온화한 분위기와 주변 상가와의 조화를 이루지만, 야간에는 최소한의 보안등만 설치되어 야간 경관으로서의 역할이 부족해 보였다. 이로 인해 출입구의 상징성과 경계가 명확하지 않고, 전반적인 야간 경관의 조명계획 미비로 인해 보행자와 차량 간의 안전성이 확보되지 않고 있다. 특히 차량 진입부 부분의 건널목 부분의 평균 휘도값은 2.64cd/m2로 낮게 측정되었다.

Table 1. Daytime landscape analysis of main entrances in the 1990s

../../Resources/kiiee/JIEIE.2025.39.3.182/tb1.png

Table 2. Nighttime landscape analysis of main entrances in the 1990s

../../Resources/kiiee/JIEIE.2025.39.3.182/tb2.png

Table 3. Luminance value analysis of main entrances in the 1990s

../../Resources/kiiee/JIEIE.2025.39.3.182/tb3.png

3.2 2000년대 공동주택 주 출입구

2000년 3월 달서구 장기로 242에 준공된 감삼우방드림시티 아파트가 분석되었다. 주 출입구에 대한 주간경관 분석은 Table 4, 야간경관 분석은 Table 5, 휘도값 분석은 Table 6에 정리되었다.

Table 4. Daytime landscape analysis of main entrances in the 2000s

../../Resources/kiiee/JIEIE.2025.39.3.182/tb4.png

Table 5. Nighttime landscape analysis of main entrances in the 2000s

../../Resources/kiiee/JIEIE.2025.39.3.182/tb5.png

Table 6. Luminance value analysis of main entrances in the 2000s

../../Resources/kiiee/JIEIE.2025.39.3.182/tb6.png

감삼우방드림시티 아파트의 주출입구는 남측에 위치하며, 왕복 5차로 도로와 50m 이격되어 있다. 2000년대 초반에는 문주시설이 설치되지 않았고, 현재는 경비실 인근에 아파트 명칭이 표기된 지주형 사인 시설과 주차차단기가 설치되어 있다. 경비실의 외벽은 점토벽돌과 방부목은 YR 계열 색상을 사용해 따뜻한 분위기가 연출되었다. 최소한의 폴형 보안등으로 보도 측 기본 밝기를 만족하고자 하였으나, 차도 폭(12m)을 고려하지 않은 조명배치로 인해 낮은 조도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로 인해 보행자의 안전성과 방범 기능이 부족해 보였다. 2002년 월드컵 개최를 전후로 공동주택 단지에 경관조명이 적용되기 시작한 시기로 평가된다.

3.3 2010년대 공동주택 주 출입구

2010년대 공동주택 중 달서구 조암로 6길 20에 위치한 월성푸르지오 아파트의 주 출입구에 대한 주간경관 분석 Table 7, 야간경관 분석은 Table 8, 휘도값 분석은 Table 9에 정리되었다.

Table 7. Daytime landscape analysis of main entrances in the 2010s

../../Resources/kiiee/JIEIE.2025.39.3.182/tb7.png

Table 8. Nighttime landscape analysis of main entrances in the 2010s

../../Resources/kiiee/JIEIE.2025.39.3.182/tb8.png

Table 9. Luminance value analysis of main entrances in the 2010s

../../Resources/kiiee/JIEIE.2025.39.3.182/tb9.png

월성푸르지오 아파트의 주출입구는 남서측에 위치하며, 왕복 4차로 도로와 연결되어 있다. 브랜드화가 본격화된 시기로, 직선과 곡선을 결합한 문주 디자인과 고급 자재, 조경, 조형물 등을 통해 아파트의 아이덴티티와 고급스러움을 강조하였다. 푸르지오의 상징색인 G 계열 색상을 문

주에 적용하여 정체성을 확립하였으며, 야간에는 녹색 구조물과 LED 조명을 활용해 문주의 입구성을 강조하고 보행자와 차량의 안전성을 높였다. 경관조명 방식에 있어서는 수직 구조물의 투광방식과 간접 라인조명을 통한 수평적 구조물의 강조가 사용되었다. 전반적으로 주출입구는 브랜드 정체성과 자연과의 연계성을 나타내는 복합적이고 상징적인 공간으로 조성되었다.

3.4 2020년대 공동주택 주 출입구

2020년대에는 브랜드 고급화가 극대화되는 시기로 하이엔드 브랜드의 등장과 스마트 기술, 에너지 효율, 환경친화적 요소가 강하게 반영되기 시작하였다. 달서구 월성로100에 위치한 월성삼정그린코아 에듀파크 아파트는 2022년에 완공되었으며, 주 출입구에 대한 주간경관 분석 Table 10, 야간경관 분석은 Table 11, 휘도값 분석은 Table 12에 정리되었다.

Table 10. Daytime landscape analysis 1 of main entrances in the 2020s

../../Resources/kiiee/JIEIE.2025.39.3.182/tb10.png

Table 11. Nighttime landscape analysis 1 of main entrances in the 2020s

../../Resources/kiiee/JIEIE.2025.39.3.182/tb11.png

Table 12. Luminance value analysis 1 of main entrances in the 2020s

../../Resources/kiiee/JIEIE.2025.39.3.182/tb12.png

월성삼정그린코아 에듀파크 아파트의 주출입구는 고급 대리석과 어두운 색상을 사용해 프리미엄 이미지를 강조하며, 조경과의 유기적 설계로 환경 친화적 분위기를 연출한다. 넓고 개방적인 문주는 차량과 보행자 동선을 분리하며, 대형 게이트로 단지의 위상을 드러내고 강렬한 첫인상을 제공한다.

수직·수평 선형 조명과 구조물에 매입된 라인 조명이 석재에 반사되어 문주의 입체감과 고급스러운 분위기를 강조하며, 연계된 조경에도 빛을 더해 야간경관을 풍부하게 만든다. 라인조명 방식의 경관조명 통해 주 출입구의 입구성을 더욱 강조하였다. 조명의 상관색온도는 4000 K로 따뜻한 분위기를 연출하며, 라인등과 주변 가로등의 조화로 충분한 조도를 제공해 안전성을 높였다.

2024년 준공된 죽전역 에일린의뜰 아파트의 주 출입구에 대한 주간경관 분석은 Table 13, 야간경관 분석은 Table 14, 휘도값 분석은 Table 15에 정리되었다.

Table 13. Daytime landscape analysis 2 of main entrances in the 2020s

../../Resources/kiiee/JIEIE.2025.39.3.182/tb13.png

Table 14. Nighttime landscape analysis 2 of main entrances in the 2020s

../../Resources/kiiee/JIEIE.2025.39.3.182/tb14.png

Table 15. Luminance value analysis 2 of main entrances in the 2020s

../../Resources/kiiee/JIEIE.2025.39.3.182/tb15.png

형태적 특징으로 대형프레임 구조를 채택하여 입구를 시각적으로 강조하고, 단지의 상징적 아이덴티티를 나타내며 사선디자인의 아치형 구조는 기존의 단순한 입구 형태와 달리 더욱 웅장하고 고급스러운 이미지를 강조한다. 문주 구조물과 함께 보안 시설, 주차장 입구, 보행 계단 등 기능적 요소가 통합 설계되어있다. 문주의 색상은 밝은 회색 계열의 뉴르럴 톤을 사용하여 현대적이고 세련된 이미지를 연출하고 있다. 불필요한 장식을 줄이고 심플한 형태와 색상을 강조하고 고급 석재와 메탈 소재를 활용해 프리미엄 이미지를 강화하고 있다.

야간경관은 문주 구조의 외곽선을 따라 설치된 라인형 LED 조명은 간결하면서도 정교한 디자인을 강조하며, 입구를 시각적으로 부각시켜 고급스러운 단지의 아이덴티티를 전달한다. 또한 LED 확산커버(Diffuser Cover)를 활용해 조명의 빛이 눈부시지 않도록 설계되었으며, 문주 하단과 경비실 주변에는 실용적 조명을 배치해 출입구의 기능성을 높이고, 차량 및 보행자의 동선을 안전하게 유도하고 있다. 이러한 조명은 전체적으로 심플한 회색 계열의 문주와 어우러져 도시적이면서도 세련된 이미지를 연출하며, 야간에도 단지를 하나의 시각적 랜드마크로 돋보이게 한다.

Table 16. Daytime landscape analysis 3 of main entrances in the 2020s

../../Resources/kiiee/JIEIE.2025.39.3.182/tb16.png

Table 17. Nighttime landscape analysis 3 of main entrances in the 2020s

../../Resources/kiiee/JIEIE.2025.39.3.182/tb17.png

Table 18. Luminance value analysis 3 of main entrances in the 2020s

../../Resources/kiiee/JIEIE.2025.39.3.182/tb18.png

2022년 준공된 힐스테이트죽전역 더퍼스 주상복합 아파트의 주 출입구에 대한 주간경관 분석 Table 16, 야간경관 분석은 Table 17, 휘도값 분석은 Table 18에 정리되었다.

대형 프레임 구조를 통해 시각적 중심을 잡아주며, 보차 분리의 동선을 보여주고 있다. 출입구 양측에 배치된 상업시설과의 연결성을 고려한 설계는 공간의 활용도를 극대화하면서 도시적 경관과 어우러지는 역할을 한다. 건물외벽의 회색 계열과 연계하여 절제된 선과 면을 강조한 디자인은 뉴트럴 톤 색채와 석재 마감재 사용함으로 도시적 이미지를 보여주고 있다.

라인형 LED 조명은 대형 프레임 구조를 강조하며 입체감과 웅장함을 부여해 야간에도 건물의 상징적 가치를 높이고 있다. 5,000K 정도의 주백색 조명 색온도는 시각적 부드러움을 제공하면서 고급스러운 분위기를 연출하며, 주변 상업시설의 내부 조명과 어우러져 도시 경관과의 조화를 이루고 있다.

Table 19. Daytime landscape analysis 1 of main entrances in the 2020s

../../Resources/kiiee/JIEIE.2025.39.3.182/tb19.png

Table 20. Nighttime landscape analysis 1 of main entrances in the 2020s

../../Resources/kiiee/JIEIE.2025.39.3.182/tb20.png

Table 21. Luminance value analysis 1 of main entrances in the 2020s

../../Resources/kiiee/JIEIE.2025.39.3.182/tb21.png

2023년 준공된 빌리브 죽전 주상복합 아파트의 주 출입구에 대한 주간경관 분석 Table 19, 야간경관 분석은 Table 20, 휘도값 분석은 Table 21에 정리되었다.

주출입구는 대형 프레임 구조를 통해 입체적이고 웅장한 형태미를 강조하며, 건축물의 상징적 게이트 역할을 수행한다. 건물 전체의 통일성과 도시적 세련미를 강조한 뉴트럴한 회색 계열의 색채가 주를 이루며, 회색 톤의 석재와 메탈 마감은 고급스럽고 견고한 이미지를 연출한다. 출입구 주변은 대형 유리창을 통해 개방감을 극대화 하면서 내부 상업시설과 시각적 연결성을 강화하고 있으며 이러한 디자인은 상업과 주거의 복합적 기능을 하나의 공간에 통합시키는 주상복합 건축의 특징을 잘 보여준다.

작은 공간을 활용한 주 출입구는 미니멀리즘을 반영하여 복잡하지 않게 계획되어 있다. 상단의 BI 사인물은 백색 LED 조명을 통해 브랜드의 이미지를 강렬하게 부각시키며, 단지의 정체성을 명확하게 전달한다. 아파트를 연결하는 브릿지 형식의 문주는 하부에 설치된 라인형 LED 조명을 적용, 수평적 요소인 프레임 구조를 강조하면서 입체감과 깊이감을 부여한다. 높이감 있는 구조물을 활용한 조명은 은은하게 퍼지도록 계획되어 눈부심을 최소화하면서도 고급스럽고 정돈된 이미지를 제공한다.

3.5 분석의 요약

본 연구는 대구시 공동주택 주 출입구의 시기별 형태적 변화와 야간 경관조명의 활용에 대한 분석을 통해 시대적 변화 양상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주 출입구 설계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주요 분석은 다음과 같이 도출되었다.

1990년대부터 2020년대에 이르기까지 주 출입구는 단순한 물리적 경계 역할에서 벗어나 단지의 정체성을 상징하고 고급화된 브랜드 이미지를 전달하며, 심미성과 실용성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공간으로 진화되었다. 초기에는 적벽돌과 같은 경제적이고 실용적인 재료로 최소한의 기능을 수행했으나, 2000년대 이후부터는 구조화와 고급화를 통해 단지의 브랜드와 정체성을 드러내는 상징적 요소로 발전하였다. 2010년대 이후, 주 출입구는 더욱 대형화되고 조경 및 커뮤니티 공간과 통합되어 현대적 감각과 사용자 편의가 강조되었다. 향후에도 주 출입구에 다양한 재질들을 사용되고, 주간경관과 야간경관의 조화로운 디자인으로 발전될 것으로 보인다.

2010년대 이후, 야간 경관조명은 주 출입구 디자인에서 필수적인 요소로 자리 잡았다. LED 기술의 발전은 다양한 조명방법과 색상 연출을 가능하게 하였으며, 이를 통해 문주의 입체감을 강조하고 단지의 이미지를 강화하는 역할을 하였다. 야간 경관조명은 단순한 심미적 역할을 넘어 보행자와 차량의 안전을 보장하고, 단지의 야간 환경을 풍부하게 만드는 데 기여하였다. 특히, 2020년대에는 조명의 낮은 색온도와 다양한 배치를 통해 따뜻하고 고급스러운 분위기가 연출되며, 단지의 프리미엄 이미지가 더욱 부각되었다.

3.6 연구의 의의와 한계

본 연구는 대구시 공동주택 주 출입구의 형태적 변화와 야간 경관조명의 역할을 시대적 관점에서 분석함으로써 주 출입구 설계 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또한, 기존 연구에서 다루지 않았던 야간 경관조명 요소를 포함함으로써 설계와 연구의 범위가 확장되었다.

그러나 본 연구는 대구시 특정 지역에 한정된 조사 대상과 제한된 사례 분석으로 인해 일반화에는 한계가 있다. 특히 대구시 특정 지역의 각 시대별로 많은 대상 단지들이 존재하지 않았기 때문에 각 시대를 대표하는 것에도 한계가 있었다. 또한, 한정된 공동주택 단지 수로 인해 대구시의 지역적 특성을 분석하는 것은 어려웠다. 향후 연구에서는 대구시 외 지역 및 다양한 주거 유형을 포함하여 보다 포괄적인 설계 기준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또한, 최신 기술과 사용자 경험을 고려한 추가적인 설계 방안을 모색하는 연구가 이어져야 할 것이다.

4. 결 론

본 연구는 대구시 공동주택 주 출입구의 형태적 변화와 야간 경관조명의 역할을 시대적 관점에서 분석함으로써 대구시 주 출입구 설계 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또한, 기존 연구에서 다루지 않았던 야간 경관조명 요소를 포함함으로써 설계와 연구의 범위를 확장하였다.

시대적으로 변화되어 가는 주 출입구의 형태, 마감재료, 색상 등이 정리되었으며, 주 출입구의 역할 변화도 볼 수 있었다. 또한, 야간경관을 위한 조명 사용에 대해서도 LED 조명기구 사용시기, 주 출입구의 조명계획 방법론, 구조물과의 연계방법 등이 정리되었고, 색온도의 변화를 통해 주 출입구의 입구성이 가지는 의미의 변화도 볼 수 있었다.

주 출입구는 1990년대의 단순한 물리적 경계 역할에서 2010년대에는 공동주택의 브랜드의 정체성을 상징하고 고급화된 이미지를 전달하기 시작하였다. 주 출입구의 역할과 심미성을 동시에 추구하였으며, 사용 재료의 다양화와 고급화를 통해 주 출입구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또한, 주 출입구는 조경 및 커뮤니티 공간과 통합되며 대형화되어 공동주택 단지의 상징성을 나타내고자 하였다.

주 출입구의 야간 경관조명은 2010년대부터 필수적인 디자인 요소가 되었다. LED 조명의 다양한 조명방법과 색상 연출을 활용하게 되었으며, 이를 통해 구조물의 입체감이 표현되고 주간경관 색상이 야간경관에서도 강조되도록 하였다. 2020년대에는 낮은 색온도의 조명사용을 통해 따뜻하고 고급스러운 이미지의 분위기 공동주택 단지를 연출하고자 하였다.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25년도 정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RS-2025-00515919).

References

1 
Seoul Solution, “Seoul housing policy,” https://seoulsolution.kr/ko/content/%EC%84%9C%EC%9A%B8%EC%8B%9C-%EC%A3%BC%ED%83%9D%EC%A0%95%EC%B1%85?utm_source=chatgpt.com (Accessed 10 SEP, 2024)URL
2 
Hankyung BUSINESS Magazine, “30 years of public rental housing: From quantitative expansion to a paradigm shift towards qualitative improvement,” https://magazine.hankyung.com/business/article/202012086979b (Accessed 2 SEP 2024)URL
3 
S. You, “A preliminary study on changes in the exterior space composition system and design trends of apartment complex,” Master Thesis, Dankook University, 2008.URL
4 
J. Yang and H. Kim, “A study on Exterior Lighting Design of an Urban Apartment Complex,”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sign Science, vol. 24, no. 3, pp. 186-195, 2011.URL
5 
H. Kim, “The planning characteristics of private external space in multi-family housing - Focusing on the balconies, loggias, and terraces as intermediate spaces in European cases,” Journal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vol. 36, no. 2, pp. 13-24, 2020.DOI
6 
M. Lee, “A study on the main entrance facade design of apartment complexes; Focusing on Gwangju City,” Master Thesis, Chosun University, 2024.URL

Biography

Seok-Won Yoon
../../Resources/kiiee/JIEIE.2025.39.3.182/au1.png

He received M.S. degree in architectural engineering from Sejong University (2025) and is working as the Chief Executive Officer at Raum, an urban environmental research institute located in Daegu.

An-Seop Choi
../../Resources/kiiee/JIEIE.2025.39.3.182/au2.png

He received B.S. degree in architectural engineering from Hanyang University (1991). He received M.S. degree (1993) and Ph.D. degree (1997), respectively, in the Dep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from The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USA. He is now a professor of Sejong University, Korea and a president of the Korea Committee of KII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