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휘일
(Hwi-il Sun)
1
박성미
(Seong-Mi Park)
2
조수억
(Su-Eog Cho)
3
박성준
(Sung-Jun Park)
4
임상길
(Sang-Kil Lim)
†
-
(M.S. course, Dept. of Electrical Engineering,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Associate Professor, Dept. of Lift Engineering, Korea Lift College)
-
(Associate Professor, Dept. of Electrical Engineering, Seoil University )
-
(Professor, Dept. of Electrical Engineering, Chonnam National University)
Copyright ©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Engineers(KIIEE)
Key words
Multi-Level Converter, Battery Charging System, E-Mobile, Mobile Devices
1. 서 론
최근 화석연료의 자원 고갈 문제와 환경문제 등으로 인하여 내연기관을 사용하는 교통 및 수송수단에서 전기를 이용한 교통 및 수송수단으로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친환경 교통수단에 부응하여 전기자동차, E-bike, 세그웨이, 미니보드 등 다양한 종류의 E-Mobile에 대한 산업이 급속히 성장하고
있다[1-5]. 특히 완성차 브랜드와 자동차 부품업체들까지 모바일 시장에 뛰어들면서 근거리 이동 시에 유용한 전기자전거와 같은 소형 전동차량의 보급과 상용화는
더욱 가속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전기자동차와 같이 보급이 대중화된 모바일 장비의 경우 충전 스테이션 보급이 활성화되어 충전이 용이하지만 E-bike,
미니보드 등과 같은 새롭게 급성장하고 있는 중소형 E-Mobile 장비에 대한 충전 스테이션은 보급이 미흡하여 개인의 전용 충전장치에 의해 충전하는
실정이다. 상용전원(220Vac)환경에서 동작하는 소형 외장형 어댑터 방식인 E-Mobile용 충전 시스템의 경우 전자파 EMI 규제, 고조파 규제(PFC),
안전규격 등 전기용품 인증규격을 만족하도록 구현해야하기 때문에 부피 및 무게로 인해 휴대하기에 불편함이 많다. 따라서 전기 스쿠터나 전기자전거 같은
중·소 용량의 전기를 사용하는 E-mobile을 충전할 수 있는 충전 스테이션용에 적합한 충전 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하다[6-7]. 충전 스테이션용에 적합한 충전 시스템의 구비조건은 크게 2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E-mobile 제조사와 장비의 특징에 따라 12V~60V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한 전압을 가지는 장비를 충전하기 위해서는 충전시스템의 출력전압제어 영역이 넓어야 한다[8-9]. 둘째, 단일 충전 시스템으로 다양한 E-mobile 장비를 충전하기 위해서는 충전 가능한 모든 영역에서 배터리가 요구하는 전류 리플율을 만족해야한다.
따라서 충전 가능한 모든 전압 영역에서 요구되는 충전 전류에 관계없이 충전전류의 리플율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충전 토폴로지가 필요하다[10].
본 논문에서는 E-mobile 충전시스템으로 적합한 저가형 멀티-레벨충전 토폴로지를 구성하기 위해 멀티-레벨 구성을 위한 다수의 AC/DC 컨버터는
대량 생산에 의한 저가화가 실현된 기존 AC/DC 컨버터를 사용하였다. 따라서 E-mobile 충전용 멀티-레벨 충전 시스템은 다양한 모바일 장비의
충전 전압 사양에 대응하기 위해 전원을 세분화하여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멀티-레벨 충전 시스템이다. 따라서 본 충전시스템은 출력 전압에 따라 입력전류의
THD가 크게 변하는 기존 충전시스템과 달리 출력전압 및 전력에 따른 입력 전류 THD 민감도를 저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토포로지는
멀티-레벌용 Buck 컨버터의 스위치를 입력전원의 마이너스 단에 배치함으로 별도의 독립된 게이트 앰프 전원 없이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제안된 E-mobile용 충전 시스템의 타당성 검증하기 위해 PSIM을 이용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으며, 1,500W급 충전 시스템을 제작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2. E-Mobile 멀티-레벨 충전시스템
전기용품안전기준에 따르면, 전기스쿠터와 같은 소형전동차량의 충전시스템에서 직류 공급 전압은 60V 미만으로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다양한 전압을 갖는
E-Mobile 장비를 충전하기 위해서는 60V 이상 전압을 발생할 수 있는 충전 시스템이 필요하다.
Fig. 1 Proposed E-Mobile multi-level charger
그림 1은 본 논문에서 E-mobile 충전시스템으로 적합한 저가형 멀티-레벨충전 충전 시스템의 토폴로지를 나타낸다. 기존의 멀티레벨 컨버터는 스위칭 소자
내압 한계를 극복하여 고압용 컨버터에 대응하기 위해 사용하나, E-mobile용 멀티-레벨 컨버터는 컨버터의 입력전압이 스위치 소자 구동전압 정도의
적은 전압을 사용하는 특징을 갖고 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다수의 스위칭 소자를 사용하는 멀티-레벨 토폴로지에서 스위치 구동을 위한 독립된 게이트
앰프 전원 공급 장치를 제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그림 1과 같이 Buck 컨버터 스위치를 입력전원 마이너스 단자에 구성하여 게이트 앰프 전압을 전원전압으로 사용함으로써 별도의 독립된 게이트 앰프 전원 없이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충전 시스템의 출력전압은 스위칭 상태에 따라 영전압(Zero Voltage)에서부터 각 컨버터의 세분화된 입력전압을 모두 합한
값까지 발생할 수 있으며, 이 때 전압은 각 스위칭 소자의 On/Off 상태에 따라 결정된다. 각 스위치 상태에 따른 동작은 편의상 컨버터의 수를
3개로 하여 분석하였으며, 그림 2는 각 스위치 상태에 따른 동작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각각의 전원을 $V_{1}$에서 $V_{3}$으로 나타내었으며 멀티 -레벨로 구성된 컨버터의
전체 출력전압은 $V_{ML}$로 나타내었다. 멀티-레벨 컨버터에 구성된 스위치의 상태에 따라서 출력전압이 변하게 되며, 출력전압의 범위는 $0$에서부터
각 멀티-레벨 컨버터에 입력된 전압의 합만큼 조절 가능하다.
Fig. 2 Operation modes of proposed charger
그림 2를 기반으로 한 각 모드의 스위치 상태에 따른 컨버터의 출력전압은 표 1과 같이 나타난다. 만일 인접한 2개의 Mode를 사용한 스위칭 방식을 사용할 경우 멀티-레벨 컨버터의 출력전압 변위는 멀티-레벨컨버터의 낮은 입력전압이
되면서 출력전압을 형성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컨버터에서 인덕터 전류 리플은 인가되는 전압, 주파수 및 시비율에 의해 결정된다.
Table 1. Output voltage according to the switching state
|
Q1
|
Q2
|
Q3
|
$V_{ML}$
|
Mode 1
|
0
|
0
|
0
|
0
|
Mode 2
|
1
|
0
|
0
|
$V_{1}$
|
Mode 3
|
1
|
1
|
0
|
$V_{1}+V_{2}$
|
Mode 4
|
1
|
1
|
1
|
$V_{1}+V_{2}+V_{3}$
|
그림 3은 인덕터에 흐르는 전류 리플과 출력전압의 전압리플을 나타낸다. 인덕터(L)에 흐르는 전류를 $i_{L}$이라고 정의하면 인덕터의 전류리플 $\Delta
i_{L}$은 식 (1)과 같다. 또한 출력전압을 $V_{o}$로 정의하면 출력전압 리플을 $\Delta v_{o}$라고 정의하면 식 (2)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Fig. 3 Inductor current and output voltage ripple
일반적인 Buck 컨버터의 경우 식 (1)과 (2)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V_{i}$, $T$, $L$, $C$는 설계조건에서 결정된다. 그리고 컨버터 제어 시에는 오직 시비율에 의해 인덕터 전류
및 출력전압의 리플이 결정되며, 시비율이 0.5 일 때 리플이 최대가 된다. 하지만 본 논문에서 제안한 멀티레벨 벅-컨버터의 경우 컨버터의 수와 시비율에
따라 인덕터의 전류 및 전압리플이 결정되며 리플이 최대가 되는 조건은 컨버터의 수와 동일하게 존재한다. 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기존의 벅-컨버터의
입력전압 $V_{i}$과 비교하여 N개로 구성된 멀티레벨 컨버터의 입력은 $V_{i}/N$으로 구성되고 본 논문에서는 이를 $V_{i ML}$이라
정의하였다. 이 때, 출력전압에 따라 구동되는 멀티레벨 컨버터 수가 결정되고 이를 $N_{mc}$이라고 하면 이에 대한 듀티비는 아래와 같다.
식 (3)를 이용하여 인덕터 전류리플과 출력전압 리플을 구하면 다음과 같다.
위 식 (4), 식 (5)에서 표현한 바와 같이 입력전압이 기존 벅-컨버터에 비해 N개의 멀티-레벨 컨버터의 수만큼 감소하기 때문에 인덕터 전류 리플을 저감시킬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주파수가 상승하는 효과와 같기 때문에 벅-컨버터의 연속전류 제어를 위한 인덕터의 값과 사이즈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식 (5)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출력전압 리플이 가장 크게 나타나는 듀티비가 0.5인 영역에서도 기존의 단일 Buck 컨버터에 비해 출력전압 리플이 작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4와 그림 5는 충전 시스템을 구성하는 컨버터의 수와 시비율에 따른 입력 리플 전류와 출력 리플 전류 저감에 대한 크기를 정규화하여 나타내고 있다. 그림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충전 시스템에서 멀티-레벨 컨버터의 수를 증가시킬수록 인덕터 리플 전류의 소거로 보다 작은 리플 전류가 출력 필터 커패시터로 흐르게 된다.
즉 멀티-레벨 컨버터의 레벨 수를 증가시킬수록 시스템의 스위칭 주파수를 증가시키는 것과 같은 효과가 발생한다. 특히 멀티-레벨 컨버터의 개별 입력전압
배수에 해당하는 전압을 발생할 경우 PWM을 수행하지 않으므로 전류 리플과 출력 전압 리플을 0에 가깝게 할 수 있는 영역이 존재하게 된다. 그 결과,
동일한 출력 리플 전압 요구사항을 충족시키기 위해 인덕터의 인덕턴스 값과 출력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의 값을 줄일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Fig. 4 Normalized input ripple current vs duty
Fig. 5 Normalized output ripple current vs duty
Fig. 6 Mobile charging system
그림 6은 본 논문에서 제안한 E-mobile 충전시스템으로 적합한 멀티-레벨 충전 시스템이다. 본 시스템은 크게 멀티-레벨 컨버터의 입력전원을 위한 다수의
AC/DC SMPS 부와 멀티-레벨을 형성하기 위한 다수의 컨버터부로 구성되어 있다. AC/DC 컨버터 부는 현제 대량으로 생산체제에 의한 저가형의
다양한 제품이 있어 본 연구에서는 기존 제품을 적용하였으며, 다중-레벨용 컨버터는 Gate-Amp. 전원이 필요치 않는 Buck컨버터를 적용하였다.
또한 AC/DC SMPS는 멀티-레벨 컨버터의 출력전압증가에 비례한 순차적으로 동작함으로 출력전압에 관계없이 일정한 효율과 역률을 보장할 수 있는
특징을 갖고 있다.
3. 시뮬레이션 및 실험결과
3.1 시뮬레이션
Fig. 7 Simulation circuit diagram
그림 7은 본 논문에서 제안한 멀티-레벨 충전 시스템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한 시뮬레이션 회로도를 나타내고 있다. 시뮬레이션 회로도는 크게 기존의 벅-컨버터와
본 논문에서 제안한 멀티-레벨 컨버터를 구성하여 진행하였다. 이 때, 각 전압 영역에 따른 인덕터 전류 리플과 출력전압 리플을 확인하기 위해 전압을
0V에서부터 70V까지 선형적으로 증가할 수 있도록 제어하였다. 이 때, 인덕터에 흐르는 전류 크기를 확실히 비교하기 위하여 인덕터의 인덕턴스 값은
연속 전류가 흐를 수 있는 최소값으로 설계하였다. 또한 출력전압의 리플을 비교하기 위해 콘덴서의 커패시턴스 값은 출력 전압 리플이 5\% 이하로 발생할
수 있도록 설계하여 시뮬레이션을 진행하였으며 사용된 파라미터는 표 2에 나타내었다.
Table 2. Simulation parameter
Buck Vin
|
72V
|
$V_{1}$~$V_{6}$
|
12V
|
L
|
100uH
|
C
|
10uF
|
R
|
6Ω
|
fs
|
10kHz
|
Fig. 8 Converter operating characteristic waveform
그림 8은 기존 벅-컨버터와 멀티-레벨 컨버터의 PWM에 의한 전압, 인덕터 전류, 출력전압의 파형을 나타내고 있다. 기존 벅-컨버터의 시뮬레이션 결과파형은
파란색으로 표현하였고, 멀티-레벨 컨버터의 시뮬레이션 결과 파형은 붉은색으로 표현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파형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본 논문에서
제안한 멀티-레벨 충전 시스템의 PWM에 의한 전압, 출력 전류 리플, 출력 전압 리플이 기존 단일 벅-컨버터에 비해 크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멀티-레벨 컨버터의 출력 전압 레벨이 변화하는 시점의 경우 전류 리플과 전압 리플이 영(zero)가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Fig. 9 Buck-converter simulation result
Fig. 10 Multi-level converter simulation result
그림 9와 그림 10은 기존 벅-컨버터와 멀티-레벨 컨버터로 구성된 충전 시스템의 배터리 충전 시뮬레이션 결과파형을 나타내고 있다. 시뮬레이션에서 구성한 배터리는 전기적
등가회로로 표현한 랜들스 모델을 구성하여 진행하였다. 이 때 고주파에서 배터리 단자 접촉으로 인해 발생하는 기생 인덕턴스는 고려하지 않고 시뮬레이션을
진행하였다.
시뮬레이션의 시간 단축을 위해 배터리의 초기 충전 전압을 56V로 가정하고 배터리 등가모델의 콘덴서 용량을 100mF으로 설정하여 시뮬레이션을 진행하였다.
그림 8과 그림 9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벅-컨버터와 멀티-레벨 컨버터의 시뮬레이션 결과에서 정상적으로 SOC에 기반하여 CC-CV 모드로 동작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기존의 벅-컨버터보다 멀티-레벨 컨버터의 전류 리플이 모든 영역에서 저감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멀티-레벨 컨버터의 모드가 변화하는 시점에서 전류
리플이 최소로 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3.2 실험 결과
멀티-레벨 컨버터의 동작을 확인하기 위한 충전 시스템은 그림 11에 나타내었다. 구성은 총 7개의 레벨로 구성된 멀티-레벨 컨버터와 7개의 24V급 SMPS를 이용하여 멀티-레벨 전원으로 구성하였으며, 그 중 6개의
레벨만 사용하고 1개의 레벨은 멀티레벨용 Buck 컨버터가 고장이 발생한 경우에 사용할 수 있도록 예비용으로 구성하였다. 이 때, 전류 리플의 크기를
정확히 비교할 수 있도록 시뮬레이션과 동일하게 리액터와 커패시터의 값은 각각 100uH, 10uF으로 구성하였다.
먼저 벅-컨버터와 멀티-레벨 컨버터의 동작 비교를 위해 저항 부하를 구성하여 동작하였으며, 그 결과는 아래 그림 12와 그림 13에 나타내었다.
그림 12는 기존 벅-컨버터의 동작 파형을 나타낸다. 결과파형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듀티비가 0.5인 영역에서 리플의 가장 크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그 크기는 약 3.5A로 확인하였다.
Fig. 12 Buck converter operation waveform
Fig. 13 Multi-level converter operation waveform
그림 13은 본 논문에서 제안한 멀티-레벨 컨버터의 동작파형을 나타내고 있다. 그림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본 논문에서 제안한 멀티레벨 컨버터의 전류 리플이
모든 영역에서 기존 벅-컨버터에 비해 크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벅-컨버터에서 전류 리플이 가장 커지는 듀티비 0.5인 영역에서 전류
리플을 비교하였을 때 그 차이는 약 6배 이상 차이가 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멀티-레벨 컨버터의 전압레벨이 변동되는 시점에서의 전류 리플은 0에
가깝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그림 14은 본 논문에서 제안한 시스템을 이용하여 배터리를 CC-CV 모드로 충전한 데이터로써, 배터리 사양에 맞추어 80V/10A로 충전전압과 충전전류를
설정하여 충전을 수행하였다. 충전 전압과 전류 파형을 데이터 수집 장치를 이용하여 기록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배터리의 사양은 표 3과 같다.
Fig. 14 Battery charging curve
Table 3. Specification of the battery
Nominal Voltage
|
72V
|
20 Series
|
Nominal Capacity
|
22.5Ah
|
9 Parallel
|
Charging Voltage
|
Recommend
|
80V
|
SoC 80%
|
MAX
|
84V
|
SoC 100%
|
Charging Current
|
Recommend
|
Under 22A
|
MAX
|
Under 36A
|
Operating Voltage
|
Min 60V
|
Max 84V
|
그림 15는 8A 정전류 충전모드로 동작할 경우 출력에 따른 효율을 측정한 결과이다. 본 실험에서는 멀티-레벨 컨버터 효율 측정을 위해서는 입력 6채널 출력
1 채널의 전력을 측정해야하기 때문에 편의상 AC 입력전력과 DC 출력전력을 측정하여 시스템 효율을 확인하였다. 멀티-레벌 입력용 전원은 총 6개의
300W급 AC/DC SMPS인 Meanwell사의 EPP-300-24를 사용하여 구성하였다.
또한 멀티-레벌 DC/DC 컨버터가 아닌 기존 단일 DC/DC 컨버터와 상대적 효율을 비교하기 위해 단일 DC/DC 컨버터의 입력 또한 멀티-레벨
DC/DC 컨버터에 사용하였던 Meanwell사의 300W급 SMPS인 EPP-300-24을 6직렬로 구성하여 사용하였다. 그림 15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기존 단일 DC/DC 컨버터 시스템의 경우 배터리 전압이 낮은 경부하에서는 효율이 낮고, 배터리 충전전압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부하량에 비례하여 효율이 향상되는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멀티-레벨 충전기는 기존방식에 비해 최대 효율은 낮으나 기존방식에 비해 정전류 충전을 수행할
때 배터리 충전 전압이 낮은 경부하인 경우와 충전 전압이 높은 정격 부하에 관계없이 효율변동이 적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다양한 E-mobile
충전시스템에서 충전운용전압에 관계없이 일정한 전류 리플 및 효율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4. 결 론
본 논문에서는 급격히 보급이 진행되고 있는 소형전동차량의 충전을 가능하게 하는 멀티-레벨 충전 시스템에 대한 토폴로지를 제안하였다. 제안한 멀티-레벨
충전 시스템의 타당성을 시뮬레이션과 실험을 통해 검증하였으며, 아래와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1. 전원을 세분화하여 전력을 공유하는 구조를 갖는 토폴로지의 개발을 통해 다양한 E-Mobile 장비의 전류 리플, 전압 리플과 같은 충전 요구사양을
만족할 수 있으며, 매우 넓은 충전 전압 범위를 갖는 단일 충전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2. 세분화된 전원을 입력으로 사용하는 멀티-레벨 컨버터의 동작 상태와 수에 따라 스위칭 주파수를 상승시키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입력 리플 전류 저감되어 안전인증 규격을 만족하기 위해 사용되는 입력 커패시터를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ESR의 요구사항을 완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출력 측의 전류 리플과 전압 리플을 저감되어 출력단에 존재하는 L-C 필터의 값과 사이즈를 줄임으로써, 충전 시스템의 단가와
사이즈를 저감할 수 있다.
3. 멀티-레벨 컨버터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입력전원의 크기가 감소하므로, 컨버터에 구성되는 스위치 소자를 비롯한 반도체 소자의 내압을 낮게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충전 시스템을 구성할 때 단가 저감과 부품 접근성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제안한 멀티-레벨 충전 시스템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다양한 소형전동차량의 충전을 가능케 함으로써 소형전동차량의 상용 및 보급화에
큰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Acknowledgements
이 연구는 2017년도 정부(산업통상자원부)의 재원으로 한국 에너지 기술 평가원의 (KETEP)지원을 받아 수행한 연구 과제입니다(No.2017931010060).
References
Voth D., 2005, Segway to the future autonomous mobile robot, IEEE Intelligent Systems,
Vol. 20, No. 3, pp. 5-8
Goher K. M., Tokhi M. O., 2010, A new configuration of two wheeled vehicles: Towards
a more workspace and motion flexibility, IEEE International Systems Conference, pp.
524-528
Nakajima Shuro, 2017, Evaluation of the Mobility Performance of a Personal Mobility
Vehicle for Steps, Access IEEE, Vol. 5, pp. 9748-9756
Ulfich K. T., Oct 2005, Estimating the technology frontier for personal electric vehicles,
Transp. Res. Part C, Emerging Technol., Vol. 13, No. 5/6, pp. 488-462
Sawatzky B., et al. , Nov 2007, The segway personal transporter as an alternative
mobility device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 pilot study, Arch. Phys. Med. Rehabil.,
Vol. 88, No. 11, pp. 1423-8
Yilmaz M., Krein P. T., May 2013, Review of battery charger topologies, charging power
levels, and infrastructure for plug-in electric and hybrid vehicles, IEEE Trans. Power
Electron., Vol. 28, No. 5, pp. 2151-2169
Oh C. Y., Kim D. H., Woo D. G., Sung W. Y., Kim Y. S., Lee B. K., Dec 2013, A high
efficient nonisolated single-stage on-board battery charger for electric vehicles,
IEEE Trans. Power Electron., Vol. 28, No. 12, pp. 5746-5757
Yun S. Y., Chae H. J., Kim W. Y., Moon H. T., Jeong Y. S., Lee J. Y., Dec 2010, Battery
Charger for EV, KIPE Power Electronics Annual conference, pp. 460-465
Mang C. Y., Lee S., Nov 2011, A CV·CC Concurrent-Controled LED Converter,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Vol. 49, No. 11, pp. 835-840
Qian Kejun, Zhou Chengke, Allan Malcolm, Yuan Yue, Oct 2010, Load Model for Prediction
of Electric Vehicle Charging Demand, Proc. of International Conferenceon Power System
Technology (POWERCON)
Biography
She received the B.S., M.S., degrees in powereconomics from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Korea in 2000 and 2013, respectively.
She is currently an Associate Researcher with the Department of Digital Energy System
Research Center, Korea Electro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Gwangju, Korea.
Her research interests include mmc-hvdc, mvdc and power-system economics analysis.
She received the B.S., M.S., and Ph.D. degrees in electronics and computer engineering
from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Korea in 1986, 2001 and 2011, respectively.
She is currently an Associate Professor with the Department of Lift Engineering, Korea
Lift College, Geochang, Korea.
Her research interests include motor control, mechatronics and micro-machine automation.
He received the B.S., M.S., and Ph.D.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Pusan
National university, Pusan, Korea, in 1993, 2002 and 2005 respectively.
He is currently a Associate Professor of the dept. of electrical engineering at Seoil
University, Seoul, Korea.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power electronics, micro-gird system.
He received the B.S., M.S., and Ph.D.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and the Ph.D.
degree in mechanical engineering from Pusan National university, Pusan, Korea, in
1991, 1993, 1996, and 2002, respectively.
He is currently a Professor of the dept. of electrical engineering at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Korea.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power electronics, motor control, mechatronics, micro-machine
automation, and robotics control.
Sang-Kil Lim received B.S degree in mechanical enginering from Chonbuk National university,
Jeonju, Korea, in 2008.
The M.S., Ph.D. degres in the electrical enginering from Cho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Korea, in 2010. 2017, respectively.
Currently, he is a researcher in KITECH and interests include EVs, ESS, micro- gird
system, power electron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