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ISO Journal TitleJ Korean Inst. IIIum. Electr. Install. Eng.




Common rail direct injection engine, Engine generator, Inverter

1. 서 론

최근 운송수단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대형 화물차와 버스의 엔진은 대형화로 성능특성이 향상되고 있으며, 차량의 수명과 모델노후에 따라 매년 75만대 이상 폐차되고, 폐기되는 차량 엔진의 잔존가치가 50%이상 남아있는 것으로 알려진 폐 커먼레일(CRDI: common rail direct injection engine) 디젤엔진을 재활용하여 엔진발전기로 개발함으로써 성능이 우수하면서 제조비용은 월등히 저감할 수 있다. 또 개발 이후 산업용에서 가정용까지 사업화가 가능한 엔진이다. 재활용 엔진에서 사용되는 주요 기술 중에 하나는 인버터의 제어기술이라고 할수 있으며, 이러한 인버터 연구는 태양광발전 저압연계시 인버터 출력단 전압상승에 대한 연구[1], 터널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로 구성된 모놀리틱 3차원 인버터의 적층된 소자간 전기적 상호작용 조사에 관한연구[2], FBFET와 MOSFET으로 구성된 3가지 모노리틱 적층형 3차원 인버터 전압 전달 특성 조사연구[3], 3단 인버터로 공급되는 IPMSM의 고주파 주입 센서리스 제어의 중성점 전압 리플 감소[4], 계통연계형 인버터의 전류제어기법 성능 비교연구[5], 등이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들은 폐엔진을 재사용하여 회전자에 의해 발생하는 불규칙적인 교류전압을 정격전압과 정격주파수로 변환하여 부하에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기능에 관한 연구는 아직까지 이루어지고 있지 않았다. 또한 인버터에 관련된 연구는 독립된 회전자 인버터를 이용한 권선형 전동기와 그 제어 방법[6], SVPWM 인버터에 의해 구동되는 유도전동기의 회전자 고장에 따른 속도 특성[7], 회전자 인버터 내장형 브러시리스 동기전동기에서의 전력 전달을 위한 계자 전류의 제어연구[8], 회전자 인버터 내장형 브러시리스 동기전동기연구[9], 회전자 인버터 내장형 동기 전동기의 고주파 맥동 전압 주입 센서리스 제어 기법[10], 3상 인버터 구동 유도전동기의 회전자 1 슬롯 최적설계에 관한 실험연구[11], 슬롯피치 경계 조건을 이용한 인버터 구동 유도 전동기의 회전자 등가회로 정수 추출 및 특성해석연구[12], 인버터 구동 유도전동기의 회전자 슬롯형상 최적화[13], 인버터 구동 유도전동기의 회전자 바에서의 동손 분포 해석연구[14], 회전자측 PWM 인버터-컨버터를 사용한 이중여자 유도형 풍력 발전기의 계통 투입 알고리즘 연구[15], 750kW 풍력발전 시스템 전력변환장치의 시험 연구[16], 대형 동기 발전기 계자제어를 위한 PWM 인버터에 관한 연구[17], 매극 매상 슬롯 수에 따른 이중 인버터를 갖는 영구자석형 해상 풍력발전기의 특성 해석[18], 가스터빈용 동기발전기의 부하전류형 인버터 모델링에 대한 연구[19], 가변속 풍력발전시스템의 인버터-발전기간 케이블 길이에 따른 풍력발전기 dv/dt 전압 모델링 및 저감대책에 관한 연구[20], 2중 인버터 시스템을 갖는 해상용 풍력발전기의 3상 평형성에 관한 연구[21], 20㎾ 풍력발전기 및 인버터 성능시험에 관한 연구[22], 차량의 엔진-발전기를 이용한 교류전원 시스템에 관한 연구[23], 풍력발전기 전력제어를 통한 계통연계형 인버터의 출력전력 리플 개선[24], 계통연계 인버터를 기반한 풍력발전시스템에서 디씨링크 전압가변을 통한 새로운 MPPT 제어에 관한 연구[25] 등이 있었다. 하지만 회전형 인버터의 경우 시스템의 내구성, 신뢰성, 경제성에 대한 고려와 고효율운전이 가능하며 소형화 할수 있는 제품은 없었으며, 폐엔진 발전시스템에 최적화 되지 않은 인버터 연구였다. 본 연구에서는 폐엔진 발전기에 적합한 특성을 가진 인버터를 연구하여 산업현장에 적용하도록 하였다.

2. 인버터 구조

2.1 폐엔진 발전시스템 구조

엔진발전기 시스템의 주요 구성으로는 Fig. 1과 같이 회전력을 발생할 수 있는 폐 CRDI 엔진을 축으로 직결 연결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회전형 발전기 또 이를 제어하고 정격전압과 정격주파수를 조정하는 인버터로 구성되어 발전을 한다. Fig. 1과 같이 본 연구는 인버터 개발사양으로 출력전압 3상4선식 AC 380V, 정격용량은 70kW, 역률은 0.85~1로 정하며, 주파수는 입력 50~60Hz, 출력 60Hz가 되도록 하였다. 제어사양은 스위칭 주파수 5kHz, 운전방식은 key운전과 통신운전이 될 수 있도록 설계 및 제작을 한다. 회전형 발전기의 인버터 효율을 개선하기 위해서 Sic소자를 적용하여 스위칭 손실을 최소화하며, 이를 통해 고정적인 손실 감소와 인버터 효율이 향상 되도록 하고, 입력부에 대해 정류효율이 높은 정류 다이오드를 적용하여 발전용 인버터의 입력 손실 저감 및 효율이 향상될 수 있는 구조로 설계한다.

Fig. 1. Waste engine power generation system process

../../Resources/kiiee/JIEIE.2025.39.4.260/fig1.png

2.2 폐엔진 인버터 구조

콘트롤회로 주요 구성요소로는 Fig. 2와 같이 제어보드의 전원공급과 리셋 신호를 발생시키는 Regulator와 CPU에서 발생한 PWM 신호를 파워보드에 전달하기 위한 PWM Buffer, 인버터의 상태와 모터 제어에 사용되는 인버터 출력전류, 직류단 전압, NTC를 검출하는 Analog 측정 부, 과도한 전류로부터 인버터보호 위한 신호 발생부와 MMI(Man Machine Interface)를 위한 디지털 로더, 제어보드의 기능확장을 위해 I/O와의 통신부, 계통 전원, 전류 검출용 Signal Interface부 및 Memory & RTC부로 제어 되도록 구성하였다.

Fig. 2. Inverter structure for waste engine generator

../../Resources/kiiee/JIEIE.2025.39.4.260/fig2.png

Fig. 3 인버터를 제작하기 위한 시스템 블록도를 IGBT Gate Driver을 채용하여 PWM방식으로 설계를 하였다. 발전용 인버터 제작 및 실험을 위해 인버터 정류보드, 제어보드, 파워보드 등 제작, 구성품 조립을 하였다.

Fig. 3. Inverter system block diagram

../../Resources/kiiee/JIEIE.2025.39.4.260/fig3.png

인버터 사양을 설계하기 위해 Table 1과 같이 인버터 개발사양으로 출력전압 3상4선식 AC 380V, 정격용량은 100kW, 역률은 0.85~1로 정하며, 주파수는 입력 50~60Hz, 출력 60Hz가 되도록 하였다. 제어사양은 스위칭 주파수 5kHz, 운전방식은 key운전과 통신운전이 될 수 있도록 설계 및 제작을 한다. 발전용 인버터 효율개선으로 Sic소자를 적용하여 스위칭 손실을 줄이고, 이를 통해 고정적인 손실을 감소 및 인버터 효율이 향상 되도록 하고, 입력부에 대해 정류효율이 높은 정류 다이오드를 적용하여 인버터의 입력 정류 손실 저감 및 효율이 향상 되도록 설계한다.

Table 1. Inverter development specification

Item

Content

Input

Voltage

380Vac~440Vac

Frequency

50~60 Hz

Output

Voltage

3Φ AC 380V +/- 2%

Rated capacity

100kW

Frequency

60Hz

Power factor

0.85 ~ 1

Overload tolerance

120%

Control specification

Control method

PWM

Switching frequency

5kHz

Driving method

Key, Communication

2.3 인버터 PCB

아래의 PCB는 인버터 정류부로 Fig. 4에서는 입력부 용량 100kW에 적합하도록 하기 위해 SCR 모듈 변경과 회로 설계를 하여 정류부를 제작하였으며, 동작전원 용량으로 Trans former를 설계하였다.

제어부회로 설계로 Fig. 5(a)인버터 제어부 회로 실물 사진에서 MCU 전원을 분리하고자 SMPS 회로 추가 15V, -15V, 5V 출력 변경을 하였고, 전류 검출부의 Reference 전압 보완 회로 변경을 하였다. (b)인버터 센싱 회로는 3상 입·출력 Sensing 신호 회로를 개선하여 적용하였으며, AC 전류 검출 회로부분에서 센싱하도록 적용하였다. (c)통신 및 IO 회로 설계 및 제작을 위해 DC-to-DC Converter 회로로 개선하여 변경(Input 24V, Output 15V, -15V)과 인버터를 이상발생으로부터 신속하게 보호하기 위해 외부접점 신호방식으로 회로를 개선하여 변경(Emergency 신호 추가)하였다. 전체 시스템 시작품으로 제작되는 인버터의 효율은 약 92% 이상을 목표로 설계 되었다.

Fig. 4. Inverter rectifier

../../Resources/kiiee/JIEIE.2025.39.4.260/fig4.png

Fig. 5. (a) Control board, (b) Sensing board, (c) Communication and input/output board

../../Resources/kiiee/JIEIE.2025.39.4.260/fig5.png

3. 실험 결과 및 고찰

3.1 부하실험

Fig. 6은 인버터실험과 계측을 위해 부하기 500kWe와 전력분석기 ADPOWER PQA-2100, 온도측정기 GRAPHTEC midi LOGGER GL240, 오실로스코프 Tektroniz TDS 3054 등을 아래 Table 2와 같이 계측 및 시험장비를 사용하였다. 연구개발 발전기용 인버터의 제작과 무부하 및 부하 성능시험으로 발전기용 인버터의 시작품을 아래 Fig. 6과 같이 실험하였으며, 정격부하 운전을 하였을 때 인버터의 효율 측정과 손실 및 효율 등도 실험하였다.

Fig. 6. Inverter prototype

../../Resources/kiiee/JIEIE.2025.39.4.260/fig6.png

Table 2. Inverter measurement and test equipment specifications

Instrument

Model name

Purpose

Load

(500kWe)

Load Bank Zen Power

Load application

Power analyzer

ADPOWER PQA-2100 Power Quality Analyzer

Generator output, Voltage, Current, Frequency

Temperature measurement

GRAPHTEC midi LOGGER GL240

Intake temperature, outside temperature, inlet and outlet cooling water temperature, oil temperature, exhaust temperature

CENTER 309 DataLogger Thermometer

Fluke 51II Thermometer

Combustion

analyzer

Kistler Combustion pressure sensor

Combustion pressure

Charge Amp Type5018

Air-fuel ratio

AEM Air/Fuel Ratio

Air-fuel ratio

Oscilloscope

Tektroniz TDS 3054

Signal analysis

CNG flux

Endress+Hauser CNGmass DCD

Mass flow

Scale

FG-60KAL-1-1

Fuel consumption

Exhaust gas analyzer

AUTOMOTIVE EMISSION ANALYZER QRO-402

Nitrogen oxides, hydrocarbons, carbon monoxide, air-fuel ratio

Sound level meter

Mobile

External noise

발전기용 인버터의 무부하 및 부하시험을 통한 100kW급 CRDI 엔진발전기용 인버터로 제품화 기술개발을 완료하였고, 매년 국내에서 75만대 이상의 폐엔진이 배출되지만 잔존가치가 50%이상 남아있는 것으로 알려진 폐 CRDI 디젤엔진을 활용하여 엔진발전기로 개발함으로써 성능은 우수하면서 제조비용은 월등히 저감할 수 있기에 개발 이후 다양한 산업과 건축물 분야 등에서 경쟁력있는 사업화가 가능하다. 특히 자동차용 엔진을 엔진발전기에 적용함으로써, 인버터의 내구성, 신뢰성 향상과 판매 이후, 부품 수급과 A/S 측면에서 매우 유리하도록 연구개발하였다. 또한 CRDI디젤엔진의 경우, 기존 가버나 방식의 기계식 엔진발전기에 비해 환경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소음, 연비 및 배출가스에서 매우 유리하는 결과를 Table 3에서 50kW와 Table 4에서 100㎾의 인버터 부하 실증테스트를 하여 정격전압 380V, 정격주파수 60㎐를 얻을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파형 실험은 요구사항을 충족하였음을 확인하였으며, 100㎾의 인버터에서 사용한 SCR 구동회로 과부하 운전에서도 Fig.7과 같이 전압과 주파수의 일그러짐이 없음을 실험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Fig. 7. SCR drive waveform

../../Resources/kiiee/JIEIE.2025.39.4.260/fig7.png

Table 3. 50kW inverter performance test

Test item

Unit

Spec Range

Meas Value

Result

Load

50㎾<110%

55

Pass

Voltage

V

380V±2%

380

Pass

Current

A

75

75

Pass

Frequency

60±0.2

60

Pass

Temperature

50<Skew

43

Pass

Fuel efficiency

Skew< 2,500 TPixel

2,000

Pass

Insulation Resistance

Skew< 2 TPixel

5

Pass

Overload tolerance

%

120 ps< TRise

120

Pass

Self-protection function

%

50㎾<120%

60

Pass

Efficiency

%

92

94.5

Pass

Table 4. 100kW Inverter performance test

Test item

Unit

Spec Range

Meas Value

Result

LOAD

100㎾

100

Pass

Voltage

V

380V±10%

380

Pass

Current

A

150

150

Pass

Frequency

60< 0.2

60

Pass

Temperature

Skew< 50 TPixel

43

Pass

Noise

dB

Skew< 90 TPixel

75

Pass

Fuel efficiency

Skew< 2,500 TPixel

2,000

Pass

Insulation Resistance

Skew< 2 TPixel

5

Pass

Overload tolerance

%

120 ps< TRise

120

Pass

Self-protection function

%

100㎾<120%

120

Pass

Efficiency

%

92

92.45

Pass

3.2 인버터 신뢰성 시험

발전기용 인버터의 부하시험을 수행하기 전에 Fig. 8의 시험으로 100㎾의 인버터 부하시험을 수행하였으며, 무부하시험은 무부하 유기기전력과 부하저항을 측정하고, 과부하시험을 수행하였다. 우선 시험한 무부하 유기기전력은 상온에서 측정되었으며, 발전기 회전수 1,800rpm조건에서 측정한 결과 상유기 기전력으로 380Vrms로 측정되었으며, Fig. 8의 부하시험으로 상온에서의 해석결과 380Vrms와 큰 오차를 보이지 않는 것을 측정하여 신뢰성을 확인하였다.

Fig. 8. Inverter output characteristics and voltage waveform

../../Resources/kiiee/JIEIE.2025.39.4.260/fig8.png

4. 결 론

본 논문에서는 발전기용 인버터의 무부하 및 부하시험을 통한 100kW 급 CRDI 엔진발전기용 인버터로 제품화 기술개발을 완료하였고, 건축물에서 비상발전기용 등으로 사용가능함을 알수 있다. 매년 국내에서 75만대 이상의 폐엔진이 배출되지만 잔존가치가 50%이상 남아있는 것으로 알려진 폐 CRDI 디젤엔진을 활용하여 엔진발전기로 개발함으로써 성능은 우수하면서 제조비용은 월등히 저감할 수 있기에 개발 이후 경쟁력있는 사업화가 가능하다. 특히 자동차용 엔진을 엔진발전기에 적용함으로써, 인버터의 내구성, 신뢰성 향상과 판매 이후, 부품 수배 등의 A/S 측면에서 매우 유리하다. 또한 CRDI디젤엔진의 경우, 기존 가버나 방식의 기계식 엔진발전기에 비해 환경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소음, 연비 및 배출가스에서 매우 유리하다.

References

1 
K. Y. Cho and I. S. Eo, “A study on the voltage rise of the inverter output terminal according to the low voltage Grid connection of solar power generation,”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21, no. 11, pp. 746-752, 2020.DOI
2 
Y. S. Kang, T. J. Ahn, H. K. Park, and Y. S. Yu, “Investigation of electrical coupling between stacked devices in monolithic 3D inverter consisting of tunneling field effect transistors, silicon thickness,” in Proc. of the 48th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Conference, vol. 24, no. 2, pp. 202-203, 2020.URL
3 
J. H. Oh and Y. S. Yu, “Investigation of voltage transfer characteristics of three types of monolithic 3D inverter composed with FBFET and MOSFET,” in Proc. of the 48th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Conference, vol. 24, no. 2, pp. 65-66, 2020.URL
4 
D. H. Cho, S. M. Kim, and K. B. Lee, “Neutral-point voltage ripple reduction of high frequency injection sensorless control of IPMSM fed by a three-level inverter,” Journal of IKEEE, vol. 24, no. 3, pp. 867-876, 2020.DOI
5 
H. Jeong and J. S. Lee, “Performance comparison study of current control methods for grid connected inverters,” Journal of IKEEE, vol. 24, no. 3, pp. 877–882, 2020.DOI
6 
Y. S. Han and J. I. Ha, “Wound machine using an independent rotor-side-inverter and the control method,”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Conference, pp. 969-970, 2013.URL
7 
S. M. Jang, et al., “Speed characteristic of induction motor with rotor fault operated by SVPMW inverter,”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Conference, pp. 364-366, 2010.URL
8 
E. S. Jung, et al., “Field current control for power transfer in a brushless synchronous motor with inverter integrated rotor,”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conference, pp. 195-197, 2011.URL
9 
E. S. Jung, et al., “Brushless synchronous motor with inverter integrated rotor,”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conference, pp. 143-144, 2011.URL
10 
S. H. Choe, E. S. Jung, and S. K. Sul, “Pulsating high frequency voltage injection sensorless control method for synchronous machine with inverter integrated rotor (SMIIR),”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pp. 231-232, 2012.URL
11 
J. W. Kim, B. I. Kwon, B. T. Kim, and Y. Jo, “Experimental test for the optimum design of a rotor slot in three phase inverter-fed induction motor,”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pp. 131-134, 2002.URL
12 
G. H. Yi, B. T. Kim, and B. I. Kwon, “Analysis of inverter-fed induction motor using F.E.M and harmonic equivalent circuit,”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B, vol. 51, no. 7, pp. 331-338, 2002.URL
13 
B. T. Kim and B. I. Kwon, “Slot optimization of cage rotor for Inverter-fed 3-phase Induction Motor,”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B, pp. 250-252, 2000.URL
14 
B. T. Kim, B. I. Kwon, and S. C. Park, “Analysis of the copper loss distribution in the rotor bar of an inverter-fed induction motor,”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A, pp. 73-75, 1999.URL
15 
B. C. Jeong, T. H. Kwon, S. H. Song, and E. H. Kim, “Grid connection algorithm for doubly-fed induction generator using rotor side PWM inverter-converter,”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B, pp. 528-534, 2003.URL
16 
Y. G. Son, et al., “Test results of an inverter system for 750kW gearless wind turbine,”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ew and Renewable Energy conference, pp. 59-63, 2005.URL
17 
H. S. Ryu, J. H. Lee, and I. H. Lim, “A study of PWM inverter for field control on large synchronous generator,”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B, pp. 958-959, 2006.URL
18 
J. H. Seo, “Characteristics analysis of PM type offshore wind power generator with dual inverters according to number of per pole per phas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vol. 30, no. 8, pp. 22-28, 2016.DOI
19 
H. S. An, H. S. Ryu, K. S. Kim, and H. J Cha, “Modeling of load commutated inverter for gas turbine synchronous generator,”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pp. 206-208, 2014.URL
20 
C. S. Park, “Modeling and filtering of dv/dt voltage stress at generator terminal due to long cable between inverter and generator in variable speed wind energy conversion system,”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The Korean Institute of Power Electronics, pp. 455-456, 2014.URL
21 
J. H. Seo, “A study on 3-phase balance of offshore wind generator with dual inverter system,”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vol. 27, no. 6, pp. 23-30, 2013.URL
22 
S. Y. Moon, et al., “Performance test of 20㎾ wind turbine generator and inverter,”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Manufacturing Technology Engineers Conference, p. 105, 2017.URL
23 
Y. C. Jeung and D. C. Lee, “AC power supply systems using engine-generator of vehicles,” in Proc. of The Korean Institute of Power Electronics, pp. 475-476, 2011.URL
24 
B. C. Jeong, B. W. Kim, and S. H. Song, “Improvement of grid interface inverter power ripple with wind turbine power control,”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B, pp. 215-254, 2003.URL
25 
C. D. Xu, et al., “A new MPPT control by changing the DC-link voltage in a grid connected inverter-based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pp. 1165-1166, 2013.URL

Biography

Byeong-Chul Yu
../../Resources/kiiee/JIEIE.2025.39.4.260/au1.png

He received his M.A. Hanya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ngineering. He is doing his Ph.D. Student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Research interests Lithium-ion battery, Lithium-ion battery fire measur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