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ISO Journal TitleJ Korean Inst. IIIum. Electr. Install. Eng.

  1. (Dept. of Electrical Engineering, Soongsil University, Korea)



Curve Fitting, Net Load Pattern, Numerical Model, Pattern Decomposition, PV Estimation

1. 서 론

배전계통의 설계에 있어서 부하패턴은 설비용량과 운영방식에 중요한 요소이다. 최근 재생에너지 보급정책에 힘입어 분산전원이 배전계통에 연계되는 사례가 급격히 증가하여 부하패턴을 크게 변형시키고 있다. 부하와 분산전원이 모두 포함된 것을 순부하라고 하는데, 비교적 보급이 용이하나 낮 시간대에만 발전하는 태양광 분산전원의 영향력이 눈에 띄게 증가하고 있다. 미국 캘리포니아 주에서는 태양광 발전에 의해 낮 시간대와 저녁 시간대 부하의 격차가 심화되는 덕 커브 현상을 예로 들며 발전설비 예비력 확보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1-2). 부하패턴은 크게 주택용, 산업용, 상업용으로 용도별로 구분하여 대표 부하패턴을 정의하고 있다. 산업용의 경우 근로자의 출근시간대에 상승하여 점심시간에 잠시 줄어들었다가 다시 상승하여 퇴근 시간 이후부터 점차 줄어든다. 상업용은 점심시간과 저녁 시간대에 부하가 집중되며, 주택용은 기상 후부터 출근 전까지와 퇴근 이후 취침 전까지 부하가 집중되는 경향이 있다(3-5). 국내의 22.9kV 특고압 배전계통에서 220V/ 380V로 강압시키는 배전용 주상변압기의 과부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이러한 부하패턴을 2-step으로 모델링 하여 실시간 계측 없이 부하를 추정하는 방안이 제시되었다(6).

배전계통의 주 변압기 측에서 국내 배전계통의 분산형 전원 연계 기술기준에 따르면 250kW 이상의 분산전원에 대해서 전압 및 유·무효전력을 계측할 수 있는 전력품질감시기기를 설치하도록 규정하고 있지만, 발전소가 아닌 경우 대부분 저압 배전계통 연계가 되어 발전량을 계측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7).

과거의 부하패턴을 추정하거나 미래의 부하패턴을 예측하는 방법으로는 시계열 분석과 기계적 학습방법이 있다. 대표적인 시계열 분석방법 중 하나인 이동평균은 동 시간대에 유사한 부하 값이 나타난다는 점에 착안한 것으로써 그 주기는 24시간 또는 7일로 고려된다. 실제 부하패턴에서 이동평균을 적용할 때에는 찾고자 하는 부하패턴과 매우 상이한 패턴을 제외해야 한다. 예를 들어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는 일반적인 근무일로써 서로 유사한 것으로 취급할 수 있으나, 주말과 공휴일은 평일과 다른 특수일로 취급되어야 한다(8-9,13]. 기계적 학습 방법 중 하나인 퍼지 클러스터링 기법은 대표적인 비지도 학습방식으로써 부하에 대한 정보가 없어도 전력 데이터만 있으면 패턴에 따라 군집을 형성할 수 있다. 퍼지를 이용하면 평일 부하와 주말 부하 등 편차가 큰 데이터의 구분이 가능하고, 하루 중 경부하 시간과 중부하 시간을 정량적으로 쉽게 구분할 수 있다(10-11). 지도학습으로 각광받고 있는 신경망 기법은 함수관계를 자동으로 파악해주는 알고리즘이며, 입력값과 출력값을 알고 있다면 비교적 복잡하고 설명하기 어려운 부하패턴도 학습을 통한 예측이 가능하다(12). 곡선 접합은 데이터로부터 주어진 값들을 대표하는 함수를 찾는 방식으로써, 대표적인 모수 추정방법으로 예측값과 실측값의 잔차를 최소화하는 최소제곱 회귀분석이 있다. 이때 함수의 모형에 따라 선형 또는 비선형 회귀분석이 된다. 비선형 회귀를 위해서는 고차항의 다항식 또는 비선형 함수 모형이 필요하다. 이때, 직접적으로 해를 찾을 수 없으므로 일반적으로 Gauss-Newton 법이나 다른 반복에 의한 최적화 알고리즘이 필요하다(13-18). 기계적 학습방법은 예측값 자체를 찾는 데는 유용하지만, 각 요소별로 모델이 직관적이지 않은 경우 결과에 대한 설명이 쉽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비선형 회귀분석에 기반을 둔 수치해석기법을 통해 배전계통 순부하 패턴을 추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순부하 패턴으로부터 배전선로에 연계되는 부하 외에도 태양광 분산전원과 같이 특정 시간대에 일시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패턴 요소를 고려하여 각 패턴을 분리할 수 있다. 순부하를 구성하는 각 요소는 단순화된 대표패턴에 기반하여 전체 부하에서 기여하는 비율로 산정된다. 부하패턴의 경우에는 첫째, 기저부하와 특정 시간대 부하로 구분하여 각각 모델링 되고, 둘째, 태양광 부하는 일출시각과 일몰시각 그리고 크기에 대한 계수를 반영한 음의 부하로 고려된다. 날씨나 온도, 공휴일, 계절, 분산전원 용량 등의 부가적인 정보가 없는 경우에도 추정할 수 있도록 각 계수들은 일정 범위를 갖는 미지수로 두고 순부하에 가장 근접한 조합을 찾는다. 다중 파라미터 각각에 대해 최적의 계수를 찾기 위해 PSO 기법을 적용하여 무작위 반복연산에서의 효율성과 수렴성을 확보하였다. 마지막으로 수렴성에 대한 검증을 위해 실제 배전계통의 1개 D/L 부하로부터 계측된 일일 순부하 패턴을 이용하여 제안하는 방법의 유효성을 검증한다.

2. 순부하 내 태양광 추정방법

2.1 전력패턴 모델 정의

2.1.1 부하 패턴 모델

일일 전력수요 패턴을 단순화시킨 모델에서는 부하의 크기와 지속시간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를 수식으로 표현하면 식(1)과 같이 부하전력에 대한 함수로 나타낼 수 있다. 함수를 나타내기 위한 파라미터는 총 3개이며, 이때 주간 부하는 상승시각(T$_{s,LD}$)부터 하강시각(T$_{e,LD}$)까지 최대 1의 부하율을 가지고, 그 외 시간대에는 Poff-peak의 부하율을 가지는 패턴으로 정의한다(6,20).

Fig. 1. One-line diagram of distribution system and net load of a distribution line
../../Resources/kiiee/JIEIE.2020.34.3.032/fig1.png

(1)
\begin{align*} P_{LD}(t)=\begin{cases} P_{off-peak}&,\: t<T_{s,\: LD}\enspace or\enspace T_{e,\: LD}<t \\ 1&,\: T_{s,\: LD}\le t\le T_{e,\: LD} \end{cases}\\ \\ (1\le t\le 24) \end{align*}

여기서

$P_{LD}(t)$ : t 시점에서의 부하율

$P_{off-peak}$ : 경부하 시간대 부하율

$T_{s,\: LD}$ : 부하 상승시각

$T_{e,\: LD}$ : 부하 하강시각

2.1.2 태양광 분산전원 패턴 모델

태양광 분산전원의 발전패턴은 계통의 부하 측면에서 볼 때 음의 부하로 볼 수 있다. 태양광 발전의 출력전력은 태양광 설비의 용량과 광량에 의해 결정된다. 매 시점에서 태양의 위치와 태양광 패널의 입사각에 의해 결정된다. 태양광의 특징은 설비의 용량과는 별개로 날씨에 따라 발전 출력량이 변동할 수는 있으나, 맑은 날의 패턴을 기준으로 볼 때 정현파의 형태를 나타낸다. 또한, 일출시각과 일몰시각은 계절별로는 약간씩 변동하기는 하나, 인접한 날짜 간에 이들은 각각 거의 동일한 시간대에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해당 지역의 정확한 일출시각과 일몰시각을 알고 있다면, 태양광 패턴의 크기만을 고려함으로써 단순하게 모델링이 가능하다. 정확한 시각을 모르더라도 각각의 시간 파라미터에 대해 주어진 범위 내에서 탐색이 가능하다.

태양광 패널과 태양이 이루는 각도에 따라 출력은 감쇠된다. 고정형 태양광 패널인 경우, 식(2)에서와 같이 태양이 패널에서 수직 방향으로 위치할 때 도달하는 최대 에너지를 Esun이라고 하면, 입사각 θ에 따라 실제 태양광 패널에 입사하는 에너지(Eincident)는 감쇠한다. 그 밖에 계절의 변화에 따른 태양의 궤적변화와 날씨, 효율에 따른 감쇠 요소를 각각 Fseason, Fshade, EFF로 나타낼 수 있다. 크기와 관련된 요소를 제외하고 단순화된 태양광 패턴을 수식으로 표현하면 식(3)과 같다. 일출시각은 T$_{s,PV}$, 일몰시각은 T$_{e,PV}$로 정의된다. 단순 패턴은 정현파 함수의 처음 반주기만을 사용하며, 시간 축 방향으로 일출시각(T$_{s,PV}$)만큼 평행 이동된다. 일출시각 이전과 일몰시간 이후에는 0 출력을 나타낸다. 이 때, 순부하 측면에서의 발전량은 음의 출력을 가지므로 부호를 반전시킴으로써 구할 수 있다(17,20).

(2)
$E_{{i ncident}}=E_{{sun}}\times\sin\theta\times F_{{season}}\times F_{{shade}}\times EFF$

(3)
\begin{align*} P_{PV}(t)=\begin{cases} -\sin(\dfrac{\pi({t}-{T}_{{s},\:{PV}})}{{T}_{{e},\:{PV}}-{T}_{{s},\:{PV}}})& ,\: T_{s,\: PV}\le t \\ & t<T_{e,\: PV}\\ 0\\ &\begin{aligned},\: otherwise\\ \end{aligned} \end{cases}\\ \\ (1\le t\le 24) \end{align*}

여기서

$P_{i ncident}$ : 태양광 패널의 입사광에 대한 생산전력

$P_{sun}$ : 태양으로부터 패널에 전달되는 최대전력

$\theta$ : 태양광 패널과 입사광이 이루는 각

$F_{season}$ : 계절에 따른 감쇠 계수

$F_{shade}$ : 그림자에 따른 감쇠 계수

$EFF$ : 시스템 효율

$P_{PV}(t)$ : t 시점에서의 태양광 출력율

$T_{s,\: PV}$ : 태양광 발전 시작 시각

$T_{e,\: PV}$ : 태양광 발전 종료 시각

2.2 다중 파라미터 최적화

2.2.1 목적 함수

순부하 패턴의 각 요소들을 추정하기 위한 다중 파라미터 최적화의 목적 함수로는 식(4), 식(5)와 같이 추정 대상 순부하 패턴과 파라미터로 생성된 순부하 패턴 간의 잔차 제곱의 합을 최소화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다만 제안하는 방식에서는 n차 다항식이 아닌 그림 2와 같은 방식으로 부하와 태양광 패턴을 합성하여 비선형 회귀를 이용한 곡선 접합으로 파라미터를 찾도록 한다(18,20).

Fig. 2. An example of diagram for deriving net load pattern by combining load, PV and other patterns
../../Resources/kiiee/JIEIE.2020.34.3.032/fig2.png

(4)
$minimize\enspace E_{t}^{2}=\sum_{t=1}^{24}(P_{n et,\: t\arg et}(t)-P_{n et,\: estim}(t))^{2}$

(5)
\begin{align*} P_{n et,\: estim}(t)=[F_{LD}P_{LD}(t)+F_{PV}P_{PV}(t)]\times P_{B ASE}\\ (1\le t\le 24) \end{align*}

여기서

$P_{n et,\: t\arg et}(t)$ : t 시점의 실제 순부하 크기

$P_{n et,\:estim}(t)$ : t 시점에서 추정된 순부하 크기

$F_{LD}$ : 부하의 크기 계수

$P_{LD}(t)$ : t 시점에서의 부하율

$F_{PV}$ : 태양광의 크기 계수

$P_{PV}(t)$ : t 시점에서의 태양광 출력율

$P_{B ASE}$ : 시스템 기준 전력

2.2.2 입자 군집 최적화(PSO)

비선형 다항 회귀방정식으로부터 해를 구하기 위해서는 곡선 접합을 가능하게 하는 적절한 해의 탐색방법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비교적 구현이 쉬우면서도 다수의 파라미터 입력을 받을 수 있고, 동시에 비선형 최적화가 가능한 global best PSO 방식을 채택하였다. PSO는 다수의 입자를 사용하여 각각에 최적점 방향으로 향하는 무작위의 가속도를 부여하여 접근시키는 방식이다. 가장 기본적인 형태로는 식(6)과 같이 입력 파라미터 i에 대하여 입자 xi는 매 반복마다 vi만큼 이동한다. 이 때 속도 벡터 vi는 식(7)과같이 현재의 입자 xi(k)의 위치와 최적의 위치에 있는 입자 xbest간의 거리에 비례하여 접근하되, 주변의 최적점을 탐색하기 위해 약간의 무작위 값을 부여한다. 매 반복연산 시 변화하는 파라미터에 따라 목적 함수를 평가하고, 목적 함수 값에 개선이 있으면 현재의 입자를 최적 파라미터로 갱신한다(16).

(6)
$\vec{x}_{i}^{(k+1)}=\vec{x}_{i}^{(k)}+\vec{v}_{i}^{(k+1)}$

(7)
$\vec{v}_{i}^{(k+1)}=2\times r{and}_{i}(\vec{x}_{best}-\vec{x}_{i}^{(k)})$

(8)
$$\vec{x}_{b e s t}-\left\{\begin{array}{ll} \vec{x}_{i}^{(k)} & , f^{b e s t}>f\left(\vec{x}_{i}^{(k)}\right) \\ \vec{x}_{b e s t} & , f^{b e s t}<f\left(\vec{x}_{i}^{(k)}\right) \end{array}\right.$$

여기서

$\vec{x}_{i}$ : i번째 입자의 위치

$\vec{v}_{i}$ : i번째 입자의 속도

$\vec{x}_{best}$ : 가장 최적인 입자의 위치

$r{and}_{i}$ : i번째 입자의 무작위 계수

PSO 기반의 비선형 회귀를 이용한 곡선 접합의 간략화된 절차를 그림 3의 플로우차트에 나타내었다. 우선 분석하고자 하는 순부하 패턴을 취득하고, 부하와 태양광에 대한 전력패턴 모델을 산정한다. 최적해를 탐색하기 전에 파라미터 당 입자의 개수와 초기값, 파라미터 값의 범위들을 정의한다. 각 파라미터의 군집을 하나의 집합으로 두고, 각 집합의 목적 함수를 계산한다. 식(8)에 따라 목적 함수를 계산하고, 최적 파라미터가 더 이상 개선되지 않을 때까지 오차를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각 패턴의 파라미터들을 조정한다.

Fig. 3. A flowchart for estimate net load pattern
../../Resources/kiiee/JIEIE.2020.34.3.032/fig3.png

3. 사례 분석

비선형 회귀방식의 순부하 패턴 추정 알고리즘의 수렴성을 테스트하기 위하여 배전계통의 샘플D/L을 선정하여 부하 데이터를 취득하였다. 취득된 부하패턴의 일일 시간대별 부하를 그림 4에 나타내었다. 해당 D/L은 새벽 시간과 늦은 오후 시간대에는 거의 일정한 패턴을 보이지만, 낮 시간대에는 태양광 분산전원의 영향으로 이미 상당 부분 역조류가 나타나고 있다. 실제 배전계통에서는 100kW 이하 소규모의 태양광 발전설비도 상당수 설치되고 있으므로, 모든 발전설비에 대해 해당 날짜의 가동 여부를 확인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에 가깝다. 다만, 동일 배전선로에서 지역적으로 멀리 떨어져 있지 않으므로 날씨의 영향은 거의 동일하다고 가정하고 순부하를 추정한다.

Fig. 4. Hourly net load patterns of sample feeder
../../Resources/kiiee/JIEIE.2020.34.3.032/fig4.png

일일 전력 부하 패턴을 추정하기 위해 기상청의 지역 일사량 데이터를 참고하여 일조시간이 충분했던 날짜 중 하루를 선정하여 모의하였다(19). 입력된 부하 데이터는 시간 간격이 10분 내외로 일정치 않은 실측값이므로 보간법을 이용한 보간 및 1시간 간격의 데이터로 재조정 하였고, 입력 파라미터의 범위를 표 1과 같이 정의하였다.

파라미터 중 크기에 관한 모든 계수들은 실수 범위며, 시간 파라미터는 파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일출 시각(T$_{s,PV}$)과 일몰 시각(T$_{e,PV}$)을 제외하고 정수범위로 계산한다. 각 파라미터의 범위는 입자(particle) 수 만큼으로 나누어 초기해를 생성하였다. 예를 들어, 부하 크기 계수(FLD)가 0 부터 1 까지 범위를 가지고, 입자가 100개이면 0.01 단위로 균일하게 입력 값을 생성한다. PSO 반복연산의 종료조건은 30회 이상 현재의 최소값이 갱신되지 않을 때 해당 값을 최적해로 최종 판단한다.

Table 1. Ranges of input parameters

파라미터

최소값

최대값

설명 / 단위

FLD

0

1

부하 크기 계수 (pu)

Poff-peak

0.5

1

경부하시 부하율 (pu)

T$_{s,LD}$

6

8

부하 상승시각 (h)

T$_{e,LD}$

18

24

부하 하강시각 (h)

FPV

0

1

태양광 크기 계수 (pu)

T$_{s,PV}$

6

8

일출시각 (h)

T$_{e,PV}$

18

20

일몰시각 (h)

Pbase

10

기준용량 (MW)

pop

50

입자 수 (particles)

itermax

30

최적값 미갱신 반복횟수

제안한 PSO 기반의 비선형 회귀 곡선 접합을 통해 최종적으로 얻은 패턴과 실측된 순부하 패턴을 비교하는 그래프를 그림 5에 나타내었다. 목적 함수의 평가지표로 삼았던 분산 값은 약 6.79 부근에서 수렴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Table 2. Results of optimal parameters

파라미터

최적값

FLD

0.54

Poff-peak

0.88

T$_{s,LD}$

6

T$_{e,LD}$

24

FPV

0.87

T$_{s,PV}$

7.11

T$_{e,PV}$

19.55

Fitness Value

6.79

최적 파라미터값으로 산정된 결과를 소수점 셋째 자리에서 반올림하여 표 2에 나타내었으며, 이들 각각에 기준용량을 곱하여 실제 순부하에 기여한 전력을 각각 산출할 수 있다. 부하는 거의 일정한 패턴을 나타내고 크기는 피크시간대 약 5.4MW로 산정되었다. 태양광은 7시 7분경에 일출, 19시 33분경에 일몰의 패턴으로 크기는 약 8.7MWp이다.

Fig. 5. Graphs of net load estimation and errors
../../Resources/kiiee/JIEIE.2020.34.3.032/fig5.png

4. 결 론

배전계통의 순부하 패턴에는 용도별 부하뿐 아니라, 분산전원 및 수용반응과 같이 예측이 어렵고 일시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이 있어 부하패턴을 왜곡시키고 전력설비 이용률을 판단하는 데 더욱 어렵게 만든다. 본 연구에서는 부하, 태양광 분산전원의 일반적인 패턴 모델을 정의하고, 패턴의 시간 및 크기 요소를 파라미터화하였다. 이로부터 배전용 변전소의 특고압 배전계통 선로 인입 단에서 계측된 순부하 패턴으로부터 태양광 분산전원 및 부하에 패턴을 분리하는 방법을 제시하였고 수렴성을 검증하였다. 제안한 알고리즘은 비선형 다항 회귀방식으로, 실제 배전계통 순부하와 각 전력패턴이 합성된 패턴의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며, 다수의 입력 파라미터를 동시에 최적화하기 위하여 PSO 기법을 적용하였다. 사례 분석에서는 실제 계측된 부하를 이용하여 순부하 추정 여부 및 수렴성에 대한 테스트를 하였다. 과거 부하의 패턴만으로 분석이 가능했던 것은 재생에너지의 영향이 크지 않았기 때문이었으나, 현실적으로 모든 부하와 분산전원에 계측기를 설치하기 어려운 부분을 감안하면,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알고리즘으로 부하 및 발전량을 추정하는 방식은 재생에너지가 보급될 미래에 더욱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Acknowledgements

본 연구는 한국전력공사의 2018년 착수 에너지거점대학 클러스터 사업에 의해 지원되었음.(과제번호 : R18XA04)

Acknowledgements

본 연구는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KETEP)의 지원을 받아 수행한 연구 과제입니다.(No. 20193710100061)

References

1 
NREL , Nov 2015, Overgeneration from Solar Energy in California: A Field Guide to the Duck Chart, Technical Report NREL/TP-6A20-65023DOI
2 
Korean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MOTIE) , Dec 2017, 8th Basic Plan for Electricity Supply and DemandGoogle Search
3 
Kim Y. I., Shin J. H., Yi B. J., Yang I. K., Sep 2008, Typical Daily Load Profile Generation using Load Profile of Automatic Meter Reading Customer,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57, No. 9, pp. 1516-1521Google Search
4 
Hwang M. S., Lee M. Y., Kim H. J., Lee A. K., Kim J. C., Dec 2016, Analysis Of Power Consumption Pattern about Elementary·Middle·High School and Study of Application Plan that Surplus Power Produced in Photovoltaic Generating Facilitie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Vol. 30, No. 12, pp. 58-66Google Search
5 
Kim H. J., Hwang M. S., Choi O. M., Lee A. K., Kim J. C., Mar 2017,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Regenerative Power of Elevator by Analysis of Apartment Load Patter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Vol. 31, No. 3, pp. 61-68DOI
6 
Yun S. Y., Kim J. C., Sep 2004, Overload Criteria of Distribution Transformers Considering the Electric Consumption Patterns of Customers, The transaction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A, Vol. 53a, No. 9, pp. 513-520Google Search
7 
KEPCO , Apr 2018, Korean Grid Code for InterconnectionGoogle Search
8 
Park J. B., Lee C. J., Lee J. Y., Shin J. R., Lee C. H., Jul 2004, A Correction Technique of Missing Load Data Based on ARIMA Model,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A, Vol. 53a, No. 7, pp. 405-413Google Search
9 
Gould P. G., Koehler A. B., Ord J. K., Snyder R. D., Hyndman R. J., Araghi F. V., Sep 2007, Forecasting time series with multiple seasonal patterns, European Journal of Operational Research, Vol. 191, pp. 207-222DOI
10 
Kim Y. I., Ko J. M., Song J. J., Choi H., Oct 2010, Customer Classification Method Using Customer Attribute Information to Generate the Virtual Load Profile of non-Automatic Meter Reading Customer,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59, No. 10, pp. 1712-1717DOI
11 
Hwang H. M., Park J. B., Lee S. H., Roh J. H., Park Y. G., Sep 2016, Load Forecasting and ESS Scheduling Considering the Load Pattern of Building,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65, No. 9, pp. 1486-1492DOI
12 
Park J. Y., Nov 2018, Estimation of Electrical Loads Patterns by Usage in the Urban Railway Station by RNN,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67, No. 11, pp. 1536-1541DOI
13 
Farahat M. A., Talaat M., 2012, Short-Term Load Forecasting Using Curve Fitting Prediction Optimized by Genetic Algorithms, International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DOI
14 
Song K. B., Park R. J., Kim K. H., Won J. R., Nov 2017, Electrical Energy Consumption Forecasting Algorithm Using Multiple Regression Method,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Vol. 31, No. 11, pp. 69-74Google Search
15 
Hu S., Peng F., Gao Z., Ding C., Sun H., Zhou W., Jan 2019, Sample Entropy Based Net Load Tracing Dispatch of New Energy Power System, Energies, Vol. 12DOI
16 
Engelbrecht A. P., 2006, Fundamentals of Computational Swarm Intelligence, John Wiley & Sons, Inc., USAGoogle Search
17 
Masters G. M., 2003, Renewable and efficient electric power systems, John Wiley & Sons, IncGoogle Search
18 
Chaprea S. C., Canale R. P., 2006, Numerical Methods for Engineers 5th Edition, McGraw-HillGoogle Search
19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http://www.weather.go.kr/Google Search
20 
Kim J. S., Kim J. C., 2019, Power System Net Load Pattern Estimating Apparatus and Method, KOR Patent. No. 10-2019-0093081Google Search

Biography

Jin-Su Kim
../../Resources/kiiee/JIEIE.2020.34.3.032/au1.png

He received his B.S and M.S.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Soongsil Univ. in 2011 and 2013.

Currently, he is Ph.D candidat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Soongsil Univ.

His research interests are electrical load estimation and energy storage applications for smartgrid.

Hyeong-Jin Lee
../../Resources/kiiee/JIEIE.2020.34.3.032/au2.png

He received his B.S. degree from Electrical Engineering at Anyang Univ. in 2015 and his M.S. degree from Electrical Engineering at Soongsil Univ. in 2017, respectively.

Currently, he is Ph.D candidat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Soongsil Univ.

Kwang-Hoon Yoon
../../Resources/kiiee/JIEIE.2020.34.3.032/au3.png

He received his B.S. degree from Electrical Engineering at Anyang Univ. in 2017.

Currently, he is intergrate Ph.D student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Soongsil Univ.

Og-Man Choi
../../Resources/kiiee/JIEIE.2020.34.3.032/au4.png

He received his B.S. degree from Electrical Engineering at Cho-sun Univ. in 1989 and his M.S. degree from Electrical Engineering at Korea Univ. in 1997, respectively.

Currently, he is Ph.D candidat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Soongsil Univ. and director at LH.

Jae-Chul Kim
../../Resources/kiiee/JIEIE.2020.34.3.032/au5.png

He received his B.S. degree from Electrical Engineering at Soongsil Univ. in 1979 and his M.S. degree and Ph.D degree from Seoul National Univ. in 1983 and 1987, respectively.

Currently, he is a professor in the Dept. of Electrical Engineering at Soongsil Uni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