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연경
(Yeonkyeong Kim)
1iD
김명진
(Myungchin Kim)
†iD
-
(Master Course, Department of Electrical Eng.,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Korea)
Copyright ©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Engineers(KIIEE)
Key words
AC microgrid, Energy storage system, Fuzzy control, PV generation
1. 서 론
탄소중립 (Carbon Neutrality)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가됨에 따라 태양광 발전이나 풍력 발전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신재생 에너지원이
전력시스템에 연계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은 신재생 에너지원의 비중 증가는 RE100 가입의 확산에서 알 수 있듯이 산업 전반에서 확산되고
있다. 신재생 에너지원의 접속비중이 상대적으로 커진 최근의 전력계통에서는 회전기 기반의 기존 전력시스템과 마찬가지로 높은 수준의 안정성과 신뢰성이
보장되어야 한다.
한편, 최근 전력시스템의 운영과 관련하여 주목할 점은 신재생 에너지원과 같은 분산에너지원을 활용하여 자체적으로 생산한 전기의 판매를 통하여 전기판매사업자는
판매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발전 추세를 고려하여 최근에는 신재생에너지원이 다수 접속된 마이크로그리드(Microgrid)의 안정성,
신뢰성 및 경제성과 같은 다양한 성능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시스템 제어기법의 개발에 대한 연구가 주목받고 있다[1-5].
태양광 및 풍력으로 대표되는 신재생 에너지원의 발전출력은 일사량, 풍력 및 풍향 등과 같은 기후요소의 영향을 많이 받게 되며 발전되는 출력이 간헐적이라는
특성이 있다. 이러한 출력특성은 전력시스템의 안정적인 운영에 장애물로 작용할 수 있다. 간헐적인 출력특성에 대한 대응책으로 에너지저장장치 (Energy
Storage System, ESS)의 설치가 일반적으로 고려된다.
국내의 경우에는 ESS의 보급향상을 위하여 신재생 에너지 공급인증서 (Renewable Energy Certificate, REC)에 가중치를 반영하여
전력판매제도가 운영되어왔다. 해당 가중치의 설정 값은 전기 판매업자의 수익과 깊은 연관이 되는 요소이다. 예를 들어서, ESS를 함께 설치한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REC 가중치를 태양광 발전시스템이 단독으로 설치된 경우의 가중치보다 높게 설정하여 ESS의 보급 확대에 기여한 사례가 있다[8]. 참고로, REC 가중치의 세부적인 값은 신재생에너지원의 보급여부와 ESS의 설치 장려 등과 같은 다양한 요소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6, 7].
다수의 에너지원이 연계된 전력 시스템의 안정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시스템의 사양설계 뿐만 아니라 해당 전력시스템의 운영을 위한 제어기법의 개발이 요구된다.
특별히, 시스템 제어기법의 개발 시에는 에너지 흐름과 더불어 각 에너지원의 동작특성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ESS가 연계된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경우에는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출력제어기법 뿐만 아니라, ESS의 특성을 고려한 출력제어기법이 많이 연구되고 있다[9-11]. ESS는 충전 상태(State of Charge, SOC)에 따라서 마이크로그리드의 안정성 및 신뢰성에 영향을 준다. 예를 들어, 주파수 조정용
ESS에 대한 선행연구사례[12]에서는 SOC의 운전영역은 50-80%으로 고려하였으며, 고장 등 특정상황과 같은 과도 시에는 제한된 시간 간격만 10-90% 운영을 허용한다. SOC
운전영역의 상한치를 제한한 이유는 지나치게 높은 충전율로 인한 과충전, 과전압 등으로 인한 화재나 폭발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하한치를 제한한
이유는 방전 깊이(Depth of Discharge, DOD)와 SOC 운전영역에 따라 ESS의 수명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이유들로 인해서
SOC영역에 따른 ESS 수명영향성 및 SOC 유지제어에 대한 연구도 진행되고 있다[13, 14]. 따라서 ESS를 연계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ESS의 SOC운전영역을 고려한 출력제어기법을 사용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PV에너지원과 배터리가 연계된 마이크로그리드의 출력 제어를 위한 퍼지제어 (Fuzzy Control) 기법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기법에서는
일사량, 부하수요전력을 고려하여 태양광 출력이 제어되도록 하였다. 제안한 제어기법에 대해서 MATLAB/SIMULINK을 이용하여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였으며,
제안기법의 성능을 SOC의 운전영역과 경제성의 측면에서 확인하였다.
2. 시스템 형상 및 제어기법
2.1 AC 마이크로그리드 구성
본 연구에서 고려한 마이크로그리드 형상은 Fig. 1과 같다. 해당 시스템은 PV 발전원, ESS와 부하로 구성되어 있다. 계통의 연결여부에 따라 Fig. 1과 같은 시스템은 독립형 (Islanded Mode) 또는 계통연계모드 (Grid Connected Mode)로 운영될 수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독립형 모드로 동작되는 전력시스템에 대해서 고려한다.
독립형 모드로 동작하는 마이크로그리드의 안정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발전과 수요간의 전력균형 (Power Balance)이 유지되어야 한다. 높은 변동성을
지니는 PV 전원이 연결된 Fig. 1과 같은 시스템에서는 ESS를 활용하여 전력균형이 유지되도록 설계 및 운영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부하 수요전력이 신재생 에너지원의 출력보다 큰 경우에는
ESS에서 전력을 공급하게 되며, 수요전력이 신재생 에너지원의 출력보다 작은 경우에는 적용되는 시스템 제어 기법에 따라 각 전원에서 일정 비율만큼
출력하도록 전력시스템에서의 에너지 흐름이 제어되어야 한다.
전력시스템의 성능은 해당 시스템에 적용되는 제어기법의 특성에 따라 좌우된다. 전력시스템의 성능을 특성화할 수 있는 다양한 성능지표가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ESS의 SOC 수준과 경제성을 고려하였다. 동일한 운영조건에 대해서 높은 수준의 SOC가 확보될 경우에는 갑작스러운 에너지원의 차단이 발생하는 경우나
고장이 발생할 경우에는 ESS의 방전을 통하여 부하에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는 시간이 높아지기 때문에 시스템의 신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경제성은
해당 분산전원을 운영하는 전기판매사업자의 입장에서는 운영을 통해 발생되는 판매수익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시스템의 성능을 분석함에 있어서
중요한 평가기준으로 고려할 수 있다.
2.2 퍼지제어기 설계
본 연구에서 고려한 퍼지 제어기의 블록도는 Fig. 2와 같다. 본 논문에서는 태양광 발전시스템과 ESS가 있는 Fig. 1과 같은 형상의 마이크로그리드를 기준으로 퍼지제어기를 구성하였고, 퍼지제어기의 입력변수로는 일사량과 부하수요전력($P_{LOAD}$)을 고려하였다.
일사량의 경우에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출력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끼친다는 점에서 선택하였으며, 부하수요전력은 ESS의 운영 프로파일 (충/방전) 및
SOC의 최종 값에 영향을 끼친다는 점을 고려하여 입력변수로 선택하였다. 제안한 퍼지제어기의 퍼지화 (Fuzzification) 단계에서 설정한 소속함수
(Membership Function)은 Fig. 3과 같이 정의하였으며, 퍼지제어기의 출력규칙은 Table 1과 같이 설정하였다. 역퍼지화 (De-Fuzzification)을 통하여 연산되는 퍼지제어기의 출력변수는 PV출력원과 ESS 간의 출력비율 K (0
<K <1)로 정의하였다. 즉, 본 연구에서 고려한 퍼지제어기는 일사량과 부하수요전력 정보를 활용하여 에너지원 간의 출력비율을 산출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Fig. 2. Fuzzy controller block diagram
Fig. 3. Fuzzy controller I/O membership function
(a) Irradiation (b) Demanded power of load(P$_{LOAD}$) (c) Output variable K
Table 1. Fuzzy controller output rule
$P_{LOAD}$
|
일사량
|
|
NB
|
NS
|
ZO
|
PS
|
PB
|
NB
|
NB
|
ZO
|
PS
|
PB
|
PB
|
NS
|
NB
|
NS
|
PS
|
PB
|
PB
|
ZO
|
NB
|
ZO
|
ZO
|
PS
|
PB
|
PS
|
NB
|
NS
|
ZO
|
PS
|
PB
|
PB
|
NB
|
NS
|
ZO
|
ZO
|
PB
|
2.3 PV 에너지원의 출력지령 생성
본 연구에서 고려한 시스템을 구성하는 PV 전원의 지령 값은 퍼지제어기를 통해 연산된 K 값에 $P_{LOAD}$ 또는 시스템을 구성하는 에너지원의
출력가능전력의 합($P_{S}$)에 K를 곱하여 생성한다. $P_{S}>P_{LOAD}$ (생산가능출력이 부하보다 큼)인 경우에는 $P_{LOAD}$에
퍼지제어기의 출력 값인 K를 곱한 $K\times P_{LOAD}$ 값이 PV 전원의 지령으로 생성되는 반면, $P_{S}<P_{LOAD}$ (생산가능출력이
부하보다 작음)인 경우에는 $P_{S}$에 퍼지제어기의 출력 값인 K를 곱한 $K\times P_{S}$ 값이 PV 전원의 지령 값으로 사용된다.
3. 시뮬레이션
3.1 시뮬레이션 구성
제안한 퍼지제어기의 성능을 확인하기 위해 MATLAB/SIMULINK를 이용하여 Fig. 4와 같은 시스템 형상을 대상으로 시뮬레이션을 진행하였다. 해당 시스템은 220$V_{rms}$, 60$Hz$ AC 마이크로그리드이며 PV의 출력가능용량은
25kW, ESS의 용량은 104kWh, ESS의 초기 SOC는 80%로 가정하였다.
태양광 발전출력은 충청북도 청주시 기상관측소의 2021년 07월 평균 데이터를 활용하였다[15]. 06시부터 17시까지의 시간대별 월별 평균 온도·일사량 데이터를 이용하였으며 일사량 및 온도 변화 그래프는 Fig. 5와 같다. 본 연구에서는 2가지의 운영 시나리오를 아래와 같이 고려하였다.
Fig. 4. Circuit for simulation
Fig. 5. Change of irradiation and temperature
(a) Irradiation (b) Temperature
*. 시나리오 1: Fig. 5와 같은 실제 일사량 및 온도 변화에 따라 PV 출력이 변동하고 부하가 일정한 경우
*. 시나리오 2: 일사량을 최대값으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전제하에 부하전력이 변동하는 경우
또한, 제안한 퍼지제어법칙 (Case 1)이 PV 발전원과 ESS간의 출력분담비율을 조건에 따라 가변적으로 출력하는 특성이 있음을 고려하여 PV 발전원과
ESS간의 출력분담비율을 1:1로 고정한 제어방식 (Case 2)과 1:3으로 고정한 제어방식 (Case 3)에 대한 시뮬레이션도 시나리오 1과 시나리오
2에 대해서 모두 실시하여 제안한 퍼지제어기법이 적용된 전력시스템에서의 성능에 대한 비교분석을 실시하였다.
3.2 시나리오 1
시나리오 1에 대하여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퍼지제어기가 적용된 결과는 Fig. 6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시간대별로 일사량 및 온도가 변화함에 따라, Table 1에서 언급한 퍼지제어기 출력규칙의 결과 값이 변화하게 된다. 해당 변화를 통해 PV와 ESS의 출력 지령값이 지정되게 되며, 이를 기반으로 실제 출력량을
Fig. 6(a)에서 확인할 수 있다. 퍼지제어기의 출력변수 K에 해당하는 비율만큼 각 전원이 전력을 공급하는 것을 해당 그래프에 나타낸 것이다. Fig. 6(a)에서 알 수 있듯이 09시를 기점으로 PV의 출력 전력이 증가하면서 ESS의 출력이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15시를 기준으로 PV의 출력가능전력이
점차 감소하게 되면서, ESS의 출력 전력량이 증가하고 PV의 출력 전력량이 감소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퍼지제어기의 출력과 연관 지어 생각해
볼 수 있다. 일사량이 변화하게 되면서, 퍼지제어기의 출력 값은 Table 1의 퍼지제어기 출력규칙에 따라 변동하게 되며 이러한 K 값의 변화는 PV와 ESS의 출력 지령값의 변화를 발생시키게 된다.
Fig. 6. Results of scenario 1
(a) Each source’s output power of case 1(b) ESS SOC per case
동일한 시나리오에 대해서 시스템 제어기법이 ESS의 SOC 수준에 끼치는 영향성에 대한 분석을 위하여 제안한 퍼지제어기법(Case 1)을 적용한 경우와
비교를 위한 고려한 기존제어기법 (Case 2 와 Case 3)에 대한 시뮬레이션 수행 결과는 Fig. 6(b)와 같다. Fig. 6의 (b)에서는 제어기법별 ESS의 SOC의 변화양상을 확인해볼 수 있다. Fig. 6의 (b)에서 알 수 있듯이, 제안하는 퍼지제어기법을 사용할 경우, ESS의 SOC가 더 높게 확보되는 것을 알 수 있다.
3.3 시나리오 2
시나리오 2에 대하여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퍼지제어기가 적용된 결과는 Fig. 7에 제시되어 있다. 일사량 및 온도가 일정하다고 가정하고 부하의 수요전력이 5kW-10kW-3kW로 순차적으로 변화하는 경우를 가정하였으며, Fig. 7(a)에서 알 수 있듯이 부하수요전력의 변화에 따라 PV와 ESS의 출력이 변동됨을 확인할 수 있다. 퍼지제어기의 입력변수 중 하나인 일사량의 값이 고정되어
있는 상황이므로, 부하의 변동에 따라 퍼지제어기의 출력이 Table 1의 출력에 해당하는 값을 갖는 것을 확인해볼 수 있다.
Fig. 7. Results of scenario 2
(a) Each source’s output power of case 1 (b) ESS SOC per Case
시나리오 1과 동일하게 Fig. 5의 일사량을 이용하였고, 해당 값 중에서 최대 일사량 값을 활용하였다. 부하 변동에 따른 Case 1의 각 전원의 전력공급량 그래프를 Fig. 7의 (a)에서 확인할 수 있다. 퍼지제어기 출력변수 K에 의하여 부하 변동에 따른 각 전원의 출력전력이 변경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Fig. 7의 (b)에서는 제어기법별 ESS의 SOC 변화그래프를 확인할 수 있다. 시나리오 1에서와 마찬가지로, 퍼지제어기법을 사용할 경우, ESS의 SOC가
더 높게 확보되는 것을 알 수 있다.
3.4 성능비교 및 분석
시나리오 1과 시나리오 2에 대해서 본 논문에서 제안한 퍼지제어기를 적용한 경우와 3.1절에서 소개한Case 2와 Case 3이 적용된 경우의 성능을
비교한 결과는 Table 3과 같다. 본 연구에서는 최종 SOC 값과 판매수익이 제어기법에 따라 어떻게 변동되는지에 대해서 확인하였다. 판매수익의 경우에는 한국전력거래소에서
제공되는 계통한계가격 (System Marginal Price: SMP)와 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 (Renewable Energy Certificate:
REC) 가중치 정보를 활용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고려된 REC 가격, 가중치 및 시간대별 SMP는 Table 2와 Fig. 8에서 확인할 수 있다[16, 17]. Table 3에 제시된 바와 같이 본 연구에서 고려한 퍼지제어기법을 사용하면 시나리오 1의 경우, 최종 SOC가 Case 2 대비 약 4.19%, Case 3
대비 약 11.16% 높은 것을 알 수 있으며, 판매수익은 각각 약 0.51%, 약 1.28%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시나리오 2에서는 최종
SOC가 Case 2 대비 약 15.72%, Case 3 대비 약 28.33% 높은 것을 알 수 있으며, 판매수익은 각각 약 1.35%, 약 2.22%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퍼지제어기법을 사용하면 AC 마이크로그리드의 경제성 및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Table 2. REC cost and REC weight of each source
전원의 종류
|
REC
[won/kW]
|
REC 가중치
|
특이사항
|
PV
|
30.095
|
1.2
|
소규모, 일반부지
|
ESS
|
0
|
-
|
Table 3. Final SOC and sale revenue by control method
|
|
Case 1
(제안기법)
|
Case 2
|
Case 3
|
Scenario 1
|
판매수익
[천원]
|
64.252
|
63.928
|
63.442
|
최종 SOC [%]
|
72.44
|
69.53
|
65.17
|
Scenario 2
|
판매수익
[천원]
|
87.584
|
86.414
|
85.682
|
최종 SOC [%]
|
77.37
|
66.86
|
60.29
|
4. 결 론
탄소 중립 및 신재생에너지원에 대한 관심 증가로 인하여 그 출력특성이 간헐성을 지니는 태양광 전원이 전력시스템에 적용되는 사례가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그와 같은 전력시스템의 경우에는 에너지저장장치를 함께 설치하여 시스템의 안정성 향상에 기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태양광 전원과
에너지저장시스템이 연계된 마이크로그리드 적용을 위한 퍼지 제어 시스템에 대한 연구 결과를 소개하였다. 제안된 퍼지제어기는 일사량 정보와 부하전력정보를
입력변수로 고려하였으며, 태양광 전원의 에너지분담비율을 출력변수로 정의하였다. 해당 출력변수는 태양광 전원과 ESS의 출력지령 생성에 활용이 되었다.
제안된 퍼지 제어 기법의 성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다양한 운영 시나리오에 대하여 시나리오를 수행하였다. 또한, 기존 기법에 대한 시뮬레이션도 수행하여
제안된 퍼지제어기법의 성능을 확인하였다. 제안된 퍼지제어기법을 적용할 경우에는 동일한 운영 시나리오에 대해서 ESS의 최종 SOC 수준이 기존제어기법(Case
2 와 Case 3) 대비 약 4.19% ~ 28.33% 높음이 확인되었으며, 해당 신재생에너지원을 운영함에 발생되는 판매수익 역시 약 0.51%
~ 2.22%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를 통하여, 제안기법의 적용을 통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의 신뢰성과 경제성을 기대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정부(교육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기초연구사업임.(No. 2020R1A6A1A12047945)
References
Khadem S. K., Khan S., Basu M., Conlon M. F., 2011, Parallel Operation of Inverters
and Active Power Filters in Distributed Generation System - A Review,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Vol. 15, No. 9, pp. 5155-5168
Pei Y., Jiang G., Yang X., 2004, Auto-master-slave Control Technique of Parallel Inverters
in Distributed AC Power Systems and UPS, Proc. of the 35th Annual IEEE Power Electronics
Specialists Conference, Vol. Proc.35th Annual IEEE Power Electron. Spec. Conf., pp.
2050-2053
Monica P., Kowsalya M., 2016, Control Strategies of Parallel Operated Inverters in
Renewable Energy Application: A Review,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Vol. 65, pp. 885-901
Hossain M. A., Pota H. R., Issa W., Hossain M. J., 2017, Overview of AC Microgrid
Controls with Inverter-Interfaced Generations, Energies, Vol. 10, No. 9, pp. 1-27
Shan Y., Li J. Hu. Z., Guerrero J. M., 2018, A Model Predictive Control for Renewable
Energy Based AC Microgrids Without Any PID Regulators, IEEE Power Electron., Vol.
33, No. 11, pp. 9122-9126
Jeon S. U., Noh J., Kang S., Park J. W., 2020, Practical Power Management of PV/ESS
Integrated System, IEEE Access, Vol. 8, No. 1, pp. 189775-189785
Kim H., Kim S. H., Song H. J., 2019, DC Ground Fault Induced Fire Accident in Lithium
Ion Battery based ESS,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68, No. 11, pp. 1470-1476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 (Explanation Material) ESS Weights were Introduced
Temporarily, and Ended as Scheduled Through Three Postponements, https://www.motie.go.kr/motie/ne/presse/press2/bbs/bbsView.do?bbs_cd_n=81&bbs_seq_n=165163
(Accessed 06 October 2022).
Puczko K., 2011, Optimal Design of Renewable Hybrid Power Supply Systems, Proc. of
IEEE 33rd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s Energy Conference(INTELEC), pp. 1-6
Khasawneh H. J., Illindala M. S., 2014, Battery Cycle Life Balancing in a Microgrid
through Flexible Distribution of Energy and Storage Resources, J. Power Sources, Vol.
261, pp. 378-388
Kwon Y., Kwasinski A., Kwasinski A., 2016, Coordinated Energy Management in Resilient
Microgrids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IEEE J. Emerging and Sel. Topics in
Power Electron., Vol. 4, No. 4, pp. 1158-1173
Kim S. Y., Lee S. E., Kim J. T., 2020, Feasibility Study for Application of Frequency
Regulation ESS in Cuba: Technological Effects on Improving Frequency Compensation,
KEPCO Journal on Electric Power and Energy, Vol. 6, No. 2, pp. 123-127
Lim G. P., Choi Y. H., Im J. H., 2016, Development of Operation and Control Technology
of Energy Storage System for Frequency Regulation and Operation by Grid Connected
Automatic Control, KIEE, Vol. 65, No. 4, pp. 235-241
Yun J. Y., et al. , 2014, SOC-based Control Strategy of Battery Energy Storage System
for Power System Frequency Regulation, KIEE, Vol. 63, No. 5, pp. 622-628
Meteorological Data Open Portal of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 ASOS,
https://data.kma.go.kr/data/grnd/selectAsosRltmList.do?pgmNo=36&tabNo=1 (Accessed
06 October 2022)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 Management and Operation Guidelines for the
Mandatory Supply of New/Renewable Energy and the Mandatory Fuel Mixture System, http://www.motie.go.kr/motie/in/ay/policynotify/notify/bbs/bbsView.do?bbs_seq_n=63906&bbs_cd_n=5
(Accessed 06 October 2022)
EPSIS , SMP per 1 Hour, http://epsis.kpx.or.kr/epsisnew/selectEkmaSmpShdChart.do?menuId=040202
(Accessed 06 October 2022)
Biography
He received B.S.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in 2022, where he is currently pursuing the M.S.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reliability of microgrid, power electronics, and power
management system.
He received B.S. and M.S.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Hanyang University
in 2004, 2006, respectively and the Ph.D. degree from The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in 2015. From 2006 to 2017, he worked as a researcher for the Agency for Defense Development.
He joined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in 2017, where he is currently associate professor
at the School of Electrical Engineering. His main research interests include microgrids,
and asset management of power infrastruc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