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겸
(Jong-Gyeum Kim)
1†
박영진
(Young-Jeen Park)
1
-
(Dept of Electrical Engineering,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Korea)
Copyright ©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Engineers(KIIEE)
Key words
Capacitor, Induction Motor, Power Factor, Reactive Power, Self-excitation, Voltage-Drop
1. 서론
유도전동기는 다른 전동기에 비해 견고하고, 가격측면에서 유리하고, 유지보수가 편리하여 산업현장에서 회전용 구동전원으로 가장 널리 사용하고 있다[1-4]. 유도전동기는 대표적인 유도성 부하로서 기동초기에 역률이 매우 낮지만, 속도가 상승함에 따라 역률은 조금씩 상승하여 정격속도로 운전할 경우 0.8
전후가 된다[2,4-6]. 실제로 유도전동기의 역률은 보통 정격부하의 운전조건을 대상으로 정하지만, 전동기에 연결된 부하정격에 가깝게 운전하는 경우보다 낮게 운전하는 경우가
많다. 이럴 경우 부하의 크기에 따라 역률이 달라질 경우 정격에 가깝게 운전하는 조건으로 부착하는 커패시터는 요구하는 값이 바뀌어야 한다.
부하가 전원과의 거리가 있을 경우 전압강하가 커지고, 부하를 정격보다 낮게 운전할 경우 전류가 높아지게 된다[3]. 이럴 경우 손실의 증가로 효율도 낮아진다.
물류시스템은 공장에서 생산된 여러 종류의 물건들이 모여 수요자에게 최종 전달하기 전에 분류하는 곳이다. 이곳에서 많은 물건의 세부 분류를 위해서는
컨베이어 시스템이 필수적이다. 이들 컨베이어 시스템의 운전에는 유도전동기에 감속기를 연결하여 운전하고 있다. 컨베이어 시스템에 전송되는 물류는 무게가
높지 않아 전동기에 걸리는 부하의 크기는 실제로 작은 편이다. 그래서 컨베어 시스템에는 정격보다 낮은 값으로 운전되는 부하의 운전 조건이 고려된 역률보상이
필요하다.
수용가는 전력회사에서 요구하는 역률을 맞추기 위해 전동기 단자에 정격사용조건에 가까운 부하의 운전조건에서 역률 보상용 커패시터를 부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물류시스템에서 실제 운전하고 있는 조건을 고려한 부하의 크기 및 케이블 길이에 따른 전압강하를 고려하여 최적의 역률 보상을 위한 커패시터의
용량 선정과 설치위치에 대해 분석하였다.
2. 무효전력과 전압강하
2.1 무효전력
유도전동기는 회전자계를 발생시키는데 필요한 자화전류에 해당되는 무효전력이 필요하다[2]. 이 무효전력을 전원측에서만 공급할 경우 역률이 떨어진다. 만일 부하측에 커패시터를 설치할 경우 전원측에서 공급하는 무효전력이 상대적으로 줄게 되므로
역률을 높일 수 있다. 부하용량이 줄어들 경우 실제 전력의 감소로 인해 역률은 감소한다.
회전자계를 발생하기 위해 필요한 자화 전류는 등가 회로의 자화 분기점에 걸리는 전압에 따라 달라지며, 이는 부하 감소로 인해 전류가 감소할 때 고정자
저항과 누설 리액턴스의 전압 강하가 감소하기 때문에 부하가 감소하면 약간 증가한다.
그림. 1은 커패시터와 전동기의 자화 전압 대 전류 파형을 나타낸 것이다. 커패시터가 전동기에 필요한 것 보다 높은 경우 전동기에 과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전동기의 자화 곡선은 비선형이지만 커패시터 특성은 직선적이다. 커패시턴스 전류가 공칭 전압에서의 자화 전류의 커패시턴스보다 작기 때문에 “A”라고
표시된 곡선은 적절하게 크기라고 볼 수 있지만, “B”라고 표시된 곡선은 용량성 전류가 1 pu 전압에서의 자화 전류보다 높아 부적절한 크기가 될
수 있다. 전원이 끊어지면 그림. 1의 “B” 곡선은 140 \% 전압에서 유효한 동작 점을 나타낸 것으로서 이 전압은 전동기가 감속해서 공진주파수를 통과할 때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8].
Fig. 1. Induction motor saturation curve & capacitor curves
커패시터가 유도 전동기의 단자에 연결될 때, 그 크기가 자기 여자를 발생할 수 있는 크기보다 낮은지 확인이 매우 중요하다. 유도전동기가 자기여자를
피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커패시터의 정격은 다음의 범위를 초과하지 않도록 권고하고 있다[2,5-9].
여기서 $I_{0}$는 전동기의 무부하 전류, $U_{n}$은 공칭 선간전압이다.
유도기의 낮은 역률에 의해 발생하는 손실은 시스템에 흐르는 무효전류 때문이다. 배전시스템에서 전력손실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여기서 $pf_{1},\: pf_{2}$는 각각 보상전과 보상후의 역률을 의미한다.
2.2 전압강하
유도전동기에 부착하는 커패시터는 정격부하의 운전조건과 정격전압이 인가되는 조건에서 계산하여 선정하고 있다. 그러나 전원에서 전동기까지의 선로길이가
클 경우 높은 전압강하가 나타나게 되므로 무효전력의 값이 바뀌게 되어 역률 보상을 위한 커패시터의 파라미터 조정이 필요하다.
역률 개선 전과 후의 전압변동은 각각 다음과 같다.
커패시터를 연결하여 개선되는 전압강하분의 크기는 다음과 같이 구해진다.
여기서 $R,\: X$ 케이블의 저항과 리액턴스이고, $P_{L}$은 부하전력이며, $V_{2}$은 부하단의 전압 그리고 $\theta_{1},\:\theta_{2}$는
각각 역률 보상전후의 전압과 전류 사이 위상각이다.
커패시터의 설치로 개선된 역률로부터 얻어진 전압상승은 다음과 같다.
식 (6)은 전압의 변화에 따라 커패시터 정격용량의 변동을 나타낸 것이다[2,3,5,8].
여기서 $V_{1}$과 $V_{2}$는 각각 정격전압과 동작전압이고, $Q_{c1},\: Q_{c2}$ 도 각각 정격용량 및 전달된 용량이다
3. 시스템 구성 및 동작 분석
3.1 시스템 구성도
그림. 2는 물류시스템에서 컨베이어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들 컨베이어 위에 물건의 반송을 위해서는 여러 대의 유도전동기가 연결되어 있다. 이들 유도전동기는 용량이
대개 소형으로 3마력 또는 이보다 작은 용량의 3대의 전동기가 각각의 컨베이어 시스템에 연결 운전되고 있다. 이들 유도전동기에 연결된 부하는 실제
정격보다 낮은 값으로서 10:1 또는 20:1의 비율의 감속기를 설치하여 회전수를 줄여 운전시키고 있다. 유도전동기가 정격보다 낮은 조건에서 운전할
경우 효율과 역률은 정격에 비해 낮아진다. 또한 여러 대의 전동기에 개별적으로 역률 보상이 어렵기 때문에 그룹으로 역률 보상이 필요하다.
Fig. 2. Conveyor system configuration diagram
그림. 3은 그림. 2와 같은 시스템의 전동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회로 구성도이다. 부하에 안정적인 전압이 확보될 수 있도록 부하에 가까운 곳에 변압기를 설치하는 것이 이상적이지만,
물류시스템 구성한 컨베이어 설비가 많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이를 고려하기가 어려운 편이다. 그래서 컨베이어 시스템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변압기를 통해
저압 전원을 케이블을 사용하여 전동기에 수백 미터까지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케이블 길이가 길 경우 전압강하와 부하를 정격보다 낮게 운전할
경우 역률이 낮은 것이 문제가 된다. 그림. 3에서 실제 현장에서 커패시터는 부하측 가까운 곳에서 그룹별로 설치하고서, 부하의 운전조건에 따라 보상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Fig. 3. System configuration diagram
3.2 동작 분석 및 결과
본 연구에서는 물류 시스템에서 컨베이어 시스템에 적용된 부하를 전체 대상으로 하기에는 전동기 대수가 많으므로 컨베이어의 한 부분을 대상으로 부하의
크기증감에 따라 커패시터를 부하측과 변압기 2차측에 설치하는 조건에서 역률 보상 전후 유효전력, 무효전력, 역률 및 전압강하에 대해 비교 분석하였다.
대상으로 한 유도전동기의 용량은 3마력이다. 전원측에서 부하측까지의 거리는 약 600m를 적용하였다.
3.2.1 부하측 단자에 커패시터 설치
부하의 크기 변화에 따라 전력, 역률 및 효율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분석 포인트는 전동기 입구단에서 실시하였다. 첫 번째로 부하측 단자 가까운 곳에
역률 보상의 설치 전후에 따른 변화를 그림. 4 나타내었다. 그림. 4에서 x축은 부하의 크기를 나타낸 것이고, 왼쪽 y축은 유효 및 무효전력 그리고 우측 y축은 역률과 효율을 나타내고 있다. 그림. 4(a)와 그림. 4(b)에서 부하가 증가할수록 유효전력은 선형적으로 증가하지만, 무효전력은 거의 선형적인 변화만 나타난다. 한편 부하가 증가할 경우에 역률의 부하가 낮을
때와 높은 때의 변화에 큰 차이가 존재하고, 효율의 경우 부하가 일정 이상이면 차이가 거의 없다. 그림. 4(b)는 부하측 단자에 커패시터를 설치한 경우로서 그림. 4(a)와 차이나는 부분은 무효전력이 크게 감소하여 커패시터 설치전에 비해 역률이 개선되었지만, 효율에는 거의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Fig. 4. Active and reactive power, power factor and efficiency before and after capacitor
installation
그림. 5는 부하측 단자에서 커패시터 설치 전후 무부하에서 정격과 여유율을 고려한 부하까지의 증감시 전압변동과 전압강하를 나타낸 것이다.
Fig. 5. Voltage fluctuation and voltage drop before and after capacitor installation
그림. 5에서 부하를 무부하에서 정격 그리고 여유율을 감안한 부하영역까지 운전할 경우 부하의 증가에 전압강하는 반비례로 커지게 되며, 정격까지의 범위의 운전시는
설비판단기준에서 제시하는 전압의 강하범위에 가능하나 정격을 초과하는 부하를 운전할 경우 전압강하 허용범위를 초과함을 알 수 있다. 부하의 증가로 전압강하가
커질 경우 부하측 전압이 감소한 결과 부하측에 설치하는 커패시터의 용량은 식 (6)에서와 같이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전압이 감소하게 되어 커패시터에 의한 자기여자의 발생에 대한 문제는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3.2.2 변압기 2차측 단자에 커패시터 설치
두 번째로 변압기 2차측에 역률 보상의 설치 전후에 부하의 증감에 따라 전력, 역률 및 효율의 변화를 그림. 6에 나타내었다. 역률 보상 커패시터의 설치위치는 변압기 2차측에 하는 것으로 정하였다.
Fig. 6. Active and reactive power, power factor and efficiency before and after capacitor
installation
그림. 7에서도 그림. 5에서와 같이 부하를 정격까지 운전할 경우 부하의 증가에 반비례하게 전압강하는 커지게 되며, 설비판단기준에서 제시하는 전압의 강하범위에 가능하나 정격을
초과하는 부하를 운전할 경우 전압강하 허용범위를 초과하는 것을 알 수 있다.
Fig. 7. Voltage fluctuation and voltage drop before and after capacitor installation
그림. 8은 부하 증감시 커패시터의 설치 위치에 따른 전력의 손실변화를 해석한 결과이다. 그림. 8에서 부하를 증가시킬 경우 손실은 줄어들고, 부하측보다는 변압기 2차측에 설치하는 경우가 전력 손실 감소율이 더 경감됨을 알 수 있다.
Fig. 8. Loss reduction rate
그림. 9는 전압의 변화시 무효전력의 변화를 부하증감에 따라 분석한 결과이다. 부하가 증가함에 따라 무효전력의 크기는 점차 감소하며, 부하측에 커패시터를 부착하는
경우가 무효전력이 변압기 2차측에 설치하는 경우보다 조금 높게 나타난다. 이는 케이블의 리액턴스로 인해 변압기 2차측이 전동기 단자보다 전압이 높기
때문이다.
Fig. 9. Change in reactive power when the load increases or decreases
4. 결 론
본 논문에서는 물류시스템에서 반송을 위해 유도전동기가 전원측으로부터 거리가 꽤 되어 높은 전압강하와 정격보다 낮은 부하의 크기에서 운전할 때 낮은
역률이 나타나는 것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부하의 증감시 무효전력에는 차이가 나지 않지만, 유효전력이 증가하여 역률이 높아진다. 또한 부하의 증가시 부하측의 전압이 감소하여 전압강하는
커지나 무효전력은 감소하여 자기여자의 가능성을 감소함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전동기 단자에서 보다 변압기 2차측에 커패시터를 설치하는 것이 역률이
조금 더 높다는 것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물류 시스템에서 안정적인 전압의 제공을 통해 효율보증과 전력손실 감소로 효율적인 운전개선 방안 수립에 도움이 될 것이다.
Acknowledgements
이 논문은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2018년도 추계학술대회에서 발표하고 우수추천논문으로 선정된 논문임.
References
Park Minho, 1990, Induction Machines, Dongmyungsa
Kim Jong-Gyeum, 2014, A Research on Self-excitation and Power Factor Compensation
of Induction Motor, KIEE, Vol. 63P, No. 4, pp. 236-240
Kim Jong-Gyeum, 2017.04, Relationship between Voltage Drop and Power Factor Compensation
in Induction Motor Operation, KIIEE, Vol. 22, No. 4, pp. 43-49
Wildi Theodore, 2002, Electrical Machines, Drives and Power Systems, Prentice Hall
Natarajan Ramasamy, 2005, Power System Capacitor, Taylor & Francis
Kim Jong-Gyeum, 2008.12, Suitability Review for Power Correction Parameter of Induction
Motor, KIIEE, Vol. 22, No. 12, pp. 101-109
Kim Jong-Gyeum, Park Youn-Jeen, 2008.09, A Characteristic Study on the Power Factor
Correction Application for the Induction Motor, KIIEE, Vol. 22, No. 9, pp. 25-31
IEEE Std 141-1993 , Power Factor and Related Considerations
Schneider Electric Technical Report , Industrial Electrical Network Design Guide,
pp. 622
Biography
Jong-Gyeum Kim received his B.S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Dong-A University,
Busan, Korea, in 1984, and M.S. and Ph.D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in 1991 and 1996 respectively.
Between 2013 and 2014, he was visiting professor at Wisconsin-madison University,
Wisconsin, USA.
He has currently been working for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Energy Conversion
System and Power Quality.
Young-Jeen Park received his B.S., M.S. and Ph. D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Dankook University in 1982, 1986 and 1996 respectively.
He has currently been working for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the design and application of Automatic Control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