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ISO Journal TitleJ Korean Inst. IIIum. Electr. Install. Eng.

  1. (M.S. and Ph.D. course, Dept. of Electrical Eng.,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Korea)



Asset management, Condition assessment, Condition-based risk management, Gas-insulated switchgear, Health index

1. 서 론

GIS의 초기 설계 수명은 약 25년으로, 1960-1970년대 변전소에 설치된 토목 및 기계적 구조물의 수명을 기준으로 설정되었다. 이는 당시 유지보수 개념이 충분히 반영되지 않았고, 전력설비의 개발 기술이 현재만큼 발전하지 못하여 초기 고장 등의 문제를 종합적으로 고려한 결과였다[1]. 그러나 최근 제작 기술, 유지보수 기술, 모니터링 기술 등의 발전과 더불어 GIS에 대한 사용자의 경험과 지식이 축적되면서, GIS의 실제 사용 수명은 점차 늘어나고 있다[2]. 이와 같은 기술 발전을 바탕으로, 영국, 호주, 일본을 비롯한 많은 해외 전력사에서는 GIS의 사용 수명을 40년 이상으로 추정하고 있다[3-5]. GIS의 사용 수명 증가는 전력설비의 자산관리 전략에도 변화를 가져와, 기존의 TBM (Time-Based Management) 방식에서 벗어나 실제 전력설비의 상태를 기반으로 한 CBRM (Condition-Based Risk Management) 방식이 도입되는 배경이 되었다.

CBRM은 자산의 건전도를 정량적으로 나타내는 Health Index와 고장이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Criticality Index를 기반으로 고장 확률과 그로 인한 종합적 영향도를 정량적으로 평가하여 위험도를 산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유지보수 및 교체 시점을 최적화하는 자산관리 전략이다. 여기에서 Health Index는 자산관리의 핵심 요소로, 자산의 성능과 열화 상태를 평가하여 상태 코드를 도출한 후, 이를 구간별로 나누어 자산의 실제 상태를 수치로 표현한 것이다. Health Index는 사용 시간에 따른 자산의 상태 변화를 추적하여 평가하고, 이를 바탕으로 고장 확률을 예측하는 데 활용된다[6]. 따라서, 최근에는 GIS의 유지보수 및 교체 여부를 판단하고, 이러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의사결정을 내리기 위해 Health Index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의 GIS 관리 방식은 해외의 동향과는 차이를 보인다. 국내에서는 GIS가 처음 도입되었을 때 당시 해외에서 추정한 수명인 25년보다 더 보수적인 값인 22년을 사용 수명으로 추정하고, 이를 위험도 관리의 주요 요소로 활용하고 있다[7]. 이와 같은 방식은 GIS가 기능적으로 양호한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사용 기간에 의존한 교체 결정으로 이어지는 비효율성을 야기할 수 있다. 또한, 국내에서는 일반적으로 0에서 100까지의 선형 척도를 사용하여 GIS의 상태를 평가하고 각 평가 항목에 가중치를 부여한 후 이를 합산하는 가중 합산 방식을 적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Masking Effect를 유발하여 유지보수 및 교체 결정 과정에서 GIS의 상태에 따른 긴급성이 적절하게 반영되지 않을 수 있다. Masking Effect란, 특정 구성요소가 긴급한 조치를 요하는 상태를 가질 때, 자산의 종합적인 상태 코드에는 이러한 심각성이 반영되지 못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GIS의 기능적 상태가 정확하게 반영된 Health Indexing을 위한 방법론을 제안하고, Masking Effect를 최소화할 수 있는 상태 코드 부여 기법을 개발하고자 한다.

2. GIS의 Health Index

2.1 Health Index의 요구사항

Fig. 1에는 자산의 생애주기를 나타내었으며, Table 1에는 Health Index 값을 기준으로 자산의 상태를 5개의 구간으로 구분하여 분류한 결과를 정리하였다[1, 8]. Health Index의 구간별 정의와 권장 조치는 국제적인 표준이 없고, 자산 사용자의 전략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본 논문에서는 CIGRE WG B3.48의 지침에 기반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1].

Fig. 1. Life cycle of electrical power asset

../../Resources/kiiee/JIEIE.2024.38.6.465/fig1.png

Table 1. Definition of each health index band and recommended actions based on condition of asset

../../Resources/kiiee/JIEIE.2024.38.6.465/tb1.png

Table 2. Maingenance Period Matrix from NETA

자산의 상태

불량

보통

양호

자산에

요구되는

신뢰성

1.0

2.0

2.5

0.50

1.0

1.5

0.25

0.50

0.75

자산을 취득한 시점에서의 Health Index는 자산의 제조사, 설치 위치, 시운전 데이터 등을 바탕으로 도출되며, 가장 우수한 성능을 가짐에 따라 가장 양호한 Health Index를 가진다. 자산이 운용 단계에 들어서면서 열화 과정을 겪게 되고, 차단기의 투·개방 시간 및 속도 지연, SF6 가스의 밀도 저하 및 분해 가스의 함량 증가 등과 같이 구성요소의 성능이 점차적으로 감소하게 된다. 이러한 성능 저하를 식별하고 그 속도를 지연시키기 위해 점검과 유지보수를 실시해야 하며, 자산의 상태에 따라 점검 및 유지보수 주기를 탄력적으로 조정하여 자산을 효율적으로 관리해야 한다.

NETA (InterNational Electrical Testing Association)는 전력 설비의 일관된 유지보수 및 시험 절차를 확립하기 위해 1993년에 MTS (Maintenance Testing Specifications) 표준을 제정하였으며, 2001년에는 자산의 상태에 따라 유지보수 주기를 유연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Maintenance Period Matrix를 개발하였다[9]. Table 2에는 유지보수 주기를 조정하기 위한 Maintenance Period Matrix를 나타내었으며, 식 (1)에는 유지보수 주기의 계산 방법을 나타내었다[9].

(1)
$ Maintenance\; Period =\\ Period\; of\; Maintenance \;Tests \\ \times \;Maintenance \;Period \;Matrix $

위 식에서는 초기에 설정된 유지보수 주기에, 점검 결과로부터 도출된 Maintenance Period Matrix 값을 곱하여 최종적인 유지보수 주기를 계산한다. 즉, 유지보수 주기는 자산의 상태에 따라 변화할 수 있으며, 점검 결과가 반영된 Maintenance Priod Matrix 값을 활용하여 유지보수 주기를 더 길거나 짧게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초기에 설정된 전력설비의 정기적인 육안 점검 주기가 12개월이고 점검을 통해 도출된 Maintenance Priod Matrix 값이 1.5인 경우, 해당 설비의 다음 번 육안 점검 주기는 12개월에 1.5를 곱한 18개월로 변경된다. 이와 같은 사례를 통해 미국에서는 전력설비의 신뢰도와 상태에 따라 유지보수 주기를 유연하게 조정하여 과도한 유지보수를 방지함으로서 전력설비의 운영 효율성을 높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자산 운용 중에 발생한 열화로 인해 성능이 저하되는 경우에는 유지보수를 수행하고, 개선한 전력설비의 상태를 Health Index에 반영해야 하며, 이를 통해 자산의 실제 상태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 이후 자산의 성능이 본래 기능을 수행하지 못할 정도로 감소하게 되면 Health Index는 사용자가 설정한 임계값에 도달하게 된다. 이때는 적절한 개입 (Intervention)을 통해 위험도를 완화할 수 있으며, 이러한 개입 조치는 자산의 Health Index에 즉시 반영되어 개선된 상태를 나타내어야 한다. 만약 유지보수나 수명 연장 조치가 기술적 또는 경제적으로 타당하지 않다면, 자산을 폐기하는 결정을 내리게 된다. 결과적으로, Health Index는 자산의 현재 상태와 성능을 직관적으로 나타내어야 하며, 운용 중에 발생하는 열화의 결과가 정량적으로 반영되어야 한다. 또한, Health Index를 통해 유지보수 또는 교체 여부와 적절한 시기를 파악하고, 가장 성능이 저하된 자산을 식별하여 그 긴급성에 따라 개입의 우선순위를 결정할 수 있어야 한다.

2.2 Health Indexing을 위한 GIS의 구조

GIS는 부하전류를 개폐하고 이상전류를 차단하여 변압기를 포함한 관련 부하를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최근 반도체와 인공지능 산업의 발전으로 대규모 데이터 센터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재생 에너지 확대에 따른 전력 시스템의 변동성이 커지면서 전력 시스템의 신뢰성을 유지하는 데 있어 GIS의 중요성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10, 11]. 이러한 산업 동향은 GIS의 신뢰성을 유지하기 위해 유지보수와 개입의 여부 및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도구인 Health Index의 중요성을 더욱 부각시키고 있다. 따라서, 이번 절에서는 GIS의 기능과 구조를 분석함으로써 Health Indexing을 위한 GIS의 체계적인 분류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Fig. 2에는 일반적인 170kV급 GIS의 구조를 나타내었다[12]. GIS는 차단기와 단로기, 그리고 접지 스위치 등의 여러 구성요소를 접지된 금속 외함 내부에 배치하고 절연 가스를 충진한 구조로 되어 있다. 절연 가스로는 일반적으로 우수한 절연 내력과 아크 소호 특성을 가진 SF6 가스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SF6 가스는 GWP (Global Warming Potential)가 약 23,900에 달하는 강력한 온실가스로, 최근에는 기후 변화에 대응하고 교토 의정서 및 RE100과 같은 국제 환경 규제를 준수하기 위해 친환경 절연 가스를 사용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13]. 절연 가스가 SF6에서 친환경 가스로 대체되더라도, GIS의 기본 구조는 변함없이 동일하게 유지된다. Fig. 3은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Health Indexing을 위한 GIS의 구조 분류법을 나타내었다.

Fig. 2. Structure of a 170kV rated GIS[12]

../../Resources/kiiee/JIEIE.2024.38.6.465/fig2.png

Fig. 3. Structural classification metnod of GIS for health indexing

../../Resources/kiiee/JIEIE.2024.38.6.465/fig3.png

이와 같은 구조 분류법을 통해 GIS 구성요소 별 상태를 평가하고, 각 구성요소의 상태를 반영한 종합적인Health Index를 도출할 수 있다. 먼저, 하위 시스템은 구성요소의 기능적 역할을 세분화한 것으로, 구성요소를 하위 시스템으로 세분화함으로써 해당 구성요소의 어느 부분에서 어떠한 기능적 문제가 발생하고 있는지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각 하위 시스템의 기능적 정의는 Table 3에 제시되어 있다. 구성요소는 하위 시스템의 상위 개념으로, 하나 이상의 하위 시스템으로 이루어진 집합체로서 GIS에서 작동하는 개별 기기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주요 구성요소인 차단기는 5가지의 하위 시스템을 가지고 이상전류를 차단하는 고유의 기능을 가진다. Bay는 구성요소의 상위 개념으로,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로 이루어져 GIS에서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독립적인 장치를 의미한다. Bay 수준은 두 가지로 분류되는데, 첫 번째는 차단기, 단로기, 변류기 등 금속 외함 내부에 구성된 기기들의 집합이며, 두 번째는 금속 외함의 내부에 충진된 절연 가스이다. Bay 수준에서 각 구성요소는 모델에 따라 서로 다른 구성을 가질 수 있다. 특히, 절연 가스는 GIS에서 일반적으로 차단부와 상부 모선 및 하부 모선 등 구획 단위로 관리되는 경향을 반영하여 구성요소의 집합인 Bay와 분리하였다. 이를 통해 유지보수 및 개입의 필요성을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개선하였다. 예를 들어, GCB (Gas Circuit Breaker)의 기계적 주요 부품은 모두 양호하더라도 절연 가스의 밀도나 수분 함량이 기준치를 벗어난 경우, 절연 가스만을 대상으로 한 유지보수가 필요하다는 점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최상위 수준인 GIS는 구성 기기와 절연 가스의 집합체를 의미한다.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GIS를 하위 시스템과 구성요소 및 Bay 수준으로 세분화하여 GIS를 구성하는 모든 요소의 상태가 Health Index에 정확하게 반영될 수 있도록 하였다.

Table 3. Functional definition of each subsystem

하위 시스템

기능적 정의

Construction

& Support

·GIS의 기계적 강도를 제공하고 SF6 가스의 기밀성을 유지

Dielectric

·아크를 소호하고 고전압 부품을 절연

Primary

conductor

·정격전류 통전

Secondary

·구성요소 (차단기, 단로기 등)와 LCP를 전기적으로 연결

Driving

mechanism

·Secondary의 신호를 받아 차단기, 단로기 등의 개폐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조작 장치

3. 상태 코드 산정 방법론

상태 코드는 자산의 상태를 정량적인 값으로 표현한 것으로, Health Index의 기초가 된다. 이는 GIS 구성요소에 포함된 각 하위 시스템의 기능적 건전성을 평가함으로써 도출된다. 상태 평가 과정에서 도출된 상태 코드는 구간별로 나누어 (Banding) Health Index를 산출하는 데 사용된다. 상태 코드는 다양한 척도와 계산 방법을 적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태 코드가 표현되는 결과가 달라질 수 있다. 이번 장에서는 상태 코드에 적용할 수 있는 대표적인 척도와 계산 방법을 소개하고, 효과적인 Health Indexing을 위해 앞서 제안한 GIS의 구조 분류에 적합한 상태 코드 산정 방법론을 제안한다.

3.1 상태 코드의 척도

상태 코드의 척도는 크게 선형 척도와 로그 척도로 나눌 수 있다. 로그 척도는 다시 밑이 3인 로그 척도와 상용 로그 척도로 구분된다. Health Index는 상태 코드의 척도에 따라 표현되므로, 각 척도의 특성을 정확히 이해하고 적절한 척도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Table 4에는 자산을 구성하는 구성요소의 상태에 따라 부여된 세 가지 척도의 값을 비교하여 나타내었다. 세 가지 척도 모두 높은 코드 값을 가질수록 자산의 상태가 더욱 불량함을 나타낸다. Table 5에는 5개의 구성요소를 가진 임의의 자산에 대해 각 구성요소에 상태 코드를 부여한 예시를 나타내었다.

Table 4. Condition codes for each condition of components according to scale

../../Resources/kiiee/JIEIE.2024.38.6.465/tb4.png

Table 5. Condition codes for each component of an arbitrary asset

구성

요소

상태

상태 코드의 척도

선형

로그

log3

log10

A

양호

2

3

10

B

양호

2

3

10

C

매우 불량

5

100

10,000

D

매우 양호

1

1

1

E

양호

2

3

10

자산의 상태 코드

12

110

10,031

상태 코드 출력 범위

5-25

5-500

5-50,000

3.1.1 선형 척도

선형 척도는 구성요소의 상태에 따라 1에서 5까지의 코드를 부여하는 가장 간단한 방식이다. 코드 범위는 1에서 5, 1에서 10, 또는 1에서 100까지 등 사용자의 전략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예시에서는 각 구성요소의 상태를 1에서 5까지의 코드로 할당하였다. 해당 방식에서는 각 구성요소의 상태 코드를 모두 합산하여 자산의 종합 상태 코드를 산출하며, 5개의 구성요소를 가진 자산은 최종적으로 5에서 25까지의 상태 코드 출력 범위를 가지게 된다. Table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선형 척도를 적용한 자산의 종합 상태 코드는 12로, 해당 척도에서 상태 코드의 최대 출력값인 25의 약 절반에 해당하여 보통 수준의 열화 상태로 평가된다. 그러나, 구성요소 C의 상태 코드는 ‘매우 불량’ 상태인 5로, 즉각적인 조치가 필요한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Masking Effect로 인해 자산의 종합 상태 코드에는 이러한 긴급성이 반영되지 못한다. 따라서, CIGRE WG B3.48에서는 Masking Effect를 최소화하기 위해 로그 척도의 사용을 권장하고 있다[1].

3.1.2 로그 척도

로그 척도는 선형 척도에서 발생할 수 있는 Masking Effect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척도이다[14]. 로그 척도는 밑이 3인 로그 척도와 상용 로그 척도로 구분할 수 있다. 밑이 3인 로그 척도에서는 구성요소의 상태에 따라 1에서 100까지의 코드를 부여한다. 해당 방식에서 ‘보통’ 상태에 있는 구성요소의 경우, 본래는 9가 부여되어야 하나, ‘양호’ 상태의 구성요소가 3개일 때 또한 9가 부여되고 ‘매우 양호’ 상태의 자산이 9개일 때 역시 9가 부여되므로, 코드에 따른 상위 수준을 파악함으로써 직관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10을 부여한다. 그러나, 해당 방식에서는 다른 수준에서도 직관성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한다. 예를 들어, 상태 코드 3을 가진 구성요소 3개와 상태 코드 1을 가진 구성요소 1개가 있을 때, 합산하여 10이 도출되면 앞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직관성 저하 문제가 나타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용 로그 척도가 도입되었다. 상용 로그 척도는 구성요소의 상태에 따라 1에서 10,000까지의 코드를 부여하는 방식이다. 해당 척도에서는 코드의 자릿수를 통해 특정 상태를 가진 구성요소의 수량을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Table 5의 상용 로그 척도에서 자산의 상태 코드가 10,031인 경우, 해당 자산은 ‘매우 양호’ 상태의 구성요소 1개, ‘양호’ 상태의 구성요소 3개, ‘매우 불량’ 상태의 구성요소 1개를 가지고 있음을 쉽게 파악할 수 있으며, 상태 코드에서 긴급성이 적절하게 드러날 수 있다.

3.1.3 상태 코드의 척도 선정

GIS는 여러 구성요소가 금속 외함 내부에 배치된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각 구성요소의 상태를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상태 코드를 도출해야 한다. 이 과정에서 Masking Effect가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하여 자산의 상태와 긴급성을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상태 코드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다. 선형 척도는 상대적으로 단순하지만, 여러 구성요소의 상태가 합산되는 과정에서 긴급성이나 중요도가 충분히 반영되지 않을 수 있는 반면, 로그 척도는 Masking Effect를 최소화하는 데 적합한 방식이다.

특히, 상용 로그 척도는 상태 코드의 자릿수를 통해 각 구성요소의 상태와 그 수량을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어 자산의 상태를 명확히 평가하고 긴급성을 효과적으로 반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GIS의 Health Indexing을 위한 상태 코드의 척도로 구성요소의 상태를 상태 코드의 자릿수를 통해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상용 로그 척도를 제안한다.

3.2 상태 코드의 계산 방법

상태 코드의 계산 방법은 크게 합산 방식과 Worst Case 방식으로 구분되며, 합산 방식은 다시 단순 합산 방식과 가중 합산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2.2절에서 제안한 GIS의 구조는 4개의 수준을 가지므로, Health Index의 요구사항을 충족하고 Masking Effect를 최소화하기 위해 각 수준에 적합한 계산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번 예시에서는 비교의 직관성을 높이기 위하여 상태 코드를 표현하는 가장 간단한 방식인 선형 척도를 사용한다. Table 6Table 7은 계산 방법에 따른 구성요소별 상태 코드를 나타내며, 구성요소들이 동일한 가중치를 가지면서 서로 다른 상태를 가진 두 가지 경우를 예시로 제시하였다.

3.2.1 단순 합산 방식

(2)에는 단순 합산 방식의 계산 식을 나타내었다.

(2)
$Condition\; Code =\sum_{i=1}^{n}Component_{i}$

단순 합산 방식은 각 구성요소에 부여된 상태 코드의 결과를 합산하여 자산의 전체 상태를 나타내는 방식이다. 해당 방식은 가장 간단한 방식이면서 선형 척도와 로그 척도 모두에 적용이 가능하지만, Table 6에서 단순 합산 방식에 의한 종합적인 자산의 상태 코드는 12로, Table 7에서 해당 방식을 통해 도출된 상태 코드와 동일하다. 즉, Table 6에서 자산의 상태 코드에는 구성요소 C의 심각성이 제대로 반영되지 않아 Masking Effect가 발생하였다. 단순 합산 방식은 선형 척도와 함께 사용할 경우, 상황에 따라 Masking Effect를 유발할 수 있다. 그러나, 3.1.2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해당 방식에 상용 로그 척도를 적용하는 경우 상태 코드에 자산의 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반영할 수 있어 Masking Effect를 줄일 수 있다.

Table 6. Example of condition codes for each component according to calculation method (1)

구성

요소

상태

가중치

계산 방식

단순 합산

가중 합산

Worst

Case

A

양호

0.2

2

0.4

2

B

양호

0.1

2

0.2

2

C

매우 불량

0.2

5

1

5

D

매우 양호

0.3

1

0.3

1

E

양호

0.2

2

0.4

2

자산의 상태 코드

12

2.3

5

상태 코드 출력 범위

5-25

1-5

1-5

Table 7. Example of condition codes for each component according to calculation method (2)

구성

요소

상태

가중치

계산 방식

단순 합산

가중 합산

Worst

Case

A

양호

0.2

2

0.4

2

B

양호

0.1

2

0.2

2

C

보통

0.2

3

0.6

3

D

양호

0.3

2

0.6

2

E

보통

0.2

3

0.6

3

자산의 상태 코드

12

2.4

3

상태 코드 출력 범위

5-25

1-5

1-5

3.2.2 가중 합산 방식

(3)에는 가중 합산 방식의 계산 식을 나타내었다.

(3)
$Condition\; Code =\sum_{i=1}^{n}\left(Component_{i}\times Weight_{i}\right)$

가중 합산 방식은 구성요소의 중요도에 따라 가중치를 부여한 상태 코드를 합산하여 자산의 전체 상태를 평가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사용자의 주관에 따라 특정 구성요소의 가중치를 높게 설정함으로써 해당 구성요소가 자산의 종합적인 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크게 반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가중 합산 방식은 고전적으로 가장 많이 채용되던 방식이며, 현재까지도 일부 사용자들에게 채용되고 있는 방식이다. 그러나, 해당 방식은 특정 구성요소가 실제로 부여된 가중치만큼 자산의 고장에 기여하는지에 대해 많은 논란이 있었으며, 이러한 점에서 여전히 많은 사용자들 사이에서 신뢰성이 충분히 검증되지 않은 방식으로 평가되고 있다[14].

가중 합산 방식은 Masking Effect가 심각하게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예를 들어, Table 6에서 구성요소 C는 ‘매우 불량’ 상태로 즉각적인 조치가 필요한 상태를 나타내지만, 가중 합산 방식에 의한 자산의 종합 상태 코드는 2.3으로, 해당 방식에서 상태 코드의 최대 출력값인 5의 약 절반 수준에 해당하여 보통 수준의 열화 상태로 평가된다. 또한, Table 7에서는 모든 구성요소가 비교적 평이한 열화 상태를 보임에도 불구하고 가중 합산 방식에 의한 상태 코드는 2.4로, Table 6에서 해당 방식에 의한 상태 코드인 2.3보다 높은 값을 보인다. 즉, 일부 구성요소가 매우 불량한 상태임에도 그 긴급성이 자산의 종합 상태 코드에 제대로 반영되지 않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가중 합산 방식은 상태 평가에서 적절하지 않은 방식으로 간주된다[1].

본 논문에서는 상태 코드의 자릿수를 통해 구성요소의 상태와 심각성을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상용 로그 척도를 채택하였다. 그러나, 구성요소마다 가중치를 적용할 경우, 상용 로그 척도의 특장점이 제대로 발휘되지 못한다.

3.2.3 Worst Case 방식

(4)에는 Worst Case 방식의 계산 식을 나타내었다.

(4)
$Condition\; Code = Worst(Component)$

Worst Case 방식은 각 구성요소에 부여된 상태 코드 중 가장 높은 상태 코드를 자산의 상태를 대표하는 값으로 사용하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Table 6에서 구성요소 중 가장 높은 상태 코드가 5이므로, 자산의 종합 상태 코드는 5로 도출된다. Worst Case 방식은 단순 합산 방식과 마찬가지로 선형 척도와 로그 척도 모두에 적용할 수 있으며, 해당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Masking Effect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15].

3.2.4 상태 코드의 계산 방법 선정

Health Index의 요구사항을 충족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상태 코드의 척도를 선정하고, 이에 맞는 상태 코드 계산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3.1절에서는 Masking Effect를 최소화하고 긴급성을 효과적으로 반영할 수 있는 상용 로그 척도를 선정하였다. 가중 합산 방식을 상용 로그 척도에 적용할 경우, 상용 로그 척도의 특장점을 제대로 활용할 수 없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상용 로그 척도를 적용한 GIS의 Health Indexing을 위해 단순 합산 방식과 Worst Case 방식을 적용하고자 한다.

3.3 고찰

Table 8은 Health Index에 대응되는 상태 코드의 범위를 나타내며, 각 Band의 범위는 향후 연구를 통해 개선될 수 있다. GIS의 Health Indexing은 각 구성요소를 구성하는 하위 시스템의 상태를 평가하고, 이를 바탕으로 상태 코드를 부여하는 것에서 시작된다. Fig. 4에는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GIS 상태 코드 산정 방법론의 구조를 나타내었으며,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① GIS의 상태 코드는 상용 로그 척도를 통해 표현하도록 선정하였다. GIS가 여러 구성요소로 이루어진 복잡한 시스템임을 고려하여, 상용 로그 척도를 통해 코드의 자릿수를 기준으로 각 구성요소의 상태와 그 수량을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② 상태 평가 항목으로부터 하위 시스템의 상태를 결정하기 위해 Worst Case 방식을 적용한다. 하위 시스템의 상태 코드는 구성요소의 상태를 정확히 결정하는 데 목적이 있다. 만약 이 과정에서 단순 합산 방식을 적용하면, Fig. 4에서 최상위 수준인 GIS의 상태 코드만으로는 구성요소 단위의 상태를 직관적으로 파악하기 어렵다. 또한, 가중 합산 방식을 적용할 경우, 코드의 자릿수에 따라 특정 상태를 가지는 구성요소의 수량 파악이 불가하여 상용 로그 척도의 특장점을 제대로 활용할 수 없고 Masking Effect로 인해 특정 상태 평가 항목의 심각성이 충분히 반영되지 않아 Health Index의 신뢰성이 저하될 수 있다.

③ 하위 시스템의 상태로부터 구성요소의 상태를 결정하기 위해 Worst Case 방식을 적용한다. 구성요소는 여러 하위 시스템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하위 시스템의 상태가 구성요소의 기능에 큰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Worst Case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특정 하위 시스템에서 발생한 문제가 구성요소에 미치는 영향을 정확히 평가할 수 있다.

④ 구성요소의 상태로부터 Bay의 상태, 절연 가스의 상태로부터 절연 시스템의 상태를 결정하기 위해 단순 합산 방식을 적용한다. 상용 로그 척도에 단순 합산 방식을 적용하여 특정 상태를 가진 구성요소의 수량을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으며, 절연 가스 구획의 상태와 위치를 명확히 파악하여 절연 가스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⑤ Bay 수준의 상태로부터 GIS의 상태를 결정하기 위해 단순 합산 방식을 적용한다. 구성요소와 절연 시스템의 상태를 종합하여 상태 코드로 나타냄으로써 GIS의 현재 상태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유지보수 여부와 우선순위를 효과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Table 8. Range of condition codes corresponding to the Health Index

../../Resources/kiiee/JIEIE.2024.38.6.465/tb8.png

Fig. 4. Example of assigned condition codes framework on Health Indexing for GIS

../../Resources/kiiee/JIEIE.2024.38.6.465/fig4.png

4. 결 론

최근 해외 선진 전력사에서 채택되고 있는 자산관리 전략은 주로 CBRM에 기반하고 있으며, CBRM 전략의 핵심은 Health Index를 통해 자산의 상태를 정확하게 평가하여 자산을 최적의 상태로 유지하고 위험도를 최소화하는 데 있다.

본 연구는 상태 코드의 표현 방식과 계산 방법을 최적의 조합으로 제안함으로써 GIS의 Health Indexing 방법론을 제안하였다.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GIS의 여러 구성요소와 하위 시스템의 상태가 Health Index에 적절히 반영될 수 있도록 하였고, 상용 로그 척도를 적용함으로써 특정 상태를 가진 구성요소의 수량과 긴급성을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제안한 GIS의 Health Indexing 방법론은 단순한 자산의 상태를 평가하는데 그치지 않고, 유지보수 주기와 교체 시기를 효율적으로 조정하기 위해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GIS의 Health Index와 상태 코드를 통해 특정 구성요소의 상태를 정확히 파악함으로써 불필요한 유지보수를 줄이고, 위험도가 높은 구성요소에 대한 즉각적인 개입을 결정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한다. 또한, 이를 통해 GIS 관리 방식의 효율성을 높이고, OPEX (Operating Expenditure) 및 CAPEX (Capital Expenditure)를 절감하며, 전력 공급의 신뢰성을 유지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에서 제안한 GIS의 Health Indexing 방법론은 자산의 수명주기 전반에 걸쳐 자산의 상태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데이터 기반의 의사결정을 통하여 유지보수 및 교체 전략을 수립하는 데 중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향후 연구에서는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법론을 적용하여 약 27년간 운전된 25.8kV 옥내용 GIS의 Health Index를 도출하고, 실제 운영 중에 수집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해당 GIS의 상태를 종합적으로 평가할 예정이다.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24년도 정부(산업통상자원부)의 재원으로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의 지원(20217610100090, 저열화성 노후GIS의 자산효율관리를 통한 ICT/AI 기반의 재 제조기술개발)과 HD 현대일렉트릭(주)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References

1 
Working Group B3.48, “Asset health indices for equipment in existing substations,” Technical Brochure 858, 2021.URL
2 
Onyou Lee, “Explanation of GIS asset management technology,” The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vol. 34, no. 3, pp. 33-39, 2020.URL
3 
Working Group B3.17, “Residual life concepts applied to HV GIS,” Technical Brochure 499, 2012.URL
4 
Electric Technology Research Association, “Advanced maintenance strategies for gas insulated switchgear,” vol. 70, no. 2, 2014.URL
5 
AusNet Services, “2023-27 Transmission revenue reset,” AMS 10-62 Gas Insulated Switchgear, 2020.URL
6 
Office of Gas and Electricity Markets, “RIIO-ED1 Regulatory instruction and guidance: Annex A – glossary,” pp. 89-90, 2015.URL
7 
KEPCO, “Mid-term reinforcement standards for substation facilities,” 2022.URL
8 
Albert Santandreu and David Neilson, “SPEN switchgear life extension strategy,” 24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lectricity Distribution, pp. 0846, 2017.URL
9 
ANSI/NETA MTS-2023, “Standard for maintenance testing specifications for electrical power equipment & systems,” 2023.URL
10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10th basic plan for electricity demand and supply,” 2023.URL
11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11th basic plan for electricity demand and supply draft released,” 2024.URL
12 
HD Hyundai Electric, “GIS(E)24P,” [online]. Available: https://www.hd-hyundaielectric.com/elect/ko/customer/download.jsp?paging.pageNo=1&boardCode=download&code1=B0000&code2=&code3=&searchKey=all&searchValue (Accessed 18 Jun 2024)DOI
13 
Jin-Yong Na, “A comparative study on eco-friendly insulating gas to determine the operating pressure of 170kV high voltage disconnector,” Ph.D. Thesis, Hanyang University, 2024.URL
14 
Tony McGrail, Steven Rhoads, and J. White, “Developing and using justifiable asset health indices for tactical and strategic risk management,” in Proc. of the CIGRE Session Paris, 2018.URL
15 
Hongseok Lee and Hyoungku Kang, “A study on the life assessment of distribution transformer for asset management,”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vol. 35, no. 8, pp. 31-34, 2021.DOI

Biography

Yechan Kim
../../Resources/kiiee/JIEIE.2024.38.6.465/au1.png

He received bachelor’s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in 2023. He is currently a master’s course in Dept. of electrical engineering,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His research interests are high voltage engineering, power asset management, and applied superconductivity.

Minkyung Jeong
../../Resources/kiiee/JIEIE.2024.38.6.465/au2.png

She received a master’s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in 2020. Currently, attending a Ph.D. course in electrical engineering,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Her research interests are high voltage engineering, power asset management, and applied superconductivity.

Bonhyuk Ku
../../Resources/kiiee/JIEIE.2024.38.6.465/au3.png

He received bachelor’s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in 2023. He is currently a master’s course in Dept. of electrical engineering,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His research interests are high voltage engineering, power asset management, and applied superconductivity.

Hyoungku Kang
../../Resources/kiiee/JIEIE.2024.38.6.465/au4.png

He received doctor’s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Yonsei University in 2005. He is currently a professor in Dept. of electrical engineering,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His research interests are high voltage engineering, power asset management, and applied superconductivity.