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ISO Journal TitleJ Korean Inst. IIIum. Electr. Install. Eng.

  1. (Dept. of Electrical Engineering, Inha Graduate School, Candidate for the Ph. D.)
  2. (Department of Electrical Engineering, Inha University, Professor)



Impulse Current, Grounding Grid, Ground Potential Rise, Carbon Ground Module, EMTP Simulation

1. 서론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낙뢰빈도의 증가와 전력전자소자를 이용한 전기기기 사용의 증가로 인하여 접지시스템에는 서지전류를 비롯하여 높은 주파수의 전류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인체와 전기기기의 안전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접지시스템은 고성능이 요구되고 있으며, 서지전류가 유입될 때 대지전위상승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접지임피던스로 접지성능의 평가가 필요하며, 접지시스템의 임펄스응답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1-5]. 특히 접지그리드의 과도적 특성을 해석하는 방법으로는 회로이론, 전송전로이론, 전자계 이론과 이들 이론을 조합하는 방법이 개발되었다[6]. 현재까지 주로 정상상태 접지저항의 저감이나[7] 접지전극 또는 접지그리드만에 대한 과도적 접지임피던스의 측정과 해석에 대한 이론위주의 학술적 연구가 주로 이루어져 왔으며[8-12], 실용화를 위한 다양한 접지전극의 조합에 대한 접근은 부족한 실정으로 이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최근 민감한 전자기기의 보급에 따라 건축물의 접지시스템은 고성능화가 요구되고 있으며, 점차 통합접지화 및 대형화되고 있으며 접지그리드를 적용하는 추세이다. 그러나 접지저항만을 낮추기 위해 접지그리드를 적용하게 되면 주파수가 높은 서지나 고주파 고장전류에 대하여는 접지임피던스가 급격히 상승하면서 대지전위 또한 높아지는 경우도 있다[13-15]. 이 경우 접지전극의 접지임피던스가 높은 주파수에서 낮게 유지되지 않을 경우 대지전위가 급격히 상승하여 인축 및 전기전자설비의 피해가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접지그리드를 사용하는 경우 정상상태 접지전위상승뿐만 아니라 고주파수 및 뇌전류가 유입하였을 때 과도접지전위상승도 낮출 수 있는 접지전극시스템의 구현을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할 목적으로 탄소접지전극을 접지그리드에 병설하기 전과 후에 대해 서지전류의 입사위치에 따른 접지전위상승을 측정하였다. 분포정수회로 모델을 이용한 시뮬레이션 결과와 비교 분석하여 탄소접지전극의 접지전위상승의 저감효과를 검토하였다. 더불어 향후 뇌전류에 대한 접지전위상승을 저감시키는 접지전극시스템의 시설을 위한 설계에 활용할 수 있는 기법을 제안하였다.

2. 실험 및 시뮬레이션

2.1 실험계 및 측정방법

실험에 사용된 10m×10m, 4메시 접지그리드는 50mm2의 나동선으로 그림. 1과 같이 설치하였다. 접지그리드 및 접지그리드의 중앙과 모퉁이에 총 5개의 탄소접지전극을 수직으로 병설한 조건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Fig. 1. A schematic diagram of the experimental apparatus

../../Resources/kiiee/JIEIE.2019.33.1.054/fig1.png

접지그리드에 병설한 탄소접지전극은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의 중심봉(직경 22mm, 길이 1.3m)과 중심봉을 둘러싼 탄소접지체(직경 260mm, 길이 1m)로 구성되며 총 무게 50kg의 접지전극을 사용하였다.

서지전류를 입사시키기 위한 전류보조전극과 전위보조전극(C극, P극)의 거리는 탄소접지전극의 병설 전과 후를 동일하게 하였고, 임펄스전류가 흐르는 GV전선은 대지표면으로부터 0.8m의 높이에 배선하였으며, 각 측정점의 전위는 리드선을 통해 측정하였다. 리드선은 접지그리드에 흐르는 전류에 의한 전자유도의 영향이 최대한 배제되도록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하였다. 10m×10m 접지그리드의 대칭성을 고려했을 때 중복되는 지점의 측정은 생략하였다. 탄소접지전극을 병설한 후 측정한 접지그리드의 전위상승은 각 조건에서 입사된 단위전류당 전위상승으로 평가하였다.

2.2 시뮬레이션방법

임펄스전류의 입사에 따른 접지전극시스템의 전위상승에 대한 특성은 EMTP기반으로 해석하는 것이 적합하다. 시뮬레이션 결과와 실측결과를 비교하면 시뮬레이션에 적용한 모델의 타당성과 결과의 신뢰도, 그리고 실측에 포함되는 오차 및 불확도를 평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시뮬레이션은 접지전극을 시공하기 전에 실측할 수 없는 임펄스전류의 상승시간에 대한 접지전극시스템의 전위상승의 평가와 대지저항률이 다른 임의의 대지에 설치된 접지시스템의 전위상승을 예측할 수 있다.

10m×10m, 4메시 접지그리드에 탄소접지전극을 병설한 조건에 대한 EMTP해석을 위한 모델회로도를 그림. 2에 나타내었으며, 기본적으로 접지그리드의 모델과 탄소접지전극의 모델을 합성하였다. 따라서 탄소접지전극을 병설하지 않은 경우는 접지그리드만의 회로모델을 적용하여 해석하면 된다[16,17]. 접지그리드의 전위상승을 산출하기 위한 시뮬레이션은 불균일 분포정수회로 모델(Non-uniform distributed constant circuit model)을 이용하여 Matlab으로 연산하였고, 그 연산된 값을 EMTP에 입력된 $R$, $L$, $C$값으로 치환하여 EMTP를 기반으로 해석하였다[18].

Fig. 2. Circuit model of simulating the impulsive potential rise on the grounding grid based on EMTP

../../Resources/kiiee/JIEIE.2019.33.1.054/fig2.png

탄소접지전극은 접지그리드에 비하여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기 때문에 분포정수이론모델을 적용하였다. 접지그리드와 탄소접지전극을 병설한 접지그리드에 서지전류가 입사하는 위치에 따른 전위상승을 산출하여 비교․분석하여 접지임피던스의 저감과 접지전위상승에 미치는 탄소접지전극의 효과를 검토하였다.

3. 결과 및 고찰

3.1 임펄스전류의 입사점에 따른 전위상승

3.1.1 입사점 ①인 경우 전위상승

정극성 최초 뇌격전류를 대표하는 파두시간 10㎲의 임펄스전류를 접지그리드의 코너인 ①점에 입사시켰을 때 접지그리드에 탄소접지전극을 병설하기 전과 후에 측정점 ①, ⑤, ⑨의 전위상승을 측정한 파형을 그림. 3에 나타내었다. 또한 탄소접지전극의 병설 전과 후에 대한 각 측정점에서의 전위를 입사전류로 나눈 단위전류당의 전위상승에 대한 결과의 비교를 그림. 4에 나타내었다. 변화율이 비교적 작은 파두시간 10㎲의 임펄스전류가 입사된 때 접지그리드의 각 측정점의 전위차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18,19].

Fig. 3. Potential rises at each measuring point of the test grounding grid

../../Resources/kiiee/JIEIE.2019.33.1.054/fig3.png

Fig. 4. Comparison between the potential rises at measuring points ①, ⑤, ⑨

../../Resources/kiiee/JIEIE.2019.33.1.054/fig4.png

측정점의 위치에 따른 전위상승의 피크는 거의 같은 것으로 나타났고 탄소접지전극의 병설 전의 단위전류당 ①, ⑤, ⑨의 전위 피크에 대해 75.7%, 76.9%, 78.8%의 전위상승의 저감을 나타내었다.

탄소접지전극의 병설 전과 병설 후의 접지그리드상의 측정점 ①, ②, ③에서 임펄스전류와 전압 파형에 대해 1A의 전류에 대하여 비교하기 위해 전위의 피크를 입사전류의 피크로 나눈 것을 비교한 것을 그림. 5에 나타내었다. 접지그리드상의 ①, ②, ③점의 탄소접지전극의 병설 전의 전위에 대한 병설 후의 백분율은 60.5%, 63.1%, 62.5%로 낮게 나타났다.

Fig. 5. Comparison between the potential rises at measuring points ①, ②, ③

../../Resources/kiiee/JIEIE.2019.33.1.054/fig5.png

접지그리드상의 ①, ⑤, ⑥점의 전위상승을 비교한 것을 그림. 6에 나타내었다. 파두시간 10㎲의 임펄스전류에 대한 탄소접지전극의 병설 후 병설 전의 전위상승에 대한 전위상승의 백분율은 70.7%, 71.1%, 71.1%로 각각 저감되어 나타났다.

Fig. 6. Comparison between the potential rises at measuring points ①, ⑤, ⑥

../../Resources/kiiee/JIEIE.2019.33.1.054/fig6.png

3.1.2 입사점 ②인 경우 전위상승

임펄스전류가 접지그리드의 접속점 ②의 위치에 입사되었을 때 측정점 ②, ③, ⑥의 전위상승의 비교를 그림. 7에 나타내었다. 파두시간 10㎲의 임펄스전류에 대한 탄소접지전극의 병설 후의 전위상승의 병설 전의 전위상승에 대한 백분율은 각각 59.7%, 59.6%, 60%로 나타났다. 입사한 임펄스전류의 파두시간이 비교적 길은 10㎲이어 측정지점의 위치의존성이 작게 나타났다.

Fig. 7. Comparison between the potential rises at measuring points ②, ③, ⑥

../../Resources/kiiee/JIEIE.2019.33.1.054/fig7.png

접지그리드상의 ②, ⑤, ⑨의 전위상승을 비교한 결과를 그림. 8에 나타내었다.

Fig. 8. Comparison between the potential rises at measuring points ②, ⑤, ⑨

../../Resources/kiiee/JIEIE.2019.33.1.054/fig8.png

접지그리드에 탄소접지전극을 병설한 후의 전위상승의 백분율은 병설하기 전에 비하여 66.2%, 66.3%, 67.3%로 각각 저감되었다.

3.1.3 입사점 ⑤인 경우 전위상승

탄소접지전극의 병설 전과 후 접지그리드의 중앙에 임펄스전류를 입사하였 때 측정점 ⑤, ⑥, ③의 전위상승을 비교한 결과를 그림. 9에 나타내었다. 접지그리드에 탄소접지전극을 병설한 후 전위상승은 병설하기 전에 비하여 70.7%, 71.1%, 72.4%인 것으로 나타났다.

Fig. 9. Comparison between the potential rises at measuring points ③, ⑤, ⑥

../../Resources/kiiee/JIEIE.2019.33.1.054/fig9.png

임펄스전류를 접지그리드에 입사시킬 때 서지전류발생기의 충전전압과 회로조건에 따라 크기가 변동되므로 단순히 전위상승의 크기만으로 비교하여 평가하기는 곤란하다. 따라서 입사전류에 대한 상대적 비교를 위해 저감률로 평가하였으며, 이의 결과의 요약을 표 1에 나타내었다.

Table 1. Reduction rates of the measured potential rises as a function of injection point of currents

$\quad \quad \quad \quad \quad \quad \quad \quad \quad \quad \quad \quad \quad \quad$ Measuring point

Injection point

30.9%

36.9%

37.5%

36.5%

28.9%

21.1%

37.1%

58.7%

33.7%

40%

32.7%

29.3%

28.7%

27.6%

접지그리드의 전위상승의 저감률은 임펄스전류의 입사점에서 멀수록 작게 나타났으며, 접지그리드의 중앙점에 임펄스전류를 입사시킨 경우 전위상승의 저감률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는 접지그리드의 중앙점에 임펄스전류를 입사시킨 경우 전위상승 자체가 낮아 저감률도 낮아진 것으로 볼 수 있다. 실험대상의 접지그리드의 중앙과 매 귀퉁이에 탄소접지전극 5본을 병설한 경우 각 접속점의 전위상승은 평균 약 34.3% 감소하였다.

3.2 시뮬레이션 결과

파두시간 10㎲인 임펄스전류가 입사되었을 때 접지그리드와 탄소접지전극을 병설한 접지그리드의 임펄스전류의 입사위치에 따른 전위상승의 산출을 위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접지그리드와 탄소접지전극을 병설한 접지그리드에 임펄스전류가 입사되었을 때 입사위치에 나타나는 전위상승파형의 예를 그림. 10에 나타내었다. 시뮬레이션한 결과는 실측된 결과보다 1A당 전위상승이 상대적으로 약간 높게 나왔고 임펄스전류의 입사위치에 따른 편차는 좀 더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Fig. 10. Simulated results of the potential rise on the test grounding grid subjected to impulse currents

../../Resources/kiiee/JIEIE.2019.33.1.054/fig10.png

임펄스전류의 입사점에 따른 탄소접지전극의 병설 전과 후의 접지그리드의 전위상승에 대한 시뮬레이션한 결과는 그림.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두 동일하게 나타났다.

Fig. 11. Simulated results of the potential rise at each connection points of the test grounding grid when the impulse current is injected at the points ①, ② and ⑤

../../Resources/kiiee/JIEIE.2019.33.1.054/fig11.png

즉 파두시간 10㎲의 임펄스전류에 대해서 입사위치에 상관없이 탄소접지전극을 병설한 후의 전위상승은 병설 전에 비하여 1A당 대략 5.85V 낮게 나타났으며, 전위상승의 저감률은 약 36.5%이었다.

파두시간 10㎲의 임펄스전류에 대한 접지그리드의 전위상승은 측정대상의 접지그리드의 치수에 비하여 파두부의 상승률이 비교적 작기 때문에 임펄스전류의 입사위치 및 측정위치의 의존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접지그리드의 전위상승에 미치는 요인으로 볼 수 있는 임펄스전류의 입사위치와 측정위치에 따른 전위상승의 저감률에 대한 측정결과와 시뮬레이션결과의 비교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측정결과와 시뮬레이션결과의 차이는 0∼22.2%의 범위이었으며, 평균 편차는 6.2%로 양호한 정확도를 나타내었다. 실험대상의 접지그리드에 5본의 탄소접지전극을 병설한 경우 접지그리드의 전위상승의 저감률의 측정값은 평균 34.3%, 시뮬레이션결과는 36.5%로 이의 차이는 시뮬레이션결과가 약 2.2% 높게 나타났다. 접지 통상 접지저항의 측정에 대한 오차를 감안해 볼 때 제안하는 시뮬레이션방법을 접지설계에 적용하여도 충분한 정확도를 갖는 것으로 볼 수 있다.

Table 2. Comparison of reduction rates of the measured and simulated potential rises at each measuring points as a parameter of injection point of impulse currents

$ \quad \quad \quad \quad \quad \quad \quad \quad \quad \quad \quad \quad \quad \quad \quad \quad $ Measuring point

Injection point

(M)

30.9%

36.9%

37.5%

36.5%

28.9%

21.1%

(S)

36.5%

36.5%

36.5%

36.5%

36.5%

36.5%

(D)

-5.6%

0.4%

1.0%

0%

-7.6

-15.4%

(M)

37.1%

58.7%

33.7%

40%

32.7%

(S)

36.5%

36.5%

36.5%

36.5%

36.5%

(D)

0.6%

22.2

-2.8%

3.5%

-3.8%

(M)

29.3%

28.7%

27.6%

(S)

36.5%

36.5%

36.5%

(D)

-7.2%

-7.8%

-8.9%

(M) : Measured result $ \quad \quad$ (S) : Simulated result $ \quad \quad$ (D) : Deviation

4. 결 론

접지그리드에 서지전류가 입사하였을 때 전위상승의 저감을 도모하기 위해 접지그리드에 탄소접지전극을 병설한 경우 임펄스전류의 입사에 따른 접지그리드의 전위상승을 평가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정극성 최초 뇌격전류에 상응하는 임펄스전류에 대한 접지그리드에 탄소접지전극을 병설한 접지전극시스템의 전위상승은 약 34.3% 저감되었다.

(2) 접지그리드의 중앙에 접지도선을 접속하여 임펄스전류를 입사시킨 때 전위상승이 가장 낮은 것으로 밝혀졌다.

(3) 탄소접지전극을 병설한 접지그리드의 전위상승을 임펄스전류의 입사위치를 파라미터로 하여 시뮬레이션결과 측정값의 평균 편차는 약 6.2%로 정확도가 양호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4) 뇌전류가 입사된 때 접지전극의 전위상승이 저감되는 접지전극시스템의 구현 및 성능평가기술을 제안하였으며, 피뢰설비용 접지전극의 설계와 성능평가에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References

1 
Llovera P., LLiso J. A., Quijano A., Fuster V., 2006, High Frequency Measurements of Grounding Impedance on Resistive Soils, Proc. of 28th ICLP, Vol. I, pp. 727-729Google Search
2 
Visacro S., 2007, A Comprehensive Approach to the Grounding Response to Lightning Currents, IEEE Tran. PD, Vol. 22, No. 1, pp. 381-386DOI
3 
Lorentzou M. I., Hatziargyriou N. D., Papadias B. C., 2003, Time Domain Analysis of Grounding Electrode Impulse Rsponse, IEEE Trans. PD, Vol. 18, No. 2, pp. 517-524DOI
4 
Akbari M., Sheshyekani K., Alemi M. R., 2013, The Effect of Frequency Dependence of Soil Electrical Parameters on the Lightning Performance of Grounding Systems, IEEE Trans. EMC, Vol. 55, No. 4, pp. 739-746DOI
5 
IEEE Std. 81.2 , 1991, IEEE Guide for Measurement of Impedance and Safety Characteristics of Large, Extended or Interconnected Grounding Systems, pp. 12-17Google Search
6 
Frota Mattos M. A., 2005, Grounding Grids Transient Simulation, IEEE Trans. PD, Vol. 20, No. 2, pp. 1370-1378DOI
7 
IEEE Std , 2000, IEEE Guide for Safety in AC Substation Grounding, pp. 86-96Google Search
8 
Visacro S., Alipio R., Vale M. H. M., Pereira C., 2011, The Response of Grounding Electrodes to Lightning Currents: The Effect of Frequency-Dependent Soil Resistivity and Permittivity, IEEE Trans. EMC, Vol. 53, No. 2, pp. 401-406DOI
9 
Grcev L., 2011, Lightning Surge Efficiency of Grounding Grids, IEEE Trans. PD, Vol. 26, No. 3, pp. 1692-1699DOI
10 
Motoyama H., 2007, Electromagnetic Transient Response of Buried Bare Wire and Ground Grid, IEEE Trans. PD, Vol. 22, No. 3, pp. 1673-1679DOI
11 
Mohamad Nor N., Trlep M., Abdullah S., Rajab R., 2013, Investigations of Earthing Systems under Steady-State and Transient with FEM and Experimental Work, Electrical Power and Energy Systems, Vol. 44, pp. 758-763DOI
12 
Celli G., Ghiani E., Pilo F., 2012, Behaviour of Grounding Systems: A Quasi-Static EMTP MOdel and Its Validation, Electric Power Systems Research, Vol. 85, pp. 24-29DOI
13 
Choi J. H., Choi Y. C., Lee B. H., 2009, Evaluations of Errors due to Earth Mutual Resistance in Measuring Ground Impedance of Vertically-driven Ground Electrode, T. KIEE, Vol. 58, No. 9, pp. 1778-1783Google Search
14 
Um S. H., Kim Y. H., Lee K. S., Jeon B. W., Lee B. H., 2012, Effect of Carbon Ground Electrodes on Ground Impedance Reduction, Proc. of KIIEE Autumn Annual Conference, pp. 150-151Google Search
15 
Lee B. H., Lee K. S., Kim Y. H., Um S. H., 2013, Analysis of Transient Response Behavior and Frequency-Dependent Ground Impedances of the Carbon Ground Electrodes, J. KIIEE, Vol. 27, No. 1, pp. 54-61DOI
16 
Lee B. H., Kim J. H., Choi J. H., 2010, Analysis for the Grounding Impedance of Vertical Grounding Electrodes using the Distributed Parameter Circuit Model, T. KIEE, Vol. 59, No. 6, pp. 1103-1108DOI
17 
Lee B. H., Shin H. K., Seong C. H., 2012, A Method of Simulating the Frequency-dependent Ground Impedance of Counterpoises, J. KIIEE, Vol. 26, No. 3, pp. 73-79DOI
18 
Lee B. H., Cho S. C., Seong C. H., 2012, An Analysis of the Frequency-Dependent Resultant Ground Impedance of Veritcal Ground Electrodes Installed in Parallel, J. KIIEE, Vol. 26, No. 2, pp. 99-105DOI
19 
Visacro S., Alipio R., 2012, Frequency Dependence of Soil Parameters: Experimental Results, Predicting Formula and Influence on the Lightning Response of Grounding Electrode, IEEE Trans. PD, Vol. 27, No. 2, pp. 931-937DOI

Biography

Dong-Sung Kim
../../Resources/kiiee/JIEIE.2019.33.1.054/au1.png

He received his B.S.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in 2007 and his M.S. degree in the Dept. of Electrical Engineering at Inha University in 2010.

Currently he is pursuing his Ph. D degree in the Dept. of Electrical Engineering at Inha University.

Tel : (032)860-7398

Fax : (032)863-5822

E-mail : jackals7@naver.com

Bok-Hee Lee
../../Resources/kiiee/JIEIE.2019.33.1.054/au2.png

He received his Ph. D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Inha University in 1987.

He has been with the Department of Electrical Engineering at Inha University, Inchon, Korea as a Assistant Professor in 1990, where he became a Professor in 1999.

During 1988 to 1989, he was a post-doctoral research fellow at the Institute of Industrial Science, University of Tokyo.

From Apr. 1999 to Feb. 2000, he was a Visiting Professor in the University of Cincinnati.

Since Oct. 2002, he has been a Director in the Research Center for High-voltage and Power Technology, Inha University.

His current research interests are in the area of lightning, lightning protection, grounding systems, surge protection, high voltage engineering and electromagnetic compatibility.

Tel : (032)860-7398

E-mail : bhlee@inha.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